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655A -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체 - Google Patents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655A
KR20220149655A KR1020227026018A KR20227026018A KR20220149655A KR 20220149655 A KR20220149655 A KR 20220149655A KR 1020227026018 A KR1020227026018 A KR 1020227026018A KR 20227026018 A KR20227026018 A KR 20227026018A KR 20220149655 A KR20220149655 A KR 2022014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mounting point
mounting
struc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퓨리퐁 망코른카녹
비크람 아후자
나타파트 레르트비리야사와트
Original Assignee
에디슨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슨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디슨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8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용자 및 모터사이클 제조업체의 요구에 맞게 모터사이클의 바디와 프레임 구조체를 쉽고 빠르게 교체하거나 빠르게 교체하거나 교환할 수 있는 본 발명은 바디와 프레임 사이의 장착 지점을 지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바디 전환을 위한 모터사이클 구조체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태국에서는, 모터사이클을 이용한 운송이 모터사이클이 비싸지 않고 라이더가 다양한 지역을 빠르게 드나들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대안이였다. 현재 전기 모터사이클은 여행 경비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태국내 모토사이클 시장은 수년간 꾸준히 성장해 왔다. 태국의 1인당 모터사이클 수는 약 1/4이다. 이는 약 10년 전 1/8의 비율에서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Kasikom Research Center: 2010년).
현재 종래의 모토사이클의 모든 구조 설계에서, 바디 프레임은 항상 모터사이클 바디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모든 이유로 모터사이클의 바디의 변경은 바디 프레임도 교체해야 하므로 상당한 산업 폐기물이 발생한다. 또한, 모터사이클 바디 또는 바디 프레임이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은 경우 손상된 부분만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이 지나치게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두 부품 모두 교체 가능하도록 별도의 자동차 프레임 및 바디 조립체를 갖는 자동차에 의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개념화하도록 영감을 받았다. 모터사이클에 대한 많은 실험 끝에 발명자들은 마침내 모터사이클 바디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 바디 프레임의 디자인에 대한 실용적인 솔루션을 도출해 냈다. 새로운 바디 디자인이 도입될 경우, 기존 프레임의 구형 바디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업체와 소비자 모두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전문가가 숙련된 기술자의 도움 없이 단시간에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적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양태는 모터사이클의 프레임에서 바디를 제거하거나 전환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및 바디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체는 모토사이클의 프레임과 바디 사이에 3개 그룹의 장착 지점을 포함한다. 1개 그룹의 장착 지점은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를 통과하는(2개 휠의 중심을 통과하는) 시상 평면(sagittal plane)(110) 상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다른 그룹의 장착 지점(111)은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전방 휠의 중심 위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다른 그룹의 장착 지점(112)은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후방 휠의 중심 위 또는 전방 및 위에 위치된다.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를 통과하는(2개 휠의 중심을 통과하는) 시상 평면(110) 상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장착 지점의 예는 제 1 장착 지점(200), 제 2 장착 지점(201), 제 3 장착 지점(202), 제 4 장착 지점(203) 및 제 11 장착 지점(111)을 포함한다.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전방 휠의 중심 위에 실질적으로 위치된 장착 지점(111)의 예는 제 5 장착 지점(204) 및 제 6 장착 지점(205)을 포함한다.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후방 휠의 중심 위 또는 전방 및 위에 위치되는 장착 지점(112)의 예는 제 7 장착 지점(206), 제 8 장착 지점(207), 제 9 장착 지점(208) 및 제 10 장착 지점(209)을 포함한다.
상술한 3개의 장착 지점의 그룹 각각에서 모터사이클의 프레임과 모터사이클의 바디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 지점이 있어야 한다.
위의 예에서 각 장착 지점은 모터사이클 바디가 프레임 구조체에 체결되는 지점이다. 바디가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된 경우, 볼트 사이즈는 5㎜ 내지 12㎜ 사이 또는 1/2인치 내지 1인치 사이여야 한다. 5㎜ 장착 볼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225x106 파스칼 이하의 최소 내하중을 가져야 하고, 적어도 400x106 파스칼의 최소 인장 강도에 견뎌야 한다. 볼트 사이즈는 최소 내하중 및 최소 인장 강도의 변경에 대응하여 5㎜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터사이클 바디를 볼트 이외의 임의의 고정 수단으로 각 장착 지점에서 구조적 프레임에 체결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일반 모터사이클(내연 기관 포함) 뿐만 아니라 전기 및 하이브리드 모터사이클에도 적용 가능하다.
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에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관사 "a" 또는 "an"의 사용은 "하나"를 의미할 수 있지만, "하나 이상", "적어도 하나"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의미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이들 양태 및 다른 양태의 다양한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 및 추가로 설명될 최상의 형태의 본 발명의 세부 사항과 함께 고려될 때 더욱 명백할 것이다.
하기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특정 양태를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특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이들 도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모터사이클의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2는 모터사이클의 각 부분에 분할된 장착 지점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를 제시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예로서 도면을 사용하여 참조된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함이 없이, 본 발명의 영역은 청구범위에 따를 것이다.
프레임에서 바디를 제거하거나 전환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및 바디의 구조체는 전방 모터사이클 구조체(100), 중간 모터사이클 구조체(101) 및 후방 모터사이클 구조체(102)로 구성되며, 모터사이클의 구조체를 따라 장착 지점을 배열하여 형성된 총 11개의 장착 지점을 갖고 있다.
제 1 장착 지점인 하부 전방 네크 바디 마운트(200)는 차체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체의 중앙(바디의 전방 부분)에 전방 차체를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헤드라이트와 혼을 장착하기 위해 전방 랙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2 장착 지점인 상부 전방 네크 바디 마운트(201)는 차체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체의 중앙에 전방 바디 마운트를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헤드라이트와 혼을 장착하기 위해 전방 랙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3 장착 지점인 하부 후방 네크 바디 마운트(202)는 차체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체의 중앙에 전방 바디를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후크와 혼을 장착하기 위해 전방 랙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4 장착 지점인 상부 후방 네크 바디 마운트(203)는 차체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체의 중앙에 전방 바디를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후크와 혼을 장착하기 위해 전방 랙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5 장착 지점인 좌측 전방 휠 커버 마운트(204)는 차체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체의 중앙에 전방 바디를 보지하도록 그리고 전방 휠의 스플래쉬 가드로서 작용하는 섀시를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모터사이클 라디에이터 장착 지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6 장착 지점인 우측 전방 휠 커버 마운트(205)는 차체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체의 중앙에 전방 바디를 보지하도록 그리고 전방 휠의 스플래쉬 가드로서 작용하는 섀시를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모터사이클 라디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7 장착 지점인 우측 U-BOX 마운트(206)는 바디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시트 장착 또는 U-BOX 장착 지점을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모터사이클 라디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8 장착 지점인 좌측 U-BOX 마운트(207)는 바디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시트 장착 또는 U-BOX 장착 지점을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모터사이클 라디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9 장착 지점인 우측 발받침 마운트(208)는 바디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시트 장착 또는 U-BOX 장착 지점을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또한 모터사이클 라디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점의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10 장착 지점인 좌측 발받침 바디 마운트(209)는 바디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것은 후방 승객 발받침 장착 지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제 11 장착 지점인 중간 U-BOX 마운트(210)는 차체가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체의 중앙 대신에 후방 차체를 보지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것은 시트 지지체용 또는 러기지 박스 또는 랙과 같은 액세서리용 장착 지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너트 및 볼트 사이즈는 M5, M6, M8, M10 또는 M12일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데 필요한 토크는 7Nm, 12Nm, 30Nm, 55Nm 또는 100Nm일 수 있다.
모든 장착 지점에서, 함몰 또는 크랙 또는 바디 표면 상의 크랙을 방지하고 그리고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고무 그로밋 링이 배치되어야 한다.
모터사이클 바디와 프레임의 조립은 먼저 프레임 또는 바디의 고무 그로밋을 11개의 연결 지점에 삽입하고, 각 고무 링의 구멍을 대응 연결 지점의 구멍과 정렬되도록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에, 프레임의 연결 지점의 구멍이 바디의 대응 구멍과 일치하도록 모터사이클 바디를 프레임 위에 고정한다.
다음에, 대략 직선으로 배열된 제 1 장착 지점(200), 제 2 장착 지점(201) 및 제 11 장착 지점(210)에서 볼트를 체결하기 시작한다.
다음에, 모터사이클 전방 영역(100)으로부터 시작하여 모터사이클 중간 영역(101)까지 다른 장착 지점에서 나머지 볼트를 체결하기 시작한다.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모든 장착 지점의 볼트 사이즈에 따라 특정 토크 값으로 모든 장착 지점을 다시 체결한다. 프레임과 바디를 조립할 때 위의 단계들에 따르면, 수명과 사용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단계와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서비스 수명과 안전성이 감소할 수 있다.
프레임에서 모터사이클 바디를 제거하는 과정은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 1 장착 지점(200), 제 2 장착 지점(201) 및 제 11 장착 지점(210)에서 볼트를 푸는 것으로 시작한다. 다음에, 중간 영역(101)과 전방 영역(100)의 장착 지점으로 진행한다.
프레임에서 바디를 분리할 때 위의 단계를 따르면, 수명과 사용의 안전성이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해 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단계와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서비스 수명과 안전성이 감소할 수 있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바와 같다.

Claims (11)

  1. 프레임에서 바디를 제거 또는 전환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의 프레임 및 바디의 구조체에 있어서,
    모터사이클의 프레임과 바디 사이의 3개 그룹의 장착 지점을 포함하며; 1개 그룹의 장착 지점은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를 통과하는(2개 휠의 중심을 통과하는) 시상 평면(sagittal plane)(110) 상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며; 1개 그룹의 장착 지점(111)은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전방 휠의 중심 위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며; 1개 그룹의 장착 지점(112)은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후방 휠의 중심 위 또는 전방 및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를 통과하는(2개 휠의 중심을 통과하는) 시상 평면(110) 상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장착 지점의 그룹은 제 1 장착 지점(200), 제 2 장착 지점(201), 제 3 장착 지점(202), 제 4 장착 지점(203) 및 제 11 장착 지점(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전방 휠의 중심 위에 실질적으로 위치된 장착 지점(111)의 그룹은 제 5 장착 지점(204) 및 제 6 장착 지점(2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모터사이클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그리고 우선적으로 후방 휠의 중심 위 또는 전방 및 위에 위치되는 장착 지점(112)의 그룹은 제 7 장착 지점(206), 제 8 장착 지점(207), 제 9 장착 지점(208) 및 제 10 장착 지점(20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개의 장착 지점의 그룹 각각에서 모터사이클의 프레임과 모터사이클의 바디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 지점이 있어야 하는
    구조체.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장착 지점은 모터사이클 바디를 프레임 구조체에 체결하도록 볼트고정되는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사이즈는 5㎜ 내지 12㎜ 사이 또는 1/2인치 내지 1인치 사이여야 하는
    구조체.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사이클 바디는 볼트 이외의 임의의 고정 수단에 의해 각 장착 지점에서 구조체적 프레임에 체결되는
    구조체.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5㎜의 가장 작은 사이즈의 장착 볼트는 225x106 파스칼 이하의 최소 내하중을 가져야 하고, 적어도 400x106 파스칼의 최소 인장 강도에 견뎌야 하는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사이즈는 최소 내하중 및 최소 인장 강도의 변경에 대응하여 5㎜보다 클 수 있는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사이클은 일반 모터사이클(내연 기관 포함), 전기 모터사이클 및 하이브리드 모터사이클을 포함하는
    구조체.
KR1020227026018A 2019-12-27 2020-12-28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체 KR20220149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H1901008203 2019-12-27
TH1901008203 2019-12-27
PCT/TH2020/000084 WO2021133266A2 (en) 2019-12-27 2020-12-28 Structure for changing bodies of motorcy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655A true KR20220149655A (ko) 2022-11-08

Family

ID=7657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018A KR20220149655A (ko) 2019-12-27 2020-12-28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81449A4 (ko)
KR (1) KR20220149655A (ko)
CN (1) CN115103797A (ko)
MX (1) MX2022008014A (ko)
WO (1) WO2021133266A2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9457B2 (ja) * 1997-03-31 2004-03-22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カウリングブレース
JP4077561B2 (ja) * 1998-07-16 2008-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カバー取付け構造
JP4210389B2 (ja) * 1999-04-28 2009-0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用車体フレーム
JP3535507B2 (ja) * 2001-01-09 2004-06-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体カバー構造
JP4107809B2 (ja) * 2001-02-09 2008-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ロントカバー構造
JP5183273B2 (ja) * 2008-03-31 2013-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JP2013513183A (ja) * 2009-12-15 2013-04-18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推奨を提供するためユーザ行動の傾向、プロファイリング及びテンプレートベースの予測における確率的技術を利用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JP2013136304A (ja) * 2011-12-28 2013-07-11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MY183677A (en) * 2013-09-27 2021-03-08 Honda Motor Co Ltd Two-wheeled motor vehicle
DE102015009428A1 (de) * 2015-07-18 2017-01-19 Herwig Fischer Scooter / Motorroller
CN207972723U (zh) * 2018-02-05 2018-10-16 上海东动科技有限公司 电动摩托车模块化车身骨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3266A3 (en) 2021-08-26
MX2022008014A (es) 2022-09-21
EP4081449A2 (en) 2022-11-02
WO2021133266A2 (en) 2021-07-01
EP4081449A4 (en) 2024-01-24
CN115103797A (zh)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355B2 (en) Motorcycle rear fender assembly
US6293450B1 (en) Quick release mechanism for motorcycle saddlebag
US8628103B2 (en) Vehicle handlebar support structure
JP3533979B2 (ja) 電気自動車のパワーヘッド取付構造
EP2316718B1 (en) Seat rail of motorcycle
US9260151B2 (en) Rear structure of saddle riding type vehicle
US7503415B2 (en) Engine support structure of motorcycle
US7641238B2 (en) Vehicle wheel fender flap
US20140035269A1 (en) Fuel-tank support structure for motorcycle
CN100418838C (zh) 踏板摩托车
KR20220149655A (ko)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체
EP3375701A1 (en) Front structure of saddled vehicle
CN203581235U (zh) 分块式三轮车
JP2012144145A (ja) 鞍乗型車両のハンドル支持構造
CN103481967B (zh) 三轮车
GB2399327A (en) Structure for mounting front fender of a motorcycle
WO2016156895A1 (en) Headlight mounting structure for a motorcycle
CN104228537A (zh) 用于车辆动力总成的防扭拉杆悬置及具有其的车辆
WO2018047127A1 (en) Support structure for rear panel of step-through scooter type motorcycle
US7357418B2 (en) Steering shaft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for uneven ground running
JP2011148452A (ja) 鞍乗り型車両の後部構造
CN215883931U (zh) 电动车的车架组件及电动车
US20220119071A1 (en) A saddled vehicle
KR102406015B1 (ko) 친환경 자동차용 저전압 배터리 탑재용 배터리 캐리어 어셈블리
JPS63106320A (ja) ラジエ−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