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606A -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 - Google Patents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606A
KR20220147606A KR1020227030217A KR20227030217A KR20220147606A KR 20220147606 A KR20220147606 A KR 20220147606A KR 1020227030217 A KR1020227030217 A KR 1020227030217A KR 20227030217 A KR20227030217 A KR 20227030217A KR 20220147606 A KR20220147606 A KR 20220147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heel attachment
emergency wheel
claw
retaining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콘스탄티노스 치베리디스
Original Assignee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브이 엔지니어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4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10Emergenc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60B15/263Traction increasing surface being located axially beside t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2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curing tyres on rim or wheel body
    • B60C7/28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curing tyres on rim or wheel body using straps or the like, e.g. vulcanised into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7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removably mountable securing elements, e.g. cir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70Adaptation for
    • B60B2900/731Use in cases of damage, failure or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휠(12)용 비상 휠 부착물(10)에 관한 것으로, 비상 휠 부착물은 차량 휠에 비상 휠 부착물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장착 유닛(18) 및 작동 상태에서 도로와 접촉하는 트레드 유닛(20)을 국비하고, 장착 유닛에는 림 플랜지(26) 후방에 맞물림으로써 장착 유닛을 차량 휠의 림(14)에 고정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리테이닝 클로(22)가 제공되며, 리테이닝 클로 중 적어도 하나는 장착 유닛의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장착 유닛은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에서 차량 휠 축과 일치하는 중심축(A)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환형의 작동 요소(46)를 구비하며, 이는 작동 요소(46)의 회전을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 또는 모든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의 반경 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하며, 장착 유닛(18)은 작동 요소(46)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
본 발명은 림 및 림 위에 배열된 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에 관한 것으로, 비상 휠 부착물은 차량 휠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비상 휠 부착물은 타이어가 손상되어 더 이상 공기를 보유할 수 없는 차량을 계속 주행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결함이 있는 차량 휠을 차량에서 제거하고, 스페어 휠로 교체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휠 부착물은 결함이 있는 차량 휠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결함이 있는 차량 휠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비상 휠 부착물과 관련하여, 비상 휠 부착물이 장착된 차량 휠의 후속 작동 상태에서 상당한 힘이 가해지고, 비상 휠 부착물은 어떤 상황에서도 차량 휠에서 우발적으로 분리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비상 휠 부착물이 차량 휠에 쉽고 매우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그러한 비상 휠 부착물이 지지되어 있는 차량의 에너지 소비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도록, 그러한 비상 휠 부착물은 또한 가능한 한 콤팩트하고 경량으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휠에 쉽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동시에 콤팩트하고 경량의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을 지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차량 휠에 비상 휠 부착물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환형 장착 유닛과 비상 휠 부착물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비상 휠 부착물이 제공된 차량 휠이 구르도록 의도된 도로와 접촉하는 실질적으로 환형 트레드 유닛을 구비하는,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에 의해 달성된다. "실질적으로 환형(substantially annular)"이란 표현은 장착 유닛 및 트레드 유닛의 기본 형상이 환형임을 의미하지만, 환형 모양과 관련되지 않는 장착 유닛 및 트레드 유닛 각각으로부터 연장하는 부분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착 유닛에는 림의 림 플랜지 뒤에서 맞물림으로써 장착 유닛을 차량 휠의 림에 부착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리테이닝 클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단지 2개보다 많은 리테이닝 클로, 예를 들어 3개, 4개, 5개 또는 심지어 6개의 리테이닝 클로를 갖는다. 존재하는 리테이닝 클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장착 유닛의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실행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몇몇 또는 심지어 모든 리테이닝 클로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클로의 반경 방향 이동성은, 장착 유닛을 차량 휠의 림 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이 리테이닝 클로 또는 모든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를 처음에 반경 방향으로 더 멀리 놓인 위치에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후속하여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또는 모든 리테이닝 클로의 방사상 위치를 방사상 안쪽으로 변경함으로써, 리테이닝 클로는 림의 림 플랜지 뒤에서 맞물리고, 장착 유닛이 림 위에 지탱된다. 이를 위해 장착 유닛은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비상 휠 부착물이 차량 휠에 부착된 경우)에서 차량 휠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작동 요소를 가지고 있다. 환형 작동 요소는, 작동 요소의 회전을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 또는 모든 리테이닝 클로의 반경 방향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한다. 작동 요소를 회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장착 유닛에는 작동 요소에 결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구동 장치가 더 제공되며, 그 작동으로 인해 작동 요소가 회전한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환형 작동 요소는 체인이고 구동 장치는 체인과 맞물리거나 맞물리게 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이다.
환형 작동 요소가 체인인 경우,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retaining claw)에는 리테이닝 암이 제공되는데, 이 리테이닝 암은 리테이닝 클로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한쪽에는 리테이닝 클로와 관련된 회전 가능한 트랜스미션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형 치형부가 있으며, 상기 피니언은 궁극적으로 체인과 맞물린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구동 피니언의 회전이 체인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움직임을 트랜스미션 피니언 또는 피니언들에 전달하며, 트랜스미션 피니언 또는 피니언들의 회전은 각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 상에 존재하는 랙-형 치형부에 의해 구동 피니언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경 방향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의 반경 방향 운동으로 변환된다.
체인, 구동 피니언 및 트랜스미션 피니언 또는 모든 트랜스미션 피니언(들)을 수용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장착 유닛은 적절한 형상의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작동 요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형인 작동 디스크이다. 이 작동 디스크는 내부 치형부 또는 외부 치형부를 가질 수 있고, 구동 장치는 체인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일 수 있으며, 작동 디스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피니언은 내부 치형부 또는 외부 치형부와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작동 디스크에는 리세스 또는 개구의 환형 어레이가 제공될 수 있고, 피니언은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와 연관될 수 있으며, 피니언은 작동 디스크의 리세스 또는 개구와 맞물리고, 나사식 스핀들에 연결되며, 스핀들은 궁극적으로 관련 리테이닝 클로에 연결되고, 피니언의 회전 운동을 리테이닝 클로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지향되는 병진 운동으로 변환한다. 리세스 또는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슬롯 형상이고 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작동 디스크는 속도 센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리졸버 휠이라고 하는 것과 외관이 유사하지만 완전히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작동 디스크는 내부 치형부와 외부 치형부를 갖고, 여기서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은 외부 치형부와 맞물리거나 맞물리게 될 수 있고,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와 연관되어 특히 베벨 기어로 설계된 기어휠이 있다. 기어휠은 작동 디스크의 내부 치형부와 맞물리며 나사식 스핀들에 연결되며, 이는 다시 관련 리테이닝 클로에 연결되고, (베벨) 기어휠의 회전 운동을 리테이닝 클로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향하는 병진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장착 유닛의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은 작동 디스크의 반경 방향 외부에 있는 지점에 위치되어 장착 유닛의 중앙에 있는 중앙 자유 공간이 최대화될 수 있다. 이것은 과도한 디싱(dishing)으로 알려진 것을 갖는 차량 휠 림과 관련하여, 즉 림의 반경 방향 외부 영역보다 축 방향으로 더 돌출하는 중심 영역을 갖는 림과 관련하여 유리할 수 있다. 장착 유닛에 가능한 한 큰 중앙 자유 영역이 있는 경우, 장착 유닛은 디싱이 과도하게 있는 림에서도 림과 충돌하지 않고 차량 휠에 단단히 장착될 수 있다.
가능한 한 큰 자유 중앙 영역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면, 전술한 실시형태의 수정에서, 장착 유닛의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은 내부 치형부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러면 작동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작동 디스크는 내부 치형부 또는 외부 치형부를 갖고, 구동 장치는 다시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으로, 위에서 설명한 수정과 유사하게 내부 치형부 또는 외부 치형부와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다. 작동 디스크의 회전 운동을 각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각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에는 리테이닝 클로로부터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며, 리테이닝 클로와 관련된 회전 가능한 트랜스미션 피니언과 맞물리는 일 측면 위에 랙-형 치형부를 가지며, 이 피니언은 차례로 작동 디스크의 내부 치형부 또는 외부 치형부와 맞물린다. 이 실시형태는 작동 요소가 체인으로 구성되는 위에서 추가로 설명된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위에서 추가로 설명된 이 실시형태 및 마지막으로 설명된 실시형태 모두에서, 트랜스미션 피니언 또는 트랜스미션 피니언들 중 하나는 구동 피니언으로서 동시에 기능할 수 있다. 즉, 개별적으로 배치된 구동 피니언 대신에, 트랜스미션 피니언 또는 트랜스미션 피니언들 하나가 동시에 구동 피니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피니언의 별도 베어링이 제거되고 부품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유닛의 하우징을 보다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장착 유닛의 작동 요소가 환형 작동 디스크로 설계된 특정 실시형태에서, 작동 디스크는 링크 블록과 상호작용하는 나선형 세그먼트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또는 모션 링크를 가지며, 이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에 연결된 리테이닝 암 위에 배치되어 있다.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하나 이상의 모션 링크가 있는 작동 디스크가 회전하면, 모션 링크 내에서 또는 모션 링크 상에서 연장되는 링크 블록을 통해 관련 리테이닝 클로로 그 이동이 전달되고, 리테이닝 클로가 장착 유닛의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는 반경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원주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안내된다.
작동 디스크에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모션 링크가 하나만 있는 경우, 그리고 여러 개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가 장착 유닛의 원주 방향으로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경우, 각 리테이닝 클로는 모든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가 작동 디스크의 초기 위치에서 장착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관련 원주 위치에 맞게 특별히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는 장착 유닛이 조립될 때 그에 관련된 상당히 명확한 지점에 장착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단일 모션 링크 대신에, 작동 디스크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여러 모션 링크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는 모두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고, 장착 유닛의 조립 시에 더 이상 각 리테이닝 클로가 이 리테이닝 클로에만 적합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는 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복수의 모션 링크는 원주 방향으로 겹칠 수도 있으므로 반경 방향에서 볼 때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복수의 모션 링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와 관련된 작동 디스크의 각 섹션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종류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또는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의 리테이닝 암에는 복수의 모션 링크와 결합하기 위해 서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링크 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링크 블록 또는 각 링크 블록은 핀 또는 볼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링크 블록 또는 각각의 링크 블록은 나선 세그먼트 형태의 짧은 리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나선 세그먼트 형태의 리브의 치수 및 형태는 나선형 세그먼트의 형태의 관련된 모션 링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다른 모양의 링크 블록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단지, 작동 디스크의 회전 운동이 모션 링크에 의해 가능한 한 손실 없는 방식으로 링크 블록에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모션 링크 또는 각각의 모션 링크는 나선형 세그먼트의 형태로 작동 디스크의 슬롯-형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션 링크 또는 각각의 모션 링크는 작동 디스크 상에 형성되거나 형성되는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모션 링크 리브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착 유닛의 각 리테이닝 클로가 장착 유닛을 차량 휠의 림에 장착하고, 단단히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고 이미 설명했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는 림 플랜지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분을 갖고, 원주 방향 접촉 부분 옆에 배열되며, 비상 휠 부착물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즉 차량 휠의 림에 비상 휠 부착물이 올바로 장착된 상태에서, 림 플랜지로부터 작은 반경 방향 간격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부분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 간격은 0.2 내지 0.5㎜의 범위에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0.3㎜ 정도이다. 리테이닝 클로의 안전 부분 또는 각각의 안전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장착 유닛의 접촉 부분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슬롯에 의해 접촉 부분으로부터 이격된다. 접촉 부분이 중앙 접촉부라면, 리테이닝 클로의 중앙 접촉부의 양측에 각각 안전 부분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테이닝 클로의 접촉 부분의 과부하가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중에 발생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리테이닝 클로로부터 접촉 부분이 떨어짐(breaking off)으로 인해 접촉 부분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리테이닝 클로의 해당 안전 부분 또는 안전 부분들은 이 리테이닝 클로가 림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각 안전 부분과 림 플랜지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은 한편으로는 접촉 부분에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 문제의 리테이닝 클로의 안전 부분 또는 안전 부분들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래 림 플랜지에 유격이 없이 안착하고 있는 접촉 부분이 고장난 후, 림 플랜지와 안전 부분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덜걱거림이 발생하여 비상 휠 부착물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더 나은 힘 분배와 부착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또는 모든 리테이닝 클로를 이중 클로로 실행할 수 있다. 이중 클로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2개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를 가지며, 리테이닝 클로 요소 모두는 공통 리테이닝 암에 부착된다. 이중 클로의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는 이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접촉 부분 및 접촉 부분에 인접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중 클로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될 때, 각 리테이닝 클로 요소가 차량 휠의 림 플랜지에 올바르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리테이닝 클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공통 리테이닝 암에 걸쳐 있는 평면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축을 중심으로 공통 리테이닝 암에 대해 조금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생하는 어떠한 각도 오류가 보상될 수 있고, 리테이닝 클로 요소의 기울어짐(tilting)이 방지된다.
차량 휠에 장착 유닛을 장착할 때, 림 플랜지와 타이어 사이의 영역에 리테이닝 클로를 삽입하는 것을 더 쉽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제공되며, 이들은 타이어를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되고, 리테이닝 클로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거나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닝 클로의 단부 부분의 영역에 배열된다. 리테이닝 클로가 장착될 때, 이러한 리세스는 타이어의 고무 재료가 리세스 내로 가압되도록 허용하고 이에 의해 리테이닝 클로가 상기 영역으로 삽입될 때 타이어에 의해 리테이닝 클로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킨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이 차량 휠에 올바르게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각 리테이닝 클로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지 표면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에서 림 외부, 예를 들어 림 플랜지 위에 안착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리테이닝 클로에는 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지 표면의 영역에서 리테이닝 클로를 통과하는 표시기 요소가 제공되며, 여기서 림을 향하는 표시기 요소의 일 단부는 림과 접촉하기 위한 것이며, 표시기 요소의 반대쪽 타 단부는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에서 장착 유닛의 올바른 장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장착 유닛이 올바르게 장착되면, 색상으로 표시된 표시기 요소의 일 단부가 차량 휠에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비상 휠 부착물 측면으로 돌출되어 장착 유닛이 올바르게 장착되었음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표시기 요소의 이 단부는 장착 유닛이 올바르게 장착되었을 때 비상 휠 부착물의 주변 표면과 같은 높이로 끝을 맺을 수도 있다. 표시기 요소 또는 각각의 표시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지 표면이 림의 외부에 올바르게 안착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는 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공간 절약형 및 장착 용이성 설계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트레드 유닛은 장착 유닛과 분리된 유닛이고, 바람직하게는 장착 유닛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비상 휠 부착물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장착 유닛에 연결된 여러 개의 환형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레드 유닛은 2개의 반원형 링 세그먼트로 구성된 유닛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트레드 유닛은 2개의 원형 링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그 중 하나는 원주의 대략 2/3를 차지하고 다른 원형 링 세그먼트는 원주의 1/3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트레드 유닛을 3개 이상의 원형 링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것과 같은 다른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트레드 유닛을 장착 유닛에 연결하기 위해, 일부 실시형태에서 위치 결정 볼트가 사용되며, 이는 차량 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장착 유닛의 측면에 돌출 배열되어 있다. 장착 유닛을 차량 휠에 부착한 후, 트레드 유닛을 장착 유닛에서 돌출된 위치 결정 볼트 위로 밀어서 장착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볼트는 장착 유닛의 하우징에 부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위치 결정 볼트는 리테이닝 클로, 특히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리테이닝 암에 부착될 수 있다. 리테이닝 클로에 위치 결정 볼트가 부착되는 경우, 위치 결정 볼트는, 예를 들어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슬롯-형 개구로 설계되는 작동 디스크의 모션 링크를 통해 돌출한다는 점에서 링크 블록과 같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위치 결정 볼트는 트레드 유닛이 장착 유닛에 단단히 조여지는 너트에 의해 트레드 유닛이 장착 유닛에 부착되도록 하는 나사산이 있는 볼트이다.
전술한 너트는 캡 너트일 수 있고, 각 캡 너트에 포함된 광학 및/또는 음향 표시 장치는 올바른 장착 상태를 신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쌍안정(bistable) 금속판에 의해 발생하는 딸깍 소리는 트레드 유닛을 장착 유닛에 올바르게 부착하는 데 필요한 토크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캡 너트 밖으로 튀어나온 핀이나 캡 너트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끝나는 핀은 캡 너트가 올바르게 조여졌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래칭 장치가 트레드 유닛을 장착 유닛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래칭 장치는 차량 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비상 휠 부착물의 측면에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래칭 장치는 장착 유닛에 배열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더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고, 슬라이더는 트레드 유닛이 장착될 때 트레드 유닛의 관련 측면과 접촉하게 되는 램프를 구비하여, 그 탄성적 프리텐션으로 인해 장착 과정에서 슬라이더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위 및 이동되고, 트레드 유닛의 장착이 완료될 때 다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그리고 트레드 유닛의 표면을 지나, 올바른 장착 위치에서 트레드 유닛을 고정시키게 된다. 래칭 장치의 수정된 구현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래칭 장치는, 장착 유닛에 연결하기 위해 차량 휠에 이미 부착된 장착 유닛 위로 트레드 장치를 밀어 넣기만 하면 자동으로 고정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트레드 유닛을 장착 유닛에 나사로 고정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트레드 유닛의 자동 래칭을 갖는 이러한 종류의 실시형태에서, 장착 유닛의 디자인이 반드시 실질적으로 환형일 필요는 없지만, 예를 들어 여러 부착 암이 장착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과 같이 다르게 설계된 장착 유닛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든 경우에서 암들의 자유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클로가 위치하게 된다.
비교적 적은 수의 리테이닝 클로를 갖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림의 림 플랜지 뒤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체-지탱(self-bracing) 안전 클로가 부착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자체-지탱 안전 클로 또는 각각의 자체-지탱 안전 클로는 차량 휠에 대면하는 트레드 유닛의 측면에 배열되고, 각각의 안전 클로는 바람직하게는 비상 휠 부착물의 원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 2개의 리테이닝 클로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3개의 리테이닝 클로 및 3개의 자체-지탱 안전 클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자체-지탱 안전 클로는 단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리테이닝 클로보다 많은 비상 휠 부착물의 실시형태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안전 클로는 작동 슬라이더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작동 슬라이더의 일 단부는 트레드 유닛의 트레드를 통과하고, 트레드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비상 휠 부착물 작동 시, 트레드가 굴러갈 때, 트레드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작동 슬라이더의 단부가 노면과 접촉하여 방사상 내측으로 눌려짐으로써 작동 슬라이더의 방사상 내측 타 단부가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하고, 안전 클로와 접촉하여 림의 림 플랜지 위와 뒤쪽으로 안전 클로를 누른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작동 슬라이더 또는 각각의 작동 슬라이더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어 있고, 작동 슬라이더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한 후에 작동 슬라이더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장치를 갖는다. 따라서 잠금 장치는 작동 슬라이더에 의해 림의 림 플랜지 위 및 뒤에서 눌려진 안전 클로가 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 강철의 라멜라가 잠금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라멜라의 자유 단부는 작동 슬라이더 위에 있는 래칭 치형부와 상호 작용한다. 작동 후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는 작동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잠금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체-지탱 안전 클로를 갖는 전술한 비상 휠 부착물의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장착 유닛의 구성에 의존하지 않는다. 반대로, 다르게 구성된 장착 유닛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부착 암이 장착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암의 자유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클로가 각각의 경우에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안전 클로를 구비하는 이전에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고, 비상 휠 부착물의 트레드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작동 슬라이더는 연관된 안전 클로의 방사상 내측으로 변위를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이유로 작동 슬라이더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배열된 슬라이더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를 고정시키는데도 사용될 수 있는데, 슬라이더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전술한 장착 유닛에 의해 림 플랜지와 체결되어서 의도치 않게 느슨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방사상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고, 비상 휠 부착물의 트레드를 통과하는 그러한 슬라이더는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의 방사상 외부에 위치된 비상 휠 부착물의 영역에 배열된다. 비상 휠 부착물 작동 시, 초기에 트레드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이 슬라이더는 노면과의 접촉에 의해 방사상 내측으로 눌려지며, 슬라이더의 방사상 내측 단부는 방사상 외측에서 리테이닝 클로 위로 보다 정확하게는 리테이닝 클로의 리테이닝 클로 헤드 위로 가압되도록 설계된다, 슬라이더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잠금 장치에 의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위된 후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다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가 리테이닝 클로 헤드에 놓이게 되면 리테이닝 클로 헤드가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느슨해지거나 분리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슬라이더는 리테이닝 클로 고정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에 대한 이전 설명으로부터 구동 장치의 적절한 회전에 의해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 또는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의해 장착 유닛이 차량 휠의 림에 고정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예를 들어, 림 플랜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차량 휠의 림에 장착 유닛을 지탱(bracing)할 때 너무 큰 토크가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비상 휠 부착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는 구동 장치에 대해 토크 제한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장치가 작동 요소에 결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구동 피니언인 경우, 이 구동 피니언은 안에 이러한 토크 제한 장치가 위치하는 캡 너트에 연결될 수 있다. 토크 제한 장치는 예를 들어 서로 위에 배열된 여러 스프링 와셔로 구성된 슬리핑 클러치일 수 있다. 스프링 와셔는 서로 대응하여 실행되는 융기부와 오목부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일단 미리 결정된 토크가 초과되면, 토크 제한 장치는 작동 요소에 가해지는 토크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섹션에서 계속해서 회전하기만 다.
환형 작동 요소를 보호하고 또한 안내 및/또는 지지하기 위해, 장착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안에 작동 요소가 배열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형인 하우징을 갖는다. 장착 유닛을 차량 휠에 적용하는 것을 더 쉽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장착 유닛의 하우징의 자유 중심에 걸쳐 있는 핸들이 하우징에 부착되며, 여기서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져서 더 잘 잡을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다른 구현 세부사항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휠을 위한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차량 휠에 장착된 상태의, 도 1의 비상 휠 부착물을 도시한다.
도 3은 트레드 유닛이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있는 도 2의 도면이다.
도 4는 리테이닝 클로 영역이 확대되어 있는, 차량 휠에 부착된 도 2의 비상 휠 부착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2 실시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실시형태의 리테이닝 클로와 작동 디스크와 사이의 협력에 대한 상세한 표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3 실시형태의 공간적 부분 표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3 실시형태의 변형의 공간적 부분 표현도이다.
도 9는 비스듬히 위에서 본,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4 실시형태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공간적 부분 표현도이다.
도 10은 아래에서 본, 도 9의 부분 표현도이다.
도 11은 차량 휠에 부착된 상태의 제4 실시형태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비스듬히 위에서 본,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4 실시형태의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공간적 부분 표현도이다.
도 14는 비스듬히 위에서 본,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4 실시형태의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공간적 부분 표현도이다.
도 15는 비스듬히 위에서 본,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4 실시형태의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공간적 부분 표현도이다.
도 16은 비스듬한 위에서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4 실시형태의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공간적 부분 표현도이다.
도 17은 작동 디스크가 제거된, 제4 실시형태의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세도이다.
도 18은 차량 휠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5 실시형태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공간 부분 표현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의 도 18을 약간 수정한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이다.
도 20은 손잡이가 있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공간도이다.
도 21은 비상 휠 부착물이 차량 휠에 부착될 때, 리테이닝 클로에 의해 초기에 있게 되는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분리되어 도시된 리테이닝 클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수정된 리테이닝 클로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리테이닝 클로의 공간 표현도이다.
도 25는 올바른 장착을 나타내는 표시기 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리테이닝 클로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차량 휠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도 26의 표시기 요소가 있는 리테이닝 클로의 일부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수정된 리테이닝 클로의 도면이다.
도 29는 차량 휠에 장착된 상태의 도 28의 리테이닝 클로의 상세도이다.
도 30은 이중 클로로 구현된 리테이닝 클로의 공간 표현도이다.
도 31은 이중 클로의 변형된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전 클로를 갖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실시형태의 단면 공간도이다.
도 33은 안전 클로가 차량 휠의 림에 지탱되어 있는 도 32의 모습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장착 유닛에 트레드 유닛을 단단히 조이기 위한 캡 너트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나사가 풀린 상태에서 도 34의 캡 너트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캡 너트가 단단히 조인 상태에서 도 35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비스듬히 위에서 본, 자동 래칭 트레드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제6 실시형태의 공간 표현도이다.
도 38은 도 37에서 C-C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비상 휠 부착물의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을 위한 캡 너트를 관통하는 단면도로, 캡 너트에는 토크-제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도 40은 토크-제한 장치가 수정된, 도 39의 캡 너트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림(14) 및 림 상에 배치된 타이어(16)(도 21 및 22에만 도시됨)를 포함하는, 차량 휠(12)용 비상 휠 부착물(10)의 제1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도 2 참조)에서, 비상 휠 부착물(10)은 타이어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계속 주행할 수 있도록 차량 휠(12)의 외부에 배치되고 차량 휠(12)의 림(14)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상된 타이어(16)는 타이어(16)가 이미 림(14)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한 비상 휠 부착물(10)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림(14) 위에 여전히 통상적으로 위치한다. 차량 휠(12) 상에서 비상 휠 부착물(10)은 기능은 타이어(16)가 있는 상태에서 또는 타이어(16)가 없는 상태에서도 제공된다.
비상 휠 부착물(10)의 제1 실시형태의 구조적 디자인은 도 1의 분해도로부터 더 쉽게 명백해진다. 따라서, 비상 휠 부착물(10)은 비상 휠 부착물(10)을 차량 휠(12) 위에 보다 정확하게는 차량 휠의 림(14)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장착 유닛(18)을 포함하고, 또한 비상 휠 부착물(10)이 작동 중일 때, 비상 휠 부착물(10)이 장착된 상태로 차량 휠(12) 구르도록 의도되는 도로와 접촉하는, 트레드(21)를 구비하는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환형인 트레드 유닛(2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장착 유닛(18)과 트레드 유닛(20)은 차량 휠(12)에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2개의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장착 유닛(18)과 트레드 유닛(20)은 차량 휠(12)에 장착된 서로 연결된 단일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 유닛(18)을 차량 휠(12)에 부착하기 위해, 도 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장착 유닛(18)은 6개의 리테이닝 클로(22)를 구비한다. 그 구조는 도 23 내지 도 31에서 더 명확하게 나타나며, 모든 경우에서 림(14)의 림 플랜지(26) 뒤에서 후크 형태로 구성된 리테이닝 클로 헤드(24)와 체결되게 형성되고, 림 플랜지(26)에 단단히 끼워진 상태로 안착된다. 이 상태는 도 2에서 단면 Ⅳ-Ⅳ를 나타내는 도 4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6개의 리테이닝 클로(22)는 장착 유닛(18)의 둘레에 걸쳐 분산되어 배열되고, 각각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리테이닝 클로(22)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지만, 도 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3개씩 2개의 그룹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3개의 리테이닝 클로(22)의 하나의 그룹은 교차선 IV-IV를 기준으로 장착 유닛(18)의 좌측에 그리고 3개의 다른 그룹은 장착 유닛(18)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따라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든 리테이닝 클로(22)는 장착 유닛(18)의 중심점으로부터 리테이닝 클로 헤드(24)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실행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는 장착 유닛(18)의 실질적으로 환형인 기본 몸체(28)에서 방사상으로 안내되도록 지지된다. 기본 몸체(28)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2개의 측 방향 연장부(30) 및 베이스(32)에 의해 제한되는 홈(34)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안내를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는 여기에서 연관된 리테이닝 클로 헤드(24)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 홈(34)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배열되는 리테이닝 암(36)을 갖는다. 각 리테이닝 클로(22)의 리테이닝 클로 헤드(24) 반대편 단부에서, 리테이닝 암(36)에는 나사형 스핀들(40)을 수용하기 위한 나사형 구멍(38)이 제공되는데, 그 한쪽 단부 부분은 나사형 구멍(38)에 나사로 고정된다. 나사형 스핀들(40)의 타 단부 분에 또는 그 단부 부분 근방에서 나사형 스핀들(40)에는 여기에서 베벨(기어)휠(42)로 형성된 피니언(44)이 배치되어 있다.
모든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의 반경 방향 내향 또는 외향 이동을 결합하기 위해, 환형 작동 요소가 사용되며, 이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부 치형부(48)가 그 내부 둘레에 형성된 환형 작동 디스크(46)이다. 작동 디스크(46)는 내부 치형부(48)가 각 베벨 기어(42)와 맞물리도록 장착 유닛(18)의 기본 몸체(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 디스크(46)를 회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작동 디스크(46)의 내부 치형부(48)와 맞물리는 베벨 기어로 마찬가지로 형성된 구동 피니언(52)이 기본 몸체(28)의 축 방향 베어링 핀(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을 위해 구동 피니언(52)에는 작동 디스크(46)를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기서는 캡 너트(54)로 실행되는 너트가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환형의 커버(56)가 나사(58)에 의해 기본 몸체(28)에 부착되고, 그리고 기본 몸체(28)와 함께 장착 유닛(18)의 하우징(60)을 형성하며, 하우징 안쪽에는 리테이닝 클로(22)(부분적으로), 베벨 기어(42), 작동 디스크(46) 및 구동 피니언(52)이 위치한다. 구동 피니언(52)의 캡 너트(54)는 커버(56)의 개구(62)를 통해 하우징(6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동 피니언(52)이 스패너에 의해 또는 다른 적절한 툴을 사용하여 회전 설정될 수 있다.
구동 피니언(52)의 이러한 회전은 비상 휠 부착물(10)의 작동 상태에서 차량 휠(12)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회전 축(A)을 중심으로 작동 디스크(46)의 회전을 유도한다(도 4 참조). 작동 디스크(46)의 회전은 리테이닝 클로(22)의 베벨 기어(42)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모든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는 구동 피니언(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또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동기적으로 이동된다. 베벨 기어(42) 및 나사형 스핀들(40)에 의해 각각 형성된 스핀들 너트 구조체는 회전 불가능하게 배열된 나사식 스핀들(40) 및 그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베벨 기어(42)를 가질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나사형 스핀들(40)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열된 베벨 기어(42)를 가질 수 있고, 나사형 스핀들(40)은 리테이닝 암(36)의 나사형 구멍(38)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야 한다.
본 설명의 맥락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가 언급되면, 이것은 반드시 반경 방향으로만 이동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발생하는 이동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리테이닝 클로(22)의 이동 방향이 정확하게 회전축(A)에 수직인 평면(E)에 있지 않고, 평면(E)에 대해 5°의 각도 β로 기울어진 평면(F)에서 진행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에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는 반경 방향 바깥쪽뿐만 아니라 차량 휠(12)의 림(14)을 향해 축 방향으로 약간 움직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장착 유닛(18)의 초기 상태에서, 각 리테이닝 클로 헤드(24)가 림 플랜지(26) 영역에 위치하도록 장착 유닛(18)이 외부로부터 차량 휠(12) 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모두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가 위치된다. 그러나 반경 방향으로 다소 바깥쪽에 있다. 그런 다음 장착 유닛(18)은 차량 휠(12)에 대해 축 방향으로 가압되고 동시에 구동 피니언(52)이 회전되어 리테이닝 클로(2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리테이닝 클로 헤드(24)가 림 플랜지(26) 뒤에 맞물릴 수 있다. 구동 피니언(52)의 회전은 리테이닝 클로 헤드(24)가 림 플랜지(26)와 고정 접촉될 때까지 계속된다. 구동 피니언(52)은 통상적으로 이전에 결정된 토크 예를 들어 60 Nm가 될 때까지 회전되어, 각 리테이닝 클로 헤드(24)가 림 플랜지(26)에 단단히 안착되어 전체 장착 유닛(18)이 차량 휠(12)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런 다음, 트레드 유닛(20)이 위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 휠(12)에 부착된 장착 유닛(18) 위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여기에서 나사 볼트로 구성된 여러 개의 위치 결정 볼트(64)가 사용되며, 볼트는 차량 휠(12) 반대면 측면 위에서 장착 유닛(18)의 하우징(6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위치 결정 볼트(64)는 모든 경우에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의 리테이닝 암(36)에 부착되거나 형성되고, 이에 따라 엄밀히 축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평면(E)에 대해 각도 β로 기울어져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위치 결정 볼트(64)는 기본 몸체(28)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착 유닛(18) 위에 트레드 유닛(20)을 위치시키기 위해, 기본 본체(28)에 부착되거나 형성되고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핀(66)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트레드 유닛(20)은 차량 휠(12)에 부착된 장착 유닛(18)에 차례로 부착되는 2개의 실질적으로 반원형 링 세그먼트(68, 70)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서 상부 세그먼트(68)는 대응하는 위치 결정 볼트(64) 및 위치 결정 핀(66) 상으로 눌려진다(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 세그먼트(68, 70)에는 대응하는 개구(72) 및 위치 결정 리세스(74)가 제공됨). 그 다음 캡 너트(76)는 각각의 경우에 세그먼트(68)를 관통해 연장되는 2개의 상부 위치 결정 볼트(64)에 나사로 고정되어 장착 유닛(18)에 대해 세그먼트(68)를 압박하고 이를 장착 유닛에 부착한다. 차량 휠(12)이 장착된 차량(미도시)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차량 휠(12)이 회전되어 처음에 상부에 위치한 세그먼트(68)가 하부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세그먼트(68)의 트레드(21)는 차량 휠(12)이 위치하는 노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제 트레드 유닛(20)의 제2 세그먼트(70)는 세그먼트(68)와 동일한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관련 캡 너트(76)를 미리 결정된 토크로 조이면, 비상 휠 부착물(10)이 작동할 준비가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트레드 유닛(20)의 2개의 세그먼트(68, 70) 사이의 분리선에  2개의 개구(72)가 위치된다. 여기서 2개의 세그먼트(68, 70) 사이의 하중 지지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세그먼트(70)에는 제2 세그먼트(70)에 부착되고 관련 캡 너트(76)를 조임으로써 제1 세그먼트에 대해 가압되는 브리징 러그(78)가 각 분할 개구(72)의 영역에 제공된다.
비상 휠 부착물(10)을 제거하기 위해, 위 절차를 역순으로 수행한다. 즉, 먼저 캡 너트(76)가 풀리고, 트레드 유닛(20)의 2개의 세그먼트(68, 70)가 장착 유닛(18)에서 차례로 분리된다. 그 다음, 장착 유닛(18)의 구동 피니언(52)이 리테이닝 클로(2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리테이닝 클로 헤드(24)가 림 플랜지(26)와의 후방 결합으로부터 해제된 후, 장착 유닛(18)이 차량 휠(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예에서, 작동 디스크(46)는 내부 치형부(48)에 더하여 구동 피니언(52)과 맞물리도록 의도된 외부 치형부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구동 피니언(52)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과는 달리 작동 디스크(46)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수정된 실시형태에서 내부 치형부(48)는 작동 디스크(46)의 회전 운동을 베벨 기어(42)로 전달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도 5 및 도 6은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다소 변형된 비상 휠 부착물(10a)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주요 차이점은 작동 디스크 및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된 피니언들 구조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의 환형 작동 디스크(46a)도 내부 치형부(48)를 갖지만, 이들은 구동 피니언(52)과 맞물리는 데에만 사용되며, 이는 제2 실시형태에서 일반 스퍼 기어로서 실행된다. 작동 디스크(46a)의 회전 운동을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로 전달하는 것은, 작동 디스크(46a)의 일련의 슬롯형 개구(80)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각각의 경우에 관련된 리테이닝 클로(22)의 나사형 스핀들(40)에 연결된 피니언(44a)과 맞물린다. 피니언(44)이 각각 베벨 기어로 구성된 제1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피니언(44a)은 일반 스퍼 기어이다. 이 제2 실시형태의 기능은 제1 실시형태의 기능에 대응하고, 단지 구동 피니언(52), 작동 디스크(46a) 및 리테이닝 클로(22)의 피니언(44a) 사이의 상호작용만을 도시하는 도 6에 명백하게 나타난다.
제1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수정과 유사하게, 제2 실시형태는 구동 피니언(52)이 작동 디스크(46a)의 반경 방향 내부가 아니라 반경 방향 외부에 배열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그러면 내부 치형부(48)가 생략될 수 있지만, 구동 피니언(52)의 회전 운동이 작동 디스크(46a)로 전달될 수 있도록 작동 디스크(46a) 상에 외부 치형부가 제공되어야 한다.
도 7 및 도 8은, 환형 작동 디스크 대신에 체인(82)이 환형 작동 요소로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이전에 설명된 2개의 실시형태와 상이한 비상 휠 부착물(10b)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7 및 8에는 장착 유닛(18)만이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체인(82)은 장착 유닛(18)의 하우징에 링 형태로 배열되고 안내된다. 구동 피니언(52)의 회전 운동은 회전축(A)을 중심으로 체인(82)을 회전시키고, 체인(82)은 이 회전 운동을 기본 몸체(2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회전축이 회전축(A)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트랜스미션 피니언(44b)으로 전달한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피니언들(44, 44a)의 회전축은 각 경우에서 관련 나사형 스핀들(40)의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진행하는 중심 종축이다). 처음의 두 실시형태들과 또 다르게, 제3 실시형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테이닝 암(36b)의 한쪽 면에는, 관련 트랜스미션 피니언(44b)과 맞물리고, 이어서 체인(82)과 맞물리는 랙-형 치형부(84)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트랜스미션 피니언(44b)의 각각의 회전 운동은 관련 리테이닝 클로(22)의 반경 방향 병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이 운동은 구동 피니언(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경 방향 외측 또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게 된다.
도 8은 체인(82)이 링 형상으로 진행되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서 트랜스미션 피니언(44b)과 구동 피니언(52) 사이에서 선형 방식으로 진행되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르면, 트랜스미션 피니언(44b) 중 하나가 동시에 구동 피니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랜스미션 피니언(44b) 중 하나에만 너트, 예를 들어 도시된 캡 너트(54)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도 7 및 도 8의 개별 구동 피니언(52)은 생략될 수 있다.
처음 2개의 실시형태와 다른 차이점으로, 도 7 및 8에 도시된 제3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장착 유닛(18)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균일하게 이격된 3개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만을 갖는다. 그러나, 제3 실시형태는 또한 이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비상 휠 부착물(10c)의 제4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3개의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구동 피니언(52)의 회전 운동을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로 전달하는 데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고, 작동 디스크(46c)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열된 구동 피니언(52)과 맞물리는 외부 치형부(86)가 제공된 환형 작동 디스크(46c)를 구비한다. 작동 디스크(46c)의 원주 방향에서 볼 때, 리테이닝 클로(22)를 향하는 작동 디스크(46c)의 측면 위에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복수의 융기부(8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는 각각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모션 링크(90)를 형성한다. 작동 디스크(46c)의 이 측면을 향하는 각 리테이닝 암(36c)의 표면에는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짧은 리브(92)의 형태로 서로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여러 링크 블록이 형성되며, 그 중 두 개는 각각 작동 디스크(46c) 상의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융기부(88)에 의해 형성된 모션 링크(90)와 상호 작용한다. 매우 명백한 바와 같이, 구동 피니언(52)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작동 디스크(46c)의 회전은 구동 피니언(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경 방향 외측 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로 이어진다. 리테이닝 암(36c) 상의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복수의 리브(92)는, 차량 휠의 다른 직경을 고려하기 위해 각 리테이닝 클로(22)의 초기 상태를 반경 방향으로 더 바깥쪽으로 또는 반경 방향으로 더 안쪽에 있는 위치로 각 리테이닝 클로(22)를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예를 들어, 비상 휠 부착물(10)이 장착되는 차량 휠(12)의 가장 작은 크기로서 15인치 및 가장 큰 크기로서 19인치).
이전에 설명된 3개의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제4 실시형태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는 2개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94)가 원주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이중 클로로서 구현되며, 이들은 갭(96)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공통 리테이닝 암(36c)에 고정되어 있다. 이중 클로로서 형성된 그러한 리테이닝 클로는 또한 이전에 논의된 실시형태 및 아래에서 논의되는 실시형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처음 3개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두 개의 리테이닝 클로(22)에는 제4 실시형태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2개의 위치 결정 볼트(64)가 각각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이전에 논의되었고 아래에서도 설명될 실시형태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되지 않은 제4 실시형태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변형 예에 따르면, 작동 디스크(46c)는 외부 치형부(86) 대신 내부 치형부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구동 피니언(52)은 처음 두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작동 디스크 내부에반경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13은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융기부(88)가 작동 디스크(46c)의 원주 방향에서 볼 때 약간 중첩되는 제4 실시형태의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다시 말해, 융기부(88)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여러 모션 링크(90)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된 작동 디스크(46c)의 각 섹션에서 서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에 의해 작동 디스크(46c)로부터 각각의 리테이닝 암(36c)에 대해 힘 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작동 디스크(46c) 상에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단일의 연속 융기부(88)가 배열된 제4 실시형태의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각각의 리테이닝 암(36c)이 링크 블록으로서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2개의 리브(92)를 가질 필요가 있음이 이해된다(그러나 단지 2개 이상의 리브(92)를 가질 수도 있음).
도 15 내지 도 17은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의 모션 링크(90)가 각각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작동 디스크(46c)의 개구(98)에 의해 형성되는 제4 실시형태의 제4 및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단일 융기부(88) 대신에, 작동 디스크(46c)는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단일의 연속 개구(98)를 가질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제4 실시형태의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작동 디스크(46c)는, 작동 디스크의 원주 방향에서 볼 때, 나선형 세그먼트의 형상이고 각각이 리테이닝 클로(22)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되는 3개의 개구(98)를 갖는다. 이를 위해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에는 핀(100) 형태의 링크 블록이 제공되며, 핀(100)은 리테이닝 암(36c)에 고정되거나 리테이닝 암(36c) 상에 형성되며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관련 개구(98)에서 안내된다. 제4 실시형태의 처음 3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기능과 유사하게, 여기에서 작동 디스크(46c)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구동 피니언(52)의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의 각각의 회전 운동은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모션 링크(90)에 의해 반경 방향을 향하는 리테이닝 클로(22)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작동 디스크(46c)의 치형부와 관련하여 (내측 치형부는 생략될 수 있음) 작동 디스크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구동 피니언(52) 대신에 작동 디스크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구동 피니언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16 및 17은 작동 디스크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3개의 개구(98)를 갖는 제4 실시형태의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지만,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들의 경사(the incline)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보다 더 가파른 것으로 선택되었다. 이것은 여기서 외부 치형부(86)로서 형성되는 작동 디스크(46c)의 치형부를, 리테이닝 클로(22)의 최대로 가능한 반경 방향 변위 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추가 치형부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동 디스크(46c)의 원주의 한 부분에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7은 다양한 휠 또는 림 크기에 대한 적응을 허용하도록, 서로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부착 구멍(102)의 제공에 의해 작동 디스크(46c)를 기준으로 각 리테이닝 클로(22)의 리테이닝 암(36c)을 다양한 반경 방향 위치에 장착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8 및 19는, 트랜스미션 피니언(44b) 및 랙-형 치형부(84)를 통해 구동 피니언(52)의 회전을 리테이닝 클로(22)로 전달하거나 리테이닝 클로(22)의 반경 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3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내부 치형부 환형 작동 디스크(46d)를 갖는 비상 휠 부착물(10d)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상부 트랜스미션 피니언(44b)에 캡 너트(54)가 제공되어 동시에 구동 피니언(52)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5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변형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별도의 구동 피니언(52)은 불필요하다.
도 20은 차량 휠(12)에 장착되고, 장착 유닛(18)을 차량 휠에 더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착 유닛(18)의 하우징(60)에 하우징(60)의 자유 중심에 걸쳐 있고, 하우징(60)에 부착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하게 만곡된 핸들(104)이 제공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휠 부착물(10)을 도시한다. 이러한 종류 또는 유사한 핸들(104)은 장착 중에 차량 휠(12)에 장착 유닛(18)을 보다 쉽게 유지하고 이를 차량 휠(12) 또는 림(14)에 대해 누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종류 또는 유사한 핸들(104) 이전에 논의된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리테이닝 클로(22)를 부착하는 과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21 및 22는 차량 휠(12)에 장착 유닛(18)의 부착을 시작할 때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에 의해 가정된 상태의 단일 리테이닝 클로(22)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22는 도 21의 단면 A-A를 도시한다. 특히 도 22로부터 리테이닝 클로 헤드(24)가 림 플랜지(26) 뒤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후크 방식으로 만곡된 리테이닝 클로 헤드(24)의 자유 단부가 타이어(16)와 림(14)의 림 플랜지(26)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리테이닝 클로 헤드(24)의 전방 영역의 이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테이닝 클로 헤드(24)의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단부 섹션(106)에는 타이어(16)를 향하는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108)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대략 돔 형태로 설계된 이러한 리세스(108)는, 리테이닝 클로 헤드(24)가 상기 틈 내로 삽입될 때 타이어(16)의 고무 재료의 일부를 리세스(108) 내로 압박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리테이닝 클로 헤드(24)를 상기 틈 내로 삽입할 때 가해야 하는 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리세스(108)는 장착을 더 간단하게 한다.
장착 유닛(18)이 차량 휠(12) 또는 림(14)에 올바르게 부착되었는지 더 잘 결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클로(22)(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에는 올바르게 장착된 상태의 신호를 보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에는 비상 휠 부착물의 정확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림(14)의 외측에 안착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지면(110)이 제공된다. 이 반경 방향 정지면(110)의 영역에는 정지면(110) 영역에서 축 방향으로 리테이닝 클로를 관통하는 핀-형 표시기 요소(112)가 위치하며, 이 표시기 요소는 리테이닝 클로(22)의 비-장착 상태에서 림(14)을 향하는 표시기 요소(112)의 단부가 반경 방향 정지면(110)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표시기 요소(112)를 수용하는 구멍 내에 배치된 스프링(114)에 의해 프리텐션 되어 있다. 그런 다음 외부로부터 보았을 때, 표시기 요소(12)의 반대편 타 단부가 상기 구멍 내에 깊숙하게 위치하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도 26 참조).
장착 유닛(18)이 올바르게 장착되면, 각 리테이닝 클로(22)의 정지면(110)은 림(14)의 외부에 놓이고, 이는 림(14)을 향하는 표시기 요소(112)의 단부가 정지표면(110)과 같은 높이로 배열되게 한다. 표시기 요소(112)가 수용 구멍 내로 눌러짐으로 인해, 표시기 역할을 하는 표시기 요소(112)의 축 방향 외부 단부는 외부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이동되어 올바른 장착 상태를 알린다. 예를 들어, 표시기 요소(112)의 이 단부는 외부에서 보이는 수용 구멍의 부분에 녹색 표시의 출현에 의해 올바른 장착을 표시하기 위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8 및 29는 리테이닝 클로(22)의 수정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전에 설명된 각각의 실시형태 및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수정된 리테이닝 클로(22)는 림 플랜지(26) 및 원주 방향으로 접촉 부분(116)에 인접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여기서는 2개)의 안전 부분(들)(118)과 접촉하기 위한 중앙 접촉부(116)도 갖는다. 도 29로부터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안전 부분(118)은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에서 림 플랜지(26) 상에 안착되어 있지 않지만, 림 플랜지(26)로부터 작은 간격(x)을 가진다. 이 간격은 0.2 내지 0.5㎜이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0.3㎜이다. 다른 한편으로, 접촉 부분(116)은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에서 림 플랜지(26)로 고정되게 지탱된다.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시 과부하로 인해 접촉 부분(116)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접촉 부분(116)의 양측에 안전 부분(118) 또는 안전 부분들(118)이 배치되어 있어서, 결함이 있는 접촉 부분(116)이 있는 리테이닝 클로(22)가 차륜(12)에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비상 휠 부착물의 고장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각 안전 부분(118)과 림 플랜지(26) 사이의 간격(x)으로 인해,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 휠 부착물 장치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기 위한 비상 휠 부착물 장치의 작동 시에 래틀링 노이즈가 발생한다.
도 30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구현과 대조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더 이격된 2개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94)를 갖는 이중 클로로서 구현된 리테이닝 클로(22)를 도시한다.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94)는 도 28 및 도 29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접촉 부분(116) 및 적어도 하나의 안전 부분(118)으로 형성된다.
도 31은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94)가 개별 요소를 나타내는 이중 클로로 구성된 리테이닝 클로(22)의 또 다른 수정된 실시형태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이는 공통 리테이닝 암(36)을 통해 연장되는 평면에 수직인 축(Y) 주위로 약간 회전할 수 있도록 공통 리테이닝 암(36)에 끼워진다.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94)의 가능한 회전 운동의 범위는 리테이닝 암(36) 상의 측면 정지면(120)의 볼록한 구성에 의해 결정되고, 고정 핀(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22)은 리테이닝 클로 요소(94)의 회전 운동을 위한 제한 정지 역할을 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리테이닝 클로 요소(94)는 위치 결정 볼트(6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31에 도시된 이중 클로의 실시형태는 또한 원주 방향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리테이닝 클로 요소(94)의 경우에 각 리테이닝 클로 요소(94)가 리테이닝 클로(2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중에 림 플랜지(26)와 정확하게 접촉하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조 부정확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각도 에러는 고정 시에 자동으로 발생하는 리테이닝 클로 요소의 비틀림에 의해 보정된다.
도 32 및 33은 이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비상 휠 부착물(10)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이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 외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자체-지탱 안전 클로(self-bracing security claw)(124)를 갖는다. 각 안전 클로(124)는 트레드 유닛(20)의 일부이고, 따라서 구동 피니언(52)의 회전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대신에, 각각의 안전 클로(124)는 작동 슬라이더(126)를 가지며, 이는 트레드 유닛(20)의 트레드(21)를 관통하고, 초기 상태에서 트레드(2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도 32 참조). 작동 슬라이더(126)는 그에 작용하는 스프링(128)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프리텐션 된다. 안전 클로(124)의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안전 클로(124)는 아직 차량 휠(12)의 림(14)과 맞물리는 위치에 있지 않다.
그러나 일단 비상 휠 부착물(10)이 장착되면,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중에 트레드(21)가 노면에서 구르고 작동 슬라이더(126)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눌려서 각 안전 클로(124)가 림(14)의 림 플랜지(26) 뒤쪽으로 눌린다. 따라서 안전 클로(124)의 위치는 올바르게 장착된 리테이닝 클로(22)의 위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된 비상 휠 부착물(10)에 대해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고, 반면에 이 위치는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에서 자체적으로 도달되는데, 이것이 안전 클로(124)가 자체-지탱으로 설명되는 이유이다.
림 플랜지(26)와 맞물려 있는 안전 클로(124)가 의도치 않게 다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안전 클로(124)에는 작동 슬라이더(126)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된 후 작동 슬라이더(126)가 반경 방향으로 바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 잠금 장치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조정된 스프링 강판(도시되지 않음)과 상호 작용하는 작동 슬라이더(126) 상의 측면 리브(130)에 의해 형성되며, 이 스프링 강판의 자유 단부는 측면 리브(130)에 래칭 방식으로 놓여져서, 작동 슬라이더(126)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한 리브(130)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또한 작동 슬라이더(126)의 반대편에 존재할 수 있다(마찬가지로 스프링 강판과 상호 작용하여).
설명된 유형의 안전 클로(124)는 비상 휠 부착물의 원주 방향으로 볼 때, 바람직하게는 각각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리테이닝 클로(22) 사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3개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가 있는 실시형태에서 안전 클로(124)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리테이닝 클로(22) 사이에 각각의 경우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실시형태는 전체적으로 3개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와 3개의 안전 클로(124)를 갖는다. 다른 조합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트레드 유닛(20)은 너트가 미리 결정된 토크로 나사산 볼트로서 구현되는 위치 결정 볼트에 조여진다는 점에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장착 유닛(18)에 부착된다. 사용자가 이 규정된 토크에 도달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너트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 캡 너트(76)로 형성되며, 각 캡 너트(76)에는 올바른 장착을 알리는 광학 및/또는 음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캡 너트(76)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 34 내지 36에 도시되어 있다.
도 35는 초기 위치에 있는 이러한 캡 너트(76)를 도시한다. 캡 너트(76) 상단 중앙에는 태핏(132)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스프링 플레이트(134)에 의해 지지되며, 스프링 플레이트(134)는 도 35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축 방향 내향으로 프리텐션 되고, 캡 너트(76)의 상부 내부에서 지지된다. 더 큰 직경으로 실행되는 태핏(132)의 내부(136)는 캡 너트(76)가 나사로 고정될 위치 결정 볼트(64)(도시되지 않음)의 자유 단부와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위치 결정 볼트(64)의 자유 단부가 규정된 토크에 도달할 때 태핏(132)의 내부(136)와 접촉할 때, 스프링 플레이트(134)의 축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초과되고, 태핏(132)이 제2 위치로 축 방향 외측으로 점프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색상으로 표시된 표시기 요소(138)가 캡 너트(76)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끝난다(도 36 참조). 스프링 플레이트(134)가 도 36에 재현된 위치로 "점프"하는 것은 음향학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캡 너트(76)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끝나는 표시기 요소(138)는 장착 유닛(18) 상의 트레드 유닛(20)의 정확한 장착 상태에 이제 도달되었음을 표시한다.
도 35 및 36, 특히 각각 관련된 상세한 표현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태핏(132), 스프링 플레이트(134) 및 표시기 요소(138)는 캡 너트(76)에 하나의 유닛으로서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31)의 일부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31)의 하우징은 링 너트(133)와 커버(135)로 구성된다. 커버(135)는 위에서 링 너트(133) 안으로 나사 결합되고, 스프링 플레이트(134)를 태핏(132)에 고정한다. 그 일부를 위해 링 너트(133)의 일부를 상부가 개방된 캡 너트(76)의 내부 나사에 나사로 고정시킨다(따라서 너트(76)는 여기에서 커버(135)에 의해서만 캡 너트로 만들어진다). 표시기 요소(138)는 커버(135)의 중앙 구멍 내에서 안내된다.
도 37 및 38은 트레드 유닛(20) 또는 그 세그먼트(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된 세그먼트(68 및 70))가 장착 유닛(18)에 나사로 고정되어 부착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휠 부착물의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대신에, 제6 실시형태에는 차량 휠(12)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비상 휠 부착물의 측면에 배열된 래칭 장치가 제공된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래칭 장치(140)는 4개의 나사(144)에 의해 장착 유닛(18)의 하우징(60) 외부, 보다 정확하게는 장착 유닛(18)의 커버(56)에 고정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42)를 포함한다. 4개의 나사 중 2개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슬라이더(142)의 상부 면에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구멍(146)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다른 2개의 나사(144)는 제1 긴 구멍(14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른 긴 구멍(148)을 통해 연장된다. 도 37에 속하는 확대된 상세도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리테이닝 러그(150)가 각 슬라이더(142)에 위치하고, 이 러그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장착 유닛(18)의 커버(56)의 반경 방향 내부 에지에 예를 들어 나사, 리벳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부착되지만, 그러나 리테이닝 러그는 또한 커버와 일체로 주조되거나 커버(56) 상에 용접될 수도 있다. 리테이닝 러그(150)는 슬라이더(142)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하는 스프링(152)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각 슬라이더(142)의 반경 방향 외부 단부 면은 경사진 램프 또는 런-업 표면(154)으로 형성되며, 이는 트레드 유닛(20) 또는 트레드 유닛(20)의 세그먼트(68, 70)의 장착 시에 트레드 유닛(20의 관련 표면 또는 에지와 접촉하게 되어, 트레드 유닛(20)을 압박할 때 또는 장착 유닛(18)을 향해 축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세그먼트(68, 70)를 압박할 때, 차량 휠(12)의 반대편을 향하는 트레드 유닛(20)의 외측이 슬라이더(142)의 하부를 통과할 때까지 슬라이더(142)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위된다. 이 순간에 슬라이더(142)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프리텐션으로 인해 다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142)의 하부는 슬라이더(142)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트레드 유닛(20) 또는 트레드 유닛의 세그먼트가 정확하게 끼워진 위치에 고정된다. 도 38에 재현된 슬라이더(142) 및 주변 구성요소를 관통하는 단면도는 이러한 래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그러한 자동 래칭 트레드 유닛(20)을 장착 유닛(18)으로부터 해제하려는 경우, 슬라이더(142)는 각 슬라이더(142)의 하부가 트레드 유닛(20)의 외부와 더 이상 겹치지 않는 위치로 반경 방향 내향으로만 가압될 필요가 있다.
도 37 및 38에 도시된 자체-래칭 구성은 비상 휠 부착물의 임의의 명확한 구성에 구속되지 않는다. 이는 비상 휠 부착물의 이전에 도시되고 설명된 모든 실시형태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여기에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비상 휠 부착물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장착 유닛(18)을 차량 휠(12)에 장착할 때, 구동 피니언(52)은 규정된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 방식으로 작동되며, 이 토크에서 모든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가 림 플랜지(26)에 단단히 안착되는 것을 보장한다. 리테이닝 클로(22)의 과도하게 꽉 조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 휠 부착물(10)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구동 피니언(52)은 토크 제한 장치가 장착된 작동 요소에 결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토크 제한 장치는 도 39에 도시된 구성에 따라 구동 피니언(52)의 캡 너트(54)에 위치되며, 서로 위에 배열되고 상호 접촉하여 위치하는 여러 스프링 와셔(156)로 구성되며, 이렇게 미끄러지는 방식으로 다중 디스크 클러치는 구동 피니언(52)이 회전될 때 비상 휠 부착물(10)에 미리 정해진 토크 이상의 토크가 도입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와셔(156)의 패키지는 스프링 패키지의 적절한 프리텐션에 의해 스프링 와셔(156) 사이에 설정된 마찰력이 초과될 때까지만 캡 너트(54)의 회전 운동을 구동 피니언(52)으로 전달한다. 캡 너트(54)의 추가 회전 시, 개별 스프링 와셔(156)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슬립"하여 더 이상 회전 운동이 구동 피니언(52)에 도달할 수 없다.
이러한 토크 제한 장치의 대안적인 구성이 도 40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슬리핑 클러치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클러치 디스크(158, 160)로 구성되며, 이는 케이크-슬라이스-형 융기부(162)와 케이크-슬라이스-형 리세스(164)가 각각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서로를 향하는 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의 조임 방향으로 볼 때, 융기부(162)의 각 플랭크(166) 및 대응하는 리세스(164)의 관련 플랭크(168)는 경사지게(bevelled) 구현되어, 서로 위로 클러치 디스크(158, 160)를 누르는 스프링력에 의해 정의되는 토크가 일단 서로 초과되는 경우, 클러치 디스크(158)는 클러치 디스크(160) 위로 미끄러지기 시작하고, 이에 의해 앞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구동 피니언(52)에 대한 회전 운동의 전달이 방지된다.

Claims (33)

  1. 림(14) 및 림(14) 위에 배치되는 타이어(16)를 포함하는 차량 휠(12)용 비상 휠 부착물(10; 10a; 10b; 10c; 10d)로, 상기 비상 휠 부착물은 차량 휠(1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차량 휠(12)에 부착된 작동 상태에서 타이어 기능이 제한된 상태로 주행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비상 휠 부착물은 차량 휠 위에 비상 휠 부착물(10, 10a, 10b, 10c, 10d)을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장착 유닛(18) 및 작동 상태에서 차량 휠(12)이 구르도록 의도되는 도로와 접촉하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트레드 유닛(20)을 구비하고, 장착 유닛(18)에는 림(14)의 림 플랜지(26) 뒤에 맞물림으로써 장착 유닛(18)을 차량 휠(12)의 림(14)에 부착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리테이닝 클로(22)가 제공되고, 리테이닝 클로(22) 중 적어도 하나는 장착 유닛(18)의 중심점으로부터 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장착 유닛(18)은 환형의 작동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요소는 비상 휠 부착물의 작동 상태에서 차량 휠 축과 일치하는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작동 요소의 회전을 리테이닝 클로(22)의 반경 방향 이동이나 모든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의 반경 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 유닛(18)은 작동 요소에 결합되거나 작동 요소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작동이 작동 요소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가 체인(82)이고, 구동 장치는 상기 체인(82)과 맞물리거나 맞물리게 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에 상기 리테이닝 클로로부터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는 리테이닝 암(36b)이 제공되고, 상기 암의 일 측에는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된 회전 가능한 트랜스미션 피니언(44b)과 맞물리고 상기 피니언은 궁극적으로 체인(82)과 맞물리는 랙-형 치형부(8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는 환형의 작동 디스크(46; 46a; 46c; 46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 디스크(46; 46a; 46c; 46d)는 내부 치형부(48) 또는 외부 치형부(86)를 구비하고, 구동 장치는 내부 치형부(48) 또는 외부 치형부(86)와 맞물리는 또는 맞물릴 수 있는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6. 제5항에 있어서, 작동 디스크(46a)에는 환형 어레이의 리세스 또는 개구(80)가 제공되고,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된 피니언(44a)이 있고, 상기 피니언은 작동 디스크(46a)의 리세스 또는 개구(80)와 맞물리고, 나사형 스핀들(40)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은 궁극적으로 관련 리테이닝 클로(22)에 연결되고, 피니언(44a)의 회전 운동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을 향하는 리테이닝 클로(22)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7. 제5항에 있어서, 작동 디스크(46)는 내부 치형부(48)를 구비하고,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52)은 내부 치형부(48)와 맞물리고,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된 베벨 기어(42)가 있고, 상기 베벨 기어는 작동 디스크(46)의 내부 치형부(48)와 맞물리고, 나사형 스핀들(40)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은 궁극적으로 관련 리테이닝 클로(22)에 연결되고, 베벨 기어(42)의 회전 운동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을 향하는 리테이닝 클로(22)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8. 제5항에 있어서, 작동 디스크(46)는 내부 치형부(48) 및 외부 치형부를 구비하고, 회전 가능한 구동 피니언(52)은 외부 치형부와 맞물리고,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된 베벨 기어(42)가 있고, 상기 베벨 기어는 작동 디스크(46)의 내부 치형부(48)와 맞물리고, 나사형 스핀들(40)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은 궁극적으로 관련 리테이닝 클로(22)에 연결되고, 베벨 기어(42)의 회전 운동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을 향하는 리테이닝 클로(22)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9.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에는 상기 리테이닝 클로부터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는 리테이닝 암(36b)이 제공되고, 상기 암은 일 측면 위에 회전 가능한 트랜스미션 피니언(44b)과 맞물리는 랙-형 치형부(84)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은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되고, 궁극적으로는 작동 디스크(46)의 내부 치형부(48) 또는 외부 치형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0. 제3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를 위해, 구동 피니언(52)이 또한 트랜스미션 피니언(44b)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1. 제4항,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장착 유닛(18)의 중심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의 거리를 변경시키기 위해, 작동 디스크(46c)는 링크 블록과 상호 작용하는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모션 링크(90)를 구비하고, 모션 링크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에 연결된 리테이닝 암(36c)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와 관련된 작동 디스크(46c)의 각 섹션 위에,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복수의 모션 링크(90)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테이닝 클로(22)의 리테이닝 암(36c)에는 복수의 모션 링크(90)와 상호 작용하게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링크 블록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블록 또는 각각의 링크 블록이 핀(100)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블록 또는 각각의 링크 블록이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짧은 리브(92)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링크(90) 또는 각각의 모션 링크(90)는 작동 디스크(46c) 상의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융기부(88) 또는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작동 디스크(46c)의 개구(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선형 세그먼트 형태의 복수의 모션 링크(90)는 작동 디스크(46c)의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는 림 플랜지(26)와 접촉을 위한 접촉 부분(116) 및 또한 상기 접촉 부분(116)과 이웃하여 배치되며 비상 휠 부착물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림 플랜지(26)로부터 작은 간격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부분(118)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0.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1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에는, 리테이닝 클로(22)의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단부 부분(106) 영역에, 타이어(16)를 향하는 측면 상에서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세스(10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는 2개의 리테이닝 클로 요소(94)를 구비하는 이중 클로로 구현되고, 상기 리테이닝 클로 요소(94)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공통 리테이닝 암(36c)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1. 제20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클로 요소(94)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공통 리테이닝 암(36c)을 통해 걸쳐 있는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축(Y) 주위로 상기 공통 리테이닝 암(36c)에 대해 약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는 비상 휠 부착물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림(14)의 외부에 안착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정지 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클로(22) 및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테이닝 클로(22)에는 림(14)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며, 정지 면(110)에서 리테이닝 클로(22)를 통과하는 표시기 요소(112)가 제공되고, 림(14)을 향하는 표시기 요소(112)의 단부는 림(14)과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표시기 요소(112)의 반대편 타 단부는 비상 휠 부착물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장착 유닛(18)의 올바른 장착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유닛(20)은 장착 유닛(18)과 분리된 유닛이고, 복수의 환형 세그먼트(68, 70)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 유닛은 장착 유닛(18)에 연결되기 위해 설계되고, 비상 휠 부착물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장착 유닛(1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4. 제23항에 있어서, 트레드 유닛(20)을 장착 유닛(18)에 연결하기 위해, 차량 휠 반대편을 향하는 장착 유닛(18)의 측면 상에서 돌출하게 배치되는 위치 결정 볼트(64)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 볼트(64)는 나사형 볼트이고, 트레드 유닛(20)은 너트에 의해 장착 유닛(18)에 부착되며, 너트로 트레드 유닛(20)이 장착 유닛(18) 상에 타이트하게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6. 제25항에 있어서, 너트는 캡 너트(76)이고, 각 캡 너트(76)에는 올바른 장착 상태의 신호를 내는 광학 및/또는 음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7. 제23항에 있어서, 트레드 유닛(20)을 장착 유닛(18)에 연결하기 위해, 차량 휠 반대편을 향하는 트레드 유닛(20)의 및/또는 장착 유닛(18)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래칭 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8. 제27항에 있어서, 각 래칭 장치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어 있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42)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142)는 트레드 유닛(20)이 장착될 때 트레드 유닛(20)과 접촉하게 되는 램프(154)를 구비하여, 그 탄성적 프리텐션으로 인해, 트레드 유닛(2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트레드 유닛(20)을 장착한 후에 슬라이더(14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고, 다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드하고 트레드 유닛(20)의 면을 지나 슬라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드 유닛(20)에는 차량 휠을 향하는 측면 상에 림(14)의 림 플랜지(26) 뒤쪽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체-지탱 안전 클로(124)가 제공되고, 비상 휠 부착물의 원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경우에서 2개의 리테이닝 클로(22) 사이에 각 안전 클로(12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30. 제29항에 있어서, 각 안전 클로(124)는 작동 슬라이더(126)를 포함하되, 작동 슬라이더의 일 단부는 트레드 유닛(20)의 트레드(21)를 관통하여 트레드(2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작동 슬라이더의 타 단부는 작동 슬라이더(126)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위될 때 림(14)의 림 플랜지(26) 뒤의 안전 클로(124)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작동 슬라이더(126)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프리텐션 되어 있고, 작동 슬라이더(126)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변위된 후 작동 슬라이더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3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는, 작동 요소에 체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으며, 토크-제한 장치가 위치하는 캡 너트(54)에 연결되는 구동 피니언(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3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유닛(18)은 환형 하우징(60)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는 장착 요소가 배치되며, 하우징(60)의 자유 중심을 이어주되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선형인 핸들(104)이 하우징(6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휠 부착물.
KR1020227030217A 2020-02-28 2021-02-24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 KR20220147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001324.4 2020-02-28
DE102020001324.4A DE102020001324A1 (de) 2020-02-28 2020-02-28 Notradaufsatz für ein Fahrzeugrad
PCT/EP2021/054558 WO2021170657A1 (de) 2020-02-28 2021-02-24 Notradaufsatz für ein fahrzeugr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606A true KR20220147606A (ko) 2022-11-03

Family

ID=7473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217A KR20220147606A (ko) 2020-02-28 2021-02-24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098604A1 (ko)
EP (1) EP4110624B1 (ko)
JP (1) JP2023521546A (ko)
KR (1) KR20220147606A (ko)
CN (1) CN115279600A (ko)
AU (1) AU2021225352A1 (ko)
BR (1) BR112022015625A2 (ko)
CA (1) CA3170028A1 (ko)
DE (1) DE102020001324A1 (ko)
ES (1) ES2967004T3 (ko)
MX (1) MX2022010658A (ko)
WO (1) WO2021170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1664A1 (de) * 2017-01-27 2018-08-02 Gv Engineering Gmbh 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7103101A1 (de) * 2017-02-15 2018-08-16 Gv Engineering Gmbh Notlauf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8111492A1 (de) * 2018-01-22 2019-07-25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7897A (en) * 1958-04-26 1961-01-04 Porsche Ferdinand 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xiliary supports for motor vehicles
FR2620977A1 (fr) * 1987-09-24 1989-03-31 Ferran Richars Vehicule pourvu de moyens de montage de roues auxiliaires
CN202463485U (zh) * 2011-01-06 2012-10-03 周立新 轮胎、轮胎安装与拆卸系统
CN103144332A (zh) * 2011-12-07 2013-06-12 软控股份有限公司 胎体组件传递装置及其传递方法
CN202693338U (zh) * 2011-12-16 2013-01-23 李向阳 四轮定位夹具
CN106114054A (zh) * 2016-06-27 2016-11-16 无锡康柏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轮脱离时能够代替车轮的安全辅助轮装置
DE102017101664A1 (de) * 2017-01-27 2018-08-02 Gv Engineering Gmbh 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7103101A1 (de) * 2017-02-15 2018-08-16 Gv Engineering Gmbh Notlaufaufsatz für ein Fahrzeugrad
DE102018111492A1 (de) * 2018-01-22 2019-07-25 Gv Engineering Gmbh Notlaufrad
CN109365973B (zh) * 2018-12-10 2020-11-03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可自动定心装夹的焊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0657A1 (de) 2021-09-02
BR112022015625A2 (pt) 2022-09-27
ES2967004T3 (es) 2024-04-25
CN115279600A (zh) 2022-11-01
EP4110624B1 (de) 2023-11-15
CA3170028A1 (en) 2021-09-02
JP2023521546A (ja) 2023-05-25
EP4110624A1 (de) 2023-01-04
US20230098604A1 (en) 2023-03-30
DE102020001324A1 (de) 2021-09-02
MX2022010658A (es) 2022-09-23
AU2021225352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7606A (ko) 차량 휠용 비상 휠 부착물
US4830149A (en) Actuator with automatic adjustment and with reset shaft for use in brakes, especially of heavy duty vehicles
EP1655502B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N1461722A (zh) 用于扳柄式换挡器的钢丝绳张紧机构
CA2054144C (en) Compact tire lift unit
JP6408164B2 (ja) 弾性的センタリング要素を有する歯付きスプロケットハブ
US20090167074A1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wheel
JP2010043683A (ja) チェーン伝動装置用ホイール及びチェーン伝動装置
CA2633178A1 (en) Holding device for a rim of a vehicle wheel
US20110136610A1 (en) Actuator for operating a differential lock
JPS6217434A (ja) 車両用スラツク調節器
US9999964B2 (en) Ratchet wrench with tooth breakage resistance
US20170082135A1 (en) Device for Securing a Tension Element Against Unintentional Release
US5152363A (en) Anti-theft automotive steering system
CN103154555B (zh) 转矩限制的离合器制动器
WO2000079140A1 (en) Wheel nut locking assembly
KR102138773B1 (ko) 전동식 조향 장치
CN100999029A (zh) 一种机动链锯
JPWO2021170657A5 (ko)
JP2725230B2 (ja)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CN113280094B (zh) 差速器
JP6739034B2 (ja) チェーン伝動装置用ホイール
SU1594315A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 муфта
JPH0529357Y2 (ko)
JP6582198B2 (ja) チェーン伝動装置用ホイ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