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610A -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610A
KR20220146610A KR1020227033784A KR20227033784A KR20220146610A KR 20220146610 A KR20220146610 A KR 20220146610A KR 1020227033784 A KR1020227033784 A KR 1020227033784A KR 20227033784 A KR20227033784 A KR 20227033784A KR 20220146610 A KR20220146610 A KR 20220146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dhesive
fabric
joint portion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미츠 다니구치
다이치 안도
싱고 마츠모토
아즈키 오츠카
마사노리 스기노
히로타카 이토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도레이 인더스트리스(에이치.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도레이 인더스트리스(에이치.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 A41B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접착제를 사용해서 옷감을 접합하여 의류를 구성할 때에도, 접합 부분의 신도 부족을 경감함과 함께 가벼운 운동 시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류는, 신축성을 갖는 옷감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를 사용해서 옷감끼리를 고착시킨 접합부를 갖는 의류로서,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과, 상기 접합부에 의해 고착된 옷감의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의 차가 30% 이내이다.

Description

의류
본 발명은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틀을 사용해서 옷감을 접합하는 대신에 접착제에 의해 옷감끼리를 접합해서 의류를 구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수영복의 밑단부 등 겉 옷감을 접을 경우, 핫 멜트 시트를 접착해서 구성하는 관련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접착제를 사용해서 옷감끼리를 접합한 접합부에 신도 특성을 부여하는 기술로서, 의류를 구성하는 옷감끼리를 도트상으로 부설한 접착제를 사용해서 접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언더셔츠의 옷의 길과 소매를 접합하는 경우에, 도트상이나 지그재그상으로 반복해서 마련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5-264394호 공보 일본특허 제6249821호 공보
그러나, 이들 기술을 가지고 구성한 의류에 있어서도, 실제로 닿고, 착용해 보면, 옷감끼리를 접합한 접합부에 수치 상의 신도 특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의, 접합부가 상대적으로 늘어나기 어려운 부분으로 느껴져버려, 촉감이나 착용감에 위화감이 남는 것이었다. 이것은, 종래의 기술이, 접합부의 신도 특성에만 주목하고 있었던 것으로, 닿았을 때나 착용 시의 위화감의 본질을 다 파악하지 못했던 것이 원인이다. 즉, 실제로 닿고, 착용했을 때에 느끼는 위화감의 원인은, 접합부와 접합부에 인접하는 옷감의 신도 특성의 차가 크기 때문에, 양자 시의 신도 특성의 차가 위화감으로서 느껴져버리는 점이며, 가령 접합부의 신도 특성이 우수하다고 해서 반드시 촉감이나 착용감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착용했을 때 뿐만 아니라, 제품을 손에 들고 가볍게 잡아 늘려 보는 것 같은 비교적 낮은 신장 영역에 있어서의 저항감이나 핸드 필링에서는, 접합부의 신도 특성이 우수하더라도, 인접하는 옷감의 신도 특성은 그보다 더 우수한 상태가 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양자 시의 차가 위화감의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개구부의 단부를 접어서 접착제에 의해 고착하는 경우, 착용 시에 접합부와 접합부에 인접하는 옷감의 신도 특성의 차를 느끼기 쉬워, 착용감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착제를 사용해서 옷감을 접합하여 의류를 구성할 때에도, 실제로 접합부에 닿고, 착용했을 때의 위화감을 개선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의류는, 신축성을 갖는 옷감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를 사용해서 옷감끼리를 고착시킨 접합부를 갖는 의류로서,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과, 상기 접합부에 의해 고착된 옷감의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의 차가 30% 이내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의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당해 접합부가, 단열 또는 복렬로 배치된 도트상의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제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5%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의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벌려서 떼었을 때의 박리 강력이, 10N/㎝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의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92℃의 고온 세탁 후의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박리 강력이, 세탁 전의 박리 강력의 75%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의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착용자의 인체 부위를 통과시키는 개구부이며, 상기 개구부는, 옷감 끝을 둘로 접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옷감 끝을 따라 단열 또는 복렬상으로 부설된 도트상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옷감 끝과 옷감 본체가 고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해서 옷감을 접합하여 의류를 구성할 때에도, 실제로 접합 부분에 닿고, 착용했을 때의 위화감을 개선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의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류의 옆구리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의류의 팔을 통과시키는 개구부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접합부에 배치된 접착제가 부설된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의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한다」)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어디까지나 모식적인 것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의류(1)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의류(1)는, 반소매 속옷의 웃도리의 일례이며, 머리, 팔, 몸체를 통과시키는 개구부(2, 3, 4)를 갖는다. 또한 의류(1)는 옆구리, 어깨, 암홀의 접합부(5, 6, 7)에서 접합되어 있다.
의류(1)는, 신축성을 갖는 옷감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일반 의료용 소재로서 제공되는 편물 소재이면, 환편이나 경편의 소재가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신축성이 있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직물 소재라도, 의료용으로 신축성을 갖는 소재는 본 발명에 적합하다. 의류(1)로서는, 일반적인 속옷이나 컵 부착 이너 외에, 티셔츠나 커트소우 등의 아우터 웨어의 소재에 적용할 수 있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의류(1)의 옆구리의 접합부(5)의 접합부의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의류(1)에서는, 옷의 앞길 및 옷의 뒷길을 구성하는 옷감(8)과 옷감(8a)이 재봉틀을 사용해서 꿰매 맞추는 대신에, 옷감 끝과 옷감 끝을 중첩하여, 사이에 도트상의 접착제(9)를 사용해서 고착되어 옆구리의 접합부(5)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합부(5)를 길이 방향(10)으로 50% 신장했을 때의 응력과, 접합부(5)에 의해 고착된 옷감(8) 또는 옷감(8a)을 접합부(5)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11)으로 50% 신장했을 때의 응력의 차가 30% 이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실제로 닿고, 착용해 보면, 접합부(5)가, 늘어나기 어려운 부분으로서 느끼는 경우가 적어, 착용 중의 위화감이 경감된다. 바람직하게는 25%이내로 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내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접합부(5)의 위화감이 없어, 착용감이 우수한 의류(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접합부(5)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의 설명은 접합부(6 및 7)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암홀의 접합부(7)에서는, 접합부(7)의 양측에서 옷감의 신장률이 다른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50% 신장 시의 응력이 작은 쪽의 옷감을 비교 대상으로 하면, 인접하는 접합부와 옷감과의 신도 특성의 차가 작아져서, 위화감으로서 느끼기 어려워진다.
또한, 개구부(2, 3, 4)에 있어서, 옷감 끝을 둘로 접은 구조로 하고, 옷감 끝을 따라 단열 또는 복렬상으로 부설된 도트상의 접착제(9)에 의해 옷감 끝과 옷감 본체를 고착한 접합부에 있어서도, 접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50% 신장했을 때의 응력과, 접합부에 의해 고착된 옷감을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50% 신장했을 때의 응력의 차가 30% 이내이도록 구성한다. 도 3은 의류(1)의 팔을 통과시키는 개구부(3)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개구부(3)는, 옷감 끝을 둘로 접은 구조이다. 옷감 끝에 2열로 배치된 접착제(9)에 의해, 접힌 옷감 끝과 옷감 본체가 고착되어 있다. 개구부(3)에 있어서도, 접합부를 길이 방향(16)으로 50% 신장했을 때의 응력과, 접합부에 의해 옷감 끝이 옷감 본체와 고착된 옷감(18)을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17)으로 50% 신장했을 때의 응력의 차가 30% 이내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접합부의 위화감이 없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류(1)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1)에 있어서는, 50% 신장했을 때의 응력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소재의 신장률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1.5kg 하중 시의 신장률로 신장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의류를 착용, 또는 가벼운 운동을 했을 때에는 거기까지의 신장 부하가 걸리는 것은 드물다. 실제로 의류(1)를 착용할 때에 필요해지는 신도는, 50% 정도의 신장률인 점에서, 이 영역에서의 응력의 차가 중요해진다.
옷감 단체의 신장 방향은, 의류(1)의 상태에 있어서, 비교하는 접합부(5)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신장 방향은 반드시 옷감의 경 방향이나 위 방향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의류(1)를 구성하는 옷감의 재단 형상이나 옷감을 취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50% 신장 시의 응력의 측정 방법은, JIS-L-1096(2010)에 기재된 신장률의 글러브법에 준해서 행한다. 의류(1)의 디자인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시료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료의 크기를 폭 5㎝, 길이 10㎝로 작게 하고, 잡는 간격을 5㎝로서 측정해도 된다. 접합부의 응력 측정으로는, 접합부와 접합부에 연결되는 옷감 영역을 맞춰서 시료를 채취하면 되고, 옷감 끝을 오버랩시켜서 접합하는 양태의 경우에는, 접합부가 중심이 되도록 시료를 채취한다. 한편으로, 옷감 끝을 접어서 접속하는 양태의 경우에는, 접합부와 접합부에 연결되는 옷감 영역을 맞춰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인장 시험기로 잡을 때, 접착제의 영역이 잡혀 있는 것이 중요하며, 가능한 한, 잡은 끝과 접은 끝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시료를 잡고 시험한다.
또한, 옷감 단체의 응력 측정으로는,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면, 동일한 옷감의 어느 부분에서 시료를 채취해도 된다. 시료에는 접합부를 포함해서 신도 특성을 저해하는 다른 부재가 들어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의류(1)의 접합부(5)에서는, 접착제(9)는, 옷감(8 또는 8a)의 단부를 따라 도트상으로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접착제(9)의 크기는, 의류(1)를 구성하는 옷감(8 및 8a)의 조직이나 두께에 따라 적합한 크기가 다르다. 직경이 1.0 내지 2.0㎜ 정도의 도트이면 비교적 강한 접착 강력이 얻어지기 쉽지만, 옷감이 얇은 경우에는 옷감의 겉측에 배어 나와서 두드러져버려,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접착 강력이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옷감 두께가 0.5 내지 0.8㎜ 정도의 이너 옷감의 경우, 직경이 1.0㎜ 이하의 접착제이면, 옷감의 겉측에 접착제가 배어 나오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옷감 두께가 0.3 내지 0.5㎜ 정도의 더 얇은 옷감의 경우, 직경이 0.6㎜ 이하의 접착제이면, 접착제가 배어 나오는 것이 두드러지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접착제(9)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둥근 형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제(9)가 분리한 상태에서 반복해서 부설시켜지는 형상이면 되고, 연속하지 않으면 선상이어도 되고, 삼각, 사각, 타원 등의 기하학적인 형상의 것이어도 되고, 그들을 조합한 형상이어도 된다.
의류(1)에서 사용하는 접착제(9)를 구성하는 수지는, 천연 수지보다 합성 수지 쪽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 외에,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9)를 구성하는 수지는, 반응성 핫 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가 반응성 핫 멜트일 때, 수지가 연화 또는 용융해서 접착 부위의 구조 사이로 스며들어, 냉각 고화한 후에 주위의 습기와 반응함으로써 가교가 진행되어, 내열성 및 내용제성 등이 우수한 접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의류(1)에 있어서는,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착제(9)의 부설된 면적의 비율이, 35% 이하인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과, 접합부에 의해 고착된 옷감의 접합부와 평행한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의 차를 30% 이내로 하기 쉬워져서,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부설된 면적의 비율은, 5% 이상인 것이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접합부에 배치된 접착제(9)가 부설된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착제(9)의 면적 비율은, 접합부의 폭(12)과 접착제(9)가 부설되는 피치(13)로부터 구해지는 면적 중의 접착제(9)의 면적의 비율로서,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면적 비율 =
((단위 피치간의 접착제의 면적)/(접합부의 폭(12)×접착제가 부설되는 피치(13)))×100%
또한,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착제(9)가 부설되는 피치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가 생각되지만, 그 경우에는 전술한 50% 신장 시의 응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잡은 간격 사이에 부설된 접착제의 면적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고, 임의의 5군데에 대해서 측정한 평균값으로 한다. 즉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면적 비율 =
((잡은 간격 사이에 부설된 접착제의 면적)/(접합부의 폭(12)×잡은 간격))×100%
본 발명의 의류(1)에 있어서는, 접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벌려서 떼었을 때의 박리 강력이 10N/㎝ 이상인 것이 중요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 이상이다. 상기한 접합부의 50% 신장 시의 응력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착제가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접합부의 박리 강력도 작아져서 착용·세탁의 반복에 의해 박리가 발생해서 문제가 되기 쉽다. 이러한 점에서, 의류(1)로서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박리 강력은 접합부의 폭 1㎝당으로 환산해서 10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N/㎝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 의한 봉제로 대표되는 접합부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장했을 때의 강도가 사용되지만, 의류의 디자인에 따라서는 원하는 인장 시험을 재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의류(1)와 같이 접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벌려서 떼었을 때의 박리 강력을 접합부의 접착 강도로서 평가하는 것이 적합하다. 측정의 방법은, JIS-L-1086(2013)에 기재된 박리 강도의 시험 방법에 준해서 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접합부의 폭으로부터 1㎝폭의 경우로 환산해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류(1)에 있어서는, 92℃의 고온 세탁 후의 접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벌려서 떼는 박리 강력이, 세탁 전의 박리 강력의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세탁의 방법은, JIS-L-1930(2014)에 정해지는 9N법의 세탁 5회 상당분으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한 50% 신장 시의 응력을 작게 하기 위해서 접착제(9)가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한 경우에도, 반복된 착용·세탁이 행해져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고온 세탁에 대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의류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의류(20)는, 쇼츠 등 속옷의 하의의 일례이며, 몸체, 양 다리를 통과시키는 개구부(22, 23)를 갖는다. 또한 의류(20)는, 옆구리의 접합부(21)에서 접합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자나 팔 커버나 컵이 있는 의류 등의 의류의 개구부나 기타 접합부에 마찬가지 효과를 부여해도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속옷인 의류(1)에 있어서, 네크라인의 개구부(2)에 대해서 옷감의 단부를 따르도록 직경 0.8㎜(접착 후에 직경 1㎜)의 도트상의 접착제(9)를 도포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태로 옷감 끝을 둘로 접었다. 접착제(9)는 3열이고, 열의 간격의 피치 및 도포의 길이 방향의 피치 모두 2㎜ 간격으로 하였다. 접착제(9)를 도포한 영역의 폭은 5㎜였다. 옷감 끝의 접은 폭은 7㎜로 하고, 일반적인 평판형 열 프레스기에 의해 접착시켜서, 실시예 1의 시험편을 얻었다. 또한, 접착제로서는, 120℃의 점도가 약 12,000mPa·s인 반응형 핫 멜트 PU 수지를 사용했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1.5Kg 하중 시의 신장률, 접합부와 옷감과의 50% 신장 시의 응력차, 박리 강력, 고온 세탁 후의 박리 강력 유지율, 접합부를 신장했을 때의 저항감에 대해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접합부를 신장했을 때의 저항감은, 접합부를 포함하는 옷감을 손으로 늘였을 때의 위화감이며, ○는 늘였을 때에 접합부가 옷감과 함께 신장하여 저항이 없는 것, ×가 늘였을 때에 접합부에 저항이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속옷인 의류(1)에 있어서, 옆구리의 접합부(5)의 옷감의 단부를 따르도록 직경 0.8㎜(접착 후에 직경 1㎜)의 도트상의 접착제(9)를 도포했다. 이때, 접착제는 3열이며, 열의 간격의 피치는 2㎜, 접착제의 도포의 길이 방향의 피치는 1.8㎜로 하였다. 접합부(5)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하는 옷감을 오버랩시키는 양태로 하였다. 접착제(9)의 열수나 도포의 피치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상대하는 옷감과 오버랩시키는 폭은 7㎜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시켜서, 실시예 2의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접착제(9)의 도포의 길이 방향의 피치를 1.6㎜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3의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접착제(9)의 직경을 0.4㎜(접착 후에 직경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4의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속옷에 있어서, 옆구리의 접합부를 테이프상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고 있는 속옷에 대해서, 옆구리의 접합 부분을 비교예 1의 시험편으로 하였다.
(비교예 2)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쇼츠에 있어서, 옆구리의 접합부(21)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버랩의 양태로 구성되어 있고, 직경 2.0㎜의 도트상의 접착제가 폭 5㎜의 영역이고, 2열 또한 길이 방향의 피치가 2.0㎜로 도포된 접합부를 비교예 2의 시험편으로 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속옷에 있어서, 어깨의 접합부가 지그재그상의 패턴으로 접착된 접합부를 비교예 3이 시험편으로 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접착제의 도포의 길이 방향의 피치를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해서, 비교예 4의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1 : 의류
2 : 머리를 통과시키는 개구부
3 : 팔을 통과시키는 개구부
4 : 몸체를 통과시키는 개구부
5 : 옆구리의 접합부
6 : 어깨의 접합부
7 : 암홀의 접합부
8, 8a, 18 : 옷감
9 : 접착제
10, 16 : 접합부의 길이 방향
11, 17 :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12 : 접합부의 폭
13 : 접착제가 부설되는 피치
20 : 의류
21 : 옆구리의 접합부
22 : 몸체를 통과시키는 개구부
23 : 다리를 통과시키는 개구부

Claims (5)

  1. 신축성을 갖는 옷감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를 사용해서 옷감끼리를 고착시킨 접합부를 갖는 의류로서,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과, 상기 접합부에 의해 고착된 옷감의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50% 신장 시의 응력의 차가 30% 이내인,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단열 또는 복렬로 배치된 도트상의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제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35% 이하인, 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벌려서 떼었을 때의 박리 강력이, 10N/㎝ 이상인, 의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2℃의 고온 세탁 후의 상기 접합부의 길이 방향의 박리 강력이, 세탁 전의 박리 강력의 75% 이상인, 의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착용자의 인체 부위를 통과시키는 개구부이며,
    상기 개구부는, 옷감 끝을 둘로 접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옷감 끝을 따라 단열 또는 복렬상으로 부설된 도트상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옷감 끝과 옷감 본체가 고착되어 있는, 의류.
KR1020227033784A 2020-03-03 2021-02-26 의류 KR20220146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6129 2020-03-03
JP2020036129 2020-03-03
PCT/JP2021/007375 WO2021177172A1 (ja) 2020-03-03 2021-02-26 衣類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610A true KR20220146610A (ko) 2022-11-01

Family

ID=7761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784A KR20220146610A (ko) 2020-03-03 2021-02-26 의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97764A1 (ko)
EP (1) EP4115759A4 (ko)
JP (1) JPWO2021177172A1 (ko)
KR (1) KR20220146610A (ko)
CN (1) CN115243577A (ko)
TW (1) TW202139869A (ko)
WO (1) WO202117717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821B2 (ko) 1979-09-10 1987-10-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JP2005264394A (ja) 2004-03-19 2005-09-29 Goldwin Technical Center:Kk 衣類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1586A1 (en) * 2001-12-11 2003-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ck-on-pressure films for temporary surface protection and surface modification
JP2003253510A (ja) * 2002-03-05 2003-09-10 Gunze Ltd 衣 類
US20050000622A1 (en) * 2003-05-30 2005-01-06 Cano Carlos Alberto Method of producing garment blanks having seamless trim
JP4837346B2 (ja) * 2005-09-20 2011-12-14 日本ゴア株式会社 目止め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2008101304A (ja) * 2006-10-20 2008-05-01 Morito Co Ltd 無縫製衣服
US10029816B2 (en) * 2010-05-26 2018-07-24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Pressure sensitive labels for use in a cold transfer method and process for making
JP6249821B2 (ja) 2013-03-05 2017-12-20 グンゼ株式会社 アンダーシャツ
JP6347716B2 (ja) * 2014-10-06 2018-06-27 グンゼ株式会社 衣類
DE102015005089A1 (de) * 2015-04-22 2016-10-27 Carl Freudenberg Kg Thermisch fixierbares Flächengebilde
JP3210964U (ja) * 2017-04-04 2017-06-15 日回style株式会社 肌着
WO2018218099A1 (en) * 2017-05-26 2018-11-29 Bemis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dhesive bonds
CN108378447A (zh) * 2018-02-12 2018-08-10 中山爵邦时装科技有限公司 一种无缝拼合衣服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821B2 (ko) 1979-09-10 1987-10-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JP2005264394A (ja) 2004-03-19 2005-09-29 Goldwin Technical Center:Kk 衣類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7764A1 (en) 2023-03-30
CN115243577A (zh) 2022-10-25
WO2021177172A1 (ja) 2021-09-10
JPWO2021177172A1 (ko) 2021-09-10
EP4115759A1 (en) 2023-01-11
TW202139869A (zh) 2021-11-01
EP4115759A4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8624B2 (ja) 衣類
JP5502073B2 (ja) 重合体組成物を含有する衣類用バンド
US7191720B2 (en) Method of manufacture for stitchless garment
JP6466342B2 (ja) 弾性複合布帛を含む衣料
JP2017222969A (ja) 無縫製衣服
JP6249821B2 (ja) アンダーシャツ
BR112021012732A2 (pt) Vestimenta estirável e método para fabricar uma vestimenta de tamanho único
WO2007080838A1 (ja) 衣料および衣料の製造方法
KR101752356B1 (ko) 허리가 늘어나는 바지
JP2007197843A (ja) 被服とその製造方法
JP2019011546A (ja) 経編芯地
KR20220146610A (ko) 의류
JP2018183964A (ja) 導電層付きニット、歪みセンサおよびウェアラブルセンサ
WO2011080403A1 (en) Baby cloth
US20210112897A1 (en) Garments including elastic composite fabric
JP2022067207A (ja) 繊維製品
JP2022026748A (ja) 衣類および衣類の製造方法
JP2023095791A (ja) 衣類
JP6916844B2 (ja) 衣類
JP7313261B2 (ja) 衣類
KR101820876B1 (ko) 무봉제 웰딩에 의한 신축성 니트 원단에 대한 파워 밴드의 접합 방법
US20240065346A1 (en) Garment with composite nonwoven textile
JP4145043B2 (ja) 生理用ショーツ
KR20040060369A (ko) 팬티 및 그 제조방법
JP3052845U (ja) 運動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