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97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976A
KR20220148976A KR1020210055769A KR20210055769A KR20220148976A KR 20220148976 A KR20220148976 A KR 20220148976A KR 1020210055769 A KR1020210055769 A KR 1020210055769A KR 20210055769 A KR20210055769 A KR 20210055769A KR 20220148976 A KR20220148976 A KR 20220148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housing
display
operation mod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976A/ko
Priority to US17/534,658 priority patent/US11934227B2/en
Priority to CN202111633709.1A priority patent/CN115273657A/zh
Publication of KR2022014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01L51/0096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표시부 및 제1 표시부와 인접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표시부를 보호하며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하는 보호 글라스, 및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플렉서블 지지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란, 구부리거나 펼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표시 모듈, 윈도우 등)을 연성을 갖는 물질(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와 인접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를 보호하며,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하는 보호 글라스,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플렉서블 지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보호 글라스를 통해 노출되고, 제2 동작 모드 동안 배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표시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와 마주보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1 표시부로부터 폴딩이 가능한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2 표시부로부터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3 표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이 수용되고, 힌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표시부를 보호하며,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하는 보호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보호 글라스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표시부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보호 글라스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보호 글라스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제3 표시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3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및/또는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표시 모듈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휴대성 및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보호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호 글라스는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 글라스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표시 장치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표시 장치의 제3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하우징(HS1), 제2 하우징(HS2), 플렉서블 표시 모듈(DM), 보호 글라스(PG), 플렉서블 지지 모듈(SM), 보호 부재(PM), 및 가이드 부재(G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은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 및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SM)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은 상기 보호 글라스(PG) 및 상기 보호 부재(PM)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1 표시부(DP1) 및 제2 표시부(D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제1 표시부(DP1)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상기 표시 장치(10)의 전면(FS)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표시부(DP1)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제1 표시부(DP1)를 상대적으로 더욱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SM)은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SM)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SM)은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SM)은 제1 동작 모드(예를 들어, 폴딩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의 배면(BS)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동작 모드(예를 들어, 언폴딩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의 상기 전면(FS)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PM)는 상기 제1 하우징(HS1) 및 상기 제2 하우징(H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PM)는 상기 표시 장치(10)의 상기 배면(BS)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부(DP2)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부재(PM)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보호 부재(PM)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호 부재(PM)는 평면 상에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1 표시부(DP1) 및 상기 제2 표시부(D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1 표시부(DP1)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DP1)를 상기 제2 표시부(DP2)와 마주보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DP1)를 상기 제2 표시부(DP2)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상기 보호 글라스(PG)를 통해 상기 전면(FS)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상기 전면(F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가이드 부재(GM)에 의해 상기 제1 표시부(DP1)와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SM)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표시부(DP2)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제1 방향(D1)(예를 들어, X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하는 제2 방향(D2)(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각기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1 크기(S1)만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크기(S1)는 대략 6인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수직하는 제3 방향(D3)(예를 들어, Z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부재(SM)는 상기 제2 표시부(DP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상기 보호 부재(PM)를 통해 상기 배면(BS)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1 표시부(DP1)를 상기 제2 표시부(DP2)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상기 배면(B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보호 부재(PM)를 통해 상기 배면(BS)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배면(B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DP1, DP2)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각기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제1 표시부(DP1)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2 크기(S2)만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크기(S2)는 대략 8인치 일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10)는 상기 제3 방향(D3)과 반대되는 제4 방향(D4)(예를 들어, -Z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기판(SUB), 버퍼층(BFR), 액티브 패턴(ACT), 게이트 절연층(GI), 게이트 전극(GAT), 층간 절연층(ILD),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비아 절연층(VIA), 제1 전극(ADE), 발광층(EL), 제2 전극(CTE),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TFE)은 제1 무기막(IL1), 유기막(OL), 및 제2 무기막(I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SUB)에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은 복수의 플라스틱층들 및 상기 플라스틱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리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들은 무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들로 사용될 수 있는 무기 물질의 예로는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R)은 상기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R)은 무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FR)은 상기 기판(SUB)으로부터 금속 원자들이나 불순물들이 상기 액티브 패턴(ACT)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버퍼층(BFR)은 상기 액티브 패턴(ACT)을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동안 열의 전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ACT)은 상기 버퍼층(BF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ACT)은 실리콘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반도체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아연 산화물(ZnOx), 갈륨 산화물(GaOx), 티타늄 산화물(TiOx), 주석 산화물(SnOx), 인듐 산화물(InOx), 인듐-갈륨 산화물(IGO),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주석 산화물(ITO), 갈륨-아연 산화물(GZO), 아연-마그네슘 산화물(ZM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지르코늄 산화물(ZnZrxOy),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 인듐-갈륨-하프늄 산화물(IGHO), 주석-알루미늄-아연 산화물(TAZO), 인듐-갈륨-주석 산화물(IGTO)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상기 액티브 패턴(ACT)을 커버하며, 상기 버퍼층(BF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절연 물질의 예로는,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AT)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AT)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GAT)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상기 게이트 전극(GAT)을 커버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ILD)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액티브 패턴(ACT)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커버하며, 상기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아 절연층(VIA)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ic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 resin),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E)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E)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에는 상기 제1 전극(ADE)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물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소 정의막(PDL)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ic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 resin)(특히, 감광성 폴리이미드계 수지(PSPI)),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L)은 상기 제1 전극(AD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EL)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L)은 상기 제1 전극(ADE) 및 상기 제2 전극(CTE) 사이의 전압차에 기초하여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TE)은 상기 발광층(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TE)은 금속, 합금,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E), 상기 발광층(EL), 및 상기 제2 전극(CTE)은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TFE)은 상기 제2 전극(CT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TFE)은 상기 발광층(EL)으로 산소 및/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층(IL1) 및 상기 제2 무기층(IL2)은 무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기층(OL)은 상기 제1 및 제2 무기층들(IL1, IL2) 사이에 배치되며,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지층(TFE)에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하우징(HS'), 플렉서블 표시 모듈(DM'), 보호 글라스(PG'), 보호 부재(PM'), 및 가이드 부재(G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S')은 제1 하우징(HS1'), 제2 하우징(HS2'), 제3 하우징(HS3'), 및 힌지(H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1 표시부(DP1'), 제2 표시부(DP2') 및 제3 표시부(D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S')은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HS1')에는 상기 제1 표시부(DP1')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HS2')은 상기 힌지(HG')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HS1')과 결합되고, 상기 보호 글라스(PG')의 일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HS3')은 상기 보호 글라스(PG')의 타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상기 하우징(HS')으로 정의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폴딩될 수 있고,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의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1 표시부(DP1'), 제2 표시부(DP2'), 및 제3 표시부(D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제1 표시부(DP1')와 인접할 수 있고,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제2 표시부(DP2')와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제1 표시부(DP1')로부터 폴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제2 표시부(DP2')로부터 슬라이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상기 제2 하우징(HS2') 및 상기 제3 하우징(HS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상기 표시 장치(20)의 전면(FS)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표시부(DP3')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보호 글라스(PG')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제3 표시부(DP3')를 상대적으로 더욱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PM')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보호 부재(PM')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호 부재(PM')는 평면 상에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 부재(PM')는 제1 동작 모드(예를 들어, 폴딩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예를 들어, 언폴딩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DP1', DP2')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PM')는 제3 동작 모드(예를 들어, 슬라이딩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들(DP1', DP2', DP3')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2 표시부(DP2') 및 상기 제3 표시부(DP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3 표시부(DP3')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3 표시부(DP3')가 상기 전면(FS)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3 표시부(DP3')가 상기 배면(BS)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GM')는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3 표시부(DP3')가 상기 제2 표시부(DP2')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상기 제2 표시부(DP2')와 마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DP1', DP2')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PM')는 상기 제1 표시부(DP1') 및 상기 제2 표시부(D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보호 글라스(PG')를 통해 상기 전면(FS)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전면(F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각기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1 크기(S1)만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크기(S1)는 대략 6인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20)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표시 장치의 제2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20)는 상기 힌지(HG')에 의해 언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상기 보호 부재(PM')를 통해 상기 전면(FS)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DP1')는 상기 전면(F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보호 부재(PM')를 통해 상기 전면(FS)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제1 표시부(DP1')와 동일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전면(F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배면(BS)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표시부(DP3')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들(DP1', DP2')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각기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제1 표시부(DP1')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2 크기(S2)만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크기(S2)는 대략 8인치 일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20)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표시 장치의 제3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30)는 상기 가이드 부재(GM)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DP1') 및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서로 동일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부재(PM')를 통해 상기 전면(FS)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DP1') 및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전면(F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제1 표시부(DP1') 및 상기 제2 표시부(DP2')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부재(PM')를 통해 상기 전면(FS)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전면(FS)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들(DP1', DP2', DP3')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각기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DP2')는 상기 제1 표시부(DP1')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할 수 있고, 상기 제3 표시부(DP3')는 상기 제2 표시부(DP2')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은 제3 크기(S3)만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크기(S3)는 대략 10.5 인치 일 수 있다.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표시 장치(20)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 20)는 폴딩 및/또는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 20)가 폴딩된 상태에서도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 DM')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 20)의 휴대성 및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 20)는 상기 보호 글라스(PG, PG')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호 글라스(PG, PG')는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 20)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 글라스(PG, PG')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DM, DM')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10, 2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시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 20 : 표시 장치 HS1, HS1' : 제1 하우징
DM, DM' : 플렉서블 표시 모듈 DP1, DP1' : 제1 표시부
SM : 지지 모듈 PM, PM' : 보호 부재
GM, GM' : 가이드 부재 FS : 전면
BS : 배면 HG' : 힌지

Claims (16)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와 인접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를 보호하며,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하는 보호 글라스;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플렉서블 지지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보호 글라스를 통해 노출되고, 제2 동작 모드 동안 배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면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지지 모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표시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와 마주보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1 표시부로부터 폴딩이 가능한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2 표시부로부터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3 표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모듈;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이 수용되고, 힌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표시부를 보호하며, 강성을 갖는 유리를 포함하는 보호 글라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표시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보호 글라스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배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표시부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보호 글라스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보호 글라스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제3 표시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3 표시부를 상기 제2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55769A 2021-04-29 2021-04-29 표시 장치 KR20220148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769A KR20220148976A (ko) 2021-04-29 2021-04-29 표시 장치
US17/534,658 US11934227B2 (en) 2021-04-29 2021-11-24 Display device
CN202111633709.1A CN115273657A (zh) 2021-04-29 2021-12-2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769A KR20220148976A (ko) 2021-04-29 2021-04-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76A true KR20220148976A (ko) 2022-11-08

Family

ID=8375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769A KR20220148976A (ko) 2021-04-29 2021-04-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34227B2 (ko)
KR (1) KR20220148976A (ko)
CN (1) CN115273657A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270B1 (ko) 2015-06-15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33269B1 (ko) 2016-01-18 2022-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784880B1 (ko) 2017-04-02 2017-10-16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롤더블 영상표시장치
CN107871453A (zh) * 2017-10-31 2018-04-0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2319B1 (ko) 2019-01-03 2024-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
CN110164315B (zh) * 2019-06-05 2020-12-1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作方法、盖板和显示装置
EP4047912A4 (en) * 2019-10-18 2023-08-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0706598A (zh) * 2019-10-23 2020-01-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10718154A (zh) * 2019-10-23 2020-01-2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0853514A (zh) * 2019-11-18 2020-0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盖板、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1227516B1 (en) * 2020-10-30 2022-01-1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95748B1 (ko) * 2021-02-17 2022-05-10 (주)유티아이 롤러블, 슬라이더블 및 스트레쳐블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US11899494B2 (en) * 2021-03-12 2024-02-1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modul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0367A1 (en) 2022-11-03
US11934227B2 (en) 2024-03-19
CN115273657A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0951B2 (en) Antistatic devic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2659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701422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805897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63407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78075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12148144B (zh) 在封装元件上具有触摸电极的显示装置
CN111684602A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KR2022000954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21218A (ko) 표시 장치
US11088236B2 (en) Display apparatus
KR20220148976A (ko) 표시 장치
KR10265193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44238B2 (en) Display device
US9214646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distance separator
US11563200B2 (en) Display device
CN114551531A (zh) 显示装置
KR2022003047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20060606A (ko) 표시 장치
JP2018054963A (ja) 半導体装置、表示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220165832A1 (en) Display device
US20220271112A1 (en) Display device
CN217606819U (zh) 显示装置
US2023005032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31258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