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711A -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711A
KR20220150711A KR1020210058022A KR20210058022A KR20220150711A KR 20220150711 A KR20220150711 A KR 20220150711A KR 1020210058022 A KR1020210058022 A KR 1020210058022A KR 20210058022 A KR20210058022 A KR 20210058022A KR 20220150711 A KR20220150711 A KR 2022015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cap member
upper cap
reverse osm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훈
윤성한
한두원
이정훈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711A/ko
Publication of KR2022015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되,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생활용수 유로를 통해 흐르도록 제1 어퍼캡 부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복합 필터의 축 방향 높이가 감소하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은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되,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생활용수 유로를 통해 흐르도록 제1 어퍼캡 부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복합 필터의 축 방향 높이가 감소하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입수된 원수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정수로 여과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 여과를 위해 여러 개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내부에서 필터가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정수기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각각의 필터가 일체화된 복합 필터가 사용되기도 한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40502호에 개시된 정수기에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복합 필터가 구비된다. 복합 필터에는 제1 필터 소재와 제2 필터 소재가 구비되며, 이러한 각각의 필터 소재는 단일의 필터 요소,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항균필터, 각종 기능성 필터 등 공지의 필터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필터에는 원수, 1차 정수 및 2차 정수가 흐르는 유로만 구비되며, 역삼투압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된 생활용수가 흐르는 유로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역삼투압 필터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의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20-122642호에는 정수기용 일체형 복합 필터 모듈이 개시된다. 이러한 복합 필터 모듈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침전 필터, 폴리아마이드 역삼투막 모듈, 후카본 필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입수된 원수는 원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상기한 필터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여과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폴리아마이드 역삼투막 모듈과 후카본 필터는 내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하우징에는 생산수 배출구와 농축수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어 출수되는 정수와 배출되는 농축수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와 같이 별도의 내부하우징을 이용해서 유로를 형성하게 되면 복합 필터 모듈의 반경 방향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생산수 배출구와 농축수 배출구를 통해 정수와 농축수가 이동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복합 필터 모듈의 축 방향 크기도 증가하게 되어 복합 필터 모듈을 콤팩트하게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40502호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20-122642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되,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생활용수 유로를 통해 흐르도록 제1 어퍼캡 부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복합 필터의 축 방향 높이가 감소하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출수되는 제3 정수가 제1 어퍼캡 부재에 형성된 제1 상향 가이드의 내측을 흐르고,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제2 어퍼캡 부재에 형성된 제2 상향 가이드의 내측을 흐르도록 구성되되, 생활용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되므로 제3 정수와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통해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제1 관통홀을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로워 가이드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1, 2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전처리 여과 부재가 로워캡 부재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로워 가이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되면서 정수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역삼투압 필터 부재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정수가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후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통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정수와 생활용수가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생성되면서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후처리 여과 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정수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정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한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어퍼캡 부재의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돌기가 형성되어 바디 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하우징부의 상부로 입수된 원수가 여과부로 이동하도록 원수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지지 돌기가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 어퍼캡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원수가 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원수 흐름 향상을 통한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어부를 통해 밸브부를 제어해서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전처리 여과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제2 정수를 여과해서 제3 정수를 생성하는 후처리 여과 부재가 구비된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 및 상기 생활용수와 상기 정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각각의 상기 여과 부재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생활용수가 상기 생활용수 유로로 흐르도록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부와 상기 생활용수 유로를 연통시키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제3 정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1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향 가이드와 상기 제2 상향 가이드는 상기 생활용수 유로가 연장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각각의 상기 여과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전처리 여과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여과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정수가 흐르는 제1 정수 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는 상기 제1 정수 유로가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하부까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정수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상기 제2 정수가 상기 제2 정수 유로로 흐르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원수, 상기 정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되,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생활용수 유로를 통해 흐르도록 제1 어퍼캡 부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복합 필터의 축 방향 높이가 감소하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출수되는 제3 정수가 제1 어퍼캡 부재에 형성된 제1 상향 가이드의 내측을 흐르고,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제2 어퍼캡 부재에 형성된 제2 상향 가이드의 내측을 흐르도록 구성되되, 생활용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되므로 제3 정수와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통해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제1 관통홀을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로워 가이드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1, 2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전처리 여과 부재가 로워캡 부재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로워 가이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되면서 정수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역삼투압 필터 부재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정수가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후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통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정수와 생활용수가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생성되면서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후처리 여과 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정수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정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한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어퍼캡 부재의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돌기가 형성되어 바디 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하우징부의 상부로 입수된 원수가 여과부로 이동하도록 원수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지지 돌기가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 어퍼캡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원수가 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원수 흐름 향상을 통한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어부를 통해 밸브부를 제어해서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제1, 제2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W1)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10), 여과된 정수(C)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20)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W2)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30)가 구비된 하우징부(100), 및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원수(W1)를 여과해서 제1 정수(C1)를 생성하는 전처리 여과 부재(40)와, 제1 정수(C1)를 여과해서 제2 정수(C2)를 생성하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와, 제2 정수(C2)를 여과해서 제3 정수(C3)를 생성하는 후처리 여과 부재(60)가 구비된 여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수 입수 포트(10)를 통해 입수된 원수(W1)는 여과부(200)에 구비된 전처리 여과 부재(40), 역삼투압 필터 부재(50), 및 후처리 여과 부재(6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여과되며, 최종적으로 여과된 제3 정수(C3)는 정수 출수 포트(20)를 통해 출수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정수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냉수, 온수 및 얼음 생성을 위해 냉수 생성부, 온수 생성부 및 얼음 생성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에서 발생하는 생활용수(W2)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30)를 통해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별도의 튜브를 통해 정수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수(W1) 입수 및 정수(C)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W2)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처리 여과 부재(40)의 외면에는 별도의 필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필터 부재는 NT 필터 부재(70)일 수 있다. 이러한 NT 필터 부재(70)는 유입된 원수(W1)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정전기를 띠는 소재, 예컨대 나노 트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소재는 양전하를 띠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W1)에 포함된 음전하를 띤 이물질,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미분 물질 등이 정전기에 의해서 NT 필터 부재(70)에 흡착될 수 있다. 이때, 전처리 여과 부재(40)는 선카본 필터일 수 있고, 후처리 여과 부재(60)는 후카본 필터일 수 있다. 또는, 전처리 여과 부재(40)와 후처리 여과 부재(6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전술한 하우징부(100)는, 원수(W1)와 생활용수(W2)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1 구획 벽체(111) 및 생활용수(W2)와 정수(C)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획 벽체(112)가 구비된 헤드 부재(110)와, 헤드 부재(110)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여과부(200)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120)를 포함하고, 여과부(200)는, 전처리 여과 부재(40), 역삼투압 필터 부재(50) 및 후처리 여과 부재(60)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PW2)가 구비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2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수되는 원수(W1) 뿐만 아니라 출수되는 제3 정수(C3) 및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복합 필터의 상부로 입수되고, 상부로 출수/배출되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헤드 부재(110)에는 입수되는 원수(W1), 출수되는 제3 정수(C3),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흐르는 원수 영역(RW1), 제3 정수 영역(RC3), 생활용수 영역(RW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상호 적층 배치되되, 이들 사이에는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PW2)가 형성되도록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제1 어퍼캡 부재(2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이를 위해 제2 어퍼캡 부재(220)의 하면에는 하향 연장 형성되는 스페이서(22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헤드 부재(110)에는 제1 구획 벽체(111)와 제2 구획 벽체(112)가 구비되어 원수(W1), 정수(C), 생활용수(W2)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됨으로써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를 적층 배치하되, 제1 어퍼캡 부재(210)에는 하부에 배치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생활용수 유로(PW2)로 흐르도록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내부와 생활용수 유로(PW2)를 연통시키는 제1 관통홀(210a)이 구비되므로 복합 필터의 축 방향 높이가 감소하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제1, 제2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210)는 제3 정수(C3)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1 상향 가이드(211)를 포함하고,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생활용수(W2)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 가이드(221)를 포함하며, 제1 상향 가이드(211)와 제2 상향 가이드(221)는 생활용수 유로(PW2)가 연장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출수되는 제3 정수(C3)가 제1 어퍼캡 부재(210)에 형성된 제1 상향 가이드(211)의 내측을 흐르고,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제2 어퍼캡 부재(220)에 형성된 제2 상향 가이드(221)의 내측을 흐르도록 구성되되, 생활용수 유로(PW2)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가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되므로 제3 정수(C3)와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한 제작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어퍼캡 부재(22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스페이서(220a)는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220a’)와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페이서(220a’)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관통해서 흐르도록 복수 개의 제1 스페이서(220a’)가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페이서(220a”)는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역류하면서 원수(W1)와 혼합되지 않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210)는 각각의 여과 부재(40, 50,60)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하향 가이드(212)는 전처리 여과 부재(40)를 고정하는 제1-1 하향 가이드(212c),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를 고정하는 제1-2 하향 가이드(212b), 후처리 여과 부재(60)를 고정하는 제1-3 하향 가이드(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어퍼캡 부재(21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212)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40, 50, 6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를 통해 생성되는 생활용수(W2)가 제1 관통홀(210a)을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때, 제2 어퍼캡 부재(220)에도 제1 어퍼캡 부재(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2 하향 가이드(2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전처리 여과 부재(40)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로워 가이드(231)가 구비된 로워캡 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워 가이드(231)는 전처리 여과 부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고정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전처리 여과 부재(40)는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로워 가이드(231)를 통해 전처리 여과 부재(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1, 2 어퍼캡 부재(210, 220)와 로워캡 부재(230)를 통해 각각의 여과 부재(40, 50, 6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전처리 여과 부재(40)의 내주면과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제1 정수(C1)가 흐르는 제1 정수 유로(PC1)가 구비되되,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는 제1 정수 유로(PC1)가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하부까지 반경 방향(r)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 부재(120)의 내주면와 전처리 여과 부재(40)의 외주면 사이에는 원수(W1)가 흐르는 원수 유로(PW1)가 형성되고, 입수된 원수(W1)가 전처리 여과 부재(40)를 통과하면 제1 정수(C1)가 생성되며, 생성된 제1 정수(C1)는 제1 정수 유로(PC1)를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하부로 이동한 후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를 통과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전처리 여과 부재(40)는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반면,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는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또한,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에서 생성된 제2 정수(C2)는 후처리 여과 부재(60)로 이동하게 되고, 생활용수(W2)는 상향 이동한 후에 생활용수 유로(PW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전처리 여과 부재(40)가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로워 가이드(231)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되면서 정수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는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정수(C1)가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하부로 이동한 후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를 통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정수(C2)와 생활용수(W2)가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생성되면서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내주면과 후처리 여과 부재(6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제2 정수(C2)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PC2)가 구비되고,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내주면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50)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제2 정수(C2)가 제2 정수 유로(PC2)로 흐르도록 제2 관통홀(51a)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5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센트럴 튜브(51)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50)가 나선 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제1 어퍼캡 부재(210)가 상부에 안착되며,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생활용수(W2)는 제1 관통홀(210a)을 통해 생활용수 유로(PW2)로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센트럴 튜브(51)의 상단은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제2 정수 유로(PC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어퍼캡 부재(210)의 하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내면을 통해 이동하는 제2 정수(C2)는 센트럴 튜브(51)의 제2 관통홀(51a)을 통해 제2 정수 유로(PC2)로 이동하게 된다. 즉,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의 내주면에 센트럴 튜브(51)가 구비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50)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50)와 후처리 여과 부재(60) 사이에 제2 정수 유로(PC2)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제2 정수(C2)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고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센트럴 튜브(51)에는 후처리 여과 부재(60)의 하면을 지지하는 튜브 지지면(51d)이 형성되며, 튜브 지지면(51d)에는 후처리 여과 부재(60)가 고정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상향 지지 레그(51b)와, 튜브 지지면(51d)이 로워캡 부재(2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하향 지지 레그(51c)가 구비될 수 있다. 후처리 여과 부재(60)의 내부에는 생성된 제3 정수(C3)가 흐르는 제3 정수 유로(PC3)가 형성되고, 제3 정수(C3)는 전술한 제1 상향 가이드(211)를 통해 출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r)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지지 돌기(223)를 포함하고, 제1 지지 돌기(223)는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어퍼캡 부재(220)의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r)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돌기(223)가 형성되어 바디 부재(120)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하우징부(100)의 상부로 입수된 원수(W1)가 여과부(200)로 이동하도록 원수 유로(PW1)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지지 돌기(223)가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 어퍼캡 부재(210)의 둘레 방향으로 원수가 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원수 흐름 향상을 통해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1 어퍼캡 부재(210)에도 반경 방향(r)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 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지지 돌기(213)는 제2 어퍼캡 부재(22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되는 제2-1 지지 돌기(213a)와 센트럴 튜브(51)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2-2 지지 돌기(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지지 돌기(213)가 제2 어퍼캡 부재(220)와 센트럴 튜브(51)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면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의 적층 상태 및 센트럴 튜브(51)의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300)와, 밸브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300)는 원수(W1)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 밸브(310)와, 제3 정수(C3)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2 밸브(320)와, 생활용수(W2)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 밸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를 통해 이러한 밸브부(300)를 제어해서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수(W1) 입수 및 정수(C)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W2)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50)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0)의 헤드 부재(110)에는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구획 벽체(111)와 제2 구획 벽체(112)가 구비됨으로써 원수(W1), 정수(C), 생활용수(W2)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여과부(200)에는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되,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 사이에 형성된 생활용수 유로(PW2)를 통해 흐르도록 제1 어퍼캡 부재(210)에 제1 관통홀(210a)이 형성됨으로써 복합 필터의 축 방향 높이가 감소하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성 단순화를 통한 제작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원수 입수 포트 20 : 정수 출수 포트
30 : 생활용수 배출 포트 40 : 전처리 여과 부재
50 : 역삼투압 필터 부재 51 : 센트럴 튜브
51a : 제2 관통홀 51b : 상향 지지 레그
51c : 하향 지지 레그 51d : 튜브 지지면
60 : 후처리 여과 부재 70 : NT 필터 부재
100 : 하우징부 110 : 헤드 부재
111 : 제1 구획 벽체 112 : 제2 구획 벽체
120 : 바디 부재 200 : 여과부
210 : 제1 어퍼캡 부재 210a : 제1 관통홀
211 : 제1 상향 가이드 212 : 제1 하향 가이드
212a : 제1-1 하향 가이드 212b : 제1-2 하향 가이드
212c : 제1-3 하향 가이드 213 : 제2 지지 돌기
213a : 제2-1 지지 돌기 213b : 제2-2 지지 돌기
220 : 제2 어퍼캡 부재 220a : 스페이서
220a' : 제1 스페이서 220a" : 제2 스페이서
221 : 제2 상향 가이드 222 : 제2 하향 가이드
223 : 제1 지지 돌기 230 : 로워캡 부재
231 : 로워 가이드 251 : 보조 로워 가이드
300 : 밸브부 310 : 제1 밸브
320 : 제2 밸브 330 : 제3 밸브
400 : 제어부 r : 반경 방향
C : 정수 C1 : 제1 정수
C2 : 제2 정수 C3 : 제3 정수
PC1 : 제1 정수 유로 PC2 : 제2 정수 유로
PC3 : 제3 정수 유로 PW1 : 원수 유로
PW2 : 생활용수 유로 RC3 : 제3 정수 영역
RW1 : 원수 영역 RW2 : 생활용수 영역
W1 : 원수 W2 : 생활용수

Claims (8)

  1.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전처리 여과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제2 정수를 여과해서 제3 정수를 생성하는 후처리 여과 부재가 구비된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 및 상기 생활용수와 상기 정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각각의 상기 여과 부재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생활용수가 상기 생활용수 유로로 흐르도록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부와 상기 생활용수 유로를 연통시키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제3 정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1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향 가이드와 상기 제2 상향 가이드는 상기 생활용수 유로가 연장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각각의 상기 여과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전처리 여과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여과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정수가 흐르는 제1 정수 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는 상기 제1 정수 유로가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하부까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정수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상기 제2 정수가 상기 제2 정수 유로로 흐르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상기 정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1020210058022A 2021-05-04 2021-05-04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20150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022A KR20220150711A (ko) 2021-05-04 2021-05-04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022A KR20220150711A (ko) 2021-05-04 2021-05-04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711A true KR20220150711A (ko) 2022-11-11

Family

ID=8404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022A KR20220150711A (ko) 2021-05-04 2021-05-04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71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42A (ko) 2019-04-18 2020-10-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작업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21-04-14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42A (ko) 2019-04-18 2020-10-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작업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21-04-14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68570B (zh) 滤芯组件和净水系统
CN203904091U (zh) 反渗透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设备
CN203904090U (zh) 反渗透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设备
CN106554101B (zh) 一种集成水路板及净水器
CN114728224A (zh) 复合过滤器组件及具有该复合过滤器组件的净水器
KR20220150711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17532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18727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110007542A (ko) 정수 성능을 개선한 정수기용 카본 필터
EP4360732A1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30033052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00060566A (ko)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KR20230049363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209872549U (zh) 一种四合一复合滤芯及其净水器
KR20220169164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27797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219681926U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CN208632246U (zh) 复合滤芯结构及包括其的净水机
EP4349448A1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CN111217464A (zh) 净水器用复合型净水过滤器
CN108568143B (zh) 滤芯组件和净水系统
KR20220149330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101711570B1 (ko) 와류 형성을 위한 개방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필터 모듈
CN109650472B (zh) 滤芯和净水装置
CN116272052A (zh) 复合滤芯和净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