KR20220150855A - Printed circuit board - Google Patents

Printed circuit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855A
KR20220150855A KR1020220138858A KR20220138858A KR20220150855A KR 20220150855 A KR20220150855 A KR 20220150855A KR 1020220138858 A KR1020220138858 A KR 1020220138858A KR 20220138858 A KR20220138858 A KR 20220138858A KR 20220150855 A KR20220150855 A KR 20220150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ayer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태홍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855A/en
Publication of KR2022015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8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Dielectric details, e.g. changing the dielectric material around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bstrate which is made of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and has a cavity upwardly opened; and a second substrate which is made of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and is located in the cavity.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smaller than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 circuit board.

한국 및 일본을 포함하여, 각국에서는 전세계적으로 5G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5G 시대의 10GHz 이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원활한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재료 및 구조로는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손실 없이 메인 보드까지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재료 및 구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Japan, are concentrating their efforts 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mercialization of 5G worldwide. For smooth signal transmission in the frequency band of 10 GHz or higher in the 5G era, it may be difficult to respond with existing materials and structures. Accordingly, new materials and structures are being developed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high-frequency signal to the main board without loss.

공개특허공보 10-2011-0002112 (공개: 2011.01.06)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2112 (published: 2011.01.06)

본 발명은 신호 손실이 감소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d circuit board in which signal loss is reduc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개방된 캐비티를 구비한 제1 기판; 및 복수의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티 내에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ubstrate made of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and having a cavity opened upward; and a second substr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and positioned within the cavity, wherein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된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
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rminal to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part of Figure 4;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omit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below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not.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coupling does not mean only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each component in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but another configuration intervenes between each component so that the component is in the other configuration. It should be us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even the case of contact with each other.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된 단말기(1)를 나타낸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rminal 1 to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기기 단말기(1)에는 인쇄회로기판(10)이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메인보드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으로 이루어지고, 제2 기판(200)의 유전손실은 제1 기판(100)의 유전손실보다 작다. 특히, 제2 기판(200)을 이루는 제2 절연층(210)의 유전정접은 제1 기판(100)을 이루는 제1 절연층(110)의 유전정접보다 작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 a printed circuit board 10 is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terminal 1 . 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may be a main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0 and a second substrate 200, and dielectric los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is smaller than dielectric loss of the first substrate 100. In particular,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forming the second substrate 200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forming the first substrate 100 .

제1 기판(100)은 메인보드인 인쇄회로기판(10)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제2 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10)의 소정의 영역에 한하여 형성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10)에는 제1 소자(300), 제2 소자(400), 제3 소자(410) 등이 실장될 수 있고, 제1 소자(300)는 RF 처리부고, 제2 소자(400)는 IF 처리부일 수 있다. 제2 기판(200)은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를 연결하는 연결회로(500)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100 occupies most of the main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is formed only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 In particular, the first element 300, the second element 400, the third element 410, etc.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the first element 300 being an RF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element 400 may be an IF processing unit.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formed around a connection circuit 500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

도 1a는 제1 소자(300) 및 제2 소자(400)가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된 모습이고, 도 1b는 제1 소자(300) 및 제2 소자(400)가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기 전의 모습으로, 제1 소자(300) 실장영역(300')과 제2 소자(400) 실장영역(400')이 도시되어 있다.1A shows a first element 300 and a second element 400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FIG. 1B shows a first element 300 and a second element 400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10), the mounting area 300' of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mounting area 400' of the second element 400 are shown before being mounted.

도 1b를 참조하면, 제2 기판(200)은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를 연결하는 연결회로(500) 주변부에 형성된다.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를 연결하는 연결회로(500)에는 10GHz 이상의 고주파 신호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가 흐르는 연결회로(500) 주변부에 유전정접이 작은 절연층이 배치됨으로써, 신호 손실이 저감될 수 있고, 더불어 유전정접이 작은 절연층 사용이 최소화됨으로써 비용 절감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B , the second substrate 200 is formed around a connection circuit 500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 A high-frequency signal of 10 GHz or higher may flow through the connection circuit 500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 Therefore, by disposing an insulating layer with a small dielectric loss tangent arou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through which a high frequency signal flows, signal loss can be reduced, an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by minimizing the use of an insulating layer with a small dielectric loss tangent. .

한편, 도 1a 및 도 1b에서 편의 상 연결회로(5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회로(500)는 제2 기판(200) 내부에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show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or convenience in FIGS. 1A and 1B,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be buried inside the second substrate 200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이하,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3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기판(200)의 유전손실(Dielectric Loss)은 제1 기판(100)의 유전손실보다 작다. 유전손실은 유전체에 교류성 전계가 형성되었을 때 발생하는 손실 전력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2 ,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0 and a second substrate 200 . Here, the dielectric los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bstrate 100 . Dielectric loss refers to power loss that occurs when an alternating electric field is formed in a dielectric.

제1 기판(100)은 복수의 제1 절연층(110)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 개방된 캐비티(cavity)(C)를 구비한다. 즉, 캐비티(C)는 복수의 제1 절연층(110)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층을 관통한다.The first substrate 100 is made of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110 and has a cavity C that is open upward. That is, the cavity C passes through two or more uppermost layers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110 .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의 캐비티(C)에 삽입된다. 제2 기판(200)은 복수의 제2 절연층(210)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ubstrate 200 is inserted into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second substrat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210 .

제1 절연층(110)과 제2 절연층(210)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의 다양한 수지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어,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형 에폭시 수지, 고리형 알리파틱계 에폭시 수지, 실리콘계 에폭시 수지, 질소계 에폭시 수지, 인계 에폭시 수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are formed of various resins such as thermosetting resins and thermoplastic resins, and may be specifically epoxy resin or polyimide. Here, the epoxy resin is, for example, naphthalene type epoxy resin,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novolac 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c type epoxy resin, rubber modified type epoxy resin, cyclic alipha It may be a tick-based epoxy resin, a silicone-based epoxy resin, a nitrogen-based epoxy resin, a phosphorus-based epoxy resi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절연층(110)과 제2 절연층(210)은 상기 수지에 유리 섬유(glass cloth)와 같은 섬유 보강재가 포함되거나, 무기 필러(filler)가 충진된 것일 수 있다. 전자의 예로, 프리프레그(Prepreg; PPG)가 있고, 후자의 예로 ABF(Ajinomoto Build-up Film)와 같은 빌드업 필름(build up film)이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may include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glass cloth in the resin or may be filled with an inorganic filler. As an example of the former, there is a prepreg (PPG), and as an example of the latter, there is a build up film such as ABF (Ajinomoto Build-up Film).

제2 절연층(210)의 유전정접(Dielectric dissipation factor, Df) 은 제1 절연층(110)의 유전정접보다 작다. 유전정접은 유전손실의 비율이고, 유전정접과 유전손실은 비례한다. A dielectric dissipation factor (Df)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 The dielectric loss tangent is the ratio of dielectric loss, and dielectric loss tangent and dielectric loss are proportional.

제2 절연층(210)의 수지는 제1 절연층(110)의 수지와 주 재료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110)과 제2 절연층(210)은 PPG, ABF, PI일 수 있다. 다만, 제2 절연층(210)은 유전정접이 약 0.003일 수 있고, 이는 PPG, ABF, PI에 함유되는 물질(충진제 등)의 종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The resi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may have the same main material as the resi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may be PPG, ABF, or PI. Howev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may have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about 0.003, which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type and content of materials (fillers, etc.) contained in PPG, ABF, and PI.

제2 절연층(210)은 제1 절연층(110)과 전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제2 절연층(210)은 유전정접이 0.002 ~ 0.0001 사이의 값을 가지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PE(Polyphenylene Ether), COP(Cyclo Olefin Polymer), PFA(Perfluoroalkoxy)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may be made of a completely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has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02 to 0.0001 LCP (Liquid Crystal Polymer) ),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PE (Polyphenylene Ether), COP (Cyclo Olefin Polymer), and PFA (Perfluoroalkoxy).

한편, 제2 절연층(210)의 유전율(Permittivity),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Dk)는 제1 절연층(110)의 유전율, 유전상수보다 작다. Meanwhile, the permittivity and dielectric constant (Dk)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

제1 기판(100)을 이루는 제1 절연층(110)은 복수로 형성되며, 제1 기판(100)에 삽입되는 제2 기판(200)의 층 수를 고려한다면, 제1 절연층(110)은 적어도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이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메인보드인 경우, 제1 기판(100)은 11 개의 제1 절연층(110)으로 구성되어 회로층 기준으로 12층일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constituting the first substrate 100 is formed in plurality, and considering the number of layer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inserted into the first substrate 100,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may consist of at least three layers. For example,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 main board embedded in a smart phone, the first substrate 100 may be composed of 11 first insulating layers 110 and have 12 layers based on circuit layers.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의 캐비티(C) 내에 삽입되는 기판이다. 제2 기판(200)을 이루는 제2 절연층(210) 역시 복수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기판(200)의 위치(즉, 제1 기판(100)의 캐비티(C) 위치)는 연결회로(50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2 기판(200)은 연결회로(500) 주변부에 형성된다. 또한, 연결회로(500)의 위치는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 그리고 연결비아(51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econd substrate 200 is a substrate inserted into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constitu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is also formed in plurality.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00 (ie, the position of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That is, the second substrate 200 is formed arou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 Also, the location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and the connection via 51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기판(200)의 두께는 제1 기판(1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기판(200)의 두께는 제1 기판(100)의 캐비티(C) 두께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캐비티(C)가 관통하는 제1 절연층(110)의 수와 제2 기판(200)을 이루는 제2 절연층(210)의 수는 동일하다. 즉, 캐비티(C)가 N 개의 제1 절연층(110)을 관통하며, 제2 기판(200)을 이루는 제2 절연층(210)도 N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절연층(110)과 제2 절연층(210) 각각이 두께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판(100)의 상면과 제2 기판(200)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 Also, the number of first insulating layers 110 through which the cavity C passes is equal to the number of second insulating layers 210 constitu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 That is, the cavity C may pass through the N number of first insulating layers 110 , and the number of second insulating layers 210 constitu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also include N number. Here, each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substantially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인쇄회로기판에는 제1 소자(300), 제2 소자(400), 제3 소자(410) 등이 실장된다. The first element 300, the second element 400, the third element 410, and the like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1 소자(300)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RF와 같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자(300)는 RF 처리부일 수 있다. RF 처리부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노이즈 제거, 크기 증폭, 주파수 하향 변환(down converting)하여 제2 소자(400)로 송신한다. 반대로 제2 소자(4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송신할 수 있다. RF 처리부는 antenna, amp, mixer, fil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자(300)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의 단말기(1)에서, 제1 소자는 두 개(300, 300a)로 구성된다.The first element 300 may include an antenna and process a high frequency signal such as RF. For example, the first element 300 may be an RF processor. The RF processing unit removes noise, amplifies the amplitude, and down-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econd element 400 . Conversely,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element 400 may be amplified and transmitted to the antenna. The RF processing unit may be composed of an antenna, amp, mixer, filter, and the like. The number of first elements 300 may be plural. In the terminal 1 of FIG. 1, the first element is composed of two (300, 300a).

제2 소자(400)는 제1 소자(300)와 연결되며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처리한다. 제2 소자(400)는 IF 처리부일 수 있다. 제2 소자(400)는 제1 소자(30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가 주고 받는 신호는 10G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1.2GHz 의 고주파일 수 있다. 한편, 제2 소자(400)가 제1 소자(3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는 아날로그인 반면, 제2 소자(400)에서 처리되어 제3 소자(410)로 송신되는 신호는 디지털 신호이다. The second element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ment 300 and processes an intermediate frequency. The second element 400 may be an IF processor. The second element 40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first element 300, and signal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may have a frequency of 10 GHz or higher, for example It may be a high frequency of about 11.2 GHz. Meanwhile, a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element 400 from the first element 300 is an analog signal, whereas a signal processed by the second element 400 and transmitted to the third element 410 is a digital signal.

제1 소자(300)가 복수로 형성되더라도 제2 소자(400)는 한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단말기(1)에서, 제1 소자(300)는 두 개로 구성되지만, 제2 소자(400)는 한 개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이 제2 소자(40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Even if the first element 300 is formed in plurality, the second element 400 may be formed as one. In the terminal 1 of FIG. 1 , the first element 300 is composed of two, but the second element 400 is composed of 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second element 400 is formed in plurality.

제3 소자(410)는 제2 소자(400)와 연결되며, 제3 소자(410)는 저주파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를 처리한다.The third element 4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ment 400, and the third element 410 processes a low frequency base band signal.

제1 소자(300)는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 상에 실장된다. 제2 소자(400) 역시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 상에 실장된다.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에 걸쳐 실장될 수도 있다. 즉,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는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제3 소자(410)는 제1 기판(100)에 실장되며, 저주파를 처리하는 제3 소자(410)와 연결된 회로에서 신호 손실률이 크지 않다면, 제2 기판(200)과 무관하게 제1 기판(100)에 실장될 수 있다. 소자의 실장은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의 최상층에 위치한 절연층에 형성된 패드(220')(pad)에 솔더볼과 같은 접합제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ment 300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or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element 400 is also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or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may be mounted over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That is,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Meanwhile, the third element 410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if the signal loss rate is not high in a circuit connected to the third element 410 that processes low frequencies, the first element 410 is independent of the second substrate 200. It may be mounted on the board 100 . The device may be mounted on a pad 220' formed on an insulating layer locat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first substrate 100 or the second substrate 200 through an adhesive such as a solder ball.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는 연결회로(5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회로(50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10G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circuit 500 .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have a frequency of 10 GHz or higher.

제1 소자(30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제1 소자(300)가 한 개의 제2 소자(400)로 연결되기 위한 각각의 연결회로(500)가 필요하므로, 연결회로(500)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제1 소자(300)와 하나의 제2 소자(400)를 연결하는 연결회로(500)는 복수일 수 있다. 이렇게 연결회로(500)가 복수인 경우, 연결회로(500) 간에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2 기판(200)의 동일 층 또는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first elements 300 are formed, each connection circuit 500 is required to connect each first element 300 to one second element 400, so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be formed in plurality. Meanwhile, the number of connection circuits 500 connecting one first element 300 and one second element 400 may be plura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nection circuits 500 in this way, the connection circuits 500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or different layer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또한, 제1 소자(300) 및 제2 소자(400)는 연결회로(500)와 연결비아(510)를 통하여 연결된다. 연결비아(510)는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 소자와 연결회로(500)를 연결하는 연결비아(510)는 복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circuit 500 and the connection via 510 . The connection via 510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substrate 100 or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number of connection vias 510 connecting each element a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be plural.

연결회로(50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된다. 제2 절연층(210)은 연결회로(5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2 절연층(210) 사이에 연결회로(5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second insulating layers 210 .

여기서, '일부'는 하나의 연결회로(500)에서 소정의 면적을 의미하거나, 복수의 연결회로(500) 중 선택된 한 개(또는 몇 개)의 연결회로(500)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자와 후자를 모두 의미할 수도 있다. Here, 'part' may mean a predetermined area in one connection circuit 500 or one (or several) selected connection circuits 500 among a plurality of connection circuits 500 . Also, it may mean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즉, '연결회로(50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된다'는 것은 하나의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를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회로(500)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means that one connection circuit 500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It may mean that a part or all of it is formed within the second substrate 200 .

또는, '연결회로(50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된다'는 것은 연결회로(500)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연결회로(50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결회로(500)가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Alternatively,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means that a plurality of connection circuits 500 are formed, and one or more connection circuits 500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ircuits 500 are formed. ) may mean that it is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

또는 상기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encompass both of the above meanings.

한편, 연결회로(500)의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나, 복수의 연결회로(500) 중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되지 않는 것은 제1 기판(100) 내에 위치한다.Meanwhile, a portion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that is not formed within the second substrate 200 or a portion that is not formed within the second substrate 200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ircuits 500 is located within the first substrate 100 .

이하, ①하나의 연결회로(500)의 전 영역이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되는 경우, ②하나의 연결회로(500) 중 일부 영역만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되는 경우, ③복수의 연결회로(500) 중 선택된 몇 개가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① when the entire area of one connection circuit 500 is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② when only a part of one connection circuit 500 is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③ a plurality of A case in which selected several of the connection circuits 500 are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case.

①의 경우로, 연결회로(500)가 단수인 경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즉, 제1 소자(300) 및 제2 소자(400)가 모두 한 개씩 형성된 경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하지만, 제1 소자(300)가 복수인 경우에도 설명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①, the case in which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singular will be described first. That is, a case in which both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are formed one by one will be described first. However, the description may be equally applied even when the number of first elements 300 is plural.

인쇄회로기판에 제1 소자(300) 및 제2 소자(400)가 실장되고, 제1 소자(300) 및 제2 소자(400)가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된 연결비아(510)를 통하여 연결회로(500)와 연결되는 경우, 연결회로(500)는 제2 기판(200)의 제2 절연층(210)으로 둘러싸이고, 연결회로(500) 전 영역이 제2 기판(200) 내에 위치한다.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are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Connection via 510 Whe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ircuit 500 through,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surrounded by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of the second substrate 200, and the entire area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covered by the second substrate 200. located within

달리 설명하면, 제1 기판(100)의 캐비티(C)가 연결비아(510) 영역과 연결회로(500) 영역을 전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2 기판(200) 역시 연결비아(510) 영역과 연결회로(500) 영역을 전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1b에 도시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도 1b에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 각각에 연결비아(510)가 한 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의 각 연결비아(51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is formed to include both the connection via 510 area a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area, and accordingly, the second substrate 200 also has a connection via ( 510) area a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area. This can be understood as shown in FIG. 1B. However, although one connection via 510 is shown in each of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in FIG. 1B, each connection via of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 5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만약, 제1 소자(300)가 복수인 경우에, 제2 기판(200) 역시 복수로 형성되어, 하나의 제2 기판(200)이 하나의 연결회로(500)를 포함할 수 있다. If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elements 300, a plurality of second substrates 200 may also be formed, so that one second substrate 200 may include one connection circuit 500.

②의 경우로, 제1 소자(300) 및 제2 소자(400)가 모두 한 개씩 형성된 경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지만, 제1 소자(300)가 복수인 경우에도 동일하다.In the case of ②, a case in which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are formed one by one will be described first, but the case where the first element 300 is plural is also the sam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소자(300)와 연결회로(500)를 연결하는 연결비아(510)가 '제1 기판(100)'을 관통하는 경우, 제2 기판(200)은 연결회로(500) 주변에 형성되되, 연결비아(510) 주변에는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연결회로(500)의 일부 영역은 제2 기판(200) 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연결회로(500)의 대부분 영역이 제2 기판(200) 내에 위치하므로, 신호 손실 감소 효과는 일부 발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onnection via 510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passes through the 'first substrate 100', the second substrate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ircuit 500, but not formed around the connection via 510, some areas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deviate from the area of the second substrate 200. However, even in this case, since most of the area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is located within the second substrate 200, the effect of reducing signal loss may be partially exhibited.

제2 소자(400)와 연결회로(500)를 연결하는 연결비아(510)가 제1 기판(100)을 관통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각 소자와 연결회로(5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비아(510)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판(100)을 관통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via 510 connecting the second element 400 a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passes through the first substrate 10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vias connecting each element a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at least one of 510 passes through the first substrate 100 .

③의 경우는 연결회로(50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는, 예를 들어, 제1 소자(30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일 수 있고,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인쇄회로기판에 두 개의 제1 소자(300)가 실장되었고, 각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를 연결하는 연결회로(500) 역시 두 개이다. 다만, 제2 기판(200)은 하나의 연결회로(500) 주변부에만 형성된다. 나머지 연결회로(500)는 제1 기판(100) 내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③,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connection circuits 500 are formed, and this may be,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elements 300 are formed,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can do. 1A and 1B, two first elements 300 a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re are also two connection circuits 500 connecting each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However, the second substrate 200 is formed only around one connection circuit 500 . The remaining connection circuits 500 are formed in the first substrate 100 .

복수의 연결회로(500) 중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연결회로(500)만 제2 기판(2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회로(500)의 길이는 제1 소자(300)와 제2 소자(400)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연결회로(500)의 길이가 커질수록 해당 연결회로(50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률은 커지므로, 연결회로(500)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그 주변부에 제2 기판(200)을 배치함으로써, 비용 절감이 도모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ircuits 500 , only the connection circuit 5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ment 400 . As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increases, the loss rate of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circuit 500 increases. ),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여기서, '소정의 길이'는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회로 길이에 따른 신호 손실률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predetermined lengt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and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ignal loss rate according to the circuit length.

도 1a 및 도 1b에서는 두 개의 연결회로(500, 500') 중 하나의 연결회로(500)의 길이가 나머지(500')의 길이보다 길다. 왜냐하면, 하나의 제1 소자(300)는 다른 하나(300a)보다 제2 소자(4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길이가 긴 연결회로(500)만 제2 기판(200) 내에 포함되고, 길이가 짧은 연결회로(500')는 제1 기판(100) 내에 포함되었다. 물론, 길이가 긴 연결회로(500)는 상술한 '소정의 길이'이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길이가 짧은 연결회로(500')는 '소정의 길이' 미만으로 형성된 것이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2 기판(200)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 보다 긴 연결회로(500) 주변부에 대해서만 위치한다.1A and 1B, the length of one connection circuit 500 among the two connection circuits 500 and 50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connection circuit 500'. This is because one first element 300 is further away from the second element 400 than the other one 300a. Accordingly, only the long connection circuit 500 is included in the second substrate 200 , and the short connection circuit 500 ′ is included in the first substrate 100 . Of course, the long connection circuit 500 is formed beyond the 'predetermined length'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hort connecting circuit 500' is formed with less than a 'predetermined length'.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second substrate 200 is located only in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circuit 500 long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제1 기판(100)은 제1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120)는 복수의 제1 절연층(110)의 각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회로(120) 사이에는 제1 비아(130)가 형성되어 층간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circuit 120 . The first circuit 120 may be formed on each layer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110 . A first via 13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ircuits 120 formed on different layers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layers.

제1 회로(120)는 연결회로(50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나, 회로 설계에 따라 제1 회로(120)가 연결회로(5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120 may not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ircuit 500, but the first circu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ircuit 500 according to circuit design.

한편, 제1 회로(120')의 일부는 캐비티(C)를 통하여 노출되며, 캐비티(C) 내에 제2 기판(200)이 삽입되었을 때, 제2 절연층(210)과 접촉될 수 있다. Meanwhile, a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120' is exposed through the cavity C, and when the second substrate 200 is inserted into the cavity C,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제2 기판(200)은 제2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220)는 복수의 제2 절연층(210)의 각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제2 회로(220) 사이에는 제2 비아(230)가 형성되어 층간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최상부에 위치한 제2 회로의 일부는 패드(220')가 된다.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include the second circuit 220 . The second circuit 220 may be formed on each lay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210 . A second via 230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circuits 220 formed on different layers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layers. In addition, a part of the second circuit positioned at the top becomes a pad 220'.

제2 회로(220)는 연결회로(50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나, 회로 설계에 따라 제2 회로(220)가 연결회로(5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제2 비아(230)는 연결회로(500)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점선으로 도시되었다.The second circuit 220 may not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ircuit 500, but the second circu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ircuit 500 according to circuit design. In FIGS. 2 and 3 , the second via 230 is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ircuit 500 and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제1 회로(120)와 제2 회로(2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120)와 제2 회로(220)는 제2 기판(200)을 관통하는 제2 비아(23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ircuit 120 and the second circuit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circuit 120 and the second circuit 2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second via 230 penetra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솔더 레지스트층(6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솔더 레지스트층(600)은 제1 기판(100)의 상면과 제2 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층(600)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der resist layer 600, the solder resist layer 600 is a top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solder resist layer 600 may be formed over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유사하며, 다만, 접착층(A)을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but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layer (A).

접착층(A)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접착층(A)의 두께는 제2 절연층(210) 하나의 두께보다 현저히 작아, 제2 기판(200)의 전체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접착층(A)의 유전정접은 제1 절연층(110)의 유전정접보다 작음으로써, 접착층(A)이 제2 기판(200)의 유전손실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접착층(A)의 유전정접은 제2 절연층(210)의 유전정접과 유사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A)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on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and may not affec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Since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adhesive layer (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 the adhesive layer (A) may not affect the dielectric loss of the second substrate 200 .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adhesive layer (A) may be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

제1 기판(100)의 제1 회로(120) 중 캐비티(C) 저면에 위치하는 제1 회로(120')는 접착층(A)을 관통할 수 있다. Among the first circuits 120 of the first substrate 100, the first circuit 120'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cavity C may pass through the adhesive layer A.

그 외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다르지 않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Other description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not differen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특히 도 4(i)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part of FIG. 4, particularly FIG. 4(i).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에서는 코어를 이용한 양면 적층 방식으로 제1 기판(100)을 제조하며, 제1 기판(100)을 순차적으로 제조함과 동시에 제2 기판(200)을 순차적으로 제조한다.In th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100 is manufactured by a double-sided lamination method using a core, and the first substrate 100 is sequentially manufactu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ubstrate 200 are produced sequentially.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a)~(h)까지 제1 기판(100)의 일부를 양면 적층 방식으로 제조한다. 특히, 금속박(M)이 제1 절연층(110) 양면에 적층된 원자재를 이용하고 텐팅(tenting) 방식으로 제1 회로(120) 및 제1 비아(130)를 형성한다. 텐팅(tenting) 방식으로 제1 회로(120)를 형성할 때, 제1 회로(120) 영역에 대응하는 에칭 레지스트(R)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회로(120) 및 제1 비아(130)는 텐팅 외에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 a part of the first substrate 100 is manufactured by a double-sided lamination method from (a) to (h). In particular, the first circuit 120 and the first via 130 are formed by a tenting method using a raw material in which the metal foil 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 When forming the first circuit 120 by a tenting method, an etching resist R corresponding to a region of the first circuit 120 may be used. However, the first circuit 120 and the first via 130 may be formed in a method other than tenting.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의 제1 기판(100)이 총 9 개의 제1 절연층(110)으로 구성되고 제2 기판(200)은 2 개의 제2 절연층(200)으로 구성되며, 회로층 기준으로 10층 인쇄회로기판이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bstrate 10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mposed of a total of nine first insulating layers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is composed of two second insulating layers 200, the circuit layer As a standard, it is a 10-layer printed circuit board.

5개의 제1 절연층(110)으로 제1 기판(100)을 우선 제조한 후(h)에, 제2 기판(200)을 구성하는 제2 절연층(210)을 적층한다(i). 이후에, 양면 적층 방식을 적용하여, 일부 제조된 제1 기판(100) 하부에는 일반적인 제1 절연층(110)을 적층하되, 상부에는 제2 절연층(210)에 대응되는 홀을 구비한 제1 절연층(110)을 적층한다(j). 제1 회로(120), 제2 회로(220), 연결회로(500)를 동시에 형성하고(k), 동일한 방식으로 제1 절연층(110)과 제2 절연층(210)을 한 번 더 적층한다(l). 그 후에, 필요에 따라, 제1 회로(120), 제2 회로(220), 제1 비아(130), 제2 비아(230)를 연결비아(510)와 함께 형성한다(m). 마지막으로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에 솔더 레지스트층(600)을 적층하되, 가장 상부에 있는 제1 회로(120) 또는 제2 회로(220)의 일부는 소자 실장을 위한 패드(220')가 되도록 노출시킨다(m).After the first substrate 100 is first manufactured with the five first insulating layers 110 (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constitu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is stacked (i). After that, by applying the double-sided lamination method, a general first insulating layer 110 is lamin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bstrate 100 that has been partially manufactured, but the upper part ha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1 The insulating layer 110 is stacked (j). The first circuit 120, the second circuit 220, and the connection circuit 500 are simultaneously formed (k),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are laminated once more in the same manner. (l). Then, if necessary, the first circuit 120, the second circuit 220, the first via 130, and the second via 230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via 510 (m). Finally, the solder resist layer 600 is laminat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but a part of the first circuit 120 or the second circuit 220 at the top is for device mounting. It is exposed to become the pad 220' (m).

도 5에는, 일부 제조된 제1 기판(100) 상에 제2 절연층(210)을 적층하는 전사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롤 형태의 전사지(P) 하면에는 제2 절연층(210)이 이형층 등으로 임시 부착되어 있으며, 전사지(P)가 일부 제조된 제1 기판(100)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며 이동하고, 이형층이 분리됨으로써 제2 절연층(210)이 제1 기판(10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전사지(P)는 굴곡이 가능한 PI, PET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5 shows a transfer method of stacking a second insulating layer 210 on a partially manufactured first substrate 100 . A second insulating layer 210 is temporari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ll-shaped transfer paper P with a release layer or the like, and the transfer paper P rotates and move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artially manufactured first substrate 100, As the release layer is separate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may be stacked on the first substrate 100 . The transfer paper (P)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I or PET capable of bending.

공정의 효율을 위하여 전사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제조는 스트립(strip) 단위로 진행되고, 최종적으로 유닛 별로 분리될 수 있다. For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including transfer may be performed in strip units and finally separated by units.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에서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별도의 과정으로 따로 제조한 다음, 제1 기판(100)의 캐비티(C) 내에 제2 기판(200)을 삽입하는 방식을 취한다.In th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are separately manufactured in a separate process and then placed in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A method of inser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is taken.

도 6은 제2 기판(200)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6 shows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econd substrate 200 .

제2 절연층(210) 양면에 금속박(M)이 적층된 원자재에 연결회로(500), 연결비아(510)를 비롯하여 제2 회로(220)와 제2 비아(미도시)를 텐팅(tenting) 등의 방식으로 형성한다((a)~(g)). 제2 절연층(210)을 한 층 더 적층하고, 필요에 따라 접착층(A)을 제2 기판(200) 하부에 형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제2 기판(200)은 전사지(P) 하면에 이형층으로 임시 부착될 수 있다.Tenting the second circuit 220 and the second via (not shown), including the connection circuit 500 and the connection via 510, to the raw material in which the metal foil 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and so on ((a) to (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0 is further laminated, and an adhesive layer (A) is formed below the second substrate 200 if necessary. The second substrate 200 manufactured in this way may be temporari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paper P as a release layer.

도 7은 제1 기판(100)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7 shows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rst substrate 100 .

제1 절연층(110) 양면에 금속박(M)이 적층된 원자재에 에칭 레지스트(R)를 사용하는 텐팅(tenting) 등의 방식으로 제1 회로(120) 및 제1 비아(130)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원하는 층 수까지 반복될 수 있다((a)~(g)).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과 다르지 않다. 그 후에, 홀이 형성된 제1 절연층(110)을 상부에 적층하고, 홀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제1 절연층(110)을 하부에 적층하여, 캐비티(C)를 형성한다(h). 필요에 따라서, 일반적인 제1 절연층(110)을 양면 적층 한 후에 캐비티(C) 가공 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circuit 120 and the first via 130 are formed by a method such as tenting using an etching resist R on raw materials in which metal foil 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 This process may be repeated up to the desired number of layers ((a) to (g)).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Thereafter,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with holes is stacked on the top and the general first insulating layer 110 without holes is stacked on the bottom to form a cavity (C) (h). If necessary, a method of performing a cavity (C) processing process after laminating the general first insulating layer 110 on both sides may be used.

도 8에서는 제1 기판(100)의 캐비티(C) 내에 제2 기판(200)을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8 illustrates a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into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

제1 기판(100)의 캐비티(C) 내에 제2 기판(200)을 삽입하는 공정은 전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사지(P) 하면에 이형층으로 임시 부착된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의 캐비티(C) 내로 전사된다. 이 때, 접착층(A)에 의하여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이 접착될 수 있다. A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substrate 200 into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may be performed by a transfer method. The second substrate 200 temporarily attached as a release lay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paper P is transferred into the cavity C of the first substrate 100 . At this time, the first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substrate 200 may be bonded by the adhesive layer (A).

이후에 솔더 레지스트층(600)을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After that, a process of forming the solder resist layer 600 may be add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단말기
10: 인쇄회로기판
100: 제1 기판
110: 제1 절연층
120, 120': 제1 회로
130: 제1 비아
C: 캐비티
200: 제2 기판
210: 제2 절연층
220: 제2 회로
220': 패드
230: 제2 비아
A: 접착층
300: 제1 소자
400: 제2 소자
410: 제3 소자
500: 연결회로
510: 연결비아
600: 솔더 레지스트층
M: 금속박
P: 전사지
R: 에칭 레지스트
1: Terminal
10: printed circuit board
100: first substrate
110: first insulating layer
120, 120': first circuit
130: first via
C: Cavity
200: second substrate
210: second insulating layer
220: second circuit
220': pad
230: second via
A: adhesive layer
300: first element
400: second element
410: third element
500: connection circuit
510: connection via
600: solder resist layer
M: metal foil
P: transfer paper
R: etch resist

Claims (34)

제1 절연부;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배치되며, 캐비티를 갖는 제2 절연부; 및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3 절연층을 포함하는 연결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제2 절연부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 first insulator;
a second insulato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or and having a cavity; and
A connection structure disposed in the cavit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또는 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선층;
상기 제1 절연부 내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비아;
상기 제2 절연부 상에 또는 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배선층; 및
상기 제2 절연부 내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비아; 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irst wiring layers respectively disposed on or within the first insulating part;
one or more first vias each disposed with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respectively disposed on or with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and
one or more second vias each disposed with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Including more,
printed circuit bo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티로 노출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2,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ing layers is exposed to the cavity,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는 복수의 제1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복수의 제1 절연층 각각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sula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는 복수의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복수의 제2 절연층 각각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sula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연결구조체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두께보다 얇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6,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printed circuit bo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제3절연층 상에 또는 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3 배선층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disposed on or within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respectively.
printed circuit boa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 및 상기 연결구조체 상에 배치되는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절연부 및 상기 연결구조체 상에 배치되는 제2 소자;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8,
a first element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A second element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층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respectively.
printed circuit bo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의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를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층의 전송속도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0,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connected to the first element is smaller than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printed circuit boa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의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층의 전송속도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1,
A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connected to the second element is smaller than a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to each other;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연결구조체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는 각각 복수의 제1 절연층 및 복수의 제2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복수의 제1 절연층 각각의 유전정접, 상기 복수의 제2 절연층 각각의 유전정접 및 상기 접착층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and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adhesive layer,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와 상기 연결구조체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절연부는 각각 복수의 제1 절연층 및 복수의 제2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손실은 상기 복수의 제1 절연층 각각의 유전손실, 상기 복수의 제2 절연층 각각의 유전손실 및 상기 접착층의 유전손실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and the dielectric loss of the adhesive layer,
printed circuit board.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배치되며 캐비티를 갖는 제2 절연부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며, 제3 절연층 및 제3 절연층에 매립되며 일면이 제3 절연층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제3 배선층을 포함하는 연결구조체; 및
상기 제1 절연부 및 상기 연결구조체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3 절연층의 두께보다 얇은,
인쇄회로기판.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insulating part and a second insulating part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having a cavity;
a connection structure disposed in the cavity and including a third insulating layer and a third wiring layer buried in the third insulating layer and having one surface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and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printed circuit boar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또는 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선층, 상기 제1 절연부 내에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비아, 상기 제2 절연부 상에 또는 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배선층, 및 상기 제2 절연부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비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5,
The substr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wiring layers respectively disposed on or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one or more first via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vias respectively disposed on or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iring layer, and one or more second vias disposed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printed circuit boar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티로 노출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6,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ing layers is exposed to the cavity;
The adhesive layer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ing layers.
printed circuit boar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는 복수의 제1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부는 복수의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7,
The first insula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The second insula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printed circuit boar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연결구조체 상에 배치되는 제1 소자;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연결구조체 상에 배치되는 제2 소자;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8,
a first element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A second element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는 상기 제3 배선층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9,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hird wiring layer,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respectively.
printed circuit boar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의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3 배선층의 전송속도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20,
A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connected to the first element is smaller than a transmission speed of the third wiring layer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to each other;
printed circuit boar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의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3 배선층의 전송속도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21,
A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connected to the second element is smaller than a transmission speed of the third wiring layer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to each other;
printed circuit board.
제1 절연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제2 절연부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비티에 복수의 제3 절연층을 포함하는 연결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제2 절연부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preparing a first insulating part;
forming a second insulating part on the first insulating part;
forming a cavity penet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and
Disposing a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n the cavity; include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또는 내에 제1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절연부 내에 하나 이상의 제1 비아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상기 제2 절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절연부 상에 또는 내에 복수의 제2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부 내에 하나 이상의 제2 비아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3,
The step of preparing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includes forming a first wiring layer on or with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and forming one or more first vias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respectively;
Forming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o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may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on or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and forming one or more second vias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respectively. Including the steps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티로 노출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4,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ing layers is exposed to the cavit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는 복수의 제1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복수의 제1 절연층 각각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4,
The first insula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layer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는 복수의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유전정접은 상기 복수의 제2 절연층 각각의 유전정접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4,
The second insula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is smaller tha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layer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 상기 연결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연부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에 상기 연결구조체를 배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3,
The step of dispo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in the cavity consists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and dispos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n the adhesive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제3 절연층 중 적어도 한 층의 두께보다 얇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28,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제3절연층 상에 또는 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3 배선층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24,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disposed on or within the plurality of third insulating layers, respectively.
printed circuit board.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 및 상기 연결구조체 상에 제1 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부 및 상기 연결구조체 상에 제2 소자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31. The method of claim 30,
disposing a first element 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Disposing a second element o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는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층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31,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respectivel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의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를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층의 전송속도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connected to the first element is smaller than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자와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층의 전송 속도는 상기 제1 소자 및 상기 제2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층의 전송속도보다 작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34. The method of claim 33,
A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 layers connected to the second element is smaller than a transmission speed of the plurality of third wiring layers connecting the first element and the second element to each oth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0220138858A 2017-10-20 2022-10-26 Printed circuit board KR202201508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858A KR20220150855A (en) 2017-10-20 2022-10-26 Printed circui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79A KR102460870B1 (en) 2017-10-20 2017-10-20 Printed circuit board
KR1020220138858A KR20220150855A (en) 2017-10-20 2022-10-26 Printed circuit boar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79A Division KR102460870B1 (en) 2017-10-20 2017-10-20 Printed circuit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855A true KR20220150855A (en) 2022-11-11

Family

ID=662858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79A KR102460870B1 (en) 2017-10-20 2017-10-20 Printed circuit board
KR1020220138858A KR20220150855A (en) 2017-10-20 2022-10-26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79A KR102460870B1 (en) 2017-10-20 2017-10-20 Printed circuit boar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207688B2 (en)
KR (2) KR102460870B1 (en)
TW (1) TWI75038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486A (en) * 2020-03-13 2021-09-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ircuit board
TWI803168B (en) * 2022-01-25 2023-05-21 欣興電子股份有限公司 Method of signal enhancement of circuit of circuit board and structur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112A (en) 2003-04-15 2011-01-06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Metal-base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1521A (en) * 1992-04-21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igh frequency multi-layer integrated circuit
JP2007194516A (en) * 2006-01-23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pound wiring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mounted shape of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080302564A1 (en) * 2007-06-11 2008-12-11 Ppg Industries Ohio, Inc. Circuit assembly including a metal core substra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7741194B2 (en) * 2008-01-04 2010-06-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movable layer manufacturing method
JP2013214578A (en) 2012-03-30 2013-10-17 Ibiden Co Lt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16063695A1 (en) * 2014-10-23 2017-08-1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Metal foil-clad board, circuit board, and heating element mounting board
JP2016122790A (en) 2014-12-25 2016-07-07 イビデン株式会社 Multilayer wiring board
JP2017076763A (en) * 2015-10-16 2017-04-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81989B1 (en) * 2015-12-07 2017-09-27 주식회사 심텍 Glass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68606A (en) * 2016-03-16 2017-09-21 イビデン株式会社 Package substrate
JP6610375B2 (en) * 2016-03-25 2019-11-2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Adhesives and composite assemblies
JP6291521B2 (en) 2016-05-25 2018-03-14 東京計装株式会社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for liquid level gauge
JP7307575B2 (en) 2019-03-28 2023-07-1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112A (en) 2003-04-15 2011-01-06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Metal-base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0385B (en) 2021-12-21
KR20190044438A (en) 2019-04-30
JP7480458B2 (en) 2024-05-10
JP7207688B2 (en) 2023-01-18
KR102460870B1 (en) 2022-10-31
JP2019080037A (en) 2019-05-23
TW201918129A (en) 2019-05-01
JP2023036832A (en)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0855A (en) Printed circuit board
JP5541122B2 (en) Flexible wiring board
US882652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wiring substrate
KR20200067613A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package having the same
TWI806865B (en) Printed circuit board
JP7238241B2 (en) printed circuit board
CA2574211A1 (en) Improved multi-layer integrated rf/if circuit board
KR102163044B1 (en) Printed circuit board
KR102127827B1 (en) Print Circuit Board including a inductor
KR102214641B1 (en) Printed circuit board
KR102194703B1 (en) Printed circuit board
JP2012009485A (en) Printed circuit board
KR102483613B1 (en) Printed circuit board
CN115377666B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ckage antenna and package antenna
US20150189760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696391B2 (en) Wir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61936B1 (en) Printed circuit board
CN112492737A (en)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it board
TW202410761A (en)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59581A (en) Low loss rf module printed circuit board utilizing the liquid crystal polymer and teflon-bas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18884A (en) Semiconductor package for embedding semiconductor chip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1470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