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432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432A
KR20140123432A KR1020140042798A KR20140042798A KR20140123432A KR 20140123432 A KR20140123432 A KR 20140123432A KR 1020140042798 A KR1020140042798 A KR 1020140042798A KR 20140042798 A KR20140042798 A KR 20140042798A KR 20140123432 A KR20140123432 A KR 2014012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backlight unit
guide bar
guide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518B1 (ko
Inventor
박기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2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이 분기된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도광바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를 수용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형 도광바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이의 내부에 구비된 광원이 공급하는 빛이 액정 패널을 통과하면서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액정 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은 외부의 빛을 반사시켜 표현하는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외한 모든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데, 대부분이 액정 패널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라 한다.
도 1은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에 빛을 공급하기 위하여 광원 소자(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광원 소자(10)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ourescent Lamp),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광원 소자(10)는 라이트 프레임(11)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LED 소자인 것을 예로 든다. 또한, 상기 광원 소자(10)에서 출력된 선 광원을 면 광원으로 바꾸기 위한 도광판(6)과, 상기 도광판(6)에서 면 광원 형태로 바뀐 빛을 표시영역 전면에 고르게 전달시키기 위하여 확산판(7)이 추가로 구성된다. 그 후, 상기 확산판(7)을 통과하여 나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 2집광판(8, 9)이 구성되고, 여기에 보호 필름(미도시)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소자(10)는 몰드 프레임(2)과 라이트 프레임(11)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몰드 프레임(2)은 광원 소자(10)에서 출력되는 빛의 효율성을 위하여 반사판(4)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6)을 사용하는 것으로,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얇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를 사용하는 구조는 도광판(6)의 흔들림, 또는 이동 및 팽창에 의해 광 공급이 일정하지 않고, 도광판(6)이 추가되는 구조로 인하여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은 이에 대한 장점이 있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이를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에 빛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광원 소자(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광원 소자(10)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ourescent Lamp),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LED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은 몰드 프레임(2)에 광원 소자(10)를 직접 배치한다. 이는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의 특징으로, 다수의 LED를 몰드 프레임(2)에 직접 배치하여 도광판(도 1의 6)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빛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그 후, 다수의 광원 소자(10)에서 전달되는 빛을 확산판(7)을 통하여 표시영역 전체에 일정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확산판(7)을 통과하여 나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 2집광판(8, 9)이 구성되고, 여기에 보호 필름(미도시)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소자(10)에서 출력되는 빛의 효율성을 위하여 몰드 프레임(2)의 수납부 하면에 반사판(4)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도 1의 6)을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광원 소자(10)를 이용하여 빛을 직접 공급하기 때문에 일정한 빛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영역 전체에 일정하게 빛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확산판(7)과 광원 소자(10)간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포함하는 도광판에 의하여 무게 증가와 불안정한 광 공급에 대한 문제를 가진 백라이트 유닛과, 확산판과 광원 소자 간의 간격에 의해 두께가 두꺼워지는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의 문제를 개선한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이 분기된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도광바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를 수용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의 일측은 하나의 광경로를 갖고 타측은 적어도 두개의 광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은 각각 제 1 및 제 2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도광바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 1 LED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도광바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 2 LED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는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Y” 형상, 라운드된 “Y” 형상, “V” 형상, “U”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상부면, 하부면, 입광면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상기 하부면 또는 상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상부면과 상기 측면 사이의 모서리는 라운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도광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도광바의 일측은 하나의 광경로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도광바의 타측은 적어도 두개의 광경로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1 및 제 2 분기부와, 상기 직선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의 상기 직선부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3 도광바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액정패널과,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고,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가벼운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장치가 경량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직접 조광식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광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직선형 도광바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 분포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 각각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기형 도광바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광 분포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광바의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광원과, 다수의 도광바(130)와, 몰드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의 측면을 두르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前面) 가장자리를 덮는 탑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몰드 프레임(112)과 결합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액정패널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기판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이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고, 공통전극은 상기 제 1 기판 또는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외측에는 제 1 및 제 2 편광판이 부착된다.
상기 제 1 광원은 다수의 제 1 LED(light emitting diode, 114)와 상기 제 1 LED(114)가 실장되는 제 1 회로보드(circuit board, 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은 다수의 제 2 LED(115)와 상기 제 2 LED(115)가 실장되는 제 2 회로보드(162)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바(130)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도광바(130)의 일단은 상기 제 1 광원의 제 1 LED(114)에 대응되고, 상기 도광바(130)의 타단은 상기 제 2 광원의 제 2 LED(115)에 대응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도광바(130)는 상기 몰드 프레임(112)에 수용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바(130)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판(117)과, 상기 도광바(130) 상부에 위치하는 확산판(155)과, 상기 확산판(155)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시트(151, 152, 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광바(130)를 고정하기 위한 핀(175)이 상기 몰드 프레임(112) 또는 상기 반사판(117)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시트는 확산시트(151)와 제 1 및 제 2 집광시트(152, 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바(130)는 직선 바 (straight bar) 형태를 갖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도광바(130)는 광출사면인 상부면(110), 광반사면인 하부면(111), 입광면인 제 1 측면(118) 및 제 2 측면(121)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면(110)과 상기 제 1 측면(118)은 평탄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면(111)과 상기 제 2 측면(121)에는 제 1 및 제 2 돌출부(116, 113)가 각각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도광바(13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도 1의 6) 대신에 도광바(130)를 포함하기 때문에, 무게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광 균일도에서 단점을 갖게 된다.
직선형 도광바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 분포도를 나타낸 도면인 도 4를 참조하면, 이웃한 도광바(130) 사이에서 암부(190)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광바(130)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이와 같은 암부(190)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광바(130) 사이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도광바(130)가 필요하며, 이러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무게가 증가하여 도광바(130)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장점이 없어진다.
즉, 직선 바 형태의 도광바(130)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암부 발생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무게 측면에서 단점을 갖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광원과, 다수의 도광바(230)와, 몰드 프레임(212)을 포함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의 측면을 두르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前面) 가장자리를 덮는 탑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몰드 프레임(212)과 결합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액정패널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기판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이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고, 공통전극은 상기 제 1 기판 또는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외측에는 제 1 및 제 2 편광판이 부착된다.
상기 제 1 광원은 다수의 제 1 LED(214)와 상기 제 1 LED(214)가 실장되는 제 1 회로보드(261)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은 다수의 제 2 LED(215)와 상기 제 2 LED(215)가 실장되는 제 2 회로보드(262)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바(230)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도광바(230)는 상기 몰드 프레임(212)에 수용된다.
상기 도광바(230)는 분기된 형태(branch shape)를 갖는다. 즉, 상기 도광바(230)의 일측은 하나의 단(一端, one end)을 갖고, 상기 도광바(230)의 타측은 적어도 두개의 단(at least two ends)을 갖는다. 상기 다수의 도광바(230)는 서로 엇갈려(reversely) 배치된다. 즉, 이웃한 두 도광바(230)에서, 일 도광바(230)의 일측은 상기 제 1 광원과 마주하고, 다른 도광바(230)의 일측은 상기 제 2 광원과 마주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LED(214, 215)는 서로 교대로(alternately) 배열됨으로써, 상기 도광바(230)의 하나의 단(one end)이 상기 제 1 및 제 2 LED(214, 215)에 대응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바(230)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판(217)과, 상기 도광바(230) 상부에 위치하는 확산판(255)과, 상기 확산판(255)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시트(251, 252, 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바(230)를 고정하기 위한 핀(275)이 상기 몰드 프레임(212) 또는 상기 반사판(217)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시트는 확산시트(251)와 제 1 및 제 2 집광시트(252, 2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 각각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기형 도광바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광바(230)는 하나의 단을 갖는 일측과 적어도 두개의 단을 갖는 타측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바(230)는 “Y”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광바(230)는 광출사면인 상부면(210), 광반사면인 하부면(211), 입광면(218) 및 측면(221)을 포함한다. 상기 LED(214, 215)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입광면(218)으로 입사되고 분기부(branch portions, 219a, 219b)를 통해 분산된다. 상기 상부면(210)과 상기 입광면(218)은 평탄하게 구성된다.
상기 입광면(218)으로 입사된 빛은 상기 상부면(210)을 통해 상기 확산판(255)을 향해 제공된다. 상기 도광바(230)로 입사된 빛은 상기 하부면(211)에서 반사되어 광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광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면(211)에는 제 1 돌출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돌출부(216) 대신에, 상기 하부면(211)에는 요부(concave)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221)에는 제 2 돌출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돌출부(213)에 의해, 이웃한 도광바(230) 사이 공간을 향한 광 분산 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도광바(230)는 상기 하부면(211)에 형성되어 상기 핀(도 5의 275)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 또는 삽입홀에 의해, 도광바(230)의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상부면(210)과 상기 측면(221) 사이 모서리에서 빛이 집중되어 휘선(brightness line)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면(210)과 상기 측면(221) 사이 모서리를 라운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바(2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된 “Y” 형상을 갖거나,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V” 형상을 갖거나,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광바(230)가 분기된 형상을 갖는 한, 그 구체적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즉, 도광바(230)의 일측은 하나의 광경로를 갖고, 도광바(230)의 타측은 적어도 두개의 광경로를 가지며, 이에 의해 광확산 특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광 분포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30)은 분기형 도광바(230)를 포함함으로써,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광 분포를 갖는다. 즉, 향상된 광확산 특성을 갖는 분기형 도광바(230)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 4에서 보여지는 암부(190)의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도 7에서,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에서 빛의 휘도가 다른 부분보다 약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도광바(230)의 직선부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최외각에 위치하는 도광바는 암부(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를 향해 상기 도광바의 직선부에 대해 경사진 별도의 분기부(bran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광원과, 도광바(330)와, 몰드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광원은 다수의 제 1 LED(314)와 상기 제 1 LED(314)가 실장되는 제 1 회로보드(361)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은 다수의 제 2 LED(315)와 상기 제 2 LED(315)가 실장되는 제 2 회로보드(362)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바(330)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도광바(330)는 상기 몰드 프레임에 수용된다.
상기 도광바(330)는 제 1 도광바(340), 제 2 도광바(350)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도광바(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광바(340, 350, 360)는 분기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광바(340, 350, 360) 각각의 일측은 하나의 단을 갖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광바(340, 350, 360) 각각의 타측은 적어도 두개의 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도광바(360)는 “Y” 형상 또는 라운드된 “Y”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제 3 도광바(360)는 직선부(362)와 상기 직선부(362)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1 및 제 2 분기부(364, 36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 1 도광바(340)는 직선부(342)와, 제 1 및 제 2 분기부(344, 346) 및 연장부(348)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도광바(340)의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부(344, 346)는 상기 제 1 도광바(340)의 상기 직선부(342)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제 1 도광바(340)의 상기 연장부(348)는 상기 제 1 도광바(340)의 상기 직선부(34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 2 도광바(350)는 직선부(352)와, 제 1 및 제 2 분기부(354, 356) 및 연장부(358)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도광바(350)의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부(354, 356)는 상기 제 2 도광바(350)의 상기 직선부(352)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제 2 도광바(350)의 상기 연장부(358)는 상기 제 2 도광바(350)의 상기 직선부(35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의 상기 연장부(348, 358)는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의 상기 직선부(342, 352)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광바(340, 350, 360)는 그 순서대로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광바(340)의 제 1 및 제 2 분기부(344, 346)와 상기 제 1 도광바(340)에 이웃한 제 3 도광바(360)의 직선부(362)는 동일한 회로보드, 예를 들어 상기 제 1 회로보드(361)와 마주하고, 상기 제 2 도광바(350)의 제 1 및 제 2 분기부(354, 356)와 상기 제 2 도광바(350)에 이웃한 제 3 도광바(360)의 직선부(362)는 동일한 회로보드, 예를 들어 상기 제 1 회로보드(361)와 마주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광바(340, 350, 360)는 서로 교대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 사이에 둘 이상의 제 3 도광바(36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3 도광바(360) 역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 사이 공간에서 서로 교대로 배열된다.
도 8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 3 도광바(360)가 짝수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는 반대 방향으로 배열된다.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도광바(340, 350, 360)의 배치 구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의 연장부(348, 358)는 바깥쪽, 즉 상기 제 3 도광바(360)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연장부(348, 358)에 의해 제 1 및 제 2 도광바(340, 350)의 광확산 특성이 향상되어 도 7에서 보여지는 좌상측 및 우상측에서의 암부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바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판과, 상기 도광바 상부에 위치하는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의 측면을 두르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前面) 가장자리를 덮는 탑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는 도광판 대신에 도광바를 포함하기 때문에, 무게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광바는 분기된 형상을 가져 광확산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적은 수의 도광바를 이용하면서도 직선형 도광바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암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 상부면 111, 211 : 하부면
112, 212 : 몰드 프레임 113, 116, 213, 216 : 돌출부
114, 115, 214, 215, 314, 315 : LED
118, 218 : 입광면 (제 1 측면) 121, 221 : (제 2) 측면
130, 230, 330 : 도광바 151~153, 251~253 : 광학 시트
155, 255 : 확산판

Claims (15)

  1.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이 분기된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도광바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를 수용하는 몰드 프레임
    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의 일측은 하나의 광경로를 갖고 타측은 적어도 두개의 광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은 각각 제 1 및 제 2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바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 1 LED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도광바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 2 LED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는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Y” 형상, 라운드된 “Y” 형상, “V” 형상, “U”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상부면, 하부면, 입광면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상기 하부면 또는 상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과 상기 측면 사이의 모서리는 라운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도광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도광바의 일측은 하나의 광경로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도광바의 타측은 적어도 두개의 광경로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은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1 및 제 2 분기부와, 상기 직선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도광바 각각의 상기 직선부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3 도광바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위치하며,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40042798A 2013-04-10 2014-04-1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13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35 2013-04-10
KR20130039035 2013-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432A true KR20140123432A (ko) 2014-10-22
KR102130518B1 KR102130518B1 (ko) 2020-07-07

Family

ID=5166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798A KR102130518B1 (ko) 2013-04-10 2014-04-1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3649B2 (ko)
JP (1) JP5826881B2 (ko)
KR (1) KR102130518B1 (ko)
CN (2) CN107255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1751A (ja) * 2014-01-27 2015-08-0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2309887B1 (ko) 2014-10-31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015912B1 (en) 2014-10-31 2017-12-06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KR102421777B1 (ko) * 2017-10-19 202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288440A (zh) * 2018-02-05 2018-07-17 广州慧玥文化传播有限公司 基于物理插值的高分辨率led屏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0796A1 (en) * 2004-06-07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287670A1 (en) * 2010-04-09 2012-11-15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source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589A (ko) * 2002-05-13 2002-06-05 강현인 벌집 구조의 도광판을 이용하여 이음매간 틈이 없는멀티비젼 구조를 만들어 이룩한 벽걸이형 박판 디스플레이
JP3952859B2 (ja) * 2002-05-29 2007-08-01 凸版印刷株式会社 導光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照明装置
JP2004226710A (ja) * 2003-01-23 2004-08-12 Toppan Printing Co Ltd 導光シート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照明装置
JP4341276B2 (ja) * 2003-04-03 2009-10-07 凸版印刷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07027137A (ja) * 2006-08-18 2007-02-01 Nippon Sheet Glass Co Ltd 棒状導光体、照明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US20100053497A1 (en) * 2007-03-20 2010-03-04 Takayuki Nagata Surface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WO2009157352A1 (ja) * 2008-06-23 2011-12-08 ソニー株式会社 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201731379U (zh) * 2010-06-01 2011-02-02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电视机的背光装置
KR101243827B1 (ko) * 2010-07-16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JP5622610B2 (ja) * 2011-02-21 2014-1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0796A1 (en) * 2004-06-07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287670A1 (en) * 2010-04-09 2012-11-15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source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00880B (zh) 2017-06-23
CN107255845B (zh) 2019-12-31
CN104100880A (zh) 2014-10-15
JP2014207227A (ja) 2014-10-30
KR102130518B1 (ko) 2020-07-07
US9423649B2 (en) 2016-08-23
US20140307198A1 (en) 2014-10-16
CN107255845A (zh) 2017-10-17
JP5826881B2 (ja)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566B2 (en)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20120236213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4826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KR10213051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8398286B2 (en) Backlight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RU2470216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5899722B2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TWM392976U (en) Edge-lit backlight module
JP2013114947A (ja) 面光源装置
US20110299298A1 (en) Backlight module
WO2012026164A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70032429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모듈
KR100664373B1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채택한 백라이트 패널
KR101477425B1 (ko) 백라이트 유닛
JP2013182854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20160131821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v receiver
KR2007009979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107441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392930B2 (ja) 面状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5413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9335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10003868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WO2012102096A1 (ja) エッジライト型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20043600A (ko) 백 라이트 유닛
KR10223205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