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350A -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350A
KR20220148350A KR1020210054733A KR20210054733A KR20220148350A KR 20220148350 A KR20220148350 A KR 20220148350A KR 1020210054733 A KR1020210054733 A KR 1020210054733A KR 20210054733 A KR20210054733 A KR 20210054733A KR 20220148350 A KR20220148350 A KR 20220148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box
ray
generator
convey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민성환
김익환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아이
Priority to KR102021005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350A/ko
Publication of KR2022014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01V5/20Detecting prohibited goods, e.g. weapons, explosives, hazardous substances, contraband or smuggled objects
    • G01V5/22Active interrogation, i.e. by irradiating objects or goods using external radiation sources, e.g. using gamma rays or cosmic rays
    • G01V5/224Multiple energy techniques using one type of radiation, e.g. X-rays of different energies
    • G01V5/004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material being confined in a container, e.g. in a luggage X-ray scann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조립체(10)의 메인프레임(11)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안착된 대형화물(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20)와;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대형화물(P)이 통과하는 검색터널(30)과;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대형화물(P)로 제1엑스레이(X1)를 조사하는 제1제너레이터(40)와; 제1제너레이터(40)의 맞은편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이 내장된 제1검출박스(80)와; 검색터널(30) 내측에서 상기 컨베이어(20) 하부측에 위치되어 제1검출박스(80)를 검색터널(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랙조립체(90)와; 프레임조립체(10)의 서브프레임(12)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상기 대형화물(P)로 상기 제2엑스레이(X2)를 조사하는 제2제너레이터(100)와; 제2제너레이터(100)의 맞은편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이 내장된 제2검출박스(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Radiation detection instrument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본 발명은 공항이나 항만을 통하여 출입하는 대형화물을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비파괴 검색하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엑스레이 대형화물 영상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용이한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 항구, 항만에는 국내외를 출입하는 대형화물에 폭발물품, 유독물품, 금지물품이 포함되어있는지를 검색하기 위한 용도로 엑스레이 화물검색기가 운영되고 있다. 엑스레이 화물검색기는, 기본적으로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제너레이터와, 제너레이터 맞은편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엑스레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디텍터모듈과, 제너레이터와 디텍터모듈 사이에서 대형화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다수의 디텍터모듈에서 검출된 엑스레이를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너레이터에서 조사되는 엑스레이는 이송되는 대형화물을 투과한 후 다수의 디텍터모듈로 검출되고, 디텍터모듈에서 검출된 엑스레이 신호는 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로 투영되며,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대형화물 내부에 불법적인 물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엑스레이 화물검색기는, 매일매일 수없이 많은 고중량의 대형화물을 검색하기 때문에 운영 과정에서 고중량 대형화물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진동이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은 제너레이터나 일렬로 배치된 디텍터모듈의 위치를 틀어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 경우, 제너레이터와 다수의 디텍터모듈 사이의 상대적인 초기 위치가 변화되어 제너레이터에서 조사되는 엑스레이가 디텍터모듈 사이로 정확히 조사되지 않게 되었으며, 이는 엑스레이 영상을 왜곡시키는 원인이 되어 정확한 엑스레이 영상을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관리자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제너레이터나 디텍터모듈의 위치를 보정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엑스레이 화물검색기는 좁은 공간에 수많은 부품들이 채워져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너레이터와 디텍터모듈 사이의 상대위치를 위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화물검색기의 상당부분을 분해하여야 하였고, 이후 제너레이터나 디텍터모듈의 위치를 보정한 후 화물검색기를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등의 복잡한 과정이 요구되어 유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엑스레이 영상은 대형화물을 일방향으로 투과한 엑스레이에 의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엑스레이가 투과되는 방향에서 대형화물의 특정 부분과 유사하게 보이는 위험물의 겹쳐지게 배치될 경우 엑스레이 영상을 통하여 위험물을 정확히 구분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장기간 운영하는 과정에서 제너레이터에서 조사된 엑스레이와 검출박스 사이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 엑스레이 영상왜곡이 발생될 때, 엑스레이와 검출박스 사이의 상대위치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화물을 투과한 엑스레이에 의한 영상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화물의 특정 부분과 유사하게 보이는 위험물이 겹쳐지게 배치되더라도 위험물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는, 지면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11) 및 메인프레임(11)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서브프레임(12)으로 구성된 프레임조립체(10);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안착된 대형화물(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20);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지지되어 상기 컨베이어(20)를 감싸는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대형화물(P)이 통과하는 검색터널(30);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대형화물(P)로 제1엑스레이(X1)를 조사하는 제1제너레이터(40); 상기 제1제너레이터(40)의 맞은편 상기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이 내장된 제1검출박스(80); 상기 검색터널(30) 내측에서 상기 컨베이어(20)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검출박스(80)를 검색터널(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랙조립체(90); 상기 서브프레임(12)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상기 대형화물(P)로 상기 제2엑스레이(X2)를 조사하는 제2제너레이터(100); 및 상기 제2제너레이터(100)의 맞은편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이 내장된 제2검출박스(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출박스(80)는, 상기 트랙조립체(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1수평슬릿(81a)이 형성된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와 분리되어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종단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제1수직슬릿(82a)이 형성된 제1수직검출박스(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랙조립체(90)는, 상기 컨베이어(20) 하부측 메인프레임(11)에 상기 제1엑스레이(X1) 조사방향으로 지지되는 트랙(91)과, 상기 트랙(81)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92)과, 상기 가이드레일(92)을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더(93)와, 상기 슬라이더(93)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일측단을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단(94)과, 상기 제1수평박스(81)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92) 상에서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95)와, 상기 트랙(91)의 종단에 설치되어 제1수평검출박스(81) 및 제1수직검출박스(82)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하는 선택위치고정단(9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택위치고정단(96)은, 상기 트랙(91)의 종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볼트(96a)와, 상기 고정볼트(96a)에 지지되어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종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고정브라켓(96b)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96b)의 상부측에서 고정볼트(96a)에 지지되어 제1수직검출박스(82)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브라켓(96c)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택위치고정단(96)은, 상기 제1제너레이터(40)에서 조사되는 제1엑스레이(X1)를 부채꼴 형태로 확산시키는 제1콜리메이터(50); 및 상기 제2제너레이터(100)에서 조사되는 상기 제2엑스레이(X2)를 부채꼴 형태로 확산시키는 제2콜리메이터(11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콜리메이터(5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엑스레이(X1)를 라인 형태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1투과슬릿(S1)을 형성하는 제1슬릿조리개(60); 및 상기 제2콜리메이터(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엑스레이(X2)를 라인 형태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2투과슬릿(S2)을 형성하는 제2슬릿조리개(1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콜리메이터(50)를 통과한 제1엑스레이(X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제1쉘딩박스(70); 및 상기 제2콜리메이터(110)를 통과한 상기 제2엑스레이(X2)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제2쉘딩박스(1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검출박스(80)가 상호 분리되는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제1수직검출박스(82)로 구성되고, 제1수평검출박스(81)가 컨베이어(20) 하부측에서 트랙조립체(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제1수평검출박스(81)에 설치되는 제1디텍터모듈(80a) 및 관련부품을 유지보수 및 교체하고자 할 때 제1수평검출박스(81)를 검색터널(30) 우측으로 잡아당겨 돌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20)를 분해하여야 하는등의 매우 번거로운 상황을 초래하지 않고도 제1수평검출박스(81)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제1,2제너레이터(40)(100)와 검색터널(30) 사이에 설치되는 제1,2콜리메이터(50)(110) 및 제1,2쉘딩박스(70)(130)를 채용함으로써, 장시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진동 및 주위 환경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제1,2제너레이터(40)(100)와 제1,2검출박스(80)(140) 사이의 초기 위치가 틀어지거나, 부품의 열화에 의하여 유지보수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 될 때, 제1,2콜리메이터(50)(110) 및 제1,2쉘딩박스(70)(130)를 분리함으로써 제1,2제너레이터(40)(100)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원활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제1,2콜리메이터(50)(110)가 제1,2제너레이터(40)(1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고, 제1,2슬릿조리개(60)(120)가 제1,2콜리메이터(50)(110)에 한몸체로 설치됨으로서, 제1,2투과슬릿(S1)(S2)을 통과하는 제1,2엑스레이(X1)(X2)의 슬릿폭을 보정하거나 제1,2검출박스(80)(140)로 조사되는 각도를 보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형화물(P)을 투과한 후 제1,2검출박스(80)(140)에서 검출되는 제1,2엑스레이(X1)(X2)로부터 선명한 엑스레이 영상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화물(P)에 포함된 불법적인 물품 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대형화물(P)을 일방향으로 투과하는 엑스레이 영상과, 대형화물(P)을 타방향으로 투과하는 엑스레이 영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므로, 2 개의 상이한 방향의 엑스레이 영상을 비교함으로서 화물의 특정 부분과 유사하게 보이는 위험물의 겹쳐지게 배치되더라도 위험물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베이어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컨베이어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제1제너레이터, 제1제1콜리메이터, 제1슬릿조리개 및 제1쉘딩박스의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제너레이터, 제1콜리메이터, 제1슬릿조리개 및 제1쉘딩박스의 분해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제1,2제너레이터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1,2제너레이터에 결합되는 제1,2콜리메이터 및 제1,2슬릿조리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1,2콜리메이터와 제1,2슬릿조리개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1,2콜리메이터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제1,2콜리메이터의 저면도,
도 11은 도 1의 터널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2검출박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1검출박스 및 트랙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트랙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트랙에 제1검출박스가 지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제1검출박스를 구성하는 제1수평검출박스가 제1수직검출박스의 측부로 돌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4의 의 제1제너레이터, 제1콜리메이터, 제1슬릿조리개 및 제1쉘딩박스 조립체에서 조사되는 제1엑스레이가 제1검출박스로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의 제2제너레이터, 제2제1콜리메이터, 제2슬릿조리개 및 제2쉘딩박스의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제2제너레이터, 제2콜리메이터, 제2슬릿조리개 및 제2쉘딩박스의 분해측면도,
도 19 도 17의 제2제너레이터, 제2콜리메이터, 제2슬릿조리개 및 제2쉘딩박스 조립체에서 조사되는 제2엑스레이가 제2검출박스로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베이어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컨베이어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는, 지면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11) 및 메인프레임(11)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서브프레임(12)으로 구성된 프레임조립체(10)와; 메인프레임(11)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안착된 대형화물(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20)와; 메인프레임(11)에 지지되어 컨베이어(20)를 감싸는 것으로서,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이송되는 대형화물(P)이 통과하는 검색터널(30)과;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대형화물(P)로 제1엑스레이(X1)를 조사하는 제1제너레이터(40)와; 제1제너레이터(40)에서 조사되는 제1엑스레이(X1)를 부채꼴 형태로 확산시키는 제1콜리메이터(50)와; 제1콜리메이터(5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엑스레이(X1)를 라인 형태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1투과슬릿(S1)을 형성하는 제1슬릿조리개(60)와; 제1콜리메이터(50)를 통과한 제1엑스레이(X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제1쉘딩박스(70)와; 제1제너레이터(40)의 맞은편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이 내장된 제1검출박스(80)와; 검색터널(30) 내측에서 컨베이어(20) 하부측에 위치되어 제1검출박스(80)를 검색터널(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랙조립체(90)와; 서브프레임(12)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대형화물(P)로 제2엑스레이(X2)를 조사하는 제2제너레이터(100)와; 제2제너레이터(100)에서 조사되는 제2엑스레이(X2)를 부채꼴 형태로 확산시키는 제2콜리메이터(110)와; 제2콜리메이터(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2엑스레이(X2)를 라인 형태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2투과슬릿(S2)을 형성하는 제2슬릿조리개(120)와; 제2콜리메이터(110)를 통과한 제2엑스레이(X2)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제2쉘딩박스(130)와; 제2제너레이터(100)의 맞은편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이 내장된 제2검출박스(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형화물 검색기는 공항, 항구, 항만에 설치되어 국내외를 출입하는 대형화물에 폭발물품, 유독물품, 금지물품이 포함되어있는지를 검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프레임조립체(10)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1)은 컨베이어(20), 검색터널(30) 및 제2제너레이터(100)를 지지하고, 서브프레임(12)은 메인프레임(11)의 측부로 돌출되어 제1제너레이터(40)를 지지한다.
컨베이어(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중량의 대형화물(P)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컨베이어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22)와, 다수의 이송롤러(22) 각각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23)과, 컨베이어프레임(21)에 지지되어 되어 이송롤러(22)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3) 및 이송롤러(22)는 체인(미도시)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23)는 다수의 이송롤러(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커다란 크기를 가지며 고중량의 대형화물(P)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이송롤러(22)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송되어 검색터널(30)을 통과하게 된다.
검색터널(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에 컨베이어(20)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터널하우징(31)과, 터널하우징(31)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터널하우징(31) 내부로 조사되는 제1,2엑스레이(X1)(X2)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사선 차폐기능을 가지는 납커튼(32)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제1제너레이터, 제1제1콜리메이터, 제1슬릿조리개 및 제1쉘딩박스의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제너레이터, 제1콜리메이터, 제1슬릿조리개 및 제1쉘딩박스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1,2제너레이터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2제너레이터에 결합되는 제1,2콜리메이터 및 제1,2슬릿조리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2콜리메이터와 제1,2슬릿조리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1,2콜리메이터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1,2콜리메이터의 저면도이다.
제1제너레이터(40)는,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지지되어 대향되는 검색터널(30)의 제1모서리측으로 제1엑스레이(X1)를 조사하며, 이 과정에서 제1엑스레이(X1)는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대형화물(P)을 일측 방향에서 투과하게 된다. 이러한 제1제너레이터(40)는, 도 1 및 도 6에 내부에 제1엑스레이(X1)를 조사하는 광원(42)이 내장된 제1본체(41)와, 제1본체(41)의 전면에 형성된 제1엑스레이투과창(43)과, 제1엑스레이투과창(43)이 내장되도록 제1본체(4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링가이더(44)와, 제1링가이더(44)에 형성된 다수의 제1링가이더켓체결공(45)을 포함한다.
제1본체(41)에 내장된 광원은, 예를 들면 전자선형 가속기 형태의 X선관으로 구현되거나, 방사선을 발생하는 방사선물질이 될 수 있다.
제1링가이더(44)는 제1본체(41)에 대하여 제1콜리메이터(50)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제1콜리메이터(50)는, 제1콜리메이터(5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엑스레이(X1)를 라인 형태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1투과슬릿(S1)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너레이터(40)의 제1본체(4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베이스플레이트(51)와, 제1베이스플레이트(5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작동로드(52)와, 제1베이스플레이트(51)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1제너레이터(40)의 제1링가이더(4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브라켓(53)과, 제1베이스플레이트(51)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제1엑스레이투과창(43)과 연통되는 것으로서 확관되는 각도를 가지는 제1확관박스(54)와, 제1확관박스(54)의 단부에 설치되는 테두리 형태의 제1탑플레이트(55)와, 제1베이스플레이트(51)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링가이더(44)의 제1링가이더체결공(45)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제1원주관통공(56)과, 제1탑플레이트(5)에 형성된 다수의 제1탑플레이트체결공(57)을 포함한다.
제1작동로드(52)는 제1베이스플레이트(51)에서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1콜리메이터(50) 및 제1슬릿조리개(60)를 조사하는 제1엑스레이(X1)의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가변 및 보정할 수 있다.
제1링브라켓(53)은, 도 6의 제1링가이더(44)에 끼어지도록 링 형태로 되며, 제1링가이더(44)에 끼어진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다.
제1확관박스(54)는 납작하면서 전방측으로 넓어지는 부채꼴 형태의 관통 경로를 형성하며, 제1확관박스(54)의 입구는 도 6의 제1엑스레이투과창(43)과 대향된다. 따라서 제1엑스레이투과창(43)을 경유한 제1엑스레이(X1)는 제1확관박스(54)가 허용하는 각도로 따라 제1검출박스(80) 전체로 확산되게 조사된다.
제1탑플레이트(55)는 제1확관박스(54)의 출구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테두리 형태를 이루며, 후술할 제1슬릿조리개(60)가 설치되는 공간이 된다.
제1원주관통공(56)은 제1베이스플레이트(51)에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게 형성되어 제1링가이더체결공(45)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며, 이에 따라 제1링브라켓(53)이 제1링가이더(44)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될 때 제1베이스플레이트(51)는 제1제너레이터(4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제1콜리메이터(50)의 측벽에는 납으로 된 차폐벽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콜리메이터(50)를 투과하는 제1엑스레이(X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된다.
제1슬릿조리개(60)는, 제1콜리메이터(5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엑스레이(X1)가 통과하는 제1투과슬릿(S1)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콜리메이터(50)의 제1탑플레이트(55) 좌측에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좌측위치가변날개(61)와, 제1좌측위치가변날개(6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좌측차폐플레이트(62)와, 제1탑플레이트(55)의 우측에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우측위치가변날개(63)와, 제1우측위치가변날개(63)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좌측차폐플레이트(62) 사이에서 제1투과슬릿(S1)을 형성하는 제1우측차폐플레이트(64)와, 제1좌측위치가변날개(61)에 형성된 것으로서 좌측의 제1탑플레이트체결공(5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다수의 제1좌측체결장공(65)과, 제1우측위치가변날개(63)에 형성된 것으로서 우측의 제1탑플레이트체결공(5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다수의 제1우측체결장공(66)을 포함한다.
좌측의 제1탑플레이트체결공(6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제1좌측체결장공(65)이 제1좌측위치가변날개(61)에 형성되고, 우측의 제1탑플레이트체결공(5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제1우측체결장공(66)이 제1우측위치가변날개(63)에 형성됨으로써, 제1좌측차폐플레이트(62)와 제1우측차폐플레이트(64) 사이에 형성되는 제1투과슬릿(S1)의 폭은 제1좌측위치가변날개(61)와 제1우측위치가변날개(63)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1투과슬릿(S1)은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1엑스레이(X1) 중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위치되는 부분 산란된 엑스레이 라인을 차폐하고, 더 나아가 검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선량만큼만 투과하도록 함으로서 후술할 제1검출박스(80)가 고품질의 선명한 엑스레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제1투과슬릿(S1)을 채용하지 않아 투과되는 제1엑스레이(X1)가 필요 이상의 선량을 가지게 될 때, 제1엑스레이(X1)는 에너지가 과하게 되어 대형화물(P)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조들을 그대로 투과하게 되며, 이 경우 제1검출박스(80)에서 얻어지는 엑스레이 영상에서 대형화물(P) 내부 구조가 선명하게 표현되지 않게 된다.
또한 대형화물 화물검색기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이나 주위 온도변화에 의하여 제1콜리메이터(50)와 제1검출박스(80) 사이의 상대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투과슬릿(S1)을 통과한 제1엑스레이(X1)가 제1검출박스(80)의 제1수평 및 수직 슬릿(81a)(82a)으로 조사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좌측위치가변날개(61)와 제1우측위치가변날개(63)를 좌우측으로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제1투과슬릿(S1)의 폭은 물론 전체 위치를 미세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제너레이터(40)나 제1검출박스(80)를 위치 변경하지 않고도 보정이 가능하여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제1슬릿조리개(60)가 제1콜리메이터(50)의 제1탑플레이트(55)에 한몸체로 조립됨으로써, 제1슬릿조리개(60)에 형성되는 제1투과슬릿(S1)을 제1제너레이터(4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대형화물 검색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1검출박스(80)가 설정위치에서 약간 틀어지게 되더라도, 제1콜리메이터(50)를 특정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투과슬릿(S1)을 제1수평 및 수직 슬릿(81a)(82a)과 정확히 대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용이한 세팅이 가능해진다.
제1쉘딩박스(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터널(30)의 터널하우징(31) 상부면에 설치되며, 제1콜리메이터(50)의 출구를 수용함으로써 제1콜리메이터(50)와 터널하우징(31)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된다. 또한 제1콜리메이터(50)를 통과한 제1엑스레이(X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이를 위하여 제1쉘딩박스(70) 측벽은 납으로 된 차폐벽을 형성된다. 이러한 제1쉘딩박스(70)의 양단에는 한쌍의 제1고정날개(71)가 형성되며, 제1고정날개(71)를 관통하는 볼트가 터널하우징(31)에 체결됨으로써 제1쉘딩박스(70)는 터널하우징(31)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제1쉘딩박스(70)를 채용함으로서, 제1제너레이터(40)를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 제1쉘딩박스(70)를 터널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하여 제1콜리메이터(5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콜리메이터(50)를 제1제너레이터(4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쉘딩박스(70)를 채용함으로써, 제1제너레이터(40)에서 광원(42)이나 관련 부품을 교체하는등의 유지보수를 하고자 할 때, 제1쉘딩박스(70)를 분리한 후 제1콜리메이터(50)를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제1제너레이터(40)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제너레이터(40)를 분리하지 않고도 보수가 가능하여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인 유지보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터널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2검출박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1검출박스 및 트랙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트랙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트랙에 제1검출박스가 지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제1검출박스를 구성하는 제1수평검출박스가 제1수직검출박스의 측부로 돌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검출박스(80)는 제1제너레이터(40)의 맞은편 검색터널(30)에 설치되어 검색용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한다. 이러한 제1검출박스(80)는, 트랙조립체(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1수평슬릿(81a)이 형성된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와 분리되어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종단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제1수직슬릿(82a)이 형성된 제1수직검출박스(82)를 포함한다.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제1수직검출박스(82)는 상호 분리된 구성으로서, 제1수직검출박스(82)가 터널하우징(31)의 좌측에 위치되고, 제1수평검출박스(81)는 제1수직검출박스(82)의 하단에서 밀착된 상태로 컨베이어(20)의 하부측에서 트랙조립체(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수평검출박스(81)에는 제1수평슬릿(81a)이 형성되고 제1수직검출박스(82)에는 제1수직슬릿(82a)이 형성되며,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제1수직검출박스(82)가 직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1수평슬릿(81a) 및 제1수직슬릿(82a)은 3mm 폭의 직선 라인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수평 및 수직슬릿(81a)은 제1투과슬릿(S1)을 통과한 제1엑스레이(X1)를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로 안내한다.
제1수평검출박스(81) 및 수직검출박스(82)의 내부에는 제1수평 및 수직 슬릿(81a)(82a)을 통과한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이 설치된다. 제1디텍터모듈(80a)은, 제1수평 및 수직 슬릿(81a)(82a)을 통하여 조사되는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하여 연속적인 주사프레임을 형성한다. 즉,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은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하여 연속적인 주사프레임을 생성하고, 이후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주사프레임은 시계열적으로 조합됨으로서 2 차원의 투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트랙조립체(90)는 컨베이어(20) 하부측 메인프레임(11)에 제1엑스레이(X1) 조사방향으로 지지되는 트랙(91)과, 트랙(81)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92)과, 가이드레일(92)을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더(93)와, 슬라이더(93)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일측단을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단(94)과, 제1수평박스(81)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92) 상에서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95)와, 트랙(91)의 종단에 설치되어 제1수평검출박스(81) 및 제1수직검출박스(82)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하는 선택위치고정단(96)을 포함한다.
선택위치고정단(96)은, 트랙(91)의 종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볼트(96a)와, 고정볼트(96a)에 지지되어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종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고정브라켓(96b)과, 제1고정브라켓(96b)의 상부측에서 고정볼트(96a)에 지지되어 제1수직검출박스(82)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브라켓(96c)과, 고정볼트(96a)에 체결되어 제1고정브라켓(96b)을 승강 위치를 가변하는 제1너트조립체(96d)와, 고정볼트(96a)에 체결되어 제2고정브라켓(96c)의 승강 위치를 가변하는 제2너트조립체(96e)를 포함한다.
제1고정브라켓(96b)은 그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하여 제1수평검출박스(8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제2고정브라켓(96c)은 그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하여 제1수직검출박스(82)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검출박스(80) 및 트랙조립체(90)의 구성에 의하여, 평소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검출박스(82)는 터널하우징(31)의 우측에 밀착되고, 제1수평검출박스(20)는 컨베이어(20) 하부측에서 트랙조립체(9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제1수직검출박스(82)는 터널하우징(31)의 우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1수직검출박스(82)에 내장된 제1디턱터모듈(80a)이나 관련 부품을 유지보수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터널하우징(31) 우측에 서서 제1수직검출박스(82)의 상부커버를 분리한 후 유지보수 및 교체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제1수평검출박스(81)는 컨베이어(20) 하부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수평검출박스(81)가 제1수직검출박스(82)와 분리되는 독립 구성이고, 제1수평검출박스(81)를 검색터널(30)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트랙조립체(90)를 채용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위치고정단(96)의 제1고정브라켓(96b)을 제1수평검출박스(81)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후 제1수평검출박스(81)를 검색터널 우측으로 잡아당겨 돌출시킬 수 있어 이 상태에서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상부커버를 분리한 후 유지보수 및 교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검출박스(80)가 상호 분리되는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제1수직검출박스(82)로 구성되고, 제1수평검출박스(81)가 컨베이어(20) 하부측에서 트랙조립체(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제1수평검출박스(81)에 설치되는 제1디텍터모듈(80a) 및 관련부품을 유지보수 및 교체하고자 할 때 제1수평검출박스(81)를 검색터널(30) 우측으로 잡아당겨 돌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20)를 분해하여야 하는등의 매우 번거로운 상황을 초래하지 않고도 제1수평검출박스(81)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16은 도 4의 의 제1제너레이터, 제1콜리메이터, 제1슬릿조리개 및 제1쉘딩박스 조립체에서 조사되는 제1엑스레이가 제1검출박스로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제너레이터(40), 제1콜리메이터(50) 및 제1슬릿조리개(60)는 한몸체의 조립체를 이루고, 이들로부터 조사되는 제1엑스레이(X1)는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이송되는 대형화물(P)을 일측으로부터 투과한 후 제1수평 및 수직 슬릿(81a)(82a)을 통하여 일렬로 설치되는 제1디텍터모듈(80a)로 조사되고,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에서 검출된 엑스레이는 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하여 표시된다.
도 17은 도 1의 제2제너레이터, 제2제1콜리메이터, 제2슬릿조리개 및 제2쉘딩박스의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제2제너레이터, 제2콜리메이터, 제2슬릿조리개 및 제2쉘딩박스의 분해측면도이다.
제2제너레이터(100)는, 도 1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12)에 지지되어 대향되는 검색터널(30)의 제2모서리측으로 제2엑스레이(X2)를 조사하며, 이 과정에서 제2엑스레이(X2)는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대형화물(P)을 타측 방향에서 투과하게 된다.
이러한 제2제너레이터(100)는, 내부에 제2엑스레이(X2)를 조사하는 광원(102)이 내장된 제2본체(101)와, 제2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된 제2엑스레이투과창(103)과, 제2엑스레이투과창(103)이 내장되도록 제2본체(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2링가이더(104)와, 제2링가이더(104)에 형성된 다수의 제2링가이더체결공(105)을 포함한다.
제2본체(101)에 내장된 광원은, 예를 들면 전자선형 가속기 형태의 X선관으로 구현되거나, 방사선을 발생하는 방사선물질이 될 수 있다.
제2링가이더(104)는 제2본체(101)에 대하여 제2콜리메이터(110)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제2콜리메이터(1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본체(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11)와, 제2베이스플레이트(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작동로드(112)와, 제2베이스플레이트(111)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2제너레이터(100)의 제2링가이더(10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브라켓(113)과, 제2베이스플레이트(111)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제2엑스레이투과창(103)과 연통되는 것으로서 확관되는 각도를 가지는 제2확관박스(114)와, 제2확관박스(114)의 단부에 설치되는 테두리 형태의 제2탑플레이트(115)와, 제2베이스플레이트(111)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링가이더(104)의 제2링가이더체결공(105)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제2원주관통공(116)과, 제2탑플레이트(115)에 형성된 다수의 제2탑플레이트체결공(117)을 포함한다.
제2작동로드(112)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11)에서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2콜리메이터(110) 및 제2슬릿조리개(120)를 조사하는 제2엑스레이(X2)의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가변 및 보정할 수 있다.
제2링브라켓(113)은, 도 6의 제2링가이더(104)에 끼어지도록 링 형태로 되며, 제1링가이더(104)에 끼어진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다.
제2확관박스(114)는 납작하면서 전방측으로 넓어지는 부채꼴 형태의 관통 경로를 형성하며, 제2확관박스(114)의 입구측이 도 6의 입구측이 제2엑스레이투과창(103)과 대향된다. 따라서 제2엑스레이투과창(103)을 경유한 제2엑스레이(X2)는 제2확관박스(114)가 허용하는 각도로 따라 제2검출박스(140) 전체로 확산되게 조사된다.
제2탑플레이트(115)는 제2확관박스(114)의 출구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테두리 형태를 이루며, 후술할 제2슬릿조리개(130)가 설치되는 공간이 된다.
제2원주관통공(116)은 제2베이스플레이트(111)에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게 형성되어 제2링가이더체결공(115)에 체결되는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며, 이에 따라 제2링브라켓(113)이 제2링가이더(104)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될 때 제2베이스플레이트(111)는 제2제너레이터(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제2콜리메이터(110)의 측벽에는 납으로 된 차폐벽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콜리메이터(110)를 투과하는 제1엑스레이(X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된다.
제2슬릿조리개(120)는, 제2콜리메이터(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엑스레이(X2)가 통과하는 제2투과슬릿(S2)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콜리메이터(110)의 제2탑플레이트(115) 좌측에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좌측위치가변날개(121)와, 제2좌측위치가변날개(1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좌측차폐플레이트(122)와, 제2탑플레이트(115)의 우측에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우측위치가변날개(123)와, 제2우측위치가변날개(123)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좌측차폐플레이트(122) 사이에서 제2투과슬릿(S2)을 형성하는 제2우측차폐플레이트(124)와, 제2좌측위치가변날개(121)에 형성된 것으로서 좌측의 제2탑플레이트체결공(11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다수의 제2좌측체결장공(125)과, 제2우측위치가변날개(123)에 형성된 것으로서 우측의 제2탑플레이트체결공(11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다수의 제2우측체결장공(126)을 포함한다.
좌측의 제2탑플레이트체결공(11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제2좌측체결장공(125)이 제2좌측위치가변날개(121)에 형성되고, 우측의 제2탑플레이트체결공(117)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제2우측체결장공(126)이 제2우측위치가변날개(123)에 형성됨으로써, 제2좌측차폐플레이트(122)와 제2우측차폐플레이트(124) 사이에 형성되는 제2투과슬릿(S2)의 폭은 제2좌측위치가변날개(121)와 제2우측위치가변날개(123)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제2투과슬릿(S2)은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2엑스레이(X2) 중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위치된 부분 산란된 엑스레이 라인을 차폐하고, 더 나아가 검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선량만큼만 투과하도록 함으로서 후술할 제2검출박스(140)가 고품질의 선명한 엑스레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제2투과슬릿(S1)을 채용하지 않아 투과되는 제2엑스레이(X2)가 필요 이상의 선량을 가지게 될 때, 제2엑스레이(X2)는 에너지가 과하게 되어 대형화물(P)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조들을 그대로 투과하게 되며, 이 경우 제2검출박스(140)에서 얻어지는 엑스레이 영상에서 대형화물(P) 내부 구조가 선명하게 표현되지 않게 된다.
또한 대형화물 화물검색기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이나 주위 온도변화에 의하여 제2콜리메이터(110)와 제2검출박스(140) 사이의 상대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투과슬릿(S2)을 통과한 제2엑스레이(X2)가 제2검출박스(140)의 제2수평 및 수직 슬릿(141a)(142a)으로 조사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좌측위치가변날개(121)와 제1우측위치가변날개(123)를 좌우측으로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제2투과슬릿(S2)의 폭은 물론 전체 위치를 미세하게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제너레이터(90)나 제2검출박스(140)를 위치 변경하지 않고도 보정이 가능하여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제2슬릿조리개(120)가 제2콜리메이터(110)의 제2탑플레이트(115)에 한몸체로 조립됨으로써, 제2슬릿조리개(120)에 형성되는 제2투과슬릿(S2)을 제2제너레이터(9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대형화물 검색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2검출박스(140)가 설정위치에서 약간 틀어지게 되더라도, 제2콜리메이터(110)를 특정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2투과슬릿(S2)을 제2수평 및 수직 슬릿(141a)(142a)과 정확히 대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용이한 세팅이 가능해진다.
제2쉘딩박스(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하우징(31)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제2콜리메이터(110)의 출구를 수용함으로써 제2콜리메이터(110)와 터널하우징(31)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된다. 또한 제2콜리메이터(110)를 통과한 제2엑스레이(X2)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이를 위하여 제1쉘딩박스(70) 측벽은 납으로 된 차폐벽을 형성된다. 이러한 제2쉘딩박스(130)의 양단에는 한쌍의 제2고정날개(131)가 형성되며, 제2고정날개(131)를 관통하는 볼트가 터널하우징(31)에 체결됨으로써 제2쉘딩박스(130)는 터널하우징(31)의 좌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제1쉘딩박스(130)를 채용함으로서, 제2제너레이터(100)를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 제2쉘딩박스(130)를 터널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하여 제2콜리메이터(11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콜리메이터(110)를 제2제너레이터(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쉘딩박스(130)를 채용함으로써, 제2제너레이터(100)에서 광원(102)이나 관련 부품을 교체하는등의 유지보수를 하고자 할 때, 제2쉘딩박스(130)를 분리한 후 제2콜리메이터(110)를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제2제너레이터(100)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제너레이터(100)를 분리하지 않고도 보수가 가능하여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인 유지보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제2검출박스(140)는 제2제너레이터(100)의 맞은편의 검색터널(30)의 터널하우징(31)에 설치되어 검색용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한다. 이러한 제2검출박스(140)는, 터널하우징(31)에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제2수평슬릿(141a)이 형성된 제2수평검출박스(141)와, 제2수평검출박스(141)의 종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2수직슬릿(142a)이 형성된 제2수직검출박스(142)와, 제2수직검출박스(142)를 메인프레임(11)에 지지하는 지지로드조립체(143)를 포함한다.
제2수평검출박스(141) 및 수직검출박스(142)의 내부에는 제2수평 및 수직 슬릿(141a)(142a)을 통과한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이 설치된다. 제2디텍터모듈(140a)은, 제2수평 및 수직 슬릿(141a)(142a)을 통하여 조사되는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하여 연속적인 주사프레임을 형성한다. 즉,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은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하여 연속적인 주사프레임을 생성하고, 이후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주사프레임은 시계열적으로 조합됨으로서 2 차원의 투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제2수평슬릿(141a) 및 제2수직슬릿(142a)은 직선 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3 mm 의 폭을 가지며, 제2투과슬릿(S2)을 통과한 제2엑스레이(X2)를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로 안내한다.
도 19 도 17의 제2제너레이터, 제2콜리메이터, 제2슬릿조리개 및 제2쉘딩박스 조립체에서 조사되는 제2엑스레이가 제2검출박스로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제너레이터(100), 제2콜리메이터(110) 및 제2슬릿조리개(120)는 한몸체의 조립체를 이루고, 이들로부터 조사되는 제2엑스레이(X2)는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이송되는 대형화물(P)을 타측으로부터 투과한 후 제2수평 및 수직 슬릿(141a)(142a)을 통하여 일렬로 설치되는 제2디텍터모듈(140a)로 조사되고,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에서 검출된 엑스레이는 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검출박스(80)가 상호 분리되는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제1수직검출박스(82)로 구성되고, 제1수평검출박스(81)가 컨베이어(20) 하부측에서 트랙조립체(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제1수평검출박스(81)에 설치되는 제1디텍터모듈(80a) 및 관련부품을 유지보수 및 교체하고자 할 때 제1수평검출박스(81)를 검색터널(30) 우측으로 잡아당겨 돌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20)를 분해하여야 하는등의 매우 번거로운 상황을 초래하지 않고도 제1수평검출박스(81)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제1,2제너레이터(40)(100)와 검색터널(30) 사이에 설치되는 제1,2콜리메이터(50)(110) 및 제1,2쉘딩박스(70)(130)를 채용함으로써, 장시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진동 및 주위 환경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제1,2제너레이터(40)(100)와 제1,2검출박스(80)(140) 사이의 초기 위치가 틀어지거나, 부품의 열화에 의하여 유지보수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 될 때, 제1,2콜리메이터(50)(110) 및 제1,2쉘딩박스(70)(130)를 분리함으로써 제1,2제너레이터(40)(100)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원활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제1,2콜리메이터(50)(110)가 제1,2제너레이터(40)(1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고, 제1,2슬릿조리개(60)(120)가 제1,2콜리메이터(50)(110)에 한몸체로 설치됨으로서, 제1,2투과슬릿(S1)(S2)을 통과하는 제1,2엑스레이(X1)(X2)의 슬릿폭을 보정하거나 제1,2검출박스(80)(140)로 조사되는 각도를 보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형화물(P)을 투과한 후 제1,2검출박스(80)(140)에서 검출되는 제1,2엑스레이(X1)(X2)로부터 선명한 엑스레이 영상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화물(P)에 포함된 불법적인 물품 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대형화물(P)을 일방향으로 투과하는 엑스레이 영상과, 대형화물(P)을 타방향으로 투과하는 엑스레이 영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므로, 2 개의 상이한 방향의 엑스레이 영상을 비교함으로서 화물의 특정 부분과 유사하게 보이는 위험물의 겹쳐지게 배치되더라도 위험물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프레임조립체 11 ... 메인프레임
12 ... 서브프레임 20 ... 컨베이어
30 ... 검색터널 31 ... 터널하우징
32 ... 납커튼 40 ... 제1제너레이터
41 ... 제1본체 42 ... 광원
43 ... 제1엑스레이투과창 44 ... 제1링가이더
45 ... 제1링가이더체결공 50 ... 제1콜리메이터
51 ... 제1베이스플레이트 52 ... 작동로드
53 ... 제1링브라켓 54 ... 제1확관박스
55 ... 제1탑플레이트 56 ... 제1원주관통공
57 ... 제1탑플레이트체결공 60 ... 제1슬릿조리개
61 ... 제1좌측위치가변날개 62 ...제1좌측차폐플레이트
63 ... 제1우측위치가변날개 64 ... 제1우측차폐플레이트
65 ... 제1좌측체결장공 66 ... 제1우측체결장공
70 ... 제1쉘딩박스 80 ... 제1검출박스
80a ... 제1디텍터모듈 81 ... 제1수평검출박스
82 ... 제1수직검출박스 90 ... 트랙조립체
91 ... 트랙 92 ... 가이드레일
93 ... 슬라이더 94 ... 회동지지단
95 ... 가이드롤러 96 ... 선택위치고정단
96a ... 고정볼트 96b ... 제1고정브라켓
96c ... 제2고정브라켓 96d ... 제1너트조립체
96e ... 제2너트조립체 100 ... 제2제너레이터
101 ... 제2본체 102 ... 제2광원
103 ... 제2엑스레이투과창 104 ... 제2링가이더
105 ... 제2링가이더체결공 110 ... 제2콜리메이터
111 ... 제2베이스플레이트 112 ... 제2작동로드
113 ... 제2링브라켓 114 ... 제2확관박스
115 ... 제2탑플레이트 116 ... 제2원주관통공
117 ... 제2탑플레이트체결공 120 ... 제2슬릿조리개
121 ... 제2좌측위치가변날개 122 ... 제2좌측차폐플레이트
123 ... 제2우측위치가변날개 124 ... 제2우측차폐플레이트
125 ... 제2좌측체결장공 126 ... 제2우측체결장공
130 ... 제2쉘딩박스 140 ... 제2검출박스
141... 제2수평검출박스 142 ... 제2수직검출박스
143 ... 지지로드조립체

Claims (6)

  1. 지면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11) 및 메인프레임(11)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서브프레임(12)으로 구성된 프레임조립체(10);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안착된 대형화물(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20);
    상기 메인프레임(11)에 지지되어 상기 컨베이어(20)를 감싸는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대형화물(P)이 통과하는 검색터널(30);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대형화물(P)로 제1엑스레이(X1)를 조사하는 제1제너레이터(40);
    상기 제1제너레이터(40)의 맞은편 상기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1엑스레이(X1)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1디텍터모듈(80a)이 내장된 제1검출박스(80);
    상기 검색터널(30) 내측에서 상기 컨베이어(20)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검출박스(80)를 검색터널(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랙조립체(90);
    상기 서브프레임(12)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하는 상기 대형화물(P)로 상기 제2엑스레이(X2)를 조사하는 제2제너레이터(100); 및
    상기 제2제너레이터(100)의 맞은편 검색터널(3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형화물(P)을 투과한 제2엑스레이(X2)를 검출하는 다수의 제2디텍터모듈(140a)이 내장된 제2검출박스(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출박스(80)는, 상기 트랙조립체(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1수평슬릿(81a)이 형성된 제1수평검출박스(81)와,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와 분리되어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종단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제1수직슬릿(82a)이 형성된 제1수직검출박스(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조립체(90)는,
    상기 컨베이어(20) 하부측 메인프레임(11)에 상기 제1엑스레이(X1) 조사방향으로 지지되는 트랙(91)과,
    상기 트랙(81)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92)과,
    상기 가이드레일(92)을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더(93)와,
    상기 슬라이더(93)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일측단을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단(94)과,
    상기 제1수평박스(81)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92) 상에서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95)와,
    상기 트랙(91)의 종단에 설치되어 제1수평검출박스(81) 및 제1수직검출박스(82)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하는 선택위치고정단(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위치고정단(96)은,
    상기 트랙(91)의 종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볼트(96a)와,
    상기 고정볼트(96a)에 지지되어 제1수평검출박스(81)의 종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고정브라켓(96b)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96b)의 상부측에서 고정볼트(96a)에 지지되어 제1수직검출박스(82)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브라켓(9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위치고정단(96)은,
    상기 제1제너레이터(40)에서 조사되는 제1엑스레이(X1)를 부채꼴 형태로 확산시키는 제1콜리메이터(50); 및
    상기 제2제너레이터(100)에서 조사되는 상기 제2엑스레이(X2)를 부채꼴 형태로 확산시키는 제2콜리메이터(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콜리메이터(5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엑스레이(X1)를 라인 형태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1투과슬릿(S1)을 형성하는 제1슬릿조리개(60); 및
    상기 제2콜리메이터(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엑스레이(X2)를 라인 형태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2투과슬릿(S2)을 형성하는 제2슬릿조리개(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콜리메이터(50)를 통과한 제1엑스레이(X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제1쉘딩박스(70); 및
    상기 제2콜리메이터(110)를 통과한 상기 제2엑스레이(X2)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제2쉘딩박스(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KR1020210054733A 2021-04-28 2021-04-28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KR20220148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733A KR20220148350A (ko) 2021-04-28 2021-04-28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733A KR20220148350A (ko) 2021-04-28 2021-04-28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50A true KR20220148350A (ko) 2022-11-07

Family

ID=8404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733A KR20220148350A (ko) 2021-04-28 2021-04-28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0189B2 (ja) X線検査装置
US20040017888A1 (en) Radiation scanning of objects for contraband
KR20220148347A (ko) 양방향 엑스레이 화물검색기
RU2733820C2 (ru) Кт система досмотра контейнеров
EP1141683A2 (en) A nonintrusive inspection system
KR102405693B1 (ko) 판독성을 높이기 위한 영상 보정 기능을 가지는 엑스레이 화물검색 시스템
EP3926333B1 (en) Ct scanner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t examination of an object
KR102405696B1 (ko) 단방향 엑스레이 화물검색기
JP2016121993A (ja) 移動する製品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特に移動する反物をx線で検査する装置
KR20220148350A (ko)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KR102405697B1 (ko) 단방향 엑스레이 화물검색기
KR20220148349A (ko) 엑스레이 대형화물 검색기
CN108449985B (zh) 用于物体的非破坏性的材料测试的装置
JP3656885B2 (ja) X線異物検査装置
KR102187042B1 (ko) 엑스레이 화물검색기
KR101209516B1 (ko) 셔터장치를 구비한 엑스선 검사장비
KR20220148348A (ko) 양방향 엑스레이 화물검색기
JP6697518B2 (ja) X線円管及び該x線円管を含むx線機器
JP7185366B1 (ja) ペットボトルの異物除去方法及び異物除去装置
JP6865956B2 (ja) X線検査装置
CN212540745U (zh) 香烟在线扫描检测系统
JP2023159953A (ja) X線検査装置
CN104316547B (zh) 一种用于x射线检查设备的旋转弧形探测器盒
KR101664349B1 (ko) 위치정렬기능을 가지는 비파괴 검사용 방사선 검출장치
KR102646933B1 (ko) 고품질 영상 판독 기능을 가지는 ai 엑스레이 보안검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