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330A -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330A
KR20220149330A KR1020210056821A KR20210056821A KR20220149330A KR 20220149330 A KR20220149330 A KR 20220149330A KR 1020210056821 A KR1020210056821 A KR 1020210056821A KR 20210056821 A KR20210056821 A KR 20210056821A KR 20220149330 A KR20220149330 A KR 20220149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p member
purified water
reverse osmosis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훈
김원태
윤성한
한두원
박찬정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9330A/ko
Publication of KR2022014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내측에 배치되고, 후처리 여과 부재가 외측에 배치되어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적층 배치되어 입수되는 원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원수 유로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은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내측에 배치되고, 후처리 여과 부재가 외측에 배치되어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적층 배치되어 입수되는 원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원수 유로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입수된 원수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정수로 여과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 여과를 위해 여러 개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내부에서 필터가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정수기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각각의 필터가 일체화된 복합 필터가 사용되기도 한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40502호에 개시된 정수기에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복합 필터가 구비된다. 복합 필터에는 제1 필터 소재와 제2 필터 소재가 구비되며, 이러한 각각의 필터 소재는 단일의 필터 요소,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항균필터, 각종 기능성 필터 등 공지의 필터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필터에는 원수, 1차 정수 및 2차 정수가 흐르는 유로만 구비되며, 역삼투압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된 생활용수가 흐르는 유로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역삼투압 필터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주식회사 피코그램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60566호에는 정수기용 역삼투압 필터를 갖는 복합 필터가 개시된다. 이러한 복합 필터에는 입수된 원수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흐르면서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제1 정수 필터, 역삼투압 필터, 제2 정수 필터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순차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의 내부에 제2 정수 필터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복합 필터를 제조할 경우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를 사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없고, 제2 정수 필터가 내부에 배치된 다른 방식의 역삼투압 필터를 별도로 제조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4050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60566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되,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내측에 배치되고, 후처리 여과 부재가 외측에 배치되어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적층 배치되어 입수되는 원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원수 유로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정수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제1 정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고 배출됨으로써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에 생활용수가 흐르는 제1 상향 가이드가 구비되어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는 제2 어퍼캡 부재에 형성된 제2 상향 가이드의 내측을 흐르도록 구성되되, 원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됨으로써 입수되는 원수와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에는 제3 어퍼캡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후처리 여과 부재가 제3 어퍼캡 부재의 하부에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출수되는 제2 정수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제3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2 정수 유로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3 하향 가이드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1 로워 가이드를 통해 원수 유로와 제2 정수 유로가 구획되므로 원수와 제2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정수가 로워캡 부재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정수 유로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입수되는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돌기가 형성되어 바디 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제1 정수가 후처리 여과 부재로 이동하도록 제1 정수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지지 돌기가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로워캡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제1 정수가 고르게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정수 흐름 향상을 통한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2 로워 가이드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3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는 제2 상향 가이드를 통해 입수되고, 제1 상향 가이드를 통해 배출되는 생활용수는 보조 상향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입수되는 원수와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1 로워 가이드를 통해 원수 유로와 제1 정수 유로가 구획되므로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로워 가이드가 제2 하향 가이드에 연결 배치되어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로워 가이드와 제2 하향 가이드의 연결 구조를 통해 정수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보조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보조 로워 가이드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2 어퍼캡 부재와 보조캡 부재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정수가 로워캡 부재와 보조캡 부재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정수 유로를 통해 이동하므로 입수되는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어부를 통해 밸브부를 제어해서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도록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후처리 여과 부재가 구비된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제2 정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획 벽체와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입수되는 원수가 흐르는 원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상기 제1 정수가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정수 유로로 흐르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센트럴 튜브의 상부와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된 제1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입수되는 원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된 제2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향 가이드와 상기 제2 상향 가이드는 상기 원수 유로가 연장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의 상부에 적층 배치되되, 상기 제2 정수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3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수 유로와 제2 정수 유로를 구획하는 제1 로워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 유로가 상기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가 상기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하도록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로워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입수되는 원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 가이드와, 배출되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도록 상기 제1 상향 가이드와 연통되는 보조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수 유로와 제1 정수 유로를 구획하는 제1 로워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워 가이드는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에 구비된 제2 하향 가이드에 연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보조 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보조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 유로가 상기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가 상기 로워캡 부재와 상기 보조캡 부재 사이로 이동하도록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원수, 상기 정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 입수 및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하되,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내측에 배치되고, 후처리 여과 부재가 외측에 배치되어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헤드 부재에는 제1 내지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되어 원수, 정수,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됨으로써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적층 배치되어 입수되는 원수가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원수 유로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정수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제1 정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고 배출됨으로써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에 생활용수가 흐르는 제1 상향 가이드가 구비되어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는 제2 어퍼캡 부재에 형성된 제2 상향 가이드의 내측을 흐르도록 구성되되, 원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가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됨으로써 입수되는 원수와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에는 제3 어퍼캡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후처리 여과 부재가 제3 어퍼캡 부재의 하부에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출수되는 제2 정수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제3 어퍼캡 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2 정수 유로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3 하향 가이드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1 로워 가이드를 통해 원수 유로와 제2 정수 유로가 구획되므로 원수와 제2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정수가 로워캡 부재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정수 유로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입수되는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돌기가 형성되어 바디 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제1 정수가 후처리 여과 부재로 이동하도록 제1 정수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지지 돌기가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로워캡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제1 정수가 고르게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정수 흐름 향상을 통한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2 로워 가이드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3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는 제2 상향 가이드를 통해 입수되고, 제1 상향 가이드를 통해 배출되는 생활용수는 보조 상향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입수되는 원수와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어퍼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로워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1 로워 가이드를 통해 원수 유로와 제1 정수 유로가 구획되므로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로워 가이드가 제2 하향 가이드에 연결 배치되어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로워 가이드와 제2 하향 가이드의 연결 구조를 통해 정수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보조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보조 로워 가이드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2 어퍼캡 부재와 보조캡 부재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정수가 로워캡 부재와 보조캡 부재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정수 유로를 통해 이동하므로 입수되는 원수와 제1 정수가 혼합되지 않고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어부를 통해 밸브부를 제어해서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제1 내지 제3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후처리 여과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하우징부에 보조캡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W1)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10), 여과된 정수(C)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20)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W2)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30)가 구비된 하우징부(100), 및 원수(W1)를 여과해서 제1 정수(C1)를 생성하도록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와, 제1 정수(C1)를 여과해서 제2 정수(C2)를 생성하도록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된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구비된 여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수 입수 포트(10)를 통해 입수된 원수(W1)는 여과부(200)에 구비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여과 부재(50)를 거치면서 여과되며, 최종적으로 여과된 제2 정수(C2)는 정수 출수 포트(20)를 통해 출수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정수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냉수, 온수 및 얼음 생성을 위해 냉수 생성부, 온수 생성부 및 얼음 생성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에서 발생하는 생활용수(W2)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30)를 통해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별도의 튜브를 통해 정수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수(W1) 입수 및 정수(C)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W2)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내측에 배치되고,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외측에 배치되어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작성이 향상되고,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 뿐만 아니라 이를 제조하는 설비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원수(W1)가 원수 입수 포트(10)를 통해 입수되기 전에 별도의 전처리 여과 부재를 경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처리 여과 부재 뿐만 아니라 후처리 여과 부재(5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전술한 하우징부(100)는, 원수(W1)와 제2 정수(C2)와 생활용수(W2)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획 벽체(111)와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획 벽체(112)가 구비된 헤드 부재(110)와, 이러한 헤드 부재(110)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여과부(200)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120)를 포함하고, 여과부(20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입수되는 원수(W1)가 흐르는 원수 유로(PW1)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2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수되는 원수(W1) 뿐만 아니라 출수되는 제2 정수(C2) 및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복합 필터의 상부로 입수되고, 상부로 출수/배출되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헤드 부재(110)에는 입수되는 원수(W1), 출수되는 제2 정수(C2),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흐르는 원수 영역(RW1), 제2 정수 영역(RC2), 생활용수 영역(RW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상호 적층 배치되되, 이들 사이에는 입수되는 원수(W1)가 흐르는 원수 유로(PW1)가 형성되도록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제1 어퍼캡 부재(2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이를 위해 제2 어퍼캡 부재(220)의 하면에는 하향 연장 형성되는 스페이서(22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헤드 부재(110)에는 제1 구획 벽체(111)와 제2 구획 벽체(112)가 구비되어 원수(W1), 정수(C), 생활용수(W2)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됨으로써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를 적층 배치하는 방식으로 입수되는 원수(W1)가 흐르는 원수 유로(PW1)가 간단하게 형성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성이 향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내주면에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제1 정수(C1)가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정수 유로(PC1)로 흐르도록 제1 관통홀(41a)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41)가 구비되고, 센트럴 튜브(41)의 상부와 제1 어퍼캡 부재(210)의 사이에는 생활용수(W2)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PW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센트럴 튜브(41)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나선 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제1 어퍼캡 부재(210)가 상부에 안착되되,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이동하는 생활용수 유로(PW2)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21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생활용수(W2)는 센트럴 튜브(41)와 제1 어퍼캡 부재(210) 사이에 형성된 생활용수 유로(PW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센트럴 튜브(41)의 상단은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제1 정수 유로(PC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내면을 통해 이동하는 제1 정수(C1)는 센트럴 튜브(41)의 제1 관통홀(41a)을 통해 제1 정수 유로(PC1)로 이동하게 된다. 즉,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내주면에 센트럴 튜브(41)가 구비되어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정수 유로(PC1)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제1 정수(C1)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고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제1 내지 제3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210)는 생활용수(W2)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된 제1 상향 가이드(2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생활용수(W2)는 센트럴 튜브(41)와 제1 상향 가이드(211) 사이에 형성된 생활용수 유로(PW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제1 어퍼캡 부재(210)에 생활용수(W2)가 흐르는 제1 상향 가이드(211)가 구비됨에 따라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입수되는 원수(W1)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된 제2 상향 가이드(221)를 포함하고, 제1 상향 가이드(211)와 제2 상향 가이드(221)는 원수 유로(PW1)가 연장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입수되는 원수(W1)는 제2 어퍼캡 부재(220)에 형성된 제2 상향 가이드(221)의 내측을 흐르도록 구성되되, 원수 유로(PW1)가 형성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가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됨으로써 입수되는 원수(W1)와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구성 단순화를 통해 제작성 향상이 가능하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어퍼캡 부재(22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스페이서(220a)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입수되는 원수(W1)가 관통해서 흐르도록 복수 개의 스페이서(220a)가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21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어퍼캡 부재(21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212)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때, 제2 어퍼캡 부재(220)에도 제1 어퍼캡 부재(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2 하향 가이드(2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제2 어퍼캡 부재(22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되되, 제2 정수(C2)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PC2)가 구비되도록 제2 어퍼캡 부재(2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여과부(200)에는 제3 어퍼캡 부재(230)가 적층 배치되되,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제3 어퍼캡 부재(230)의 하부에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출수되는 제2 정수(C2)가 제2 어퍼캡 부재(220)와 제3 어퍼캡 부재(230) 사이에 형성된 제2 정수 유로(PC2)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한 제작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3 어퍼캡 부재(230)의 외주면 둘레에는 제1 정수(C1)가 후처리 여과 부재(50)를 경유하지 않고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OR)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어퍼캡 부재(220)의 내주면 둘레에도 출수되는 제2 정수(C2)와 입수되는 원수(W1)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OR)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링(OR)은 제2 어퍼캡 부재(220)와 후술하는 제1 로워 가이드(2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3 어퍼캡 부재(230)는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3 하향 가이드(2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어퍼캡 부재(23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3 하향 가이드(231)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때, 이러한 제3 어퍼캡 부재에는 출수되는 제2 정수(C2)가 흐르는 제3 상향 가이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3 상향 가이드는 제2 정수 유로(PC2)가 연장 형성되도록 제2 어퍼캡 부재(220)와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 여과 부재(5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3 보조 가이드(23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수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로워캡 부재(240)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로워캡 부재(24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여과 부재(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수 유로(PW1)와 제2 정수 유로(PC2)를 구획하는 제1 로워 가이드(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는 로워캡 부재(2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원수 유로(PW1)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하부까지 반경 방향(r)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수되는 원수(W1)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하부로 이동한 후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를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1 정수(C1)와 생활용수(W2)가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어퍼캡 부재(230)와 로워캡 부재(240)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로워캡 부재(24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1 로워 가이드(241)를 통해 원수 유로(PW1)와 제2 정수 유로(PC2)가 구획되므로 원수(W1)와 제2 정수(C2)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로워캡 부재(240)는 제1 정수 유로(PC1)가 로워캡 부재(240)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우징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로워캡 부재(240)는 제1 정수(C1)가 로워캡 부재(240)의 하부로 이동하도록 제2 관통홀(24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트럴 튜브(41)의 하부는 제2 관통홀(240a)을 관통한 상태에서 하우징부(100)의 하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트럴 튜브(41)에는 제2 관통홀(240a)을 관통하는 관통 부분(TH2)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 부분(TH2)에도 제1 관통홀(41a)이 형성되며, 센트럴 튜브(41)의 비관통 부분(TH1)에 형성된 제1 관통홀(41a)을 통해 센트럴 튜브(41)의 내측으로 이동한 제1 정수(C1)는 센트럴 튜브(41)의 하부로 이동해서 관통 부분(TH2)에 형성된 제1 관통홀(41a)을 통해 로워캡 부재(24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로워캡 부재(240)가 하우징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로워캡 부재(240)의 하면에는 하향 연장 형성되는 로워 레그(240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로워 레그(240b)에도 제1 정수(C1)가 이동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정수(C1)가 로워캡 부재(24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정수 유로(PC1)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입수되는 원수(W1)와 제1 정수(C1)가 혼합되지 않고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로워캡 부재(240)는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r)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지지 돌기(243)를 포함하고, 제1 지지 돌기(243)는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로워캡 부재(240)의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r)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 돌기(243)가 형성되어 바디 부재(120)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로워캡 부재(240)의 하부로 이동한 제1 정수(C1)가 후처리 여과 부재(50)로 이동하도록 제1 정수 유로(PC1)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지지 돌기(243)가 균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로워캡 부재(240)의 둘레 방향으로 제1 정수(C1)가 고르게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정수(C1)의 흐름 향상을 통해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로워캡 부재(240)는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로워 가이드(2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로워캡 부재(24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2 로워 가이드(242)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3 어퍼캡 부재(230)와 로워캡 부재(240)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입수되는 원수(W1)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 가이드(221)와,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흐르도록 제1 상향 가이드(211)와 연통되는 보조 상향 가이드(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수되는 원수(W1)는 제2 상향 가이드(221)를 통해 입수되고, 제1 상향 가이드(211)를 통해 배출되는 생활용수(W2)는 보조 상향 가이드(2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입수되는 원수(W1)와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구성 단순화를 통한 제작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21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어퍼캡 부재(21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제1 하향 가이드(212)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때, 제2 어퍼캡 부재(220)는 제1 어퍼캡 부재(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2 하향 가이드(222)와,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고정 배치되는 보조 하향 가이드(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하향 가이드(222a)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로워캡 부재(240)를 더 포함하며, 로워캡 부재(240)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여과 부재(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수 유로(PW1)와 제1 정수 유로(PC1)를 구획하는 제1 로워 가이드(2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로워캡 부재(24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제1 로워 가이드(241)를 통해 원수 유로(PW1)와 제1 정수 유로(PC1)가 구획되므로 원수(W1)와 제1 정수(C1)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는 로워캡 부재(2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원수 유로(PW1)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하부까지 반경 방향(r)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수되는 원수(W1)는 역삼투압 필터 부재(40)의 하부로 이동한 후에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를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1 정수(C1)와 생활용수(W2)가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로워 가이드(241)는 제2 어퍼캡 부재(220)에 구비된 제2 하향 가이드(222)에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하향 가이드(222)의 하단에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제1 로워 가이드(241)의 상단에는 연결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로워 가이드(241)가 제2 하향 가이드(222)에 연결 배치되어 원수(W1)와 제1 정수(C1)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로워 가이드(241)와 제2 하향 가이드(222)의 연결 구조를 통해 정수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후처리 여과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하우징부에 보조캡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보조 로워 가이드(251)가 구비된 보조캡 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조캡 부재(25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 보조 로워 가이드(251)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2 어퍼캡 부재(220)와 보조캡 부재(250)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의 하부에는 이에 결합되는 별도의 필터캡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캡 부재(130)를 통해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모듈화된 여과부(200)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모듈화된 여과부(200)의 유지, 보수도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로워캡 부재(240)는 제1 정수 유로(PC1)가 로워캡 부재(240)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보조캡 부재(25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로워캡 부재(240)는 제1 정수(C1)가 로워캡 부재(240)와 보조캡 부재(250) 사이로 이동하도록 제2 관통홀(24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트럴 튜브(41)의 하부는 제2 관통홀(240a)에 연결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트럴 튜브(41)에는 제2 관통홀(240a)에 연결 지지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센트럴 튜브(41)에 형성된 제1 관통홀(41a)을 통해 센트럴 튜브(41)의 내측으로 이동한 제1 정수(C1)는 센트럴 튜브(41)의 하부로 이동해서 제2 관통홀(240a)을 통해 로워캡 부재(240)와 보조캡 부재(250)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한 제1 정수(C1)는 후처리 여과 부재(5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정수 유로(PC1)를 통해 후처리 여과 부재(50)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정수(C1)가 로워캡 부재(240)와 보조캡 부재(250)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정수 유로(PC1)를 통해 이동하므로 입수되는 원수(W1)와 제1 정수(C1)가 혼합되지 않고 구분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300)와, 밸브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300)는 원수(W1)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 밸브(310)와, 제2 정수(C2)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2 밸브(320)와, 생활용수(W2)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 밸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W1)가 흐르는 원수 유로(PW1)와 생활용수(W2)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PW2)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따라 제1 밸브(310)와 제3 밸브(330)의 위치도 달라지게 된다. 즉, 제어부(400)를 통해 이러한 밸브부(300)를 제어해서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수(W1) 입수 및 정수(C)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W2)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역삼투압 필터 부재(40)가 내측에 배치되고, 후처리 여과 부재(50)가 외측에 배치되므로 기 제조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40)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부(100)의 헤드 부재(110)에는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구획 벽체(111)와 제2 구획 벽체(112)가 구비됨으로써 원수(W1), 정수(C), 생활용수(W2)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여과부(200)에는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가 적층 배치되어 입수되는 원수(W1)가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 사이에 형성된 원수 유로(PW1)를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 단순화를 통한 제작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원수 입수 포트 20 : 정수 출수 포트
30 : 생활용수 배출 포트 40 : 역삼투압 필터 부재
41 : 센트럴 튜브 41a : 제1 관통홀
50 : 후처리 여과 부재 100 : 하우징부
110 : 헤드 부재 111 : 제1 구획 벽체
112 : 제2 구획 벽체 120 : 바디 부재
130 : 필터캡 부재 200 : 여과부
210 : 제1 어퍼캡 부재 211 : 제1 상향 가이드
212 : 제1 하향 가이드 220 : 제2 어퍼캡 부재
220a : 스페이서 221 : 제2 상향 가이드
221a : 보조 상향 가이드 222 : 제2 하향 가이드
222a : 보조 하향 가이드 230 : 제3 어퍼캡 부재
231 : 제3 하향 가이드 231a : 제3 보조 가이드
240 : 로워캡 부재 240a : 제2 관통홀
240b : 로워 레그 241 : 제1 로워 가이드
242 : 제2 로워 가이드 243 : 제1 지지 돌기
250 : 보조캡 부재 251 : 보조 로워 가이드
300 : 밸브부 310 : 제1 밸브
320 : 제2 밸브 330 : 제3 밸브
400 : 제어부 r : 반경 방향
C : 정수 C1 : 제1 정수
C2 : 제2 정수 OR : 오링
PC1 : 제1 정수 유로 PC2 : 제2 정수 유로
PW1 : 원수 유로 PW2 : 생활용수 유로
RC2 : 제2 정수 영역 RW1 : 원수 영역
RW2 : 생활용수 영역 TH1 : 비관통 부분
TH2 : 관통 부분 W1 : 원수
W2 : 생활용수

Claims (18)

  1.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도록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후처리 여과 부재가 구비된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제2 정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획 벽체와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입수되는 원수가 흐르는 원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상기 제1 정수가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정수 유로로 흐르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센트럴 튜브의 상부와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는 생활용수 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된 제1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입수되는 원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된 제2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향 가이드와 상기 제2 상향 가이드는 상기 원수 유로가 연장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의 상부에 적층 배치되되, 상기 제2 정수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가 구비되도록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3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3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수 유로와 제2 정수 유로를 구획하는 제1 로워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 유로가 상기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가 상기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하도록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외주면 둘레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돌기는 균등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로워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퍼캡 부재는 입수되는 원수가 흐르도록 상향 연장되는 제2 상향 가이드와, 배출되는 상기 생활용수가 흐르도록 상기 제1 상향 가이드와 연통되는 보조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로워캡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부재와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수 유로와 제1 정수 유로를 구획하는 제1 로워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워 가이드는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에 구비된 제2 하향 가이드에 연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여과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보조 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보조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 유로가 상기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캡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1 정수가 상기 로워캡 부재와 상기 보조캡 부재 사이로 이동하도록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상기 정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1020210056821A 2021-04-30 2021-04-30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20149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21A KR20220149330A (ko) 2021-04-30 2021-04-30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21A KR20220149330A (ko) 2021-04-30 2021-04-30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330A true KR20220149330A (ko) 2022-11-08

Family

ID=8404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821A KR20220149330A (ko) 2021-04-30 2021-04-30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933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566A (ko) 2018-11-21 2020-06-01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21-04-14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566A (ko) 2018-11-21 2020-06-01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21-04-14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0200B2 (en) Dual-flow filter cartridge
KR20030033019A (ko) 역삼투 물 처리 시스템용 유량 제어 모듈
CN106554101B (zh) 一种集成水路板及净水器
JP2009525846A (ja) モジュール型逆浸透水処理システム
CN108506523A (zh) 流体处理装置的控制阀组件
US20070125710A1 (en) Non-electric zero waste reverse osmosis water filtering system
KR2021006097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20149330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108371843B (zh) 集成水路板组件以及集成水路系统
CN1948169B (zh) 分质供水机
KR2021003923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RU2667289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KR20220169164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20169165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33052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17532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209872549U (zh) 一种四合一复合滤芯及其净水器
KR20220150711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EP4360732A1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30018727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219681926U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KR20230027797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71540A (ko) 복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JPH11253935A (ja) 浄水器
CN116272052A (zh) 复合滤芯和净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