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052A -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052A
KR20230033052A KR1020210113094A KR20210113094A KR20230033052A KR 20230033052 A KR20230033052 A KR 20230033052A KR 1020210113094 A KR1020210113094 A KR 1020210113094A KR 20210113094 A KR20210113094 A KR 20210113094A KR 20230033052 A KR20230033052 A KR 2023003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p member
filter
purified water
l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훈
박찬정
이정훈
한두원
윤성한
강우진
엄주혁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052A/ko
Priority to EP22849785.5A priority patent/EP4360732A1/en
Priority to CN202280052742.1A priority patent/CN117715689A/zh
Priority to PCT/KR2022/010534 priority patent/WO2023008809A1/ko
Publication of KR2023003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C02F1/469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electro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 입수, 제3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나권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를 통해 전처리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이들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나권형 필터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 제조된 나권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성이 향상된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본 발명은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 입수, 제3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나권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를 통해 전처리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이들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나권형 필터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 제조된 나권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성이 향상된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입수된 원수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정수로 여과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 여과를 위해 여러 개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필터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내부에서 필터가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정수기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각각의 필터가 일체화된 복합 필터가 사용되기도 한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40502호에 개시된 정수기에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복합 필터가 구비된다. 복합 필터에는 제1 필터 소재와 제2 필터 소재가 구비되며, 이러한 각각의 필터 소재는 단일의 필터 요소,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항균필터, 각종 기능성 필터 등 공지의 필터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필터에는 역삼투압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농축된 생활용수가 흐르는 유로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역삼투압 필터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GUANGDONG SHUIHUDUN HEALTH TECH CO LTD의 중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12151806호에는 종래의 복합필터가 개시되며, 이러한 복합필터에는 전처리 필터와 후처리 필터가 RO 필터의 내부에 적층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다만, 이러한 복합필터는 전처리 필터와 후처리 필터가 RO 필터의 내부에 적층 배치되므로 일반적인 구조의 RO 필터(센트럴 튜브에 멤브레인이 감겨 있는 구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MIDEA GROUP CO LTD의 중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9307056호에는 종래의 복합필터가 개시되며, 이러한 복합필터에는 PAC 필터와 카본 필터가 RO 필터의 내부에 적층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다만, 이러한 복합필터의 경우에도 PAC 필터와 카본 필터가 RO 필터의 내부에 적층 배치되므로 일반적인 구조의 RO 필터(센트럴 튜브에 멤브레인이 감겨 있는 구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40502호 중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12151806호 중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9307056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 입수, 제3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나권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를 통해 전처리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이들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나권형 필터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 제조된 나권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에는 후처리 필터 부재와 나권형 필터 부재를 고정하는 제2 로워캡 부재가 구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나권형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연결 파이프 부재가 구비되어 출수되는 제3 정수가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파이프 지지 가이드에 의해 제2 로워캡 부재와 연결 파이프 부재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출수되는 제3 정수가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되어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센트럴 튜브에는 나권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되되, 제2 정수가 내부에 구비된 제2 정수 유로로 흐르도록 제2 정수 관통홀이 형성되고, 센트럴 튜브의 중앙에 관통 삽입된 연결 파이프 부재는 센트럴 튜브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제2 정수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제2 정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나권형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제3 로워캡 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센트럴 튜브가 제3 로워캡 부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제3 로워캡 부재의 상부로 제1 정수가 흐르더라도 제3 로워캡 부재의 하부를 통해 흐르는 제2 정수와 혼합되지 않게 되어 제2 정수의 수질 저하 방지 및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센트럴 튜브가 제3 로워캡 부재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센트럴 튜브의 관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센트럴 튜브의 관통 부분을 통해 제2 정수가 제3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어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상향 지지 가이드가 나권형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2 정수의 수질 저하 방지 및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후처리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제2 상향 지지 가이드가 형성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하향 가이드가 제4 로워캡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제2 로워캡 부재와 제4 로워캡 부재 하면 사이의 이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2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제3 정수가 제2 하향 가이드에 형성된 제3 관통홀을 통해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어퍼캡 부재를 통해 나권형 필터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나권형 필터 부재의 상단으로 이동한 생활용수가 제3 상향 가이드를 통해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되므로 생활용수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구획 벽체가 제3 상향 가이드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입수되는 원수와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구획 벽체가 연결 파이프 부재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출수되는 제3 정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와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전처리 필터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를 각각 배치하는 방식으로 전처리 필터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제1 로워캡 부재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적층 배치되면서 전처리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의 적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연결 튜브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면서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1 연결 튜브에 형성된 원수 관통홀을 통해 원수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연결 튜브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2 연결 튜브에 형성된 제1 정수 관통홀을 통해 제1 정수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4 로워캡 부재가 제2 로워캡 부재의 하면에 이격 배치되므로 제3 정수가 원활하게 흐르게 되고, 제4 상향 지지 가이드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제2 로워캡 부재를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제3 정수의 임의 유출 및 원수의 임의 유입을 방지하여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어부를 통해 밸브부를 제어해서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전처리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는 나권형 필터 부재와, 상기 제2 정수를 여과해서 제3 정수를 생성하되, 상기 전처리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적층 배치된 후처리 필터 부재가 구비된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 및 상기 제3 정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전처리 필터 부재와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와,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가 하부에 배치되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는 관통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와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된 제2 로워캡 부재와,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정수와 상기 제3 정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와 결합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파이프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상기 제2 정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제2 정수 관통홀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는 상기 센트럴 튜브의 중앙에 관통 배치되되, 상기 센트럴 튜브와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2 정수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정수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센트럴 튜브가 관통 배치된 제3 로워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3 로워캡 부재는 상기 센트럴 튜브가 관통 배치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3 로워캡 부재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와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3 상향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되는 제2 상향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하향 연장되는 제2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향 가이드는 제2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상기 제3 정수가 흐르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적층 배치된 제3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의 상단으로 이동한 상기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3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 벽체는 상기 제3 상향 가이드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 벽체는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전처리 필터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적층 배치된 제1 로워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를 연결하도록 반경 방향 외측에 제1 연결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 튜브에는 상기 원수가 흐르는 원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를 연결하도록 반경 방향 내측에 제2 연결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 튜브에는 상기 제1 정수가 흐르는 제1 정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2 로워캡 부재가 상면에 이격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제4 로워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를 동시에 감싸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4 상향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원수, 상기 정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 입수, 제3 정수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나권형 필터 부재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의 헤드 부재에는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됨으로써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에는 제1 어퍼캡 부재와 제2 어퍼캡 부재를 통해 전처리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이들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나권형 필터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기 제조된 나권형 필터 부재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에는 후처리 필터 부재와 나권형 필터 부재를 고정하는 제2 로워캡 부재가 구비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나권형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연결 파이프 부재가 구비되어 출수되는 제3 정수가 제2 정수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파이프 지지 가이드에 의해 제2 로워캡 부재와 연결 파이프 부재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출수되는 제3 정수가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되어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센트럴 튜브에는 나권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되되, 제2 정수가 내부에 구비된 제2 정수 유로로 흐르도록 제2 정수 관통홀이 형성되고, 센트럴 튜브의 중앙에 관통 삽입된 연결 파이프 부재는 센트럴 튜브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제2 정수 유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제2 정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나권형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제3 로워캡 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센트럴 튜브가 제3 로워캡 부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제3 로워캡 부재의 상부로 제1 정수가 흐르더라도 제3 로워캡 부재의 하부를 통해 흐르는 제2 정수와 혼합되지 않게 되어 제2 정수의 수질 저하 방지 및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센트럴 튜브가 제3 로워캡 부재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센트럴 튜브의 관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센트럴 튜브의 관통 부분을 통해 제2 정수가 제3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어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상향 지지 가이드가 나권형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2 정수의 수질 저하 방지 및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후처리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제2 상향 지지 가이드가 형성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하향 가이드가 제4 로워캡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제2 로워캡 부재와 제4 로워캡 부재 하면 사이의 이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2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제3 정수가 제2 하향 가이드에 형성된 제3 관통홀을 통해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3 어퍼캡 부재를 통해 나권형 필터 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나권형 필터 부재의 상단으로 이동한 생활용수가 제3 상향 가이드를 통해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되므로 생활용수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구획 벽체가 제3 상향 가이드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입수되는 원수와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구획 벽체가 연결 파이프 부재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출수되는 제3 정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와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전처리 필터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를 각각 배치하는 방식으로 전처리 필터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제1 로워캡 부재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적층 배치되면서 전처리 필터 부재와 후처리 필터 부재의 적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1 연결 튜브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면서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1 연결 튜브에 형성된 원수 관통홀을 통해 원수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2 연결 튜브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와 제1 로워캡 부재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2 연결 튜브에 형성된 제1 정수 관통홀을 통해 제1 정수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4 로워캡 부재가 제2 로워캡 부재의 하면에 이격 배치되므로 제3 정수가 원활하게 흐르게 되고, 제4 상향 지지 가이드가 제2 어퍼캡 부재와 제2 로워캡 부재를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제3 정수의 임의 유출 및 원수의 임의 유입을 방지하여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제어부를 통해 밸브부를 제어해서 원수, 제3 정수 및 생활용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전체 수배관도를 도시한 구성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헤드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어퍼캡 부재와 로워캡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a는 복합 필터의 축 방향을 의미하고, r은 복합 필터의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는 원수(W1)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10), 여과된 정수(C)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20)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W2)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30)가 구비된 하우징부(100), 및 원수(W1)를 여과해서 제1 정수(C1)를 생성하는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제1 정수(C1)를 여과해서 제2 정수(C2)를 생성하는 나권형 필터 부재(50)와, 제2 정수(C2)를 여과해서 제3 정수(C3)를 생성하되,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하부에 적층 배치된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구비된 여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수 입수 포트(10)를 통해 입수된 원수(W1)는 원수 유로(PW1)를 통해 여과부(200)로 이동한 후 여과부(200)에 구비된 전처리 필터 부재(40), 나권형 필터 부재(50) 및 후처리 필터 부재(6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여과되며, 최종적으로 여과된 제3 정수(C3)는 정수 출수 포트(20)를 통해 출수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정수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냉수, 온수 및 얼음 생성을 위해 냉수 생성부, 온수 생성부 및 얼음 생성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정수(C1)는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정수 유로(PC1)를 통해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하측으로 이동한 후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정수(C1)가 나권형 필터 부재(50)에서 여과되면서 발생하는 생활용수(W2)는 생활용수 유로(PW2)로 이동하게 되고, 생활용수 배출 포트(30)를 통해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별도의 튜브를 통해 정수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수(W1) 입수 및 정수(C)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W2)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 전처리 필터 부재(40)는 선카본 필터 또는 MF(Microfiltration) 필터일 수 있고, 후처리 필터 부재(60)는 후카본 필터 또는 MF(Microfiltration) 필터일 수 있다. 또는,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필터 부재(6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이때,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외면에는 별도의 필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필터 부재는 NT 필터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NT 필터 부재는 유입된 원수(W1)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정전기를 띠는 소재, 예컨대 나노 트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소재는 양전하를 띠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W1)에 포함된 음전하를 띤 이물질,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미분 물질 등이 정전기에 의해서 NT 필터 부재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터 부재는 세디먼트 필터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한 나권형 필터 부재(50)는 역삼투압 필터나 중공사막 필터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는 원수(W1)와 생활용수(W2)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111) 및 제3 정수(C3)와 생활용수(W2)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112)가 구비된 헤드 부재(110)와, 헤드 부재(110)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여과부(200)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120)를 포함한다. 즉, 입수되는 원수(W1) 뿐만 아니라 출수되는 제3 정수(C3) 및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복합 필터의 상부로 출수/배출되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헤드 부재(110)에는 원수(W1)가 입수되는 원수 영역(RW1), 제3 정수(C3)가 출수되는 제3 정수 영역(RC3) 및 생활용수(W2)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영역(RW2)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부(100)의 헤드 부재(110)에는 원수(W1), 제3 정수(C3) 및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전술한 제1 및 제2 구획 벽체(111, 112)가 구비됨으로써 원수(W1), 제3 정수(C3) 및 생활용수(W2)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는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된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된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210)와,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된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하부에 배치되되,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된 나권형 필터 부재(50)는 관통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한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하부에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적층 배치된 상태에서 후처리 필터 부재(60)를 고정하는 제2 어퍼캡 부재(220)에는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어퍼캡 부재(210)에는 축 방향(a)을 따라 하향 연장되는 제1 하향 지지 가이드(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향 지지 가이드(211)는 전처리 필터 부재(40)를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되는 제1-1 하향 지지 가이드(211a)와,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1-2 하향 지지 가이드(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어퍼캡 부재(220)에도 축 방향(a)을 따라 하향 연장되는 제2 하향 지지 가이드(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향 지지 가이드(221)는 후처리 필터 부재(60)를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되는 제2-1 하향 지지 가이드(221a)와,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2-2 하향 지지 가이드(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향 지지 가이드(211) 및 제2 하향 지지 가이드(221)가 형성되면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즉, 여과부(200)에는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를 통해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적층 배치되되, 이들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r) 내측에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배치함으로써 기 제조된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제작성이 향상된다. 만일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새롭게 제조하는 경우에도 축 방향(a)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면 두께가 얇게 제조하더라도 동일한 여과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복합 필터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여과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후처리 필터 부재(60)와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상부에 고정 배치된 제2 로워캡 부재(230)와,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어 제2 정수(C2)와 제3 정수(C3)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파이프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 파이프 부재(240)의 내부에는 제3 정수 유로(PC3)가 형성되므로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내부, 즉, 후술하는 센트럴 튜브(51)를 통해 흐르는 제2 정수(C2)와 혼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게 됩니다. 즉, 여과부(200)에는 후처리 필터 부재(60)와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고정하는 제2 로워캡 부재(230)가 구비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반경 방향(r) 내측에 연결 파이프 부재(240)가 구비되어 출수되는 제3 정수(C3)가 제2 정수(C2)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C3)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2 로워캡 부재(230)는 연결 파이프 부재(240)와 결합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파이프 지지 가이드(2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파이프 지지 가이드(231)에 의해 제2 로워캡 부재(230)와 연결 파이프 부재(2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출수되는 제3 정수(C3)가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되어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나권형 필터 부재(50)는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제2 정수(C2)가 내부로 흐르도록 제2 정수 관통홀(51a)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파이프 부재(240)는 센트럴 튜브(51)의 중앙에 관통 배치되되, 센트럴 튜브(51)와 연결 파이프 부재(240)의 사이에 제2 정수(C2)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PC2)가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센트럴 튜브(51)에는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나선 형태로 감기면서 배치되되, 제2 정수(C2)가 내부에 구비된 제2 정수 유로(PC2)로 흐르도록 제2 정수 관통홀(51a)이 형성되고, 센트럴 튜브(51)의 중앙에 관통 삽입된 연결 파이프 부재(240)는 센트럴 튜브(51)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제2 정수 유로(PC2)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제2 정수(C2)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2 정수(C2)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센트럴 튜브(51)가 관통 배치된 제3 로워캡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하부에 제3 로워캡 부재(250)가 배치된 상태에서 센트럴 튜브(51)가 제3 로워캡 부재(25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제3 로워캡 부재(250)의 상부로 제1 정수(C1)가 흐르더라도 제3 로워캡 부재(250)의 하부를 통해 흐르는 제2 정수(C2)와 혼합되지 않게 되어 제2 정수(C2)의 수질 저하 방지 및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C3)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3 로워캡 부재(250)는 센트럴 튜브(51)가 관통 배치되는 제2 관통홀(250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센트럴 튜브(51)가 제3 로워캡 부재(250)에 형성된 제2 관통홀(250a)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센트럴 튜브(51)의 관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센트럴 튜브(51)의 관통 부분을 통해 제2 정수(C2)가 제3 로워캡 부재(250)의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어 정수기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3 로워캡 부재(250)는 나권형 필터 부재(50)와 후처리 필터 부재(6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3 상향 지지 가이드(2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상향 지지 가이드(251)가 나권형 필터 부재(50)와 후처리 필터 부재(60)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2 정수(C2)의 수질 저하 방지 및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C3)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2 로워캡 부재(230)는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되는 제2 상향 지지 가이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향 지지 가이드(232)는 축 방향(a)을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향 지지 가이드(232)는 후처리 필터 부재(60)를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되는 제2-1 상향 지지 가이드(232a)와,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2-2 상향 지지 가이드(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상향 지지 가이드(232)가 형성되면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도 4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2 로워캡 부재(230)는 하향 연장되는 제2 하향 가이드(233)를 포함하고, 제2 하향 가이드(233)는 제2 로워캡 부재(230)의 하부로 이동한 제3 정수(C3)가 흐르는 제3 관통홀(23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처리 필터 부재(6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제3 정수(C3)는 제2 로워캡 부재(230)의 둘레를 통해 제2 로워캡 부재(230)의 하부로 이동한 후 반경 방향(r) 내측으로 이동해서 연결 파이프 부재(24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로워캡 부재(230)에는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 돌기(234)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 지지 돌기(234)가 상호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4 로워캡 부재(28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3 정수(C3)가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즉, 제2 하향 가이드(233)가 제4 로워캡 부재(28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제2 로워캡 부재(230)와 제4 로워캡 부재(280) 하면 사이의 이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2 로워캡 부재(230)의 하부로 이동한 제3 정수(C3)가 제2 하향 가이드(233)에 형성된 제3 관통홀(233a)을 통해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적층 배치된 제3 어퍼캡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어퍼캡 부재(260)를 통해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3 어퍼캡 부재(260)와 제3 로워캡 부재(250)를 통해 나권형 필터 부재(50)가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되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3 어퍼캡 부재(260)는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상단으로 이동한 생활용수(W2)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3 상향 가이드(26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나권형 필터 부재(50)의 상단으로 이동한 생활용수(W2)가 제3 상향 가이드(261)를 통해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되므로 생활용수(W2)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3 어퍼캡 부재(260)에는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감싸도록 축 방향(a)을 따라 하향 연장 배치되는 제3 하향 지지 가이드(262)가 구비될 수 있고, 나권형 필터 부재(50)에는 제3 하향 지지 가이드(262)에 의해 지지되는 별도의 패킹(PK)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구획 벽체(111)는 제3 상향 가이드(261)를 따라 축 방향(a)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획 벽체(111)는 제3 상향 가이드(261)를 따라 축 방향(a)으로 연장 형성되되, 헤드 부재(110)와 바디 부재(120)가 상호 결합될 때 제1 구획 벽체(111)가 제3 상향 가이드(261)의 외면을 덮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제1 구획 벽체(111)가 제3 상향 가이드(261)의 내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제1 구획 벽체(111)가 제3 상향 가이드(261)의 상단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상향 가이드(261)는 생활용수(W2)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센트럴 튜브(51)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즉, 제1 구획 벽체(111)가 제3 상향 가이드(261)를 따라 축 방향(a)으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배출되는 생활용수(W2)가 입수되는 원수(W1)와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C3)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2 구획 벽체(112)는 연결 파이프 부재(240)를 따라 축 방향(a)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획 벽체(112)는 연결 파이프 부재(240)를 따라 축 방향(a)으로 연장 형성되되, 헤드 부재(110)와 바디 부재(120)가 상호 결합될 때 제2 구획 벽체(112)가 연결 파이프 부재(240)의 외면을 덮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제2 구획 벽체(112)가 연결 파이프 부재(240)의 내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제2 구획 벽체(112)가 연결 파이프 부재(240)의 상단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구획 벽체(112)가 연결 파이프 부재(240)를 따라 축 방향(a)으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출수되는 제3 정수(C3)가 배출되는 생활용수(W2)와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최종 출수되는 제3 정수(C3)의 수질 향상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전처리 필터 부재(40)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제2 어퍼캡 부재(220)와 적층 배치된 제1 로워캡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로워캡 부재(270)에는 축 방향(a)을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1 상향 지지 가이드(2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향 지지 가이드(271)는 전처리 필터 부재(40)를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되는 제1-1 상향 지지 가이드(271a)와,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는 제1-2 상향 지지 가이드(27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상향 지지 가이드(271)가 형성되면 전처리 필터 부재(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정수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즉,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상부와 하부에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1 로워캡 부재(270)를 각각 배치하는 방식으로 전처리 필터 부재(4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 공정을 통해 복합 필터의 모듈화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제1 로워캡 부재(270)가 제2 어퍼캡 부재(220)와 적층 배치되면서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필터 부재(60)의 적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1 로워캡 부재(270)를 연결하도록 반경 방향(r) 외측에 제1 연결 튜브(70)가 구비되고, 제1 연결 튜브(70)에는 원수(W1)가 흐르는 원수 관통홀(7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1 연결 튜브(70)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1 로워캡 부재(270)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면서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1 연결 튜브(70)에 형성된 원수 관통홀(70a)을 통해 원수(W1)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 튜브(70)는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외면을 지지하게 되며,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1 로워캡 부재(270)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전처리 필터 부재(40)가 반경 방향(r)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1 로워캡 부재(270)를 연결하도록 반경 방향(r) 내측에 제2 연결 튜브(80)가 구비되고, 제2 연결 튜브(80)에는 제1 정수(C1)가 흐르는 제1 정수 관통홀(8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 튜브(80)를 통해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1 로워캡 부재(270)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면서 복합 필터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2 연결 튜브(80)에 형성된 제1 정수 관통홀(80a)을 통해 제1 정수(C1)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 튜브(80)는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전처리 필터 부재(40)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며,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1 로워캡 부재(270)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전처리 필터 부재(40)가 반경 방향(r)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여과부(200)는 제2 로워캡 부재(230)가 상면에 이격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제4 로워캡 부재(280)를 포함하고, 제4 로워캡 부재(280)는 제2 어퍼캡 부재(220)와 제2 로워캡 부재(230)를 동시에 감싸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4 상향 지지 가이드(2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4 로워캡 부재(280)가 제2 로워캡 부재(230)의 하면에 이격 배치되므로 제3 정수(C3)가 원활하게 흐르게 되고, 제4 상향 지지 가이드(281)가 제2 어퍼캡 부재(220)와 제2 로워캡 부재(230)를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제3 정수(C3)의 임의 유출 및 원수(W1)의 임의 유입을 방지하여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4 로워캡 부재(280)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부(100)의 바디 부재(120)를 사용해서 제3 정수 유로(PC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경우 제1 어퍼캡 부재(210)의 둘레에는 반경 방향(r) 외측으로 제1 지지 돌기(2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의 전체 수배관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원수(W1), 정수(C) 및 생활용수(W2)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300)와, 밸브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300)는 원수(W1)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 밸브(310)와, 제3 정수(C3)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2 밸브(320)와, 생활용수(W2)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 밸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수되는 원수(W1)는 감압 밸브(11)를 거치면서 압력이 감소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어부(400)를 통해 밸브부(300)를 제어해서 원수(W1), 제3 정수(C3) 및 생활용수(W2)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들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수(W1) 입수, 제3 정수(C3) 출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W2)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일체화해서 복합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하우징부(100)의 헤드 부재(110)에는 원수(W1), 제3 정수(C3) 및 생활용수(W2)가 혼합되지 않는 독립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구획 벽체(111, 112)가 구비됨으로써 원수(W1), 제3 정수(C3) 및 생활용수(W2)가 흐르는 튜브가 복합 필터의 상부에 집중되어 다른 부분의 레이아웃 설계 자유도를 제고할 수 있고, 여과부(200)에는 제1 어퍼캡 부재(210)와 제2 어퍼캡 부재(220)를 통해 전처리 필터 부재(40)와 후처리 필터 부재(60)가 적층 배치되되, 이들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r) 내측에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배치함으로써 기 제조된 나권형 필터 부재(50)를 활용해서 복합 필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제작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원수 입수 포트 11 : 감압 밸브
20 : 정수 출수 포트 30 : 생활용수 배출 포트
40 : 전처리 필터 부재 50 : 나권형 필터 부재
51 : 센트럴 튜브 51a : 제2 정수 관통홀
60 : 후처리 필터 부재 70 : 제1 연결 튜브
70a : 원수 관통홀 80 : 제2 연결 튜브
80a : 제1 정수 관통홀 100 : 하우징부
110 : 헤드 부재 111 : 제1 구획 벽체
112 : 제2 구획 벽체 120 : 바디 부재
200 : 여과부 210 : 제1 어퍼캡 부재
211 : 제1 하향 지지 가이드 211a : 제1-1 하향 지지 가이드
211b : 제1-2 하향 지지 가이드 212 : 제1 지지 돌기
220 : 제2 어퍼캡 부재 220a : 제1 관통홀
221 : 제2 하향 지지 가이드 221a : 제2-1 하향 지지 가이드
221b : 제2-2 하향 지지 가이드 230 : 제2 로워캡 부재
231 : 파이프 지지 가이드 232 : 제2 상향 지지 가이드
232a : 제2-1 상향 지지 가이드 232b : 제2-2 상향 지지 가이드
233 : 제2 하향 가이드 233a : 제3 관통홀
234 : 제2 지지 돌기 240 : 연결 파이프 부재
250 : 제3 로워캡 부재 250a : 제2 관통홀
251 : 제3 상향 지지 가이드 260 : 제3 어퍼캡 부재
261 : 제3 상향 가이드 262 : 제3 하향 지지 가이드
270 : 제1 로워캡 부재 271 : 제1 상향 지지 가이드
271a : 제1-1 상향 지지 가이드 271b : 제1-2 상향 지지 가이드
280 : 제4 로워캡 부재 281 : 제4 상향 지지 가이드
300 : 밸브부 310 : 제1 밸브
320 : 제2 밸브 330 : 제3 밸브
400 : 제어부 a : 축 방향
r : 반경 방향 C : 정수
C1 : 제1 정수 C2 : 제2 정수
C3 : 제3 정수 PW1 : 원수 유로
PC1 : 제1 정수 유로 PC2 : 제2 정수 유로
PC3 : 제3 정수 유로 PK : 패킹
RC3 : 제3 정수 영역 RW1 : 원수 영역
RW2 : 생활용수 영역 W1 : 원수
W2 : 생활용수

Claims (18)

  1.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 포트, 여과된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 출수 포트 및 여과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부;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제1 정수를 생성하는 전처리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정수를 여과해서 제2 정수를 생성하는 나권형 필터 부재와, 상기 제2 정수를 여과해서 제3 정수를 생성하되, 상기 전처리 필터 부재의 하부에 적층 배치된 후처리 필터 부재가 구비된 여과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원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구획 벽체 및 상기 제3 정수와 상기 생활용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구획 벽체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상기 헤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여과부가 배치되는 바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전처리 필터 부재와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어퍼캡 부재와,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가 하부에 배치되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는 관통 배치되는 제2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와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된 제2 로워캡 부재와,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정수와 상기 제3 정수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와 결합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파이프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나선 형태로 감기도록 지지하되, 상기 제2 정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제2 정수 관통홀이 형성된 센트럴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는 상기 센트럴 튜브의 중앙에 관통 배치되되, 상기 센트럴 튜브와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2 정수가 흐르는 제2 정수 유로가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정수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센트럴 튜브가 관통 배치된 제3 로워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로워캡 부재는 상기 센트럴 튜브가 관통 배치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로워캡 부재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와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3 상향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상기 후처리 필터 부재가 고정 배치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되는 제2 상향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는 하향 연장되는 제2 하향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향 가이드는 제2 로워캡 부재의 하부로 이동한 상기 제3 정수가 흐르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가 하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적층 배치된 제3 어퍼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어퍼캡 부재는 상기 나권형 필터 부재의 상단으로 이동한 상기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3 상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 벽체는 상기 제3 상향 가이드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 벽체는 상기 연결 파이프 부재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전처리 필터 부재가 상부에 고정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적층 배치된 제1 로워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를 연결하도록 반경 방향 외측에 제1 연결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 튜브에는 상기 원수가 흐르는 원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1 로워캡 부재를 연결하도록 반경 방향 내측에 제2 연결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 튜브에는 상기 제1 정수가 흐르는 제1 정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제2 로워캡 부재가 상면에 이격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제4 로워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로워캡 부재는 상기 제2 어퍼캡 부재와 상기 제2 로워캡 부재를 동시에 감싸도록 상향 연장 배치된 제4 상향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상기 정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1020210113094A 2021-07-28 2021-08-26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33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94A KR20230033052A (ko) 2021-08-26 2021-08-26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EP22849785.5A EP4360732A1 (en) 2021-07-28 2022-07-19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CN202280052742.1A CN117715689A (zh) 2021-07-28 2022-07-19 具有复合过滤器的净水器
PCT/KR2022/010534 WO2023008809A1 (ko) 2021-07-28 2022-07-19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94A KR20230033052A (ko) 2021-08-26 2021-08-26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052A true KR20230033052A (ko) 2023-03-08

Family

ID=8550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94A KR20230033052A (ko) 2021-07-28 2021-08-26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3052A (ko)
CN (1) CN11771568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07056U (zh) 2018-10-31 2019-08-27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复合滤芯和具有其的水处理装置
CN212151806U (zh) 2020-02-15 2020-12-15 广东水护盾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滤芯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21-04-14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07056U (zh) 2018-10-31 2019-08-27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复合滤芯和具有其的水处理装置
KR20210040502A (ko) 2019-10-04 2021-04-14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N212151806U (zh) 2020-02-15 2020-12-15 广东水护盾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滤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15689A (zh)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2753C1 (ru) Составной композит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картридж и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картридж
CN203904091U (zh) 反渗透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设备
KR101584052B1 (ko)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WO2018161441A1 (zh) 净水系统
JP2009525846A (ja) モジュール型逆浸透水処理システム
CN110304750A (zh) 复合滤芯组件和净水系统
CN108569727B (zh) 净水系统
KR20230033052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RU2667289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KR101741775B1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WO2018161439A1 (zh) 复合滤芯、复合滤芯组件及净水系统
CN208038156U (zh) 反渗透净水机
KR20230027797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17532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18727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EP4360732A1 (en)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KR20220150711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209872549U (zh) 一种四合一复合滤芯及其净水器
KR101711570B1 (ko) 와류 형성을 위한 개방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필터 모듈
CN112479409A (zh) 反渗透复合滤芯
KR20220169164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KR20230049363A (ko)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N219681926U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KR102500667B1 (ko) 다단 복합 정수필터 조립체
JPH11253935A (ja) 浄水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