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699A - 밀대 - Google Patents

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699A
KR20220150699A KR1020210057994A KR20210057994A KR20220150699A KR 20220150699 A KR20220150699 A KR 20220150699A KR 1020210057994 A KR1020210057994 A KR 1020210057994A KR 20210057994 A KR20210057994 A KR 20210057994A KR 20220150699 A KR20220150699 A KR 20220150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ing
main body
push rod
fixing
recess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환
민선웅
김은미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05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699A/ko
Priority to CN202220773059.4U priority patent/CN218165202U/zh
Publication of KR2022015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대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포가 결합되며, 청소하기 위한 밀대로서, 손잡이 봉의 선단이 고정되며, 둘레에 복수 개의 함몰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함몰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청소포를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 중 어느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1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 중 다른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2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탈거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밀대{Mop}
본 발명은 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는 손잡이 봉과 본체가 결합되며, 본체에 걸레나 청소포 등과 같은 각종 클리닝 부재를 결합시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장소에서 바닥이나 각종 청소면을 닦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 기구이다.
구체적으로, 밀대는 직물이나 부직포 소재로 제작된 클리닝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본체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클리닝 부재가 본체의 바닥면을 감쌀 수 있도록 클리닝 부재의 모서리를 결합시킨 후, 클리닝 부재가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손잡이를 이용하여 밀대의 본체를 전후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각종 이물질을 닦아내어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밀대의 경우, 사용자가 앉아서 바닥 등과 같은 청소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닦아내지 않고 선자세로 이동하며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넓은 공간을 빠르게 청소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밀대의 본체에는 부직포 등의 청소포를 탈착하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결합홈으로 부직포 등의 청소포를 끼움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복수개의 결합홈은 청소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청소포의 모서리에 대응된 위치에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청소 중에 청소포를 교체하려고 하면, 4개 이상의 결합홈에 끼워진 청소포를 일일이 분리한 후에, 결합홈에 다시 새 청소포를 일일이 끼움 결합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포 교체 시, 일일이 결합홈에서 청소포를 끼움 결합해야되는 번거로움 없이 청소포를 한번에 고정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청소포가 결합되며, 청소하기 위한 밀대로서, 손잡이 봉의 선단이 고정되며, 둘레에 복수 개의 함몰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함몰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청소포를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 중 어느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1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 중 다른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2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탈거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은,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깊이가 가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은, 상기 고정링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내부에 인입되는 제1 함몰홈과, 상기 고정링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외부에 위치하는 제2 함몰홈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에 선단이 고정되는 상기 손잡이 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봉의 일단에는 힌지 회전한 상기 고정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링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봉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은, 상기 손잡이 봉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고정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링은, 크기가 상이하고 중심이 동일한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함몰홈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링을 한꺼번에 수용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링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외 방향으로 상기 청소포를 이중으로 고정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에 장착된 플레이트, 탄성재 및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의 내삽되어 고정되는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재가 고정되는 돌기부 및 정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패드를 볼록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대는 청소포 교체 시, 일일이 결합홈에서 청소포를 끼움 결합 해야되는 번거로움 없이 청소포를 한번에 고정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고정링이 본체의 전방측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부분을 A-A', B-B', C-C', I-I', H-H' 및 G-G'방향으로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의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부분을 D-D', E-E', F-F', L-L', K-K'및 J-J'방향으로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청소포가 밀대에 끼워지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손잡이봉 및 고정링이 결합된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부분을 절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부분을 절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도면이고, 도 2는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고정링이 본체의 전방측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부분을 A-A', B-B', C-C', I-I', H-H' 및 G-G'방향으로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a) 및 (b)는 도 3의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부분을 D-D', E-E', F-F', L-L', K-K'및 J-J'방향으로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청소포가 밀대에 끼워지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대(1)는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소포(70)가 결합되며 손잡이 봉(10), 본체(20) 및 고정링(30)을 포함한다.
먼저, 청소포(70)는 오염 물질을 닦아내는 용도이며, 부직포 등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고, 실시하기에 따라 물걸레 또는 다양한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청소포(70)는 밀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밀대(1)의 본체(20)의 크기와 대응되는 적합한 크기의 청소포(70)가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 봉(10)은 바 형태의 구조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잡는 부분이 회전도 가능하여 본체(2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봉(10)은 일면에 고정홈(10h)이 마련되어 실시하기에 따라 고정홈(10h)에서 고정링(30)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20)는 손잡이 봉(10)의 선단이 결합되며, 결합된 부분이 회전도 가능하여 사용자가 유연하게 본체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둘레에는 복수개의 함몰홈(20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직사각 모양의 구조이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직사각형 모양의 둘레를 따라 함몰홈(20h)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의 함몰홈(20h)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구조이며, 고정링(30)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링(30)과 대응된 위치에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함몰홈(20h)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태의 오목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고정링(30)이 내삽되어 회전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함몰홈(20h)이 반원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 형태 이외에도 고정링(30)이 내삽되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모양으로도 채택될 수 있다.
함몰홈(20h)은 고정링(30)과 끼움 결합될 수 있고, 본체(2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깊이가 가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20)의 함몰홈(20h)은 고정링(30)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내부에 인입되는 제1 함몰홈(21h)과, 고정링(30)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외부에 위치하는 제2 함몰홈(22h)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30)은 본체(20)의 함몰홈(20h)에 끼움 결합되어 청소포(7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링(30)은 함몰홈(20h)의 직경보다 좁게 마련되어 함몰홈(20h)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몰홈(20h) 안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링(30)은 탄성이 함유된 실리콘,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고정링(3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이외의 약간의 탄성과 고정력이 함유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링(30)은 실시하기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링의 형태가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특징인 본체(20)와 고정링(30)이 결합된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방향을 설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밀대(1)의 x축 방향을 장축 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단축 방향이라 하며, 손잡이 봉(10)이 위쪽으로 가도록 하여 손잡이 봉(10)을 세웠을 때 z축 방향을 따라 위쪽이라 지칭하고 그 반대 쪽을 아래 쪽이라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본체(20)의 함몰홈(20h)은 본체(2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데, 함몰홈(20h)의 높이가 평평하다 낮아지고 다시 평평해지도록 가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홈(20h)은 고정링(30)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내부에 인입되는 제1 함몰홈(21h)과, 고정링(30)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외부에 위치하는 제2 함몰홈(22h)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함몰홈(21h)에는 고정링(30)이 완전히 결속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함몰홈(22h)에는 고정링(30)의 일부만 끼워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밀대(1)를 A-A', B-B', C-C', I-I', H-H' 및 G-G' 방향으로 각각 잘라서 절취된 단면을 살펴보면, 제1 함몰홈(21h)에는 고정링(30)이 완전히 결합되나, 제2 함몰홈(22h)에서는 고정링(30)이 일부만 결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의 (a)의 A-A' 및 C-C'는 본체(20)의 제1 함몰홈(21h)에 고정링(30)이 완전히 끼움 결합되나, 도 4의 (a)의 B-B'를 살펴보면, 제2 함몰홈(22h)에는 고정링(30)이 완전히 끼움 결합되지 않은 형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A-A', B-B' 및 C-C'와 수평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 있는 I-I', H-H' 및 G-G'도 위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의 밀대(1)를 D-D', E-E', F-F', L-L', K-K'및 J-J'방향으로 각각 잘라서 절취된 단면을 살펴보면, 제1 함몰홈(21h)에는 고정링(30)이 완전히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A-A', B-B', C-C', I-I', H-H' 및 G-G'에는 고정링(30)이 본체(20)에 일부만 결합되며, D-D', E-E', F-F', L-L', K-K'및 J-J'에는 고정링(30)이 완전히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본체(20)의 좌측(A-A', B-B'및 C-C')에 고정링(30)을 완전히 결합되고, 결합된 부분의 반대 방향인 우측(I-I', H-H' 및 G-G')에는 고정링(30)을 탈거될 수 있다.
반대로, 본체(20)의 우측(I-I', H-H' 및 G-G')에 위치한 고정링(30)을 완전히 결합되고, 좌측(A-A', B-B'및 C-C')에 위치한 고정링(30)을 탈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대의 본체(20)의 일부는 고정링(30)이 완전히 결합되고, 반대의 부분은 완전히 탈거되는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본체(20)에서 고정링(30)을 탈거시켜 청소포(70)를 제거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B 및 C에 위치한 고정링(30)을 본체(20)에 완전히 결합시키고, I, H 및 G에 위치한 고정링(30)을 탈거시키기 위해, I, H 및 G에 위치한 고정링(30)을 손잡이 봉(10) 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I, H 및 G에 위치한 고정링(30)은 제1 함몰홈(21h) 및 제2 함몰홈(22h)에서 완전히 탈거되고, D, E, F, L, K 및 J에 위치한 고정링(30)도 자연스럽게 탈거될 수 있다.
반대로, I, H 및 G에 위치한 고정링(30)과 본체(20)는 결합되고, A, B 및 C에 위치한 고정링(30)을 탈거 시키게 되면, D, E, F, L, K 및 J에 위치한 고정링(30)도 본체(20)에서 자연적으로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청소포(70)를 본체(20)의 D, E, F, L, K 및 J 사이 공간으로 집어 넣고 다시 A, B 및 C가 회전축이 되어 I, H 및 G를 본체(20)의 함몰홈(20h)에다가 청소포(70)를 끼운 다음 고정링(30)을 누르게 되면, 도 6의 (a), (b) 및 (c)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함몰홈(21h)에는 청소포(70) 및 고정링(30)이 끼워질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함몰홈(20h)에 위치한 고정링(30)이 한번에 결합되는 구조가 구현되어 손쉽게 청소포(70)를 제거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함몰홈에 결합된 고정링(30)이 완전히 끼워져 결합된 형태가 아니라, 제1 함몰홈(21h)에만 끼움 결합된 구조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고도 편리하게 고정링(30)을 본체(20)에서 탈거 또는 끼울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링(30)은, 복수 개의 함몰홈(20h) 중 어느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1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복수 개의 함몰홈(20h) 중 다른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2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복수 개의 함몰홈(20h)으로부터 분리되어 탈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봉(10) 기준으로 좌측을 일측이라 지칭하고, 우측을 타측이라 지칭하여 설명하면, 일측에서는 함몰홈(20h)과 고정링(30)이 고정 결합되나, 타측은 완전히 탈거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위치한 함몰홈(20h)과 고정링(30)이 결합된 둥근 모양을 이용하여 타측에 위치한 고정링(30)이 손잡이 봉(10)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타측에 위치한 함몰홈(20h)에 고정링(30)을 완전히 결합시키고, 일측에 위치한 고정링(30)을 완전히 탈거 시키면 손잡이 봉(1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0)은 본체의 장축 방향에서만 결합되어, 힌지 회전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밀대를 미는 방향을 전방(C-C'에서 G-G'의 장축 방향)이라 지칭하고, 전방의 반대 방향을 후방(A-A'에서 I-I'의 장축 방향)이라 지칭하여 설명하면, 전방에 위치한 본체의 함몰홈(20h)과 고정링(30)이 완전히 결합될 수 있고, 후방에 위치한 본체의 함몰홈(20h)과 고정링(30)을 완전히 탈거될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되어, 힌지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 어느 방향에서든 본체(20)에 고정링(30)을 결합 또는 제거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되고, 힌지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어느 방향에서든 고정링(30)을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본체(20)에서 고정링(30)을 쉽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청소포(70)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손잡이봉 및 고정링이 결합된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30)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함몰홈(20h)은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의 고정링(30)의 위치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체(20)의 함몰홈(20h)은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일측에 고정링(30)이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제1 함몰홈(21h) 및 제2 함몰홈(22h)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함몰홈(21h)은 고정링(30)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내부에 인입되는 홈이며, 제2 함몰홈(22h)은 고정링(30)의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외부에 위치하는 홈이다. 또한,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타측에도 일측과 같은 형태의 함몰홈(20h)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같은 크기의 둘레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20)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위치하는데, 일측 및 타측에서 본체(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밀대의 고정링(3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본체(20)에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정한 방향인 장축 방향에는 복수개의 고정링(30)이 본체(20)에 일부만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20)에 고정링(30)이 일부만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고정링(30)을 본체(20)에 결합 또는 제거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된다. 이뿐만 아니라 단축 방향에서 고정링(30)이 본체(20)에 결합 또는 제거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되어, 어느 방향에서든 복수개의 고정링(30)이 탈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밀대(10)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함몰홈(22h) 안으로 손가락을 넣어 들어 올리는 행위를 통해 함몰홈(20h)에 결합된 고정링(30)을 한번에 탈거 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봉(10)의 일단에는 고정홈(10h)이 마련되어, 고정링(30)이 손잡이 봉(10)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여 고정링(30)의 일단이 손잡이 봉(10)의 고정홈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에 위치한 고정링(30)은 함몰홈(20h)에도 결합되고, 손잡이 봉(10)의 고정홈(10h)에도 고정될 수 있으며, 타측에 위치한 고정링(30)은 함몰홈(20h)에도 결합되고, 손잡이 봉(10)의 고정홈(10h)에도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손잡이 봉(10)을 수직으로 세우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청소포(70)를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고정하여, 청소포(70)를 견고히 고정하여 청소포(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링(30)을 통해 청소포(70)도 복수개로 마련하여, 본체(20)의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청소포(70)의 일면이 오염되면, 일측에 부착한 청소포(7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개의 고정링(30)은 실시하기에 따라 본체(20)의 단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본체(20)의 함몰홈(20h) 에 결합되며, 후방에 위치한 고정링(30) 및 함몰홈(20h)은 완전히 탈거될 수 있다. 반대로, 후방에 위치한 고정링(30) 및 함몰홈(20h)은 완전히 결합되고, 전방에 위치한 고정링(30) 및 함몰홈(20h)은 탈거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링(30)에 위치한 함몰홈(20h)은 단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도면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본체 및 고정링이 결합된 부분을 절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중심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함몰홈(20h)은 복수개의 고정링(30)이 한꺼번에 수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직경이 좁으며, 함몰홈(20h)에 이중으로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청소포(70)의 두께에 따라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 봉(10)을 기준으로 일측에 복수개로 중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홈(20h)에 삽입된 복수 개의 고정링(30)은 수평 방향으로 각각 위치하여, 얇은 두께에 청소포(7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물걸레와 같이 두께가 있는 청소포(70)는 고정링(30)을 위 아래로 고정하여 단단하게 물걸레를 잡아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30)은 복수 개로 얇게 마련되어, 함몰홈(20h)에 중첩되도록 내삽됨으로써, 청소포(70)의 종류 상관없이 견고하게 청소포(70)를 단단히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밀대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30)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본체(20)의 내외 방향으로 청소포(70)를 외측 및 내측에서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함몰홈(20h)은 본체(20)의 외측 및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함몰홈(20h)과 결합되는 고정링(30)도 함몰홈(20h)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20)의 함몰홈(20h)의 크기는 외측보다 내측의 둘레가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내측에 위치한 고정링(30)이 외측에 위치한 고정링(30)보다 둘레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링(30)은 청소포(70)를 외측 및 내측에서 이중으로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본체(20)의 고정홈(10h)과 고정링(30)을 외측 및 내측에서 결합되는 복수개로 설명하였으나 복수개 이상으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분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대(1)는 본체(20)의 하부 방향에 장착된 플레이트(40), 탄성재(50) 및 패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대의 플레이트(40)는 바디플레이트(41) 및 지지플레이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41)는 본체(20)에 내삽되어 위치하며, 본체(20)와 같은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마련되며, 본체(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2)는 바디플레이트(41)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고, 돌기부(421) 및 돌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2)의 돌기부(421)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탄성재(5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플레이트(42)의 돌출부(422)는 정중앙에 위치하여, 패드(60)를 정중앙으로 볼록하도록 모양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플레이트(42)의 돌출부(4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형성되었으나, 넓은 면적의 한 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재(50)는 스펀지, 고무 또는 수지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재(50)는 주변 부분이 지지플레이트(52)의 돌기부(421)에 체결됨에 따라 플레이트(40)에 고정될 수 있다.
패드(60)는 걸레와 같은 패브릭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422)를 통해 정중앙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드(60)는 정중앙이 볼록하여, 사용자가 세게 힘을 가하지 않아도,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조합이나,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추가적인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밀대 10: 손잡이 봉
20: 본체 30: 고정링
40: 플레이트 41: 바디플레이트
42: 지지플레이트 421: 돌기부
422: 돌출부 50: 탄성재
60: 패드 70: 청소포

Claims (10)

  1. 청소포가 결합되며, 청소하기 위한 밀대로서,
    손잡이 봉의 선단이 고정되며, 둘레에 복수 개의 함몰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함몰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청소포를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 중 어느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1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 중 다른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제2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탈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은,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깊이가 가변되는 형태를 갖는, 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은,
    상기 고정링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내부에 인입되는 제1 함몰홈과,
    상기 고정링의 단면 중 두께가 최대인 지점이 외부에 위치하는 제2 함몰홈을 갖는, 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함몰홈이 형성된, 밀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선단이 고정되는 상기 손잡이 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봉의 일단에는 힌지 회전한 상기 고정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밀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봉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은,
    상기 손잡이 봉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고정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밀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크기가 상이하고 중심이 동일한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함몰홈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링을 한꺼번에 수용 가능한 형태를 갖는, 밀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외 방향으로 상기 청소포를 이중으로 고정 가능한, 밀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에 장착된 플레이트, 탄성재 및 패드를 더 포함하는, 밀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의 내삽되어 고정되는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재가 고정되는 돌기부 및 정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패드를 볼록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밀대.
KR1020210057994A 2021-05-04 2021-05-04 밀대 KR20220150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94A KR20220150699A (ko) 2021-05-04 2021-05-04 밀대
CN202220773059.4U CN218165202U (zh) 2021-05-04 2022-04-06 拖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94A KR20220150699A (ko) 2021-05-04 2021-05-04 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699A true KR20220150699A (ko) 2022-11-11

Family

ID=8404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94A KR20220150699A (ko) 2021-05-04 2021-05-04 밀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50699A (ko)
CN (1) CN218165202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165202U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2159C2 (ru) 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04306B1 (ko) 유지구 및 이러한 유지구를 이용한 청소 물품
CA2120127C (en) De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ing optical surfaces
ES2929720T3 (es) Dispositivos de limpieza para la limpieza de lugares de difícil acceso
KR20220150699A (ko) 밀대
KR20220052869A (ko) 다용도 빗자루
CA3089427A1 (en) An improved brush
CN101873820B (zh) 清洁装备
CN217310158U (zh) 清洁工具
KR102236393B1 (ko) 청소용 롤 크리너
JP4285791B2 (ja) 清掃具
JP2014064605A (ja) 左右開閉型払拭体保持具、払拭体及び清掃用具
JP2005278683A (ja) モップ
KR20200092609A (ko) 각도 가변형 손잡이가 구비된 세척브러쉬
JPH08266456A (ja) モップの拭布取付台
KR200428061Y1 (ko) 빗자루 겸용 물걸레 청소구
WO2005048805A1 (en)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JP2018198686A (ja) モップヘッドと操作棒との連結構造およびモップ
CN219126239U (zh) 一种不易变形的拖把头
WO2019065181A1 (ja) 掃除具
KR102567765B1 (ko) 손잡이 자립 기능을 갖는 청소용구
GB2203932A (en) Cleaning implement
KR101937984B1 (ko) 다기능 밀대형 청소도구
KR200143038Y1 (ko) 먼지 털이기
JP2017136130A (ja) 除塵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