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178A -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178A
KR20220148178A KR1020227029448A KR20227029448A KR20220148178A KR 20220148178 A KR20220148178 A KR 20220148178A KR 1020227029448 A KR1020227029448 A KR 1020227029448A KR 20227029448 A KR20227029448 A KR 20227029448A KR 20220148178 A KR20220148178 A KR 2022014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condition
value
satisfied
defibr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22014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87Heart defibrillators characterised by the timing or triggering of the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0Input circuits therefor
    • A61B5/307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308Input circui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3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3Invasive
    • A61B5/287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e.g. electrode catheters for electrophysiological study [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9Display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52Detecting R peaks, e.g. for synchronising diagnostic apparatus; Estimating R-R inter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39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differentiation including higher orde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6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 A61N1/0563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fibrillation or cardio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5Heart defibrillators for treating atrial 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56Implantable devices for applying electric shocks to the heart, e.g. for cardio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5Surgical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새로운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심전 파형 입력부와, 허가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로서, 인체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심전 파형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 파형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 발생부로부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다. (조건 1) 상기 R파라고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Description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본 발명은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방세동이나 심실세동 등의 부정맥의 치료에서는, 전기적 자극을 부여함으로써 심장의 리듬을 정상적으로 복귀시키는 제세동이 행하여진다. 제세동에는, 자동 체외식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 제세동 패들 시스템,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는, ECG 파형을 수취하는 입력 수단과, 확률 밀도 함수에 기초하여 ECG 파형을 처리하여 출력 신호를 형성하는 처리 수단과, 심박수 검출 장치와, 처리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처리 출력 수단은, 처리 수단 및 심박수 검출 장치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은 때에, 제세동 쇼크의 방출을 개시하도록 처리 수단과 심박수 검출 장치를 제세동 펄스 발생기에 접속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심박수 검출 장치는, 파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파 검출 수단은, ECG 신호를 미분하고, 이 미분된 신호의 절댓값을 취출하여 슬루레이트(slew rate)를 얻고, 이것이 소정의 슬루레이트 임계를 초과했을 때에 슬루레이트 출력 신호를 부여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소59-500895호 공보
종래, 심방세동의 치료에서는, 심실이 수축되어 있어 자극을 가하더라도 심실이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절대 불응기에 제세동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만약 절대 불응기 이외에 심장에 자극을 부여한 경우, 심실세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심실 수축 시의 파형인 R파에 동기시켜서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R파의 상승으로부터 R파의 피크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제세동용의 전압의 인가에 관한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는데, T파를 R파로 오인식하여 제세동용의 전압을 인가하여 심실세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그 때문에 근년에는, 새로운 허가 신호의 발생 기구를 구비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새로운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이하와 같다.
[1] 심전 파형 입력부와,
허가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로서,
인체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심전 파형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 파형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 발생부로부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심전 파형의 R파의 피크를 초과한 후의 하강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R파의 미분값에 대한 역치(부의 상수 C3값)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며, 당해 구성을 구비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하강이 급준한 R파만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고, 인가 대상의 파형이 R파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별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R파의 오검출에 수반하는 전압의 인가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의 바람직한 형태는 하기 [2] 내지 [17]과 같다.
[2] 하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3] 상기 조건 2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2]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4] 하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1] 내지 [3]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5] 상기 심전 파형 입력부로부터 상기 허가 신호 발생부까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는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6] 상기 심전 파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가 마크 표시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1]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7] 하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6]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8] 상기 조건 2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7]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9] 하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6] 내지 [8]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10] 인체로부터 얻어지는 심전 파형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 하기 조건 1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11] 추가로 하기 조건 2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10]에 기재된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12] 추가로 하기 조건 3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11]에 기재된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13] 추가로 하기 조건 4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10] 내지 [12]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14] 인체로부터 얻어지는 심전 파형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 하기 조건 1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고,
상기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인 [10] 내지 [13]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15] 하기 조건 2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14]에 기재된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16] 하기 조건 3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2와 상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15]에 기재된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17] 하기 조건 4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14] 내지 [16]의 어느 것에 기재된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성에 의해, 새로운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심전계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심전 파형과, 심전 파형의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심전 파형의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가 행하는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하기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하기 실시 형태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고, 전·후술된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편의상, 부재 부호 등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명세서나 그 외의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부재 등의 치수는, 본 발명의 특징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을 우선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치수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심전 파형 입력부와, 허가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로서, 인체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심전 파형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 파형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 발생부로부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상기와 같이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심전 파형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의 하강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미분값에 대하여 역치(부의 상수 C3값)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며, 당해 구성을 구비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는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인가 대상의 파형이 R파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별하기 쉬워져, R파의 오검출에 수반하는 전압의 인가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와, 당해 제세동용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심전계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되는 심전 파형과, 심전 파형의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심전 파형의 횡축은 시간(초)을 나타내고, 종축은 전압차(mV)를 나타낸다. 도 2의 미분 파형의 시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선 C1은 종축의 값(미분값)이 정의 상수 C1인 선이며, 시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선 C2는 종축의 값(미분값)이 정의 상수 C2값인 선이며, 시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선 C3은 종축의 값(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인 선이다. 도 2 중, 시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선 B는, 미분 파형의 베이스 라인이다. 도 3은, 심전 파형의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심전 파형 입력부(3)와 허가 신호 발생부(7)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에는, 예를 들어, 인체의 체표면에 배치된 체표 전극(19)으로부터 얻어진 심전 파형이 심전계(40) 등을 통하여,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심전 파형(50)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 발생부(7)로부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다.
(조건 1)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도 2의 미분 파형(60)은 심전 파형(50)으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의 일례이며, 미분 파형(60)의 음성파(61N)는 심전 파형(50)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보다도 후의 하강 국면(51d)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미분 파형(60)을 참조하면서 허가 신호의 발생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분 파형(60)의 G점은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이른 시점에 상당하고, G점 이후의 타이밍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세동용 전기 장치(2)가 제어되어 있으면 된다. 도 2 중, G점을 하회하는 파형은,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음성파(61N) 이외에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건 1에 의해 인가 대상의 파형이 R파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치(부의 상수 C3값)를 설정함으로써, R파의 오검출에 수반하는 전압의 인가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음성파(61N)의 피크(61b) 이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절대 불응기 내에 제세동을 완료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이르렀을 때(G점)로부터 60m초 이내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m초 이내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초 이내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이르렀을 때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파(61N)의 피크(61b)는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하강 국면(51d)에 있어서의 변곡점(51c)에 상당한다.
허가 신호는, 제세동을 위한 전압 인가에 관한 신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전원부(9)에 대한 충전의 허가 신호, 펄스 전압의 생성 허가 신호, 전압 인가의 허가 신호, 후술하는 전환부(10)에 대한 스위치 온의 허가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건 1을 충족하는 경우에, 허가 신호 발생부(7)는 이들 허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조건 1에 관계 없이 후술하는 조작부(6)의 조작 등에 의해, 이들 허가 신호 중 일부의 허가 신호를 발생시켜도 된다. 또한 허가 신호 발생부(7)는 후술하는 연산 처리 제어부(8)에 한하지 않고, 전원부(9) 등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으로서, 후술하는 미분 회로(4)를 통하여 얻어진 미분값이나, 일반적인 미분 계산에 의해 얻어진 미분값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은, 1차 미분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 미분값은, 2차 미분값보다도 생성될 때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심전 정보 취득으로부터 허가 신호 발생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부의 상수 C3값이란, 예를 들어 도 2의 미분 파형(60)에 있어서는, 베이스 라인 B의 종축의 값(미분값)을 하회하는 값이다. 또한 베이스 라인 B의 종축의 값(미분값)은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에 상당하는 부분인 미분 파형(60)의 O점의 종축의 값(미분값)과 동일하다. 또한 부의 상수 C3값은, 미분 회로(4) 등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심전 파형(50)은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를 검출하기 쉬운 제II 유도에 의해 얻어진 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심전 파형(50)은 제II 유도에 한하지 않고, 환자의 심장의 방향에 따라 다른 유도에 의해 얻어도 된다. 예를 들어 12 유도로 심전 파형을 얻는 경우, 심전 파형(50)은 V1 유도, V2 유도, V3 유도, V4 유도, V5 유도, V6 유도, 제I 유도, 제II 유도, 제III 유도, aVR 유도, aVL 유도, 또는 aVF 유도로 얻어진 파형이어도 된다. 또한 심전 파형(50)은 2개 이상의 유도의 평균 파형이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유도의 평균 파형이어도 되고, 12 유도의 평균 파형이어도 된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하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2)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51r)에 상당하는 부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61P)」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상기 조건 2와 같이 양성파(61P)의 피크값에 대한 역치(정의 상수 C1값)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인가 대상의 파형이 R파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별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R파의 오검출에 수반하는 전압의 인가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정의 상수 C1값이란, 예를 들어 도 2의 미분 파형(60)에 있어서, 베이스 라인 B의 종축의 값(미분값)을 상회하는 값이다. 또한 정의 상수 C1값은, 미분 회로(4) 등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상기 조건 2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3) 양성파(61P)에 있어서, 미분값이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상기 조건 3과 같이 양성파(61P)에 있어서의 미분값이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의 상한에 관계되는 역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R파의 오검출을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T파(52)로부터 생성되는 미분 파형(62)은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 파형(61)과 유사한 경우가 있지만, 상기 역치에 의해, 상기 조건 3에 규정하는 시간이 긴 T파(52) 유래의 미분 파형(62)을 전압의 인가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당해 시간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70m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m초 이하이다. 한편,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인 것에 의해, 피크 폭이 짧은 고주파 노이즈를 제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R파의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시간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초 이상이다.
상기 정의 상수 C2값이란, 예를 들어 도 2의 미분 파형(60)에 있어서, 베이스 라인 B의 종축의 값(미분값)을 상회하는 값이다. 또한 정의 상수 C2값은, 미분 회로(4) 등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조건 2를 충족하지 않고, 조건 3과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어도 된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하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4)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달하고 나서, Rn파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면서, 조건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심전 파형의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미분 파형(60)은 심전 파형의 Rn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 n과, Rn파보다도 하나 전의 Rn-1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 n-1을 갖고 있다. 조건 4를 충족한다란, 도 3의 경우, 미분 파형 n-1의 종축의 값(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달한 Gn-1점부터, 미분 파형 n의 종축의 값(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달한 Gn점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하에서는 Gn-1-Gn 시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50m초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당해 시간을 50m초 이상으로 함으로써, T파 유래의 미분 파형(62)을 전압의 인가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오검출에 수반하는 전압의 인가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Gn-1-Gn 시간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m초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m초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m초 이상이다. 한편, Gn-1-Gn 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초 이하여도 되고, 1초 이하여도 되고, 800m초 이하여도 되고, 600m초 이하여도 되고, 400m초 이하여도 되고, 350m초 이하여도 된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조건 2와 조건 3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과, 조건 4와,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어도 된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하기 조건 5를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5)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에 상당하는 부분인 미분 파형(60)의 O점부터,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에 달하는 G점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2(m초) 이상, 20(m초) 이하이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상기 조건 5와 같이 미분 파형(60)의 O점부터 G점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에 역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R파의 오검출을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조건 2, 조건 3, 및 조건 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과, 조건 5와,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부의 상수 C3값, 정의 상수 C2값, 정의 상수 C1값, Gn-1-Gn 시간의 역치, O점부터 G점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의 역치는, 각각 후술하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거나 또는 비교기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동일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각각 별도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은, 동일한 비교기에 기억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각각 별도의 비교기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제세동용 전기 장치(2)의 허가 신호의 발생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했지만, 이하에서는, 도 1, 2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를 포함하는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도 1, 4의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1)에서는, 인체의 체표면에 배치된 체표 전극(19)으로부터 얻어진 심전 정보가, 제1 도선(31)을 통하여 심전계(40)에 전달되게 되어 있다. 심전 정보를 취득하는 전극은, 체표 전극에 한정되지 않고, 심내 전위 측정용의 전극이어도 되지만, 체표 전극이 R파의 검출 감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체표 전극으로서는 12 유도용의 전극이 바람직하다.
도 1, 4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카테터(20)의 원위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극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11)와, 심전계(40)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12)와, 인가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원부(9)와, 전원부(9)에 접속되어 있고, 전압을 인가하는 인가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부(10)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접속부(11)는 전환부(10)를 통하여 전원부(9)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접속부(11)가 전환부(10)를 통하지 않고 제2 접속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부(11)가 전환부(10)를 통하지 않고 제2 접속부(12)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제세동 때일지라도 각 전극에 있어서의 국소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심전 파형 입력부(3)를 구비하고 있고, 심전계(40)로부터 출력된 심전도 파형의 정보가 제2 도선(32) 등을 통하여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내부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심전 파형 입력부(3)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Ω의 저항을 통하여 입력되는 5kV의 방전에 견딜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심전 파형은, 미분 회로(4)를 통해서, 연산 처리 제어부(8)에 전달된다. 연산 처리 제어부(8)는 전달된 미분 파형(60)이 메모리(5)에 기억된 부의 상수 C3값 등의 역치에 관계되는 조건, 즉 조건 1 등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조건 1 등을 충족하는 경우에, 연산 처리 제어부(8) 내의 허가 신호 발생부(7)는 전압 인가의 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당해 허가 신호는 전원부(9)에 전달되어,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에 대하여 정부 다른 극성의 직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통전 파형은, 도중에 극성이 반전하는 2상성이어도 되고, 극성이 일정한 1상성이어도 되지만, 2상성쪽이 보다 적은 에너지로 자극할 수 있다고 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생체에 부여되는 통전 에너지는, 예를 들어 1J 이상 30J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미분 회로(4), 메모리(5)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연산 처리 제어부(8)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 따로따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미분 회로(4)와 메모리(5)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FPGA 내에서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심전 파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있어도 되고, 또한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표시부나 마크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표시부(73)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전원부(9)는 예를 들어 전원, 직류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회로, 충전 회로, 인가 전압을 충전하는 콘덴서, 펄스 전압을 생성하는 파형 생성 회로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적어도 일부는 전원부(9) 외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전원부(9)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연산 처리 제어부(8) 외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연산 처리 제어부(8)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심전 파형이 조건 1 등을 충족하는 경우, 연산 처리 제어부(8) 내의 허가 신호 발생부(7)는 스위치 온의 허가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허가 신호는 전환부(10)의 제1 스위치(10A), 제2 스위치(10B)에 전달되어, 제1 스위치(10A), 제2 스위치(10B)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의 상태로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전극군(21), 제2 전극군(22)에 통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부(10)를 구성하는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는,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은 전원부(9)로부터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제세동을 행하지 않고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을 사용하여 심내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가 구비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예를 들어, 심전 파형 입력부(3), 미분 회로(4), 메모리(5), 허가 신호 발생부(7), 연산 처리 제어부(8), 전원부(9), 전환부(10)의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하드웨어로서는, LSI(Large Scale Integration),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에 형성된 논리 회로를 들 수 있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심전 파형 입력부(3), 미분 회로(4), 메모리(5), 허가 신호 발생부(7), 연산 처리 제어부(8), 전원부(9), 전환부(1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컴퓨터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서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기능이 실현된다. 프로세서로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할 수 있다. 기록 매체로서는, ROM(Read Only Memor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전송 매체로서는, 통신 네트워크나 통신 회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 3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2)에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의 기동, 정지, 인가 에너지양의 설정, 충전, 전압의 인가, 인가 전극의 선택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6)로서는 버튼 스위치, 레버 등의 공지된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조작부(6)는 연산 처리 제어부(8)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조작부(6)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연산 처리 제어부(8)에 전달된다. 또한 조작부(6)의 조작에 의해, 상기 허가 신호 중 일부의 허가 신호를 발생시켜도 된다.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은 전환부(10)를 통하지 않고 심전계(4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스위치부를 통하지 않고 심전계(4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을 상시 심전계(40)에 접속할 수 있고, 심전계(40)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 심내 전위를 확인하면서 각 처치를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전환부(10)는 1 또는 2 이상의 스위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부(10)는 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스위치(10A)와, 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스위치(10B)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20)가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을 갖고 있는 경우, 제1 전극군(21)이 각각 제1 스위치(10A)를 통하여 전원부(9)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전극군(22)이 각각 제2 스위치(10B)를 통하여 전원부(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은 각각 다른 스위치를 통하여 전원부(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각 전극군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전극군에서 독립적으로 심내 전위를 취득할 수 있다.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보다도 근위측에, 심내 전위의 측정의 전용 전극인 제3 전극군(23)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3 전극군(23)은 근위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대동맥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3 전극군(23)은 전원부(9)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3 전극군(23)을 심내 전위의 측정의 전용 전극으로서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각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 전극군 모두에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제1 전극군(21)을 구성하는 전극의 수와, 제2 전극군(22)을 구성하는 전극의 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의 표면적을 용이하게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각 제1 전극군(21)과 각 제2 전극군(22)의 표면적이 동일하고, 동일 수의 전극이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효율이 좋은 제세동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심내 심전도의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전극군(23)을 구성하는 전극의 수는, 제1 전극군(21)을 구성하는 전극의 수, 및 제2 전극군(22)을 구성하는 전극의 수의 각각의 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의 전극 수를 각 8개, 제3 전극군(23)의 전극 수를 4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전극군(23)의 수를 설정함으로써, 상대동맥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위를 적합하게 측정할 수 있다.
각 전극군은, 수지 튜브(27)의 외주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심장과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심내 전위의 측정이나 전기 자극의 부여가 행하기 쉬워진다.
각 전극군은, 백금, 스테인리스 등의 도전 재료를 함유하고 있으면 되지만, X선 투시 하에서 전극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백금 등의 X선 불투과 재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20)의 원위 단부에는, 선단 칩(25)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선단 칩(25)은 원위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게 되어 있는 테이퍼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25)은 도전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선단 칩(25)을 전극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선단 칩(25)은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카테터(20)와의 접촉으로부터 체내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서, 선단 칩(25)의 경도를 수지 튜브(27)의 경도보다도 낮게 해도 된다.
수지 튜브(27)의 내강에는, 카테터(20)의 원위측을 굽히기 위한 조작 와이어나 스프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와이어의 원위 단부가 수지 튜브(27)의 원위 단부 또는 선단 칩(25)에 고정되어 있고, 조작 와이어의 근위 단부가 후술하는 핸들(2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전극군에는 제3 도선(33)(리드선)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에 접속되어 있는 제3 도선(33)의 다른 쪽 단부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의 제1 접속부(11)에 바람직하게 접속된다. 제3 전극군(23)에 접속되어 있는 제3 도선(33)의 다른 쪽 단부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의 제3 접속부(13)에 바람직하게 접속된다. 제3 도선(33)은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도선이어도 된다.
제3 접속부(13)와 제4 접속부(14)는 제7 도선(37)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7 도선(37)은 배선재여도 되고, 프린트 기판에 마련된 배선 패턴의 일부여도 된다.
제1 접속부(11)와 전환부(10)는 제5 도선(35)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이 전원부(9)에 접속되기 때문에, 전압의 인가를 행할 수 있다.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과 전원부(9)는, 커넥터 등 다른 접속 부재를 통하여 접속되어도 된다.
제2 접속부(12)에는,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에 대응하는 심전계(40)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4 도선(34)의 다른 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접속부(12)는 제6 도선(36)에 의해 제5 도선(35)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도선(35) 및 제6 도선(36)에는 스위치부를 마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세동 때이더라도 제1 전극군(21) 및 제2 전극군(22)을 통하여 심내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도선(35), 제6 도선(36)은 배선재여도 되고, 프린트 기판에 마련된 배선 패턴의 일부여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튜브(27)의 근위측에는, 카테터(20)를 작동시킬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26)이 마련되어도 된다. 핸들(26)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지 튜브(27)와 핸들(26)의 접속 개소에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원위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전계(40)는 각종 전극을 통하여 심내 전위를 측정한다. 심전계(40)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을 선택하는 전극 선택 스위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특정 전극에만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전극 선택 스위치가 마련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원부(9)에 전극 선택 스위치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산 처리 제어부(8) 내에 전극 선택 스위치가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극 선택 스위치는, 전환부(10)를 구성하는 스위치(예를 들어 제1 스위치(10A)와 제2 스위치(10B))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전환부(10)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가 전극 선택 스위치여도 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세동용 전기 장치(2)에는 안전용의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전환부(10)가 고장났을 때 등에, 의도치 않게 환자에게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페일 세이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안전 스위치는, 전환부(10)와 전원부(9)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산 처리 제어부(8)와 전환부(10) 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세동용 전기 장치(2)에는, 스위치의 차단 시에 발생하는 고전압을 흡수하는 보호 회로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각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세동용 전기 장치(2)에는, 전원부(9)와 심전계(40) 사이에, 과전압으로부터 심전계(40)를 보호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심전계(40)가 과전압의 인가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세동용 전기 장치(2)는 임피던스 측정 회로를 갖고 있어도 된다. 임피던스 측정 회로는, 예를 들어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 사이에, 제1 전극군(21)과 제2 전극군(22)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7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70)의 블록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7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심전 정보가 A/D 변환기(71), 제1 연산 처리 제어부(72)(CPU)를 거쳐서, 표시부(73)에 심전 파형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심전 정보는, 미분 회로(4)를 통해 미분 파형이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미분 파형은 부의 상수 C3값 등이 설정된 비교기(74)(비교기)에 전달되어, 조건 1 등을 충족하면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에 신호가 전달되어,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로부터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고, 마크 표시 신호가 제1 연산 처리 제어부(72)(CPU)에 전달된 후,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크의 형상으로서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선상 등을 들 수 있다. 마크가 표시되는 위치로서는,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크 표시 신호는,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가 표시되는 것이면 되고, 제1 연산 처리 제어부(72)(CPU)로부터 발생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제세동용 전기 장치(70)는 심전 파형을 표시하는 표시부(73)를 구비하고,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가 마크 표시 신호 발생부(76)로부터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가 부여되면, 조작자는 R파의 상태를 눈으로 봐서 확인할 수 있다.
(조건 1)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70)는 하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2)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61P)」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70)는 조건 2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3) 양성파(61P)에 있어서, 미분값이 C1값보다도 작은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70)는 하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4)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C3값에 달하고 나서, Rn파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또한 이러한 조건 1 내지 4의 상세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70)는 조작부(6)를 조작함으로써,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 내를 비허가 모드로부터 허가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모드를 전환함과 동시에, 인가 에너지양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되고, 인가 에너지의 콘덴서에의 차지가 개시되게 되어 있어도 되고, 차지가 완료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차지가 완료된 후에, 펄스 전압이 자동적으로 생성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비허가 모드는 상기 조건 1 등을 충족하더라도 제세동에 관계되는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모드이며, 허가 모드는 상기 조건 1 등을 충족하면 제세동에 관계되는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이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환자의 상태가 나쁠 때에는 비허가 모드로 하고, 환자의 상태가 좋아지고 나서 허가 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세동을 실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세동에 관계되는 허가 신호란, 제세동을 위한 전압 인가에 관한 신호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원부(9)에 대한 충전의 허가 신호, 펄스 전압의 생성의 허가 신호, 전압 인가의 허가 신호, 전환부(10)에 대한 스위치 온의 허가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제세동에 관계되는 허가 신호에 관한 기타의 상세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70)는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심전 정보가 미분 회로(4)를 통해 미분 파형이 생성되도록 되어 있고, 미분 파형은 부의 상수 C3값 등이 설정된 비교기(74)(비교기)에 전달되어, 상기 조건 1 등을 충족하면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에 신호가 전달되어,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로부터 허가 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허가 신호 발생부(7)까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는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웨어 회로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신호 처리되지 않는 회로이기 때문에 신호의 처리가 빨라진다. 그 결과, 심전 정보 취득으로부터 허가 신호 발생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허가 신호 발생부(7)까지의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여도 되고, 디지털 신호여도 된다.
또한 제세동용 전기 장치(70)가 구비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예를 들어, 심전 파형 입력부(3), 미분 회로(4), 비교기(74), 허가 신호 발생부(7), 제1 연산 처리 제어부(72),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 연산 처리 제어부(8), 전원부(9), 전환부(10) 등의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제세동용 전기 장치(70)가 행하는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미분 회로(4)는 심전 파형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심전 정보에 기초하여, 미분 파값을 생성한다(스텝 S1). 이어서, 부의 상수 C3값 등이 설정된 비교기(74)(비교기)는 미분값이 조건 1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 조건 1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비교기(74)는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에 신호를 전달하고, 조건 1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교기(74)는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에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다.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허가 신호를 발생시킨다(스텝 S3). 이 경우, 제2 연산 처리 제어부(75)(FPGA)가 허가 신호 발생부(7)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인체로부터 얻어지는 심전 파형(50)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를 초과한 후, 하기 조건 1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이다.
(조건 1)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추가로 하기 조건 2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2)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51r)에 상당하는 부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61P)」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추가로 하기 조건 3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3) 양성파(61P)에 있어서, 미분값이 정의 상수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추가로 하기 조건 4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4)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C3값에 달하고 나서, Rn파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상기 조건 2, 조건 3, 및 조건 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과,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인체로부터 얻어지는 심전 파형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를 초과한 후, 하기 조건 1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고,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1)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붙여진 마크를 표지로 하여 R-R 간격 등을 눈으로 봐서 확인하여 심장의 상태를 파악하고 나서, 제세동의 비허가 모드를 허가 모드로 전환하거나 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제세동을 실시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하기 조건 2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2)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의 피크(51P)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61P)」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조건 2와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3) 양성파(61P)에 있어서, 미분값이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상기 조건 2, 및 조건 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과,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하기 조건 4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표시부(73)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51)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4)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C3값에 달하고 나서, Rn파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상기 조건 2, 조건 3, 및 조건 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과,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기 조건 1 내지 4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제세동용 전기 장치(2), 제세동용 전기 장치(70)의 미분 회로, 연산 처리 제어부, 메모리, 비교기, 전원부 등을 사용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2), 제세동용 전기 장치(70)의 각 조건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은, 각 스텝을 하나의 제세동용 전기 장치 내에서 실행할 필요는 없고, 각각 별개의 장치로 실행해도 된다.
본원은, 2020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04014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20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040144호의 명세서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해 원용된다.
1: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2: 제세동용 전기 장치
3: 심전 파형 입력부
4: 미분 회로
5: 메모리
6: 조작부
7: 허가 신호 발생부
8: 연산 처리 제어부
9: 전원부
10: 전환부
10A: 제1 스위치
10B: 제2 스위치
11: 제1 접속부
12: 제2 접속부
13: 제3 접속부
14: 제4 접속부
19: 체표 전극
20: 카테터
21: 제1 전극군
22: 제2 전극군
23: 제3 전극군
25: 선단 칩
26: 핸들
27: 수지 튜브
31: 제1 도선
32: 제2 도선
33: 제3 도선
34: 제4 도선
35: 제5 도선
36: 제6 도선
37: 제7 도선
40: 심전계
50: 심전 파형
51: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
51c: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하강 국면에 있어서의 변곡점
51d: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하강 국면
51p: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
51r: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상승 국면
52: T파
60: 미분 파형
61: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 파형
61P: 양성파
61N: 음성파
61b: 음성파의 피크
62: T파로부터 생성되는 미분 파형
70: 제세동용 전기 장치
71: A/D 변환기
72: 제1 연산 처리 제어부
73: 표시부
74: 비교기(비교기)
75: 제2 연산 처리 제어부
76: 마크 표시 신호 발생부

Claims (17)

  1. 심전 파형 입력부와,
    허가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로서,
    인체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심전 파형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 파형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 발생부로부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2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 파형 입력부로부터 상기 허가 신호 발생부까지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는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 파형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이며 하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가 마크 표시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2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마크 표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제세동용 전기 장치.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10. 인체로부터 얻어지는 심전 파형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 하기 조건 1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조건 2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조건 3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조건 4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을 갖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체로부터 얻어지는 심전 파형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를 초과한 후, 하기 조건 1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고,
    상기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 이후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인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1)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부의 상수 C3값 이하이다.
  15. 제14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2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2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2)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의 피크보다도 전의 상승 국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의 집합체인 미분 파형(이하, 간단히 「양성파」라고 기재한다)의 피크값이 정의 상수 C1값 이상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3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2와 상기 조건 3을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3) 상기 양성파에 있어서, 상기 미분값이 상기 C1값보다도 작은 정의 상수 C2값 이상인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10m초 이상, 80m초 이하이다.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4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조건 4를 충족하고, 또한 상기 조건 1을 충족했을 때 이후에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에 대하여 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마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텝을 갖는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조건 4) 상기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파」라고 기재한다)보다도 하나 전의 R파로 추정되는 이벤트(이하, 간단히 「Rn-1파」라고 기재한다)로부터 생성되는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달하고 나서, 상기 Rn파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미분값이 상기 C3값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당해 시간이 50m초 이상이다.
KR1020227029448A 2020-03-09 2021-01-22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KR20220148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0144 2020-03-09
JPJP-P-2020-040144 2020-03-09
PCT/JP2021/002247 WO2021181912A1 (ja) 2020-03-09 2021-01-22 除細動用電気装置、及び除細動信号の発生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178A true KR20220148178A (ko) 2022-11-04

Family

ID=7767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448A KR20220148178A (ko) 2020-03-09 2021-01-22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09912A1 (ko)
JP (1) JPWO2021181912A1 (ko)
KR (1) KR20220148178A (ko)
CN (1) CN115190810A (ko)
WO (1) WO20211819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0895A (ja) 1982-05-28 1984-05-24 ミロ−スキ ミエツチスラ−フ 心拍数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699B1 (en) * 1998-09-03 2001-06-19 Cardiac Pacemakers, Inc. Cardioverter and method for cardioverting an atrial tachyarrhythmia in the presence of atrial pacing
JP5900974B2 (ja) * 2013-05-10 2016-04-06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6700081B2 (ja) * 2016-03-29 2020-05-27 フクダ電子株式会社 除細動器
WO2019155942A1 (ja) * 2018-02-07 2019-08-15 株式会社カネカ 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除細動用電源装置および除細動用電源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0895A (ja) 1982-05-28 1984-05-24 ミロ−スキ ミエツチスラ−フ 心拍数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9912A1 (en) 2022-12-29
CN115190810A (zh) 2022-10-14
JPWO2021181912A1 (ko) 2021-09-16
WO2021181912A1 (ja)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1393B2 (ja) 遠方界心臓内電位図及びマーカーチャネルを用いてオーバーセンシング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301497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poration
JP5656293B2 (ja) 埋め込み型心臓刺激(ics)システム
US8812103B2 (en) Method for detecting and treating insulation lead-to-housing failures
JP4528619B2 (ja) ショック・リード・インピーダンス測定のための装置と方法
US20040073266A1 (en) Automatic detection of defibrillation lead
EP0551746A2 (en) Detection of electrode/patient motion and fast restore limits
KR101572756B1 (ko)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US201302533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potential lead failure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20200360686A1 (en) Defibrillation catheter system, defibrillatio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fibrillation power supply device
KR20220148178A (ko) 제세동용 전기 장치, 및 제세동 신호의 발생 방법
WO2021251089A1 (ja) 除細動用電気装置、及び除細動信号の発生方法
US11679269B2 (en) Defibrillation catheter system, defibrillatio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fibrillation power supply device
WO2021251088A1 (ja) 除細動用電気装置、及び除細動信号の発生方法
JP2014188157A (ja) 神経刺激システム及び神経刺激方法
JP2022117198A (ja) 心房細動除細動システム
WO2021251033A1 (ja) 心腔内除細動用電気装置、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および心腔内除細動用電気装置の点検方法
EP3903878A1 (en) Intracardiac defibrillation catheter system
WO2024106285A1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516519B1 (ko) 제세동기의 충격파 검출 장치
WO2022195644A1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2019080792A (ja) 筋電位信号判定装置、除細動システムおよび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23026346A1 (ja) 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6560288B2 (ja) 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2024079244A (ja) 除細動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