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036A -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 Google Patents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036A
KR20220146036A KR1020210052811A KR20210052811A KR20220146036A KR 20220146036 A KR20220146036 A KR 20220146036A KR 1020210052811 A KR1020210052811 A KR 1020210052811A KR 20210052811 A KR20210052811 A KR 20210052811A KR 20220146036 A KR20220146036 A KR 2022014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ignal
switch
fan
pw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준
이준영
이병권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05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036A/ko
Priority to US17/541,820 priority patent/US20220345580A1/en
Publication of KR2022014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to different circuits or for supplying power at different lev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78Temperature control
    • H04N1/00981Temperature control by forced convection, e.g. using f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팬, 팬을 구동시키는 팬 드라이버, 스위칭 컨트롤러 및 팬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스위칭 컨트롤러는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PWM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평활 회로,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및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팬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Power Control of FAN Driv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PWM Control Signal}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a는 일 예에 따른 팬 드라이버가 제어 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b은 일 예에 따른 팬 드라이버가 팬과 일체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일 예에 따른 스위칭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일 예에 따른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일 예에 따른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각 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지만, 각 예는 조합되어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는 팬(FAN)을 구동시키는 팬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팬 드라이버로 공급되는 전원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추가적인 제어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a는 일 예에 따른 팬 드라이버가 제어 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b은 일 예에 따른 팬 드라이버가 팬과 일체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스위칭 컨트롤러(120), 팬 드라이버(130) 및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프로세서(110)는 인쇄 이미지를 생성하고, 화상 형성 엔진(미도시)를 제어하여 생성된 인쇄 이미지를 인쇄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스위칭 컨트롤러(120)를 제어하여 팬 드라이버(1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팬 드라이버(130)를 통해 팬(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110)는 팬(140)의 동작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팬 드라이버(130)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팬 드라이버(130)는 팬을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50%로 출력하는 경우, 팬 드라이버(130)는 최대 속도의 50%의 속도로 팬(14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스위칭 컨트롤러(120) 및 팬 드라이버(130)는 프로세서(110)의 동일한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에서 출력된 PWM 제어 신호는 팬 드라이버(130)와 함께 스위칭 컨트롤러(120)로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스위칭 컨트롤러(120)는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컨트롤러(120)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 프로세서(110) 및 팬 드라이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스위칭 컨트롤러(120)의 입력 단자는 전원 공급 장치 및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팬 드라이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컨트롤러(12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입력되는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스위칭 컨트롤러(120)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 컨트롤러(120)의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팬 드라이버(130)는 스위칭 컨트롤러(12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 및 프로세서(110)로부터 입력되는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팬(1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팬 드라이버(130)의 입력 단자는 프로세서(110) 및 스위칭 컨트롤러(120)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팬(140)과 연결될 수 있다. 팬 드라이버(130)는 스위칭 컨트롤러(120)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동시에, 팬 드라이버(130)는 프로세서(110)로부터 PWM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PMW 제어 신호는 팬 드라이버(130)로 입력되는 동시에 스위칭 컨트롤러(120)의 전원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팬 드라이버(130)는 전원 공급과 PWM 제어 신호를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팬 드라이버(130)는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팬(1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가 25%인 경우, 팬 드라이버(130)는 팬(140)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최대 전압의 25%로 출력할 수 있고, 팬(140)은 최대 속도의 25%의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가 100%인 경우, 팬 드라이버(130)는 팬(140)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최대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고, 팬(140)은 최대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팬 드라이버(130)는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팬(1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팬(140)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열원(heat source)로 바람을 제공하여 열원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원은 프로세서(120), 화상 형성 엔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팬 드라이버(13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드라이버(130)는 프로세서(110) 및 스위칭 컨트롤러(120)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 스위칭 컨트롤러(120) 및 팬 드라이버(130)는 하나의 컨트롤 보드(10)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 보드(1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 스위칭 컨트롤러(120) 및 팬 드라이버(130)가 하나의 컨트롤 보드(10)의 PCB에 내장되는 경우, 프로세서(110), 스위칭 컨트롤러(120) 및 팬 드라이버(130)는 컨트롤 보드(10)의 PCB에 형성된 신호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팬 드라이버(130)와 팬(140)은 별도의 커넥터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팬 드라이버(130)는 팬(140)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드라이버(130) 및 팬(140)은 일체의 요소(component)(20)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팬 드라이버(130)는 커넥터를 통해 프로세서(110) 및 스위칭 컨트롤러(120)와 연결될 수 있다. 팬 드라이버(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크기, 형태, 구조 또는 구성 부품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스위칭 컨트롤러(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스위칭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일 예에 따른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 컨트롤러(120)는 평활 회로(121), 비교기(122) 및 스위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평활 회로(121)의 입력 단자는 프로세서(110)의 출력 단자(PWM 제어 신호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평활 회로(121)의 출력 단자는 비교기(122)의 입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122)의 입력 단자는 평활 회로(12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비교기(122)의 출력 단자는 스위치(123)의 입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123)의 입력 단자는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단자 및 비교기(122)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스위치(123)의 출력 단자는 팬 드라이버(130)의 입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평활 회로(121)는 프로세서(110)로부터 입력되는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듀티 비가 설정된 PWM 제어 신호는 일종의 교류 신호이고, 비교기(122)에는 직류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활 회로(121)는 입력된 PWM 제어 신호(교류 신호)를 비교기(122)로 입력하기 위한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비교기(122)는 평활 회로(121)에서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고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비교기(122)에서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는 온/오프 신호일 수 있다.
스위치(123)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기(122)에서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가 온 인 경우, 스위치(123)는 전원을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하고, 비교기(122)에서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가 오프 인 경우 스위치(123)는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WM 제어 신호의 크기는 5V이고 듀티 비는 10%인 경우, PWM 제어 신호의 한 주기의 10%만 5V일 수 있다. 듀티 비가 10%인 PWM 제어 신호는 평활 회로(121)로 입력될 수 있다. 평활 회로(121)는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PWM 제어 신호의 크기가 5V이고 듀티 비가 10%이므로 평활 회로(121)에서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는 0.5V의 직류 신호일 수 있다.
비교기(122)는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만일, 10% 듀티 비의 PWM 제어 신호에 대해서 팬(140)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설계하는 경우, 기준 값은 1V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비교기(122)로 입력되는 직류 신호의 값은 기준 값인 1V보다 작은 0.5V이므로 비교기(122)는 오프 신호(또는, 로우 신호)를 스위치(123)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123)는 비교기(122)로부터 입력되는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만일, 10% 듀티 비의 PWM 제어 신호에 대해서 팬(140)을 구동시키도록 설계하는 경우, 기준 값은 0.3V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비교기(122)로 입력되는 직류 신호의 값은 기준 값인 0.3V보다 큰 0.5V이므로 비교기(122)는 온 신호(또는, 하이 신호)를 스위치(123)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123)는 비교기(122)로부터 입력되는 온 신호에 기초하여 팬 드라이버(130)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의 PWM 제어 신호 출력 단자는 스위칭 컨트롤러(120)(또는, 평활 회로(121))의 입력 단자 및 팬 드라이버(130)의 입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팬 드라이버(130)의 전원 입력 단자는 스위칭 컨트롤러(120)(또는, 스위치(123))의 전원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팬 드라이버(13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팬 드라이버(130)는 프로세서(110)로부터 듀티 비 10%인 PWM 제어 신호도 입력받을 수 있다. 팬 드라이버(130)는 듀티 비 10%인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 전압의 10%의 전압을 팬(140)으로 출력할 수 있다. 팬(140)은 최대 속도의 10%의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가 커지는 경우, 비교기(122)로 입력되는 직류 신호의 값도 커질 수 있다. 비교기(122)의 기준 값은 동일하기 때문에 입력되는 직류 신호의 값이 커지더라도 스위치(123)는 온 신호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팬 드라이버(130)는 계속 전원을 공급받고, 프로세서(110)로부터 입력되는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에 기초하여 팬(140)에 제공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팬 드라이버(13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팬(140)의 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는 일 예에 따른 팬 드라이버(130)의 전원 제어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드라이버(130)와 팬(140)이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스위치(123)와 팬 드라이버(130)는 커넥터(30)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팬(140)을 구동시키지 않을 때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 컨트롤러(120)의 입력 신호는 팬 드라이버(130)로 입력되는 PWM 제어 신호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프로세서(110)의 별도의 입출력 단자를 사용하지 않고 펌웨어의 변경없이 팬 드라이버(130)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교기(122)의 기준 값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에서 출력되는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는 열원의 온도 등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a)는 프로세서(110), 스위칭 컨트롤러(120), 팬 드라이버(130), 팬(140) 및 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컨트롤러(120), 팬 드라이버(130), 팬(14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150)는 열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50)는 온도계, 열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열원은 프로세서(110)일 수 있다. 열원이 프로세서(110)인 경우, 열원은 프로세서(110)와 함께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10)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열원이 화상 형성 엔진인 경우, 센서(150)는 화상 형성 엔진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서(150)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입력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a)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화상 형성 장치(100a)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a)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또는 소프트웨어)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온도에 따른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센서(150)로부터 입력받은 온도 데이터와 온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듀티 비에 기초하여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a)는 센서(15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a)는 동작 상황에 따라 예상되는 열에너지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a)는 동작 상황 및 대응되는 열에너지량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a)는 A 동작시 듀티 비 50%, B 동작시 듀티 비 30%, C 동작시 듀티 비 70%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a)가 A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50%의 듀티 비로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a)가 C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70%의 듀티 비로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PWM 제어 신호로 팬(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PWM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610). 화상 형성 장치의 스위칭 컨트롤러는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PWM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스위칭 컨트롤러는 평활 회로, 비교기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컨트롤러로 입력된 PWM 제어 신호는 평활 회로로 입력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620). 스위칭 컨트롤러의 평활 회로는 입력된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630). 스위칭 컨트롤러의 비교기는 직류 신호의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고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기는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비교기는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위치를 온시키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팬 드라이버로 제공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스위칭 컨트롤러의 스위치가 비교기로부터 로우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위치는 로우 신호에 기초하여 팬 드라이버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스위칭 컨트롤러의 스위치가 비교기로부터 하이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스위치는 하이 신호에 기초하여 팬 드라이버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센서는 열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입력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입력된 온도 데이터에 비례하여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동작 상황에 따라 예상되는 열에너지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동작 상황 및 저장된 열에너지량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전원 제어 과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700)는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700)는 PWM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명령어들(710),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명령어들(720),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고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명령어들(730),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팬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명령어들(7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 형성 장치
110: 프로세서 120: 스위칭 컨트롤러
130: 팬 드라이버 140: 팬

Claims (15)

  1. 팬;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팬 드라이버;
    스위칭 컨트롤러; 및
    상기 팬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PWM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평활 회로;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상기 팬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가 상기 팬 드라이버의 입력 단자 및 상기 평활 회로의 입력 단자와 함께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평활 회로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출력 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는,
    전원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팬 드라이버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이 상기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출력된 로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팬 드라이버로 제공되는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이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출력된 하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팬 드라이버로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 드라이버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제공된 전원 및 상기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온도 데이터에 비례하여 상기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팬 드라이버는,
    상기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에 비례하여 상기 팬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드라이버는 상기 팬과 일체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스위칭 컨트롤러가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PWM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을 팬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이 상기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로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팬 드라이버로 제공되는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직류 신호의 값이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하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팬 드라이버로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온도 데이터에 비례하여 상기 PWM 제어 신호의 듀티 비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0210052811A 2021-04-23 2021-04-23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KR20220146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811A KR20220146036A (ko) 2021-04-23 2021-04-23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US17/541,820 US20220345580A1 (en) 2021-04-23 2021-12-03 Power control of fan driv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pwm control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811A KR20220146036A (ko) 2021-04-23 2021-04-23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036A true KR20220146036A (ko) 2022-11-01

Family

ID=8369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811A KR20220146036A (ko) 2021-04-23 2021-04-23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45580A1 (ko)
KR (1) KR20220146036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434B2 (en) * 2011-04-01 2017-01-03 Delta Electronics, Inc. DC electric fan and driving system thereof
JP6403661B2 (ja) * 2015-12-28 2018-10-10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5580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82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522507A (ja) 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JP5826158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150359040A1 (en) Control unit,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ntrol program
KR101649268B1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정착기
KR20220146036A (ko)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한 화상 형성 장치의 팬 드라이버의 전원 제어
JP2013244699A (ja) 多機能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電力供給制御方法
JP6851179B2 (ja) 電源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13080175A (ja) 電源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CN105446092A (zh) 电源控制装置、图像形成装置、电源控制装置的控制方法
US90600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orage location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stored in a secondary battery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931186B2 (ja) 電子装置のための電力スイッチング機構
US98862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73668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H11198492A (ja) 電子機器の昇温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の昇温制御方法
JP5972186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230379417A1 (en) Power sequence control of integrated scanner assembly and image forming engine
JP2021108517A (ja) 電源回路、及び電源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8257525A (ja) 電源装置
JP20063045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95623A (ko) 정착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4939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6330515B2 (ja) 発電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発電制御方法
WO2022265683A1 (en) Toner amount adjustment using offset power
US2020032916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