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502A -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502A
KR20210040502A KR1020190122793A KR20190122793A KR20210040502A KR 20210040502 A KR20210040502 A KR 20210040502A KR 1020190122793 A KR1020190122793 A KR 1020190122793A KR 20190122793 A KR20190122793 A KR 20190122793A KR 20210040502 A KR20210040502 A KR 2021004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utlet
inlet
housing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구
김성진
문태훈
이현규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0502A/ko
Publication of KR2021004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제1 필터하우징, 제2 필터하우징,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를 구비하는 복합필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제1 필터하우징은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가 형성된다. 제2 필터하우징은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가 형성되며 제1 필터하우징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필터부는 제1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제2 필터부는 제2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한다. 또한, 제1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1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제2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2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에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OMPLEX FILTER ASSEMBLY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필터가 일체화된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입구와 복수의 유출구를 갖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유입되는 피처리수(예를 들어, 원수)의 여과를 위하여 3개 이상의 개별필터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 시스템이 복잡하고, 제품상에서 필터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져 제품의 전체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개의 필터를 복합화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 필터를 전처리 필터로서 일체화한 복합필터 조립체나, 프리카본 필터와 중공사막 필터를 일체화한 복합필터 조립체 등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필터 조립체는 하나의 유입구와 하나의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복수의 필터를 유로 상 직력이 되도록 배치하는 형태를 가졌다. 즉, 종래의 복합필터 조립체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첫번째 필터를 통해 여과시킨 후 첫번째 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두번째 필터로 유입시켜 여과시킨 후 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복합필터 조립체는 그 내부에 수용된 필터의 교환주기가 상이하여 일부 필터의 교환주기에 해당하는 경우 복합필터 조립체를 전체로서 교환해야 하므로 사용주기가 남아 있는 필터까지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합필터 조립체는 복수의 필터가 직렬로 배치되므로 필터 사이에 다른 필터나 구성부품을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3-0096867 A KR 10-2008-0101567 A KR 10-2009-001443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필터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유입구와 복수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합필터 조립체를 정수기의 유로에 장착하거나 유로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필터부를 결합하여 일체화하거나 서로 분리할 수 있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유로 구성의 자유도가 높은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합화되는 필터를 다양화할 수 있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필터교환주기가 유사한 필터를 복합화할 수 있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수기에 구비되는 필터의 전체 개수를 감소시키고 제품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교체되는 필터의 개수가 감소하여 관리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가 형성된 제1 필터하우징;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필터하우징; 상기 제1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제1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2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제2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에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복합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은,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연장유로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2 연장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이 유입연결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유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이 유출연결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입구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구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유출구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결합구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연결구, 유출연결구,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의 일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연결구, 유출연결구,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는 그 끝단이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필터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 중에서 어느 하나는 함몰되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필터요소가 유로상 직렬로 배치된 복합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어느 하나는 전처리 필터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처리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필터부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1 유입유로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1 유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2 유입유로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2 유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복합필터 조립체; 및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에 구비되는 필터소재보다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메인필터;를 포함하며, 피처리수는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어느 하나, 상기 메인필터, 상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나머지 하나를 통과하는 유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상기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상기 제2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출구로 물의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상기 제2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출구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포트를 구비하는 복합필터 장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를 상기 연결포트에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유로 연결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제1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수는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상기 제2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제2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수는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필터 전단의 유로에는,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로부터 상기 메인필터로 공급되는 정수를 상기 메인필터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분기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메인필터로 공급되는 물을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필터의 전단의 유로에 배치되는 가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인필터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필터부를 복합화하는데 있어서 복수의 유입구와 복수의 유출구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필터 조립체를 정수기의 유로에 장착하거나 유로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필터부를 결합하여 일체화하거나 서로 분리할 수 있어 일부의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로 구성의 자유도가 높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화할 수 있는 필터를 다양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교환주기가 유사한 필터를 복합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수기에 구비되는 필터의 전체 개수를 감소시키고 제품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교체되는 필터의 개수가 감소하여 관리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a)는 상측방향의 사시도이고, (b)는 하측방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에서 제1 필터하우징과 제2 필터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상측방향의 사시도이고, (b)는 하측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도 1(a)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a)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를 확대도시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일부를 생략하고 물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와 정수기의 복합필터 장착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확대도시를 위하여 상하 방향의 일부를 생략하고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와 정수기의 복합필터 장착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를 적용한 정수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수배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의 용어는 2개의 유사한 구성요소를 단지 서로 구별하여 호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과 '제2'가 순서대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상부, 하측, 하부, 측면,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표현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실시예와, 복합필터 조립체(100)를 구비하는 정수기(10)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사시도로서, (a)는 상측방향의 사시도이고, (b)는 하측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에서 제1 필터하우징(101)과 제2 필터하우징(105)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상측방향의 사시도이고, (b)는 하측방향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a)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a)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를 확대도시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일부를 생략하고 물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와 정수기(10)의 복합필터 장착부(F)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는 제1 필터하우징(101), 제2 필터하우징(105), 제1 필터부(110) 및 제2 필터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필터하우징(101)은 제1 하우징몸체(102)와 이에 합형되는 제1 하우징캡(103)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몸체(102)와 제1 하우징캡(103)은 제1 접합부(104)에서 접합된다. 이러한 제1 접합부(104)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몸체(102)와 제1 하우징캡(103) 중 어느 일측에 융착리브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 융착리브를 수용하는 융착홈을 형성한 후, 제1 하우징몸체(102)와 제1 하우징캡(103)을 상대회전시켜 융착리브의 외주면이 융착홈의 내주면에 마찰됨에 따라 융착리브가 융착홈에 융착되는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하우징몸체(102)와 제1 하우징캡(103)의 접합방식은 제1 하우징몸체(102)와 제1 하우징캡(103) 사이의 수밀을 구현할 수 있다면 전술한 융착 접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필터하우징(105)은 제2 하우징몸체(106a)와 이에 합형되는 제2 하우징캡(106b)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몸체(106a)과 제2 하우징캡(106b)은 제2 하우징본체(106)를 구성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몸체(106a)와 제2 하우징캡(106b)은 제2 접합부(106c)에서 접합된다. 이러한 제2 접합부(106c)는, 예를 들어, 제2 하우징몸체(106a)와 제2 하우징캡(106b) 중 어느 일측에 융착리브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 융착리브를 수용하는 융착홈을 형성한 후, 제2 하우징몸체(106a)와 제2 하우징캡(106b)을 상대회전시켜 융착리브의 외주면이 융착홈의 내주면에 마찰됨에 따라 융착리브가 융착홈에 융착되는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하우징몸체(106a)와 제2 하우징캡(106b)의 접합방식은 제2 하우징몸체(106a)와 제2 하우징캡(106b) 사이의 수밀을 구현할 수 있다면 전술한 융착 접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 하우징몸체(102)가 하측에 위치하고 제1 하우징캡(103)이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2 하우징몸체(106a)가 하측에 위치하고 제2 하우징캡(106b)이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 하우징몸체(102)와 제2 하우징몸체(106a)에 융착리브가 형성되고 제1 하우징캡(103)과 제2 하우징캡(106b)에 융착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융착리브와 융착홈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 하우징몸체(102)의 상측에 제1 하우징캡(103)이 결합되고, 제2 하우징몸체(106a)의 상측에 제2 하우징캡(106b)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터하우징(101, 105)의 내부에 필터부(110, 15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면 필터하우징(101, 105)은 하우징몸체(102, 106a)의 상측과 하측에 하우징캡(103, 106b)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하우징몸체(102, 106a)가 2개 이상으로 제조된 후 일체화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필터하우징(101)은 그 내부에 제1 필터부(110)를 수용하며, 제1 필터하우징(101)에는 제1 필터부(110)로 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CP1)와, 제1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구(CP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하우징(105)은 그 내부에 제2 필터부(150)를 수용하며, 제2 필터하우징(105)에는 제2 필터부(150)로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P3)와, 제2 필터부(150)에서 여과된 물이 유출되는 제2 유출구(P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하우징(105)은 제1 필터하우징(10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서, 제1 필터하우징(101)에는 돌출된 구조의 체결부(CM1)가 형성되고, 제2 필터하우징(105)에는 함몰된 구조의 체결부(CM2)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CM1, CM2)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하우징(101)과 제2 필터하우징(105) 중에서 어느 하나는 함몰되어 형성된 수용부(101a)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수용부(101a)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05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필터하우징(101)과 제2 필터하우징(105)은 돌출부(105a)가 수용부(101a)에 수용된 상태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필터하우징(101)과 제2 필터하우징(105)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구조로 결합되므로 결합 시 중첩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중첩되는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즉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하우징(105)에는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입구(CP1) 및 제1 유출구(CP2)와 각각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필터하우징(105)은,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입구(CP1)와 연결되는 제1 연장유로(LLA)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107)와,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출구(CP2)와 연결되는 제2 연장유로(LLB)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07)는 일측이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입구(CP1)와 연결되며, 타측이 유입연결구(P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08)는 일측이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출구(CP2)와 연결되며, 타측이 유출연결구(P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입구(CP1)는 제1 연결부(107)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구(CH1)에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출구(CP2)는 제2 연결부(108)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결합구(CH2)에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필터하우징(101)과 제2 필터하우징(105)을 결합할 때, 제1 유입구(CP1)와 제1 연결부(107)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유로가 연결되고, 제1 유출구(CP2)와 제2 연결부(108)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유로가 연결되므로, 유로의 연결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제1 유입구(CP1)와 제1 유출구(CP2)가 제1 결합구(CH1)와 제2 결합구(CH2)에 수용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유로 연결 용이성을 위하여 양자가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면 그 구조는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는 2개의 필터하우징(101, 105) 및 이에 각각 수용되는 필터부(110, 150)만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으나, 제3의 필터부를 갖는 제3의 필터하우징이 제1 필터하우징(101) 또는 제2 필터하우징(105)에 추가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연결부(107) 및 제2 연결부(108)는 별도로 제조되어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2 하우징본체(106)에 부착될 수 있지만, 제작 및 조립 편의성을 위하여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조시 제2 하우징본체(106), 제1 연결부(107) 및 제2 연결부(108)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조는 사출성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제조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필터하우징(101)의 제1 유입구(CP1)는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1 연결부(107)를 통해 유입연결구(P1)와 연통되고, 제1 유출구(CP2)는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2 연결부(108)를 통해 유출연결구(P2)와 연통되며, 제2 필터하우징(105)에는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가 모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는 각각에 정수기(10) 내부 유로를 연결하거나 정수기(10) 내부 유로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 필터하우징(101)의 일면, 즉 유출입구 설치면(109)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입구 설치면(109)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가 형성되는 유출입구 설치면(109)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하우징(105)의 하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는 제2 하우징몸체(106a)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필터하우징(105)의 상측에 제2 하우징몸체(106a)가 위치하고 하측에 제2 하우징캡(106b)이 위치하는 경우 제2 하우징캡(106b)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유입구(CP1), 제1 유출구(C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는 제1 필터하우징(101)과 제2 필터하우징(105)에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예를 들어 정수기(10) 내부의 복합필터 장착부(F)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의 배치위치, 또한 제1 유입구(CP1), 제1 유출구(C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의 배치위치와 관련된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복합필터 조립체(200)와 정수기(10)의 내부유로를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복합필터 조립체(200)를 정수기(10)의 내부유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필터 장착부(F)는 제1 유입구(CP1)에 연통하는 유입연결구(P1), 제1 유출구(CP2)에 연통하는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유입측 연결포트(Q1), 제1 유출측 연결포트(Q2), 제2 유입측 연결포트(Q3), 제2 유출측 연결포트(Q4)를 구비한다. 이 경우,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가 대응하는 연결포트(Q1, Q2, Q3, Q4)에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유로 연결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므로, 복합필터 조립체(100)를 정수기(10)의 유로에 장착하거나 유로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는 그 끝단이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출입구 설치면(109)으로부터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의 단부가 각각 돌출된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연결구(P1),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는 복합필터 장착부(F)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 연결포트(Q1, Q2, Q3, Q4)에 결합하거나 연결포트(Q1, Q2, Q3, Q4)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1 유입구(CP1)/유입연결구(P1), 제1 유출구(CP2)/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 중 일부는 유출입구 설치면(109)으로부터 돌출된 높이, 즉 그 끝단의 높이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복합필터 장착부(F)에 대응하여 형성된 연결포트(Q1, Q2, Q3, Q4)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결합/분리 작업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필터부(110)는 제1 필터하우징(10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 유입구(CP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게 된다. 제1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1 유출구(CP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부(110)는 물을 여과하는 제1 필터소재(111)와, 제1 필터소재(1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 필터소재(111)를 지지하는 상측캡(113)과, 제1 필터소재(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필터소재(111)를 지지하는 하측캡(1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부(150)는 제2 필터하우징(105)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 유입구(P3)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게 된다. 제2 필터부(15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2 유출구(P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필터부(150)는 물을 여과하는 제2 필터소재(151)와, 제2 필터소재(15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필터소재(151)를 지지하는 상측캡(153)과, 제2 필터소재(15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 필터소재(151)를 지지하는 하측캡(15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가 서로 다른 구성요소라는 점을 지칭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물 흐름 순서, 즉 유로 상 배치에서 제1 필터부(110)가 제2 필터부(150)의 상류에 위치할 수도 있고 하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도 9의 수배관도에서는 유로 상 배치에서 제1 필터부(110)가 제2 필터부(150)의 상류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물의 흐름은 도 9의 수배관도를 기초로 한 것이다.
또한, 제1 필터부(110)를 구성하는 제1 필터소재(111)와 제2 필터부(150)를 구성하는 제2 필터소재(151)는 각각 단일의 필터요소,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 프리카본 필터, 포스트카본 필터, 항균필터, 각종 기능성 필터, 역삼투막 필터(RO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필터, 나노필터(나노트랩) 등 공지의 필터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부(110)를 구성하는 제1 필터소재(111)와 제2 필터부(150)를 구성하는 제2 필터소재(151)는 필터교환주기가 유사한 필터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부(110)를 구성하는 제1 필터소재(111)와 제2 필터부(150)를 구성하는 제2 필터소재(151)는 각각 전술한 필터요소 중에서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1 필터부(110)를 구성하는 제1 필터소재(111)와 제2 필터부(150)를 구성하는 제2 필터소재(151) 중 적어도 일부는 2 이상의 필터요소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110) 및/또는 제2 필터부(150)가 2 이상의 필터요소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복합필터로 구성되는 경우, 제1 필터부(110) 및/또는 제2 필터부(150)에 복합적으로 포함되는 2 이상의 필터요소는 유로상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 중 어느 하나는 전처리 필터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처리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처리 필터는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 필터의 복합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후처리 필터는 포스트카본 필터를 포함하는 단일의 필터 또는 복합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필터부(110)가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필터(복합필터)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유입구(CP1)를 통해 제1 필터부(110)로 유입된 물은 세디먼트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이후 프리카본 필터를 거쳐 추가적으로 여과된 후 제1 유출구(CP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직렬방향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2 이상의 필터요소는 물 흐름 방향이 상하인 경우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고, 물 흐름 방향이 반경방향인 경우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는 제1 필터하우징(101)과 제2 필터하우징(105)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 상 배치에서 제1 필터부(110)가 제2 필터부(150)의 상류에 위치할 수도 있고 하류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필터부(110)가 제2 필터부(150)의 상류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한 도 9의 수배관도를 기초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물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하우징(105)의 유입연결구(P1)을 통해 유입된 물(예를 들어, 피처리수)은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1 연결부(107)에 형성된 제1 연장유로(LLA)로 유입되며, 이후 제1 유입구(CP1)를 통해 제1 필터하우징(101) 내부의 제1 유입유로(LL1)로 유입된다. 제1 유입유로(LL1)로 유입된 물은 제1 필터소재(111)를 통하여 여과된 후 제1 유출유로(LL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필터부(110)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1 유입유로(LL1)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1 유출유로(LL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영역이 넓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필터부(110)의 제1 필터소재(111)와 유입되는 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제1 필터소재(111)를 전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필터 사용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유출유로(LL2)로 이동한 물(예를 들어, 1차 정수)은 하측캡(115)의 배출구(116)를 거쳐, 연결유로(LL3)를 통해 제1 유출구(CP2)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유출구(CP2)에서 배출된 물은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2 연결부(108)에 형성된 제2 연장유로(LLB)를 거쳐 유출연결구(P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2 유입구(P3)를 통해 제2 필터하우징(105) 내부의 제2 유입유로(LL4)로 유입된 물(예를 들어, 2차 정수)은 제2 필터소재(151)를 통하여 여과되어 제2 유출유로(LL5)로 이동한다.
이때, 제2 필터부(150)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2 유입유로(LL4)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2 유출유로(LL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영역이 넓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필터부(150)의 제2 필터소재(151)와 유입되는 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제2 필터소재(151)를 전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필터 사용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유출유로(LL5)로 이동한 물은 하측캡(155)의 배출구(156)를 통해 제2 유출구(P4)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제1 필터부(1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1 유입유로(LL1)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1 유출유로(LL2)가 형성되며, 제2 필터부(150)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2 유입유로(LL4)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2 유출유로(LL5)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술한 제1 유입유로(LL1)와 제1 유출유로(LL2)의 위치, 그리고 제2 유입유로(LL4)와 제2 유출유로(LL5)의 위치는 도 3 내지 도 5의 도시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유입유로(LL1)와 연결된 제1 유입구(CP1)/유입연결구(P1), 제1 유출유로(LL2)와 연결된 제1 유출구(CP2)/유출연결구(P2), 제2 유입유로(LL4)와 연결된 제2 유입구(P3), 제2 유출유로(LL5)와 연결된 제2 유출구(P4)의 위치 및 순서도 제1 유입유로(LL1), 제1 유출유로(LL2), 제2 유입유로(LL4), 제2 유출유로(LL5)의 배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확대도시를 위하여 상하 방향의 일부를 생략하고 물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와 정수기의 복합필터 장착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와는 달리 제2 필터하우징(105)에 제1 연결부(107) 및 제2 연결부(108)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기재로 갈음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복합필터 조립체(100)에 구비되는 제2 필터하우징(105)은 제1 연결부(107) 및 제2 연결부(108)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하우징(101)에 형성된 제1 유입구(P1a)와 제1 유출구(P2a)는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가지며, 제1 유입구(P1a)를 통하여 제1 필터부(110)에 물이 공급되고, 제1 유출구(P2a)를 통하여 제1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물이 배출된다.
이때, 제1 필터하우징(101)에 형성된 제1 유입구(P1a)와 제1 유출구(P2a), 그리고 제2 필터하우징(105)에 형성된 제2 유입구(P3)와 제2 유출구(P4)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0) 내부의 복합필터 장착부(F)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필터 조립체(200)와 정수기(10)의 내부유로를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복합필터 조립체(200)를 정수기(10)의 내부유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필터 장착부(F)는 제1 유입구(P1a), 제1 유출구(P2a),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유입측 연결포트(Q1), 제1 유출측 연결포트(Q2), 제2 유입측 연결포트(Q3), 제2 유출측 연결포트(Q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입측 연결포트(Q1)와 제1 유출측 연결포트(Q2)에는 제1 유입구(P1a) 및 제1 유출구(P2a)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관(C1, C2)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1 유입구(P1a), 제1 유출구(P2a),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가 대응하는 연결포트(Q1, Q2, Q3, Q4)에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유로 연결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므로, 복합필터 조립체(100)를 정수기(10)의 유로에 장착하거나 유로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유입구(P1a)를 통해 제1 필터하우징(101) 내부의 제1 유입유로(LL1)로 유입된 물(예를 들어, 원수)은 제1 필터소재(111)를 통하여 여과된 후 제1 유출유로(LL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필터부(110)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1 유입유로(LL1)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1 유출유로(LL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출유로(LL2)로 이동한 물(예를 들어, 1차 정수)은 하측캡(115)의 배출구(116)를 거쳐, 연결유로(LL3)를 통해 제1 유출구(P2a)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하우징(105)의 제2 유입구(P3)를 통해 제2 필터하우징(105) 내부의 제2 유입유로(LL4)로 유입된 물(예를 들어, 2차 정수)은 제2 필터소재(151)를 통하여 여과된 후 제2 유출유로(LL5)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필터부(150)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2 유입유로(LL4)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2 유출유로(LL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출유로(LL5)로 이동한 물은 하측캡(155)의 배출구(156)를 거쳐 제2 유출구(P4)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제1 유입유로(LL1)와 제1 유출유로(LL2)의 위치, 그리고 제2 유입유로(LL4)와 제2 유출유로(LL5)의 위치는 도 7의 도시와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유입유로(LL1)와 연결된 제1 유입구(P1a), 제1 유출유로(LL2)와 연결된 제1 유출구(P2a), 제2 유입유로(LL4)와 연결된 제2 유입구(P3), 제2 유출유로(LL5)와 연결된 제2 유출구(P4)의 위치 및 순서도 제1 유입유로(LL1), 제1 유출유로(LL2), 제2 유입유로(LL4), 제2 유출유로(LL5)의 배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정수기(10)의 실시예]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예로 들어 설명한 복합필터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정수기(1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를 적용한 정수기(10)의 일 실시예에 대한 수배관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정수기(1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합필터 조립체(100) 및 메인필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는 여과부(20)로서 복합필터 조립체(100)와 메인필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는 가압부(30)와, 도 6에 도시된 복합필터 장착부(F)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필터 조립체(100)는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필터 조립체(100)와 메인필터(200)를 함께 사용하여 유로를 구성하는 경우, 피처리수(예를 들어, 원수)는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 중 어느 하나, 메인필터(200),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 중 나머지 하나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유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 그리고 메인필터(200)의 유로 연결 구조에 따라,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1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제1 필터부(110)의 제1 유출구(CP2) 및 제2 연결부(108)의 유출연결구(P2)를 통해 배출된 후 메인필터(200)를 거쳐 제2 필터부(150)의 제2 유입구(P3)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거나,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2 필터부(15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제2 필터부(150)의 제2 유출구(P4)를 통해 배출된 후 메인필터(200)를 거쳐 제1 연결부(107)의 유입연결구(P1) 및 제1 필터부(110)의 제1 유입구(CP1)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1 필터부(110)는 유로 상 배치에서 메인필터(200) 및 제2 필터부(150)의 상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메인필터(200) 및 제2 필터부(150)의 하류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의 수배관도에서 제1 필터부(110)가 제2 필터부(150)의 상류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필터부(110)는 단일의 필터요소로 구성될 수 있지만,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필터(복합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107)의 유입연결구(P1) 및 제1 유입구(CP1)를 통해 제1 필터부(110)로 유입된 물은 세디먼트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프리카본 필터를 거쳐 추가적으로 여과된 후 제1 유출구(CP2) 및 제2 연결부(108)의 유출연결구(P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부(150)는 포스트카본 필터를 포함하는 후처리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유입구(P3)를 통해 제2 필터부(150)로 유입된 물은 포스트카본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제2 유출구(P4)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필터(200)는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100)에 구비되는 제1 필터소재(111) 및 제2 필터소재(151)보다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필터(200)는 정수기(10)의 여과부(20)에 구비되는 필터 중에서 가장 미세한 입자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필터(200)로는 역삼투막 필터(RO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필터, 나노필터(나노트랩) 등 공지의 다양한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정수기(10)의 경우 메인필터(200)로서 역삼투막 필터가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메인필터(200)로서 역삼투막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역삼투막 필터에 메인필터(200)와 동일한 도면부호 '200'을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가압부(30)는 메인필터(200), 특히 역삼투막 필터로 공급되는 물을 가압하기 위하여 역삼투막 필터(200)의 전단의 유로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정수기(10)의 복합필터 장착부(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필터 장착부(F)는 제1 유입구(CP1)와 연통하는 유입연결구(P2), 제1 유출구(CP2)와 연통하는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유입측 연결포트(Q1), 제1 유출측 연결포트(Q2), 제2 유입측 연결포트(Q3), 제2 유출측 연결포트(Q4)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합필터 조립체(100)를 대응하는 연결포트(Q1, Q2, Q3, Q4)에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유로 연결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합필터 조립체(100)에 구비되는 제1 유입구(CP1)와 연통하는 유입연결구(P2), 제1 유출구(CP2)와 연통하는 유출연결구(P2), 제2 유입구(P3) 및 제2 유출구(P4)는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포트(Q1, Q2, Q3, Q4)에 동시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유로 연결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여과부(20)의 복합필터 조립체(100) 및 메인필터(200)를 통해 여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수기(10)의 내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여과 및 다양한 부품의 설치를 위하여 다수개의 유로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물의 공급 또는 공급차단을 위하여 온오프되는 피드밸브(FV)의 개방에 따라 피처리수(원수)는 1차필터 입수유로(L1)를 통하여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유입연결구(P1)로 유입된 후 제1 유입구(CP1)을 통해 제1 필터부(110)로 유입된다. 이러한 피드밸브(FV)는 가압부(30)의 전단의 유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차필터 출수유로(L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1차필터 입수유로(L1)에는 원수를 일정량의 압력으로 조정하는 레귤레이터(RV)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연결구(P1)로 유입된 물은 제1 필터부(110)를 통하여 여과되며 제1 필터부(110)에서 1차로 여과된 1차 정수는 제1 유출구(CP2) 및 유출연결구(P2)를 통하여 배출된다.
유출연결구(P2)를 통해 배출된 1차 정수는 1차필터 출수유로(L2)를 통해 가압부(30)로 공급된다. 이때, 1차필터 출수유로(L2)에는 1차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량센서(FS1)와, 피드밸브(FV), 1차 정수의 TDS(총용존고형물)와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 TDS센서(TDS1)와 제1 온도센서(TS1)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30)는, 원수의 압력만으로는 역삼투막 필터(200)에서 충분한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역삼투막 필터(200)에 공급되는 물을 가압하기 위하여 구동될 수 있다.
가압부(30)에서 가압된 1차 정수는 메인필터 입수유로(L3)를 통해 역삼투막 필터(200)로 유입된다. 이때, 메인필터 입수유로(L3)에는 역삼투막 필터(200)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PS)가 설치될 수 있다.
역삼투막 필터(200)로 유입된 1차 정수는 역삼투막 필터(200)에 구비되는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여과된 2차 정수와, 멤브레인을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생활용수)로 분리된다. 농축수는 드레인 유로(LD)를 통해 배수로(D)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드레인 유로(LD)에는 드레인 유로(LD)를 통하여 배수되는 농축수의 양 또는 비율(역삼투막 필터로 유입된 물 중에서 정수로 배출되는 물과 농축수로 배출되는 물의 비율)을 제한하기 위하여 저항밸브(DV)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저항밸브(DV)의 작은 유로 직경에 의해서 역삼투막 필터(200)에 여과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일부의 물은 역삼투막 필터(200)의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여과되고 나머지 물은 농축수로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역삼투막 필터(200)에 구비되는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여과된 2차 정수는 2차필터 입수유로(메인필터 출수유로)(L4)를 통해 제2 유입구(P3)를 통해 제2 필터부(150)로 유입되어 여과된다. 이때, 2차필터 입수유로(메인필터 출수유로)(L4)에는 제2 필터부(150) 측에서 역삼투막 필터(200) 측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CV)와, 역삼투막 필터(200)에서 여과된 2차 정수의 TDS(총용존고형물)와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2 TDS센서(TDS2)와 제2 온도센서(TS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부(150)에서 여과된 2차 정수는 제2 유출구(P4)를 통해 2차필터 출수유로(L5)로 유입되며, 이후 파우셋이나 코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추출부(S1)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2차필터 출수유로(L5)에는 제1 추출부(S1)를 통해 추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량센서(FS2)와,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부여될 때 신호를 생성하는 고압스위치(HPS)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추출부(S1)의 추출이 종료되어 2차필터 출수유로(L5)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고압스위치(HPS)에서 발생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미도시)는 피드밸브(FV)를 오프하거나 가압부(30)의 운전을 정지하여 역삼투막 필터(200)로 보내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제1 필터부(110)만을 통과하여 여과된 1차 정수를 파우셋이나 코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추출부(S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분기유로(L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기유로(L6)는, 복합필터 조립체(100)로부터 메인필터(200)로 공급되는 1차 정수를 메인필터(200)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필터(200) 전단의 유로, 예를 들어 1차필터 출수유로(L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분기유로(L6)의 설치를 통하여 복합필터 조립체(100)에서 여과된 정수의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는, 복수의 필터부를 복합화함으로써 정수기(10)에 구비되는 필터의 전체 개수를 감소시키고 제품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고, 교체되는 필터의 개수가 감소하여 관리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는, 복수의 유입구와 복수의 유출구를 설치함으로써, 유로 구성의 자유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유로 배치 상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필터들을 복합화할 수 있어서 복합화할 수 있는 필터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필터교환주기가 유사한 필터를 복합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는 제1 필터부(110)와 제2 필터부(150)가 분리 가능하므로 일부의 필터만을 교체하거나 다른 필터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연결부(107)의 유입연결구(P1) 및 제2 연결부(108)의 유출연결구(P2)를 구비하지 않고, 제1 유입구(P1)와 제1 유출구(P2)의 설치위치(높이)와 제2 유입구(P3)와 제2 유출구(P4)의 설치위치(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를 도 9에 도시된 정수기(10)에 설치하는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설치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의 설치구조는 제1 유입구(P1a)가 1차필터 입수유로(L1)에 연결되고, 제1 유출구(P2a)가 1차필터 출수유로(L2)에 연결된다는 점과, 복합필터 장착부(F)의 제1 유입측 연결포트(Q1)와 제1 유출측 연결포트(Q2)에 연장관(C1, C2)가 연결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복합필터 조립체(100)가 설치된 정수기의 실시예에는 도 9의 도시로 갈음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정수기 20... 필터부
30... 가압부 100... 복합필터 조립체
101... 제1 필터하우징 101a... 수용부
102... 제1 하우징몸체 103... 제1 하우징캡
104... 제1 접합부 105... 제2 필터하우징
105a... 돌출부 106... 제2 하우징본체
106a... 제2 하우징몸체 106b... 제2 하우징캡
106c... 제2 접합부 107... 제1 연결부
108... 제2 연결부 109... 유출입구 설치면
110... 제1 필터부 111... 제1 필터소재
113... 상측캡 115... 하측캡
116... 배출구 150... 제2 필터부
151... 제2 필터소재 153... 상측캡
155... 하측캡 156... 배출구
200... 메인필터 CH1... 제1 결합구
CH2... 제2 결합구 CP1... 제1 유입구
CP2... 제2 유출구 CM1, CM2... 체결부
CV... 체크밸브 D... 배수로
DV... 드레인 밸브 F... 복합필터 장착부
FV... 피드밸브 FS1... 제1 유량센서
FS2... 제2 유량센서 HPS... 고압스위치
L1... 1차필터 입수유로 L2... 1차필터 출수유로
L3... 메인필터 입수유로
L4... 2차필터 입수유로(메인필터 출수유로)
L5... 2차필터 출수유로 L6... 분기유로
LD... 드레인유로 LL1... 제1 유입유로
LL2... 제1 유출유로 LL3... 연결유로
LL4... 제2 유입유로 LL5... 제2 유출유로
LLA... 제1 연장유로 LLB... 제2 연장유로
P1... 유입연결구 P1a... 제1 유입구
P2... 유출연결구 P2a... 제2 유입구
P3... 제2 유입구 P4... 제2 유출구
PS... 압력센서
Q1... 제1 유입측 연결포트 Q2... 제1 유출측 연결포트
Q3... 제2 유입측 연결포트 Q4... 제2 유출측 연결포트
S1... 제1 사용처 S2... 제2 사용처
TDS1... 제1 TDS센서 TDS2... 제2 TDS센서
TS1... 제1 온도센서 TS2... 제2 온도센서

Claims (16)

  1.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가 형성된 제1 필터하우징;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필터하우징;
    상기 제1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제2 필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제1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2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제2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에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은,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연장유로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유출구와 연결되는 제2 연장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복합필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이 유입연결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유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이 유출연결구와 연결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구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유출구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결합구에 끼움결합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연결구, 유출연결구,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의 일면에 모두 형성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연결구, 유출연결구,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는 그 끝단이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필터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 중에서 어느 하나는 함몰되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필터하우징과 상기 제2 필터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필터요소가 유로상 직렬로 배치된 복합필터로 구성 가능한 복합필터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어느 하나는 전처리 필터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처리 필터로 구성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1 유입유로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1 유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반경방향 외측에 제2 유입유로가 형성되고, 중앙에 제2 유출유로가 형성되는 복합필터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필터 조립체; 및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에 구비되는 필터소재보다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메인필터;
    를 포함하며,
    피처리수는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어느 하나, 상기 메인필터, 상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 중 나머지 하나를 통과하는 유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상기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상기 제2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출구로 물의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상기 제2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출구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포트를 구비하는 복합필터 장착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를 상기 연결포트에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유로 연결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정수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제1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수는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상기 제2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의 제2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수는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필터 전단의 유로에는, 상기 복합필터 조립체로부터 상기 메인필터로 공급되는 정수를 상기 메인필터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분기유로가 구비되는 정수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필터로 공급되는 물을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필터의 전단의 유로에 배치되는 가압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인필터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기.
KR1020190122793A 2019-10-04 2019-10-04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10040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793A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19-10-04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793A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19-10-04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502A true KR20210040502A (ko) 2021-04-14

Family

ID=7547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793A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19-10-04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050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330A (ko) 2021-04-30 2022-11-08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20150711A (ko) 2021-05-04 2022-11-11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WO2022265443A1 (ko) 2021-06-18 2022-12-22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20169164A (ko) 2021-06-18 2022-12-27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WO2023008809A1 (ko) 2021-07-28 2023-02-02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27797A (ko) 2021-08-20 2023-02-28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33052A (ko) 2021-08-26 2023-03-08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49363A (ko) 2021-10-06 2023-04-13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67A (ko) 2002-06-18 2003-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080101567A (ko) 2007-05-18 2008-11-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
KR20090014436A (ko) 2007-08-06 2009-0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67A (ko) 2002-06-18 2003-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20080101567A (ko) 2007-05-18 2008-11-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
KR20090014436A (ko) 2007-08-06 2009-0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330A (ko) 2021-04-30 2022-11-08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20150711A (ko) 2021-05-04 2022-11-11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WO2022265443A1 (ko) 2021-06-18 2022-12-22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20169164A (ko) 2021-06-18 2022-12-27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WO2023008809A1 (ko) 2021-07-28 2023-02-02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27797A (ko) 2021-08-20 2023-02-28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33052A (ko) 2021-08-26 2023-03-08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49363A (ko) 2021-10-06 2023-04-13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0502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584052B1 (ko)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US20070181484A1 (en) Modular reverse osmosis water treatment system
KR2021006097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N106554101B (zh) 一种集成水路板及净水器
CN209636004U (zh) 集成水路系统及净水机
KR100797051B1 (ko)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KR2021003923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N211753964U (zh) 一种过滤装置和过滤系统
KR20210046980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N111499023A (zh) 水路板组件以及净水设备
CN215365131U (zh) 复合过滤器组件和具有该复合过滤器组件的净水器
CN108371843B (zh) 集成水路板组件以及集成水路系统
CN212687743U (zh) 集成水路构件和净水机
CN109420379A (zh) 净水过滤器
CN112340809A (zh) 一种滤芯集成水路系统及净水机
CN107879397B (zh) 一种水路可换向式纯水机用滤芯安装座
CN209989165U (zh) 一种集成水路板净水器
CN214389179U (zh) 水路装置和净水机
CN109650472B (zh) 滤芯和净水装置
CN214383726U (zh) 一种双出水集成水路板及净水机
CN213171536U (zh) 拼接水路装置和净水机
CN219136463U (zh) 滤芯组件和净水系统
CN213171729U (zh) 集成水路构件和净水机
CN218811214U (zh) 净水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