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650A - 내외경 동시 연삭기 - Google Patents

내외경 동시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650A
KR20220148650A KR1020210056023A KR20210056023A KR20220148650A KR 20220148650 A KR20220148650 A KR 20220148650A KR 1020210056023 A KR1020210056023 A KR 1020210056023A KR 20210056023 A KR20210056023 A KR 20210056023A KR 20220148650 A KR20220148650 A KR 2022014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bed
processing means
processing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조원
Original Assignee
오알에스코리아 유한회사
심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알에스코리아 유한회사, 심조원 filed Critical 오알에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650A/ko
Publication of KR2022014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1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with several grind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1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xially supporting turning workpieces, e.g. magnetically, pneumat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면서 고정된 가공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고정 수단과,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연마하는 제1 가공 수단과,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외경을 연마하는 제2 가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내외경 동시 연삭기{Simultaneous internal and external grinding machine}
본 발명은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에 의하여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이 동시에 가공될 수 있도록 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장치에는 축을 고정시키면서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Bearing)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베어링은 회전되는 축과의 결합을 위해 주로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어링의 외륜 또는 내륜은 결합 대상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표면의 거칠기 정도가 낮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베어링의 외륜 또는 내륜에는 연마 가공이 추가로 더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410564호에서는, 피가공체의 내경 및 외경을 연삭하는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가 개발되어 개시된다.
이러한,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는 피가공체를 고정하는 회전바이스와, 피가공체의 외경을 가공하는 외경연삭팁과, 피가공체의 내경을 가공하는 내경연삭팁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피가공체의 내경 및 외경의 연삭 가공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는, 피가공체의 내경 및 외경을 연삭 가공할 수 있으나, 피가공체의 연삭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이므로, 내경 및 외경의 가공 시간을 단축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1056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에 의하여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이 동시에 가공될 수 있도록 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면서 고정된 가공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고정 수단과,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연마하는 제1 가공 수단과,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외경을 연마하는 제2 가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은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에 의하여 동시에 가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베이스와는 회전축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베이스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정 볼트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송 프레임과,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핀들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와, 상기 스핀들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자력을 가짐으로써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마그네틱 척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마그네틱 척에 의하여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슈 및 제2 슈와 결합되는 슈 프레임과, 상기 슈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며 마그네틱 척에 의하여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슈 및 제2 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이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을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의 이송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가공 수단을 이루는 제1 가공부의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가공 수단을 이루는 제2 가공부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드는, 제1 가공 수단 또는 제2 가공 수단에 의하여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가공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베드의 상면이 절삭유가 낙하되는 지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구배지게 형성됨으로써 베드 전체가 절삭유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드의 상면이 절삭유가 낙하되는 지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구배지게 형성됨으로써 베드 전체가 절삭유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커버 내부의 전체 온도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이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가공 시간이 단축되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 수단이 회전 프레임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기종 교체시 요구되는 장비 셋팅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가공부와 제2 가공부의 이송 방향이 동일함에 따라 가공 대상물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제1 가공부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지며,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제2 가공부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가공 정밀도가 향상되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드의 상면 기울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 프레임을 보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 수단에 의한 가공 대상물의 고정예를 보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한 가공 대상물의 가공예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방지단을 보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면 설명 붙여넣기.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드(100)와, 상기 베드(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면서 고정된 가공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고정 수단(200)과, 상기 베드(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연마하는 제1 가공 수단(300)과, 상기 베드(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외경을 연마하는 제2 가공 수단(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은 제1 가공 수단(300)과 제2 가공 수단(400)에 의하여 동시에 가공된다.
상기 베드(100)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위로,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불어, 베드(100)의 상부에는 베드(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베드(100)는 제1 가공 수단(300) 또는 제2 가공 수단(400)에 의하여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가공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베드(100)의 상면이 절삭유가 낙하되는 지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구배지게 형성됨으로써 베드(100) 전체가 절삭유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절삭유가 낙하되는 지점은,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물로부터 베드(100)의 상면 방향으로 절삭유가 낙하될 때, 절삭유가 최초로 베드(100)의 상면에 접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절삭유가 낙하되는 지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의 전방측단(고정 수단이 설치된 방향) 중앙부로부터 좌측단 또는 우측단으로 갈수록 베드(100)의 상면이 하향 구배지게 형성되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수단(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베드(10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 상면이 하향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수단(200)이 설치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베드(100)의 후방측단(고정 수단의 반대 방향) 상면은, 베드(10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구배지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 수단(200)이 설치된 반대 방향에 위치된 베드(100)의 측면에는, 가공 시 사용된 절삭유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부(110)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1 가공 수단(300)과 제2 가공 수단(400) 사이에는, 절삭 유로(120)가 형성된다.
상기 절삭 유로(120)는, 제1 가공 수단(300)과 제2 가공 수단(400)에 의하여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가공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절삭유가 베드(100)의 상면으로 하강되는 지점으로부터 토출부(110)까지 절삭유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삭 유로(120)는 고정 수단(200)으로부터 토출부(110)측으로 하향 구배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베드(100)의 상면이 절삭유가 베드(100)의 상면 전체를 흐를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구배지게 형성됨으로써 절삭유와의 열교환이 베드(100)의 상면 전체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커버(미도시)의 내부 전체 온도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베드(100)의 상면 전체로 절삭유가 흐를 수 있도록 베드(100)가 구성됨으로써 절삭유에 의한 냉각(여름철) 또는 보온(겨울철) 효과가 커버(미도시)의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가공 대상물 또는 여타 장치이 열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은 최소화되면서 가공 정밀도는 향상되는 것이다.
물론, 베드(100)의 상면 일부는 제1 가공 수단(300) 또는 제2 가공 수단(400)의 설치를 위하여 평평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베드(100)의 상부에는 고정 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수단(200)은, 상기 베드(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베이스(210)와는 회전축(222)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베이스(210)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220)과, 상기 회전 프레임(2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정 볼트(240)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송 프레임(230)과, 상기 이송 프레임(230)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핀들(250)과, 상기 스핀들(2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핀들(25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260)와, 상기 스핀들(25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자력을 가짐으로써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마그네틱 척(270)과, 상기 회전 프레임(2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마그네틱 척(270)에 의하여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슈(281) 및 제2 슈(282)와 결합되는 슈 프레임(280)과, 상기 슈 프레임(280)의 일측에 결합되며 마그네틱 척(270)에 의하여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슈(281) 및 제2 슈(28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0)는, 베드(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더불어 스핀들(250)과 마그네틱 척(270)이 베드(1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더불어, 베이스(210)에는 후술될 걸림단(225)과 충돌되면서 걸림단(225)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지단(211)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210)의 상부에는 회전 프레임(22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220)은, 회전축(222)에 의하여 베이스(210)와 결합되는 부위로, 베이스(210)의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 프레임(220)의 내부에는 회전 프레임(220)이 회전축(222)에 의하여 회전됨에 있어서, 회전 프레임(2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클램프(223) 및 클램프 볼트(224)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223)는, 회전 프레임(22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 프레임(220)의 내부에서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클램프(223)는 클램프 볼트(22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측으로 이송되는데, 이처럼 클램프(223)가 클램프 볼트(22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측으로 이송이 이루어질 경우 회전 프레임(220)의 회전은 제한되게 된다.
상기 클램프 볼트(224)는, 회전 프레임(22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 프레임(220)의 측면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프(223)와 선택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램프 볼트(224)는 회전 프레임(220)의 측면으로부터 회전으로 통하여 회전 프레임(220)의 내측으로 이송 가능하며, 클램프 볼트(224)가 회전 프레임(220)의 내측 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질 경우 회전 프레임(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클램프(223)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클램프(223)는 상측으로 이송됨으로써 회전 프레임(220)의 이송은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클램프(223) 및 클램프 볼트(224)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회전 프레임(220)에는 걸림단(225)이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25)은, 회전 프레임(2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프레임(2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걸림단(225)이 방지단(211)과의 충돌로 인하여 회전 프레임(220)의 회전은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걸림단(225)과 방지단(211)에 의하여 회전 프레임(22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회전 프레임(22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손잡이가 추가로 더 구비됨으로써 회전 프레임(22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회전 프레임(220)의 상면에는 이송 프레임(230)의 이송을 안내하는 돌출부(221)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220)의 상부에는 이송 프레임(23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 프레임(230)은, 회전 프레임(220)과 결합되면서 회전 프레임(220)에 형성된 돌출부(221)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 프레임(230)의 저면에는 돌출부(221)와 대응되는 함몰부(231)가 형성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프레임(230)의 측면에는 조정 볼트(240)가 삽입되는 탭부(232)가 함몰 형성된다.
이와 함께, 이송 프레임(230)에는 조정 볼트(2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정 볼트(240)는, 이송 프레임(230)에 형성된 탭부(232)와 결합되는 것으로, 이송 프레임(230)이 회전 프레임(220)의 상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정 볼트(240)는 회전 프레임(2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단(24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이송 프레임(230)과 결합됨으로써 지지단(241)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처럼 조정 볼트(240)가 지지단(241)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이송 프레임(230)의 이송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 프레임(230)의 상부에는 스핀들(250)이 구비된다.
상기 스핀들(250)은, 동력부(2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부위이다.
즉, 스핀들(250)의 상부에는 동력부(260)가 구비되고, 동력부(260)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부(260)는,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을 스핀들(25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력부(260)은 스핀들(250)과 연결되는 벨트(Bel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스핀들(250)의 전면에는 마그네틱 척(270)이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틱 척(270)은, 스핀들(250)과 결합되어 스핀들(250)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자력(磁力)을 가짐으로써 가공 대상물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마그네틱 척(270)은 일종의 자석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공 대상물이 마그네틱 척(270)의 전면에 달라붙음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물론, 가공 대상물은 마그네틱 척(270)에 달라붙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측면으로 가압이 이루어질 경우 마그네틱 척(270)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마그네틱 척(270)에서 자력에 의하여 고정된 가공 대상물이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슈(281)와 제2 슈(282)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회전 프레임(220)의 상부에는 제1 슈(281)와 제2 슈(282)를 지지하는 슈 프레임(280)이 구비된다.
상기 슈 프레임(280)은, 제1 슈(281)와 제2 슈(282)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슈(281)와 제2 슈(282)가 마그네틱 척(270)에 고정되는 가공 대상물과 인접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슈 프레임(280)에는 제1 슈(281)와 제2 슈(282)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슈(281)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공 수단(300)과 제2 가공 수단(400)이 우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마그네틱 척(27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우측에 위치됨으로써 가공 대상물이 우측으로 이송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슈(282)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대상물이 스핀들(250)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제1 가공 수단(300)과 제2 가공 수단(400)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되며, 이 과정에서 가공 대상물이 하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공 대상물의 하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슈(282)는 가공 대상물의 하부에서도 좌측(도 8에서)으로부터 우측으로 경사지게 지지됨이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는, 가공 대상물의 외륜에 볼 베어링이 위치될 수 있도록 가공 대상물의 외륜에 홈이 외륜을 따라 형성되며,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슈(281)와 제2 슈(282)가 돌출되게 형성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가공 대상물의 외륜에 홈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제1 슈(281)와 제2 슈(282)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마그네틱 척(27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지지를 위해 두 개의 슈를 이용하였으나,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베드(100)의 상부에는 제1 가공 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가공 수단(300)은, 베드(10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고정 수단(200)의 우측(도 1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가공 수단(300)은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가공하는 제1 가공부(330)와, 상기 제1 가공부(3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가공부(330)가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전후 이송부(320)와, 상기 제1 전후 이송부(3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가공부(330)가 다른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좌우 이송부(3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좌우 이송부(310)는, 베드(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가공부(330)가 좌우(도 1에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전후 이송부(320)는 제1 좌우 이송부(31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제1 가공부(33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1 가공부(330)가 전후(도 1에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좌우 이송부(310)와 제1 전후 이송부(320)는 볼스크류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후 또는 좌우로 이송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볼스크류 방식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좌우 이송부(310)는 가공 대상물의 정밀한 가공을 위하여 정유압 방식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더 좋다.
상기 제1 가공부(330)는,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연삭하기 위한 연삭 숫돌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회전하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가공 수단(300)에 의하여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측 연삭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베드(100)의 상부에는 제2 가공 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가공 수단(400)은, 베드(10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고정 수단(200)의 좌측(도 1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가공 수단(400)은 가공 대상물의 외경을 가공하는 제2 가공부(430)와, 상기 제2 가공부(4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가공부(430)가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전후 이송부(420)와, 상기 제2 전후 이송부(4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가공부(430)가 다른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좌우 이송부(4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좌우 이송부(410)는, 베드(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가공부(430)가 좌우(도 1에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전후 이송부(420)는 제2 좌우 이송부(41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제2 가공부(43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2 가공부(430)가 전후(도 1에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좌우 이송부(410)와 제1 전후 이송부(320)는 볼스크류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후 또는 좌우로 이송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볼스크류 방식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좌우 이송부(410)는 가공 대상물의 정밀한 가공을 위하여 정유압 방식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더 좋다.
상기 제2 가공부(430)는, 가공 대상물의 외경을 연삭하기 위한 연삭 숫돌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회전하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가공 수단(400)에 의하여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외경측 연삭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가공 수단(300)과 제2 가공 수단(400)이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을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 수단(300)과 제2 가공 수단(400)의 이송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공 수단(300)을 이루는 제1 가공부(330)는 가공 대상물의 내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가공이 이루어지며, 제2 가공 수단(400)을 이루는 제2 가공부(430)는 가공 대상물의 외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가공 대상물의 가공을 위한 제1 가공부(330)와 제2 가공부(430)의 이송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 수단(200)에 의한 가공 대상물의 고정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가공 대상물의 가공 정밀도 또한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가공 수단(300)을 이루는 제1 가공부(330)의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수단(200)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가공 수단(400)을 이루는 제2 가공부(430)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가공 대상물과 제1 가공부(330)와 제2 가공부(4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회전 방향을 갖도록 구성하였을 때, 상기와 같이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제1 가공부(330)의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제2 가공부(430)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때 가장 높은 정밀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고정 수단(200)의 우측(도 1에서)에는, 제1 드레서(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드레서(130)는, 제1 가공 수단(300)을 이루는 제1 가공부(330)의 숫돌의 날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또한, 베드(100)의 상부에는 제2 드레서(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드레서(140)는, 고정 수단(200)의 좌측(도 1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가공 수단(400)을 이루는 제2 가공부(430)의 숫돌의 날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드레서(130)와 제2 드레서(140)는 고정 수단(200)과 베드(100)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제1 가공부(330) 또는 제2 가공부(430)가 제1 드레서(130) 또는 제2 드레서(140)측으로 이송함으로써 숫돌의 표면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드레서(130)와 제2 드레서(140)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서는 베드의 상면이 절삭유가 낙하되는 지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구배지게 형성됨으로써 베드 전체가 절삭유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커버 내부의 전체 온도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서는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이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가공 시간이 단축되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서는 고정 수단이 회전 프레임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기종 교체시 요구되는 장비 셋팅 또는 정비가 용이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서는 제1 가공부와 제2 가공부의 이송 방향이 동일함에 따라 가공 대상물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내외경 동시 연삭기에서는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제1 가공부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지며,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제2 가공부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가공 정밀도가 향상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베드 110. 토출부
120. 절삭 유로 130. 제1 드레서
140. 제2 드레서 200. 고정 수단
210. 베이스 211. 방지단
220. 회전 프레임 221. 돌출부
222. 회전축 223. 클램프
224. 클램프 볼트 225. 걸림단
230. 이송 프레임 231. 함몰부
232. 탭부 240. 조정 볼트
241. 지지단 250. 스핀들
260. 동력부 270. 마그네틱 척
280. 슈 프레임 281. 제1 슈
282. 제2 슈 300. 제1 가공 수단
310. 제1 전후 이송부 320. 제1 좌우 이송부
330. 제1 가공부 400. 제2 가공 수단
410. 제2 전후 이송부 420. 제2 좌우 이송부
430. 제2 가공부

Claims (5)

  1.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드;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면서 고정된 가공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고정 수단;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을 연마하는 제1 가공 수단;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외경을 연마하는 제2 가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내경 및 외경은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에 의하여 동시에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경 동시 연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베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베이스와는 회전축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베이스의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정 볼트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송 프레임;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핀들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상기 스핀들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자력을 가짐으로써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마그네틱 척;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마그네틱 척에 의하여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슈 및 제2 슈와 결합되는 슈 프레임;
    상기 슈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며, 마그네틱 척에 의하여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슈 및 제2 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경 동시 연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이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을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 수단과 제2 가공 수단의 이송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경 동시 연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가공 수단을 이루는 제1 가공부의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가공 수단을 이루는 제2 가공부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경 동시 연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제1 가공 수단 또는 제2 가공 수단에 의하여 고정 수단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가공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베드의 상면이 절삭유가 낙하되는 지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하향 구배지게 형성됨으로써 베드 전체가 절삭유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경 동시 연삭기.
KR1020210056023A 2021-04-29 2021-04-29 내외경 동시 연삭기 KR20220148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23A KR20220148650A (ko) 2021-04-29 2021-04-29 내외경 동시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23A KR20220148650A (ko) 2021-04-29 2021-04-29 내외경 동시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650A true KR20220148650A (ko) 2022-11-07

Family

ID=8404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023A KR20220148650A (ko) 2021-04-29 2021-04-29 내외경 동시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087B1 (ko) * 2022-12-28 2023-05-31 김종수 고데기 부품 연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564B1 (ko) 2012-09-06 2014-06-20 이순분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564B1 (ko) 2012-09-06 2014-06-20 이순분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087B1 (ko) * 2022-12-28 2023-05-31 김종수 고데기 부품 연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992A (ko) 연삭반
CN101341003A (zh) 砂轮修整装置
KR20220148650A (ko) 내외경 동시 연삭기
JP2019527624A (ja) インナフライス機
JP2008073838A (ja) トラバース研削装置及び加工方法
KR102206224B1 (ko) 경사형 평면 연삭기
JP2010042488A (ja) ワーク受け及びこれを備えた研削盤
KR101175981B1 (ko) 플랜지형 공작물 고정용 척
KR102047717B1 (ko) 블레이드의 드레싱 기구 및 그 기구를 구비한 절삭 장치 및 그 기구를 사용한 블레이드의 드레싱 방법
EP3165296B1 (en) Billet descaling apparatus
JP2007038354A (ja) 研削装置
US9592582B2 (en) Device for grinding spherical end face of roller-shaped workpiece
KR200414570Y1 (ko) 자동연마장치
US1976035A (en) Grinding machine
KR102656768B1 (ko) 소형 볼트 연속공급인출형 센터레스 연삭기
JP4923369B2 (ja) センタレス研削盤
KR200414569Y1 (ko) 자동연마장치
KR100590212B1 (ko) 워링유닛이 장착된 선반형 가공장치
JP4270115B2 (ja) 工作物の研削方法
CN105171568B (zh) 滑块超精机
KR102206642B1 (ko) 인너레이스 볼트랙 연삭장치
US2557248A (en) Grinding machine
CN212947016U (zh) 一种段差机的后送料传动装置
JP3881681B2 (ja) 超仕上げ盤による内輪または外輪の加工方法
CN219767852U (zh) 侧面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