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773A -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 Google Patents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773A
KR20220147773A KR1020210054641A KR20210054641A KR20220147773A KR 20220147773 A KR20220147773 A KR 20220147773A KR 1020210054641 A KR1020210054641 A KR 1020210054641A KR 20210054641 A KR20210054641 A KR 20210054641A KR 20220147773 A KR20220147773 A KR 20220147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outer ring
side mounting
fitted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586B1 (ko
Inventor
김성술
김동의
장병구
최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21005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58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3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sleeve of elastic material, e.g. having indentations or made of materials of different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는 상기 부시부(700)와 상기 브라켓(800)이 억지 고정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Side mounting radiator bracket with screw-mounted bush}
본 발명은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폭 방향 양측에 쿨링모듈 고정을 위한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한 집합체를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빔을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중앙에 배치된 캐리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의 쿨링모듈 장착부에 라디에이터와 콘덴서 및 팬슈라우드를 포함한 쿨링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부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는 범퍼빔이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일반적으로 쿨링모듈을 캐리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쿨링모듈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캐리어에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여 쿨링모듈을 캐리어에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감소 측면에서 유리한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을 적용한 캐리어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사이드 마운팅 구조를 갖는 캐리어(10)와 쿨링모듈(20)의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사이드 마운팅 구조를 갖는 캐리어(10)와 쿨링모듈(2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모듈(20)은 라디에이터의 좌우측에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캐리어(10)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사이드 마운팅(11)에 끼움 결합된다.
도 3에는 사이드 마운팅(1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마운팅(11)은 몸체(11a)와, 몸체(11a)에 끼움 결합되는 방진부재(11b) 및 방진부재(11c)의 중앙에 형성된 모듈결합홀(1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1a)는 수지재로 이루어져 쿨링모듈(2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방진부재(11b)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쿨링모듈(20)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고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11)은 인서트 사출 형태로 제조 단가가 높고, 일체형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차량 특성(대형, 소형 등)에 따라 새로운 사이드 마운팅을 제작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2918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 제20-03855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0712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248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구비하여 브라켓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체형 구조보다 낮은 단가를 갖는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특성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는 상기 부시부(700)와 상기 브라켓(800)이 억지 고정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이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하여 상기 아우터링(600)을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830)에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에는 나선형의 골(610)을 형성시키고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는 나선형의 산(810)을 형성시키되 상기 나선형의 산(810)과 상기 나선형의 골(610)은 사각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을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끼워 회전시키면서 결합시킬 때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의 일단에는 상기 아우터링(6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 측면에서 부시부(300)의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된 단턱부(820)가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링의 일측면부(640)가 상기 단턱부(820)의 내측면(821)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아우터링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구비하여 브라켓에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형으로 제작하여 차량 특성(대형차량 또는 소형차량)에 따라 부시를 변경하여 조립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체형 구조보다 낮은 단가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 캐리어와 쿨링모듈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 캐리어와 쿨링모듈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아우터링 및 탄성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아우터링 및 탄성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00)는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는 상기 부시부(700)와 상기 브라켓(800)이 억지 고정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이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하여 상기 아우터링(600)을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830)에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에는 나선형의 골(610)을 형성시키고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는 나선형의 산(810)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의 산(810)과 상기 나선형의 골(610)은 사각나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부시(700)는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골(610)과 브라켓(800)의 산(810)은 상기 결합부(210)의 핀 중심축 방향에 대항되도록 결합되어 걸림턱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은 플라스틱(Plastic) 또는 스틸(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우터링(600)의 인서트 사출 위치는 상기 탄성부(500) 외측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10)의 핀과 접촉되는 상기 이너링(400)의 내주면은 플라스틱(Plastic)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주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탄성부(500)에 삽입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210)의 핀과 탄성부(500)가 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을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끼워 회전시키면서 결합시킬 때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의 일단에는 상기 아우터링(6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 측면에서 부시부(300)의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된 단턱부(820)가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링의 일측면부(640)가 상기 단턱부(820)의 내측면(821)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아우터링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일측면부(640)에는 상기 단턱부(820)의 내측면(821)에 밀착된 후 진동에 의해 상기 아우터링(600)이 풀리지 않도록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아우터링(600)의 일측면부(640)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홈부(641)와 다수의 돌출부(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일측면부(640)의 돌출부(642)가 상기 브라켓(800)의 단턱부(820) 내측면(821)에 밀착되어 접촉됨에 따라 진동에 의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풀림을 방지한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아우터링(600)의 일측면부(640)의 높이를 h1 이라하고, 상기 단턱부(820)의 내측면(821)의 높이를 h2라 하며, 상기 내측면(821)의 하단부는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턱(8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822)의 높이를 h3라고 했을 때, h1과 h2 및 h3 의 관계는 h1+h2<h3 가 되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턱(822)이 상기 탄성부(500)의 한쪽측면(510)의 상부를 압박하도록 조립됨에 따라 진동에 의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풀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에 사각나사 형태로 형성된 골(610)에서 상기 사각나사 골 중에서 상기 단턱부(820)에 가까운 사각나사 골면(621)에는 미세톱니(6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일측면부(640)가 상기 단턱부(820)의 내측면(821)에 밀착되면서 상기 미세톱니(622)가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형성된 사각나사 산(810)의 일측산면(811)에 밀착되어 진동에 의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용 캐리어 200 : 쿨링모듈 210 : 결합부 300 :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 400 : 이너링 410 : 통공부
500 : 탄성부 510 : 한쪽측면 600 : 아우터링
610 : 골 621 : 골면 622 : 미세톱니
630 : 외주면 640 : 일측면부
641 : 홈부 642 : 돌출부
700 : 부시부 800 : 브라켓
810 : 산 811 : 일측산면
820 : 단턱부 821 : 내측면
822 : 돌출턱 830 : 내주면

Claims (6)

  1.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는 상기 부시부(700)와 상기 브라켓(800)이 억지 고정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이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하여 상기 아우터링(600)을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830)에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에는 나선형의 골(610)을 형성시키고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는 나선형의 산(810)을 형성시키되 상기 나선형의 산(810)과 상기 나선형의 골(610)은 사각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30)을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에 끼워 회전시키면서 결합시킬 때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의 일단에는 상기 아우터링(6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30) 측면에서 부시부(300)의 중심축방향으로 연장된 단턱부(820)가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링의 일측면부(640)가 상기 단턱부(820)의 내측면(821)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아우터링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일측면부(640)에는 상기 단턱부(820)의 내측면(821)에 밀착된 후 진동에 의해 상기 아우터링(600)이 풀리지 않도록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20210054641A 2021-04-27 2021-04-27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254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41A KR102540586B1 (ko) 2021-04-27 2021-04-27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41A KR102540586B1 (ko) 2021-04-27 2021-04-27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773A true KR20220147773A (ko) 2022-11-04
KR102540586B1 KR102540586B1 (ko) 2023-06-08

Family

ID=8410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41A KR102540586B1 (ko) 2021-04-27 2021-04-27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58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573B1 (ko) * 1998-06-30 2001-05-02 정주호 자동차 엔진의 부시마운트
KR200385503Y1 (ko) 2005-03-16 2005-05-27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복공판
KR100707129B1 (ko) 2006-11-20 2007-04-13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설교량용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29180B1 (ko) 2007-11-14 2009-12-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복공판
JP2010078101A (ja) * 2008-09-27 2010-04-08 Tokai Rubber Ind Ltd 防振ゴムブッシュ
KR20150124863A (ko) 2014-04-29 2015-11-06 류인모 Epcd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936B1 (ko) * 2016-12-15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쿨링모듈 사이드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573B1 (ko) * 1998-06-30 2001-05-02 정주호 자동차 엔진의 부시마운트
KR200385503Y1 (ko) 2005-03-16 2005-05-27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복공판
KR100707129B1 (ko) 2006-11-20 2007-04-13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설교량용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29180B1 (ko) 2007-11-14 2009-12-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복공판
JP2010078101A (ja) * 2008-09-27 2010-04-08 Tokai Rubber Ind Ltd 防振ゴムブッシュ
KR20150124863A (ko) 2014-04-29 2015-11-06 류인모 Epcd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936B1 (ko) * 2016-12-15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쿨링모듈 사이드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586B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57885A1 (en) Vehicle radiator support structure
KR20170097918A (ko)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KR20220147773A (ko)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1818662B1 (ko) 차량용 트랜스미션 고정용 브라켓
KR102555855B1 (ko)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1761813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축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댐핑부쉬
KR102555860B1 (ko) 힌지 분리형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1832887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2228097B1 (ko) 차량용 볼조인트
JP5254181B2 (ja) マウント用キャップ及びその取付構造
US11919350B2 (en) Spring guide and suspension device
JP2018062978A (ja) 防振装置
WO2019172004A1 (ja) スプリングシート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10134452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4286078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ハウジングの固定構造
JP2021020603A (ja) 車両用ホイール
KR0129013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캡슐 구조
KR102173392B1 (ko) 차량용 캐리어
KR200152178Y1 (ko) 차량용 범퍼의 인서트볼트식 취부구조
KR102454583B1 (ko) 트랜스미션 브라켓 조립체
JP3805608B2 (ja) 筒型防振装置
CN114233509B (zh) 一种汽车用曲轴前油封总成
JP7309591B2 (ja) 防振装置
KR100536363B1 (ko) 차량의 엔진 마운트
CN114981558A (zh) 防振衬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