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394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394A
KR20220148394A KR1020210055355A KR20210055355A KR20220148394A KR 20220148394 A KR20220148394 A KR 20220148394A KR 1020210055355 A KR1020210055355 A KR 1020210055355A KR 20210055355 A KR20210055355 A KR 20210055355A KR 20220148394 A KR20220148394 A KR 20220148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vehicle lamp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312B1 (ko
Inventor
주재영
고경욱
염등원
김종국
권은비
류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5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3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Abstract

차량용 램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일정한 빛을 출력함으로써, 테일램프의 균제도를 개선할 수 있고, 좁은 배광각을 형성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큰 배광각을 형성하는 리어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균제도를 개선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방 및 후방에 각종 조명장치가 장착되어 차량 안전 및 운전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조명장치로는 전조등, 후미등, 방향 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최근에 차량의 디자인 중시 경향에 따라 최소한의 법규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조명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빛을 발광하는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고 간접적인 조명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트 가이드 장치가 최근 차량에는 활발히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는 일정 범위의 발광각도를 갖고 빛을 발광하는 광원(10)과, 이러한 광원(1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전반사하는 라이트 가이드부(20)로 구성되는데, 라이트 가이드부(20)는 일반적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형태로 전반사면(2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20)의 내부에서 전반사를 통해 분산된 빛(30)은 외부로 발광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광원(10)으로부터 라이트 가이드부(20)로 입사된 빛은 라이트 가이드부(20)의 전반사면(21)을 통해 반사되는 과정을 통해 라이트 가이드부(20)를 따라 진행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부(20)에서 분산되어 진행방향의 직각 방향 측으로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라이트 가이드부(20)를 이용한 빛의 출력은 균제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81012호(발명의 명칭: 리어램프용 라이트 가이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균제도를 개선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차량용 램프로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 및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서 출력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모듈부는 반사면에 라이트 가이드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는 패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패턴부는 휘점(輝點)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광원부는 빛을 출력하는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입사각 범위내에 입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라이트 가이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라이트 가이드는 입사면과 반사면을 구비한 삼각뿔 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모듈부는 임의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반사 모듈부로 임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픽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테일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일정한 빛을 출력함으로써, 테일 램프의 균제도를 개선할 수 있고, 좁은 배광각을 형성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큰 배광각을 형성하는 리어램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와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와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5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7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와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와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고, 도5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6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7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리어 위치에 설치되고,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일정한 빛을 출력함으로써, 램프의 균제도를 개선할 수 있고, 좁은 배광각을 형성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큰 배광각을 형성하는 리어램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광원부(110)와, 라이트 가이드(120)와, 반사 모듈부(130)와 픽셀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일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10)는 빛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LED 모듈(111)과 광학계(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라이트 가이드(1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11)은 임의의 색상을 출력하도록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 백색 LED 또는 단색광 LED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계(112)는 LED 모듈(111)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의 입사각 범위내에 입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의 입사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의 입사면에 밀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12)는 입사면과 반사면의 단면 형상이 예를 들면 삼각뿔 형상으로 구성되고, NA(Numerical Aperture) 값은 라이트 가이드(120)에 여러 각도로 입사하는 입사광 중에서 상기 NA 값 안에서 입사되는 각도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광학계(112)는 광원부(110)에서 출력된 빛이 입사각 내에 들어오게 변환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넬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는 광원부(110)에서 출력된 빛이 입사하면 내부 전반사를 통해 빛을 출력되도록 안내하는 부재로서, 무색의 투명한 수지재, 또는 무색의 불투명한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는 광원부(110)의 빛과 혼합되어 임의의 색상이 출력되도록 형광체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는 라이트 가이드(120)의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121)는 라이트 가이드(120)의 몸체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121)가 설치된 반대측 수직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라이드 가이드(120)에 의한 균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120a)의 다른 실시 예는 라이트 가이드(120a)의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121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4의 라이트 가이드(120a)는 입사면과 반사면이 삼각뿔 형태로 돌출된 패턴을 라이트 가이드(120a)의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121a)는 라이트 가이드(120a)의 몸체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빛이 입사면과 반사면을 통해 반사되도록 하여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121a)가 돌출된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라이드 가이드(120a)에 의한 균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 모듈부(130)는 라이트 가이드(120, 120a)에서 출력되는 빛을 반사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평면, 비구면, 또는 임의의 곡률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 모듈부(130)를 통해 라이트 가이드(120, 120a)에서 출력된 좁은 배광각을 갖는 빛이 큰 배광각을 형성하도록 빔 폭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모듈부(130)는 반사면에 라이트 가이드(120, 120a)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 증가와 균제도가 증가할 수 있도록 패턴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31)는 반사 모듈부(130)의 반사면에 임의의 규칙적인 패턴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131)는 휘점(輝點)으로서, 반사 모듈부(130)의 반사면에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라이트 가이드(120, 120a)에서 출력된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산란광에 의한 균제도가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휘점은 라이트 가이드(120, 120a)에서 출력된 빛이 부딪쳐 난반사를 통해 밝게 빛나도록 하여 반사 모듈부(130)에서의 균제도가 증가할 수 있도록 하고, 산란광에 의해 더욱 넓은 배광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사 모듈부(130)는 픽셀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임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 모듈부(130)는 라이트 가이드(120, 120a)에서 출력된 빛을 픽셀 제어부(140)의 동작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다양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 모듈부(130)는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패널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LCOS 패널은 복수의 반사 모듈부(130a, 130b)를 m×n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하여 픽셀 간의 간격이 좁은 높은 해상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픽셀 제어부(140)는 광원부(110)의 온/오프 동작과,라이트 가이드(120, 120a)에서 반사된 빛이 임의의 배광 패턴으로 반사 및 출력될 수 있도록 반사 모듈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균제도가 높은 빛을 출력함으로써, 테일램프의 균제도를 개선할 수 있고, 좁은 배광각을 형성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큰 배광각을 형성하는 테일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리어램프
110 : 광원부
111 : LED 모듈
112 : 광학계
120, 120a : 라이트 가이드
121, 121a :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
130, 130a, 130b : 반사 모듈부
131 : 패턴부
140 : 픽셀 제어부

Claims (8)

  1.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110);
    상기 광원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120, 120a); 및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 120a)에서 출력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 모듈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모듈부(130)는 반사면에 라이트 가이드(120, 120a)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는 패턴부(13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131)는 휘점(輝點)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10)는 빛을 출력하는 LED 모듈(111); 및
    상기 LED 모듈(111)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 120a)의 입사각 범위내에 입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광학계(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 120a)는 길이방향을 따라 라이트 가이드 반사부(121, 12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120a)는 입사면과 반사면을 구비한 삼각뿔 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듈부(130)는 임의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듈부(130)로 임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픽셀 제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테일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10055355A 2021-04-29 2021-04-29 차량용 램프 KR10252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355A KR102529312B1 (ko) 2021-04-29 2021-04-2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355A KR102529312B1 (ko) 2021-04-29 2021-04-2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94A true KR20220148394A (ko) 2022-11-07
KR102529312B1 KR102529312B1 (ko) 2023-05-03

Family

ID=8404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355A KR102529312B1 (ko) 2021-04-29 2021-04-2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3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633A (ja) * 2007-02-21 2008-09-04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表示装置
KR101181012B1 (ko) 2010-07-30 2012-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리어램프용 라이트 가이드
JP2013161729A (ja) * 2012-02-07 2013-08-19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KR20180072417A (ko) * 2016-12-21 2018-06-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083122A (ko) * 2018-01-03 2019-07-11 한국광기술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헤드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633A (ja) * 2007-02-21 2008-09-04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表示装置
KR101181012B1 (ko) 2010-07-30 2012-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리어램프용 라이트 가이드
JP2013161729A (ja) * 2012-02-07 2013-08-19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KR20180072417A (ko) * 2016-12-21 2018-06-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083122A (ko) * 2018-01-03 2019-07-11 한국광기술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헤드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312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0651B1 (en) Light source device and vehicle lighting device
KR101274891B1 (ko) 화면에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EP3456587B1 (en) Light beam adjusting device, vehicle lamp and motor vehicle
JP2006236588A (ja) 光照明装置及び車両用灯具
TWI474085B (zh) 面光源裝置及液晶顯示裝置
KR20130011779A (ko) 램프 조립체
JP201916428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移動体
JP7151190B2 (ja) 車両用灯具
KR102293083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및 자동차 헤드램프
KR102116191B1 (ko) 움직이는 인피니티 미러 효과를 갖는 리어램프
JP2019197729A (ja) 自動車用照明及び/又は信号装置
KR102529312B1 (ko) 차량용 램프
JP2004022223A (ja) 照明装置
TWI722799B (zh) 面光源裝置及液晶顯示裝置
JP6645218B2 (ja) 表示装置
WO2023153510A1 (ja) 光学部材、光源装置、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H11102609A (ja)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US11629832B2 (en) Homogenous lit line image vehicle lamp assembly
JP7447162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2508919B1 (ko) Hud용 화상형성장치
US11608954B2 (en) Vehicle lamp structure having a housing with a light diffusion unit, a cover unit, and a light guide
JP7253717B2 (ja) 投影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H10206641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461363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7287277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