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61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610A
KR20220150610A KR1020210057814A KR20210057814A KR20220150610A KR 20220150610 A KR20220150610 A KR 20220150610A KR 1020210057814 A KR1020210057814 A KR 1020210057814A KR 20210057814 A KR20210057814 A KR 20210057814A KR 20220150610 A KR20220150610 A KR 20220150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support
display device
fron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균
최성필
박용환
손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610A/ko
Priority to PCT/KR2022/004365 priority patent/WO2022234954A1/ko
Priority to EP22799000.9A priority patent/EP4290302A1/en
Publication of KR2022015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610A/ko
Priority to US18/244,637 priority patent/US202304180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빛샘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방 섀시와, 상기 후방 섀시에 설치되고 광을 출력하는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도록 마련되는 액정 패널과, 상기 후방 섀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미들 몰드 및 상기 액정 패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전방 섀시로서, 상기 미들 몰드에 대해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미들 몰드에 결합되는 전방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빛샘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은 TN(Twist Nematic) 패널과, VA(Vertical Align) 패널과, IPS(In Plane Switching)모드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IPS모드 패널은 액정의 배열 구조 특성상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빛샘 현상이 다른 패널 대비 많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빛샘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액정 패널이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액정 패널의 휨량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액정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제공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방 섀시와, 상기 후방 섀시에 설치되고 광을 출력하는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도록 마련되는 액정 패널과, 상기 후방 섀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미들 몰드 및 상기 액정 패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전방 섀시로서, 상기 미들 몰드에 대해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미들 몰드에 결합되는 전방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액정 패널을 상기 전방 섀시에 부착시키도록, 일 면이 상기 액정 패널과 접착되고 타 면이 상기 전방 섀시와 접착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이 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접착부재가 후방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전방 섀시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미들 몰드는, 상기 전방 섀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미들 몰드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섀시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섀시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몰드는, 상기 전방 섀시의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미들 몰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섀시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섀시는,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마련되고, 상기 액정 패널을 상기 전방 섀시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되는 접착부재가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제1완충부재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섀시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제2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와 상기 제2완충부재는 각각 폼 테이프(Foam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토퍼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의 면적과, 상기 완충부재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 및 상기 완충부재의 수축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방 섀시의 전방으로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은 IPS(In Plane Switching)모드 액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공급되는 광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패널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서포트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액정 패널의 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서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을 상기 서포트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이 상기 제1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서포트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포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제1완충부재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포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은 IPS(In Plane Switching)모드 액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빛샘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이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액정 패널의 휨량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제공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우징은 미들 몰드(30)와 후방 섀시(40)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는 전방 섀시(20)를 가리킬 수 있다.
이하에서, X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을 가리키고, Y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을 가리키며, Z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하 방향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시부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10)과, 액정 패널(10)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따.
액정 패널(10)은 전압 및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은 광원 모듈(50)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원 모듈(50)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은 다양한 종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은 TN(Twist Nematic) 패널과, VA(Vertical Align) 패널과, IPS(In Plane Switching)모드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은 IPS 모드 패널일 수 있다. IPS모드 패널은 액정의 배열 구조 특성상 액정 패널의 휨으로 인한 빛샘 현상이 다른 패널 대비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액정 패널(10)의 빛샘 현상을 줄이기 위해 액정 패널(10)의 휨량을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액정 패널(10)은 전후 방향으로 매우 얇게 마련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 휨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광원 모듈(50)은 액정 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10)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광원 모듈(50)은 광원(11)이 액정 패널(10)의 복수의 장변과 복수의 단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 측에 배치되는 엣지형(Edge Type)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광원 모듈은 광원이 액정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광을 액정 패널에 직접 조사하는 직하형(Direct Type)일 수 있다.
광원 모듈(50)은 광원(51)과 광원(51)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5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50)은 엣지형일 수 있다.
광원(51)은 액정 패널(10)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원(51)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광원으로 냉음극 형광 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52)에는 복수의 광원(1151이 액정 패널(10)의 모서리를 따라서 일렬로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2)에는 광원(51)에 구동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2)은 후방 섀시(40)에 설치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원(5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거나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을 반사시켜 광 손실을 방지하는 반사 시트(Reflector Sheet)(60)와, 광원(51)에서 발산되는 광을 액정 패널(10) 측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주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70)과, 광 특성을 향상시키는 각종 광학 시트(Optical Sheet)(81,82,8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광원(51)에서 발산되는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70)의 후면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시트, 필름, 판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시트(60)는 모재(Base Material)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모재로는 SUS, BRASS, Aluminum, 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고반사 코팅제로 Silver, Ti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인쇄회로기판(52)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광판(70)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Acryl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70)에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도광판(70)은 광원(51)으로부터 발산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7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70)은 도광판(70)에 입사된 광이 액정 패널(10)을 향하여 출사되는 출사면(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광원 모듈(50)에서 광원(51)은 도광판(7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도광판(70)의 입사면(71)은 광원(51)과 마주보는 도광판(7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70)의 입사면(71)으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70)의 후면에 형성된 패턴에서 산란되어 도광판(70)의 출사면(72)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도광판(70)은 반사 시트(6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광판(70)은 열팽창을 고려하여 도광판(70)의 입사면(71)이 광원(51)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81,82,83)는 도광판(70)에서 출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도광판(7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81,82,83)는 양자점 시트(Quantum Dot Sheet)(81)와, 확산 시트(Diffuser Sheet)(82)와, 프리즘 시트(83)를 포함할 수 있다.
양자점 시트(81)는 빛의 파장을 변화시켜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색 재현도는 자연색에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한 척도이며, 색 좌표 상에서 얼마나 넓은 면적을 표현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것이다. 양자점 시트(81)는 광원(51)으로부터 발산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자점 시트(81)의 내부에는 빛을 내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인 양자점(Quantum Dot)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양자점은 청색 광을 받아 그 크기에 따라 가시광선의 모든 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양자점의 크기가 작을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고 크기가 클수록 긴 파장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확산 시트(82)는 도광판(70)의 패턴을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광판(70)을 통해 안내된 광은 직접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도광판(70)의 패턴이 그대로 눈에 비치게 되므로 확산 시트(82)는 이를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킨다.
프리즘 시트(83)는 확산 시트(82)를 지나면서 휘도가 급격히 떨어진 광을 다시 집중시켜서 광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83)로는 고휘도 프리즘 시트인 디베프(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광학 시트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 유입으로부터 광학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Protection She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자점 시트(81), 확산 시트(82) 및 프리즘 시트(83) 중 적어도 두 개의 성능이 복합된 복합 시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광학 시트(81,82,83)는 도광판(70)과 액정 패널(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시트(81,82,83)는 도광판(70)과 액정 패널(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미들 몰드(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액정 패널(10)과 광원 모듈(50)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전방 섀시(20)와, 미들 몰드(30) 및 후방 섀시(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섀시(20)는 액정 패널(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은 전방 섀시(20)에 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후방 섀시(40)에는 광원 모듈(50)이 설치될 수 있다. 후방 섀시(40)는 광원 모듈(50)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부(41)와, 바텀부(4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측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부(41)에는 광원 모듈(50)의 인쇄회로기판(52)이 안착될 수 있다.
후방 섀시(40)는 광원(5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광원(51)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쇄회로기판(52)을 거쳐 후방 섀시(40)로 전달되고, 후방 섀시(40)에서 방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방 섀시(40)는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SUS 등의 각종 금속 재질, 또는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52) 역시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재질의 메탈 PCB가 사용될 수 있다.
미들 몰드(30)는 후방 섀시(40)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몰드(30)는 후방 섀시(40)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미들 몰드(30)는 미들 몰드 바디(31)와, 미들 몰드 바디(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미들 몰드 레그(32)와, 전방 섀시(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33)와, 전방 섀시(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몰드 바디(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들 몰드 레그(32)는 미들 몰드 바디(31)의 일 측으로부터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들 몰드 레그(32)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미들 몰드 레그(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미들 몰드 레그(32) 사이에는 바텀 측부(42)가 끼워질 수 있다.
전방 섀시(20)는 미들 몰드(30)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은 전방 섀시(20)에 부착될 수 있다. 전방 섀시(20)와 액정 패널(10) 사이에는 접착부재(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110)는 액정 패널(10)을 전방 섀시(20)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착 부재(110)는 폼 테이프(Foam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110)는 양면 폼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110)의 일 면은 액정 패널(10)의 후면의 테두리 영역과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110)의 타 면은 전방 섀시(20)의 베이스부(23)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110)에 의해, 액정 패널(10)은 전방 섀시(2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방 섀시(20)는 미들 몰드(3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은 전방 섀시(20)에 고정되고, 액정 패널(10) 및 전방 섀시(20)가 미들 몰드(30)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몰드(30)는 후방 섀시(4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 섀시(40)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섀시(20)가 미들 몰드(3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전방 섀시(20)의 전후방 이동으로 인해 액정 패널(10)이 미들 몰드(3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액정 패널(10)이 후방을 향해 힘을 받았을 때, 액정 패널(10)은 소정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패널(10)이 후방으로 힘을 받으면, 접착부재(110)가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압축되고, 접착부재(110)가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 길이만큼 액정 패널(10) 및 전방 섀시(2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은 액정 패널(10)의 휨으로 인해 빛샘에 취약한 IPS 모드 패널일 수 있다. 액정 패널(10)의 휨으로 인한 빛샘을 줄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액정 패널(10)의 휨량을 줄이는 방안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의 휨량을 줄임으로써 액정 패널(10)의 휨으로 인한 빛샘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10)이 후방으로 힘을 받으면, 액정 패널(10)의 일 부분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은 전방 섀시(20)에 고정된다. 즉, 후방으로 힘을 받은 액정 패널(10)의 일 부분과, 전방 섀시(20)에 의해 지지되는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액정 패널(10)이 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이 후방으로 힘을 받으면,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섀시(20)가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섀시(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후방으로 힘을 받은 액정 패널(10)의 일 부분과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액정 패널(10)의 휨량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이 후방으로 힘을 받으면 액정 패널(10)이 휘게 되고, 액정 패널(10)의 휨으로 인해 빛샘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이 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 액정 패널(10)의 휨량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빛샘을 줄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은 후방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짐으로써 액정 패널(10)의 휨량 및 빛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몰드(30)는 전방 섀시(2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미들 몰드(3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4)는 전방 섀시(20)의 후술할 슬라이드부(21)가 미들 몰드(3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34)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4)는 미들 몰드 바디(31)를 관통하는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이드부는 홈(groove)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방 섀시(20)는 가이드부(34)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섀시(20)는 슬라이드부(21)가 가이드부(34)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부(21)는 베이스부(23)의 일 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21)는 가이드부(34)에 삽입되고, 가이드부(34)에 삽입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부(22)는 베이스부(23)의 타 측으로부터 후방된 후 측방으로 연장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22)는 미들 몰드(30)의 지지부(3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22)는, 슬라이드부(21)가 가이드부(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섀시(20)가 미들 몰드(3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섀시(20)가 미들 몰드(3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면, 스토퍼부(22)가 미들 몰드(30)의 지지부(33)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3)와 스토퍼부(22) 사이에는 완충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전방 섀시(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지지부(33)와 스토퍼부(22)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압축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120)는 폼 테이프(Foam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지지부(33)에 접착되거나, 스토퍼부(22)에 접착되거나, 지지부(33) 및 스토퍼부(22) 각각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의 휨량을 줄임으로써 액정 패널(10)의 휨으로 인한 빛샘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10)이 전방으로 힘을 받으면, 액정 패널(10)의 일 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은 전방 섀시(20)에 고정된다. 즉, 전방으로 힘을 받은 액정 패널(10)의 일 부분과, 전방 섀시(20)에 의해 지지되는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액정 패널(10)이 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10)이 전방으로 힘을 받으면,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섀시(20)가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섀시(2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방으로 힘을 받은 액정 패널(10)의 일 부분과 액정 패널(10)의 테두리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액정 패널(10)의 휨량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패널(10)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으면, 액정 패널(10)과 함께 전방 섀시(20)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을 수 있다. 전방 섀시(20)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으면, 전방 섀시(2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20)가 압축될 수 있다. 완충부재(120)가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는 거리만큼 전방 섀시(2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의 휨량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부재(110)와 완충부재(120)는 각각 폼 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액정 패널(10)에 부착되는 접착부재(110)의 전면의 면적 또는 전방 섀시(20)에 부착되는 접착부재(110)의 후면의 면적과, 접착부재(110)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와, 접착부재(110)의 수축율을 조절함으로써 전방 섀시(20)의 후방으로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토퍼부(22)와 접촉하는 완충부재(120)의 면적과, 완충부재(120)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와, 완충부재(120)의 수축율을 조절함으로써 전방 섀시(20)의 전방으로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액정 패널이 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액정 패널(10)을 전방 섀시(20)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되는 접착부재(210)와, 스토퍼부(22)와 지지부(33)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완충부재(220)와, 지지부(33)와 베이스부(2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210)는 상기한 접착부재(110)와 동일하고, 제1완충부재(220)는 상기한 완충부재(1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섀시(20)의 베이스부(23)와 미들 몰드(30)의 지지부(3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부재(230)는 전방 섀시(2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베이스부(23)와 지지부(33)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완충부재(230)는 제1완충부재(220)와 마찬가지로 압축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완충부재(230)는 폼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부재(230)는 후면이 지지부(33)에 접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이 베이스부(23)에 접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접착부재(210)와 제1완충부재(220) 및 제2완충부재(230)는 압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으면, 접착부재(210)와 제2완충부재(230)가 압축될 수 있고, 액정 패널(10) 및 전방 섀시(20)는 접착부재(210)와 제2완충부재(230)가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으면, 제1완충부재(220)가 압축될 수 있고, 액정 패널(10) 및 전방 섀시(20)는 제1완충부재(220)가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액정 패널(10) 및 전방 섀시(20)가 전방으로 이동한 후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전방 섀시(2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베이스부(23)와 지지부(33)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액정 패널
20 : 전방 섀시 20 : 액정 패널
30 : 미들 몰드 40 : 후방 섀시
50 : 광원 모듈 60 : 반사 시트
70 : 도광판 81, 82, 83 : 광학 시트
110, 210 : 접착부재 120, 220, 230 : 완충부재

Claims (20)

  1. 후방 섀시;
    상기 후방 섀시에 설치되고 광을 출력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도록 마련되는 액정 패널;
    상기 후방 섀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미들 몰드; 및
    상기 액정 패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전방 섀시로서, 상기 미들 몰드에 대해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미들 몰드에 결합되는 전방 섀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을 상기 전방 섀시에 부착시키도록, 일 면이 상기 액정 패널과 접착되고 타 면이 상기 전방 섀시와 접착되는 접착부재;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이 후방으로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접착부재가 후방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전방 섀시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몰드는, 상기 전방 섀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미들 몰드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섀시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섀시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몰드는,
    상기 전방 섀시의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미들 몰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섀시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완충부재;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섀시는,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마련되고, 상기 액정 패널을 상기 전방 섀시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되는 접착부재가 부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제1완충부재이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섀시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제2완충부재;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와 상기 제2완충부재는 각각 폼 테이프(Foam Tap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토퍼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의 면적과, 상기 완충부재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 및 상기 완충부재의 수축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방 섀시의 전방으로의 이동량을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IPS(In Plane Switching)모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공급되는 광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액정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패널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서포트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액정 패널의 휨량을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서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패널을 상기 서포트에 부착시키도록 마련되는 접착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 패널이 상기 제1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서포트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제1완충부재이고,
    상기 서포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부재;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IPS(In Plane Switching)모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57814A 2021-05-04 2021-05-04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50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814A KR20220150610A (ko) 2021-05-04 2021-05-04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2/004365 WO2022234954A1 (ko) 2021-05-04 2022-03-29 디스플레이 장치
EP22799000.9A EP4290302A1 (en) 2021-05-04 2022-03-29 Display device
US18/244,637 US20230418095A1 (en) 2021-05-04 2023-09-1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814A KR20220150610A (ko) 2021-05-04 2021-05-0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610A true KR20220150610A (ko) 2022-11-11

Family

ID=8393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814A KR20220150610A (ko) 2021-05-04 2021-05-0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18095A1 (ko)
EP (1) EP4290302A1 (ko)
KR (1) KR20220150610A (ko)
WO (1) WO20222349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962B1 (ko) * 1994-06-24 1997-12-26 김주용 광디스크 기록장치용 빔정형프리즘
JP5558267B2 (ja) * 2010-08-25 2014-07-23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90107213A (ko) * 2018-03-06 2019-09-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분해 및 재조립이 용이한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3460B1 (ko) * 2019-01-03 2023-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129068A (ja) * 2019-02-08 2020-08-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0302A1 (en) 2023-12-13
US20230418095A1 (en) 2023-12-28
WO2022234954A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3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640188B2 (ja) 面状光源装置
US7604389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20170139114A1 (en) Surface features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10578909B2 (en) Display apparatus with dichroic filter
US10809554B2 (en) Display apparatus
KR20140057148A (ko) 조명장치
JP2006318794A (ja) 面光源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11391986B2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2343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3322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87718A (ja) 光源装置
JP5447944B2 (ja) 面状照明装置
KR202201506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265646A (ja) 光学素子用バックライト
JP5814827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5413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88594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24026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10249043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69386A1 (en) Display apparatus
US10877515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4192659A1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102079523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330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