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215A -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215A
KR20220145215A KR1020210051997A KR20210051997A KR20220145215A KR 20220145215 A KR20220145215 A KR 20220145215A KR 1020210051997 A KR1020210051997 A KR 1020210051997A KR 20210051997 A KR20210051997 A KR 20210051997A KR 20220145215 A KR20220145215 A KR 2022014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posed
insulating region
reg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식
백지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215A/ko
Priority to JP2022070047A priority patent/JP7471341B2/ja
Priority to US17/726,135 priority patent/US11936968B2/en
Priority to CN202210425542.8A priority patent/CN115226288A/zh
Priority to EP22169134.8A priority patent/EP4084586A1/en
Publication of KR2022014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215A/ko
Priority to JP2023152129A priority patent/JP2024001896A/ja
Priority to US18/428,017 priority patent/US202401718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3
    • H04N5/22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은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제1 절연 영역, 및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절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신호 전달을 위한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와 분리되는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단자부;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패턴부와 분리된 제2-2 패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CIRCUIT BOARD, IMAGE SENSOR MODULE AND LENS ACTUATOR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센서용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모듈에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O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진동이나 충격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이미지 센서는 CMOS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센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카메라에 점차 화소수가 높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의 동작 신뢰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센서 기판의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센서 기판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은 센서 시프트 방식이나 모듈 틸트 방식의 액추에이터를 기반으로 구동되며, 이러한 액추에이터의 구조상 이미지 센서와 센서 기판은 다른 구조물들과 분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및 센서 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의해 이미지 센서 및 센서 기판의 표면 온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에서의 센서 시프트용 기판(예를 들어, 인터포져)은 이미지 센서나 센서 기판과 접촉하고 있기는 하나, 이의 접점 영역의 면적이 매우 작으며, 이에 의한 열 방출성이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발열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기와 같이 이미지 센서의 해상도 증가에 따라 사이즈가 커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상기 발열량에 의한 신뢰성 문제가 커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센서의 구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센서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은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제1 절연 영역, 및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절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신호 전달을 위한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와 분리되는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단자부;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패턴부와 분리된 제2-2 패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상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중앙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단자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단자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오픈부 상에 배치되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절연 영역은, 상기 제2 단자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 단자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단자 오픈부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 오픈부 및 상기 제2 단자 오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절연부의 상기 이격 영역과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이격되는 고정 패드 오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패드 오픈부는 상기 이격 영역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패턴부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의 상기 제2-1 패턴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패턴부의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의 상기 제2-2 패턴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격 영역은 제1 내지 제4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는 절곡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자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제1-1 내지 제1-4 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1 내지 제1-4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내지 제1-4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상기 제1-1 내지 제1-4 변 영역과 각각 마주보는 제2-1 내지 제2-4 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1 내지 제2-4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2-1 내지 제2-4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1 내지 제1-4 단자는, 상기 이격 영역의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 중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1 내지 제2-4 단자는, 상기 이격 영역의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 중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1 단자부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자부 각각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1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1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4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2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2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3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3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3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1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1-4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4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2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의 각각의 일부 영역을 오픈하는 오픈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오픈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 연결부의 개수는 상기 외측 연결부의 개수보다 적다.
또한, 상기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외측 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절곡점을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은 제1 절연 영역,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부;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단자부와, 상기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단자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와, 상기 제2 단자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패턴부와 분리된 제2-2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센서 기판; 및 상기 센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센서 기판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비아를 포함하고, 상기 비아는 접착부를 통해 상기 제2-1 패턴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2-1 패턴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 영역을 관통하는 관통 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관통 홀 내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1 패턴부의 면적은,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면적보다 크다.
또한, 상기 방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형성된 관통 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단자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일부를 오픈하는 제1 단자 오픈부, 및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이격되는 고정 패드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판의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제1-1 패드와, 상기 고정 패드 오픈부 내에 삽입되는 제1-2 패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 이동용의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인터포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센서 기판 및 상기 센서 기판 상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 기판에는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패드 및 상기 전기적 패드 이외의 고정 패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센서 기판의 고정 패드가 삽입되는 오픈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센서 기판의 솔더링 공정 시, 상기 고정 패드를 상기 회로 기판의 오픈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센서 기판 사이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센서 기판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기판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솔더링 공정에서,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센서 기판 사이의 위치 틀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의 위치 정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센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상기 회로 기판은 절연부 및 패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는 제1 절연 영역, 제2 절연 영역 및 이들 사이의 이격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기판과 연결되는 제1 단자부,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어 메인 기판과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이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격 영역의 각각의 코너부에 배치되는 절곡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의 각각의 절곡 부분은 상기 코너부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절곡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결부의 구조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의한 센서부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나아가 상기 센서부의 이동 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상기 연결부의 절곡 부분은 상기 이격 영역의 각각의 코너부에서 일부 영역을 오픈하는 제1 오픈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오픈 영역은 제1 이동부(200)를 구성하는 제2 프레임의 돌출부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오픈 영역을 회피하면서 상기 제1 오픈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연결부 및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측 연결부의 수는 상기 외측 연결부의 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결부에서, 상기 제1 오픈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연결부의 개수보다 상기 제1 오픈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연결부의 개수를 많게 하여,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의 개수를 상기 내측 연결부의 개수보다 많게 하는 경우, 상기 외측 연결부의 개수가 상기 내측 연결부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보다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는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내측 연결부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연결부의 길이가 상기 내측 연결부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내측 연결부에 비하여 상기 제1 이동부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의 세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측 연결부의 개수가 상기 내측 연결부의 개수보다 많게 하여,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량을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상기 외측 연결부와 상기 내측 연결부 각각은 복수의 절곡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수와 상기 내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수를 동일하게 하여,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수와 상기 내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수가 다른 경우, 보다 많은 절곡점을 가지는 연결부에 힘이 집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힘이 집중되는 연결부가 다른 연결부보다 먼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 정확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개수와 상기 내측 연결부의 절곡점의 개수를 서로 동일하게 하여, 이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 시 상기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외측 연결부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외측 연결부에 균일하게 힘이 분산됨에 따라, 특정 연결부가 먼저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연결부가 끊어지는 상황이 오더라도, 상기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외측 연결부가 동일 시점에 끊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의 회로 기판은 제1 절연 영역을 관통하는 관통 홀 내에 접착층을 배치하고,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방열부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센서 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메인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의 제2 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b는 제2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제2 하부 탄성 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실시 예의 제2 프레임, 제2 구동 부재 및 서브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d는 도 7a의 센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e는 도 7d의 센서 기판의 하면도이다.
도 8a는 실시 예에 따른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절연부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패턴부의 평면도이다.
도 8d는 도 8c의 패턴부의 확대도이다.
도 8e는 실시 예의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8f는 실시 예의 기판과 센서 기판의 결합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이미지 센서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을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중 하나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OA 참조)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는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직방향'은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수직방향은 'z축 방향(도 1 참조)'과 대응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되는 광축 방향, 수직 방향 및 제3 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평방향'은 수직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수평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포함(도 1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x축 방향'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고, 'y축 방향'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와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요잉(yawing)'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yaw) 방향의 움직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피칭(pitching)'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치(pitch) 방향의 움직임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피칭'으로 정의하고,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요잉'으로 정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10) 및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20) 및 제2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20) 및 제2 케이스(30)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케이스(2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측부 영역 및 상부 영역을 커버하는 제1-1 케이스(21)와,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상부 영역을 커버하는 제1-2 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케이스(21)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측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측부 영역을 둘러싸는 측판(21a)과, 상기 측판(21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판(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21a)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오픈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픈부(21-1)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를 오픈할 수 있다. 상기 상판(21b)은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상부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상판(21b)은 제2 오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케이스(22)는 상기 제1-1 케이스(21)의 상기 상판(21b)의 상기 제2 오픈부(21-2)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1-2 케이스(22)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렌즈 구동 장치(1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과 인접한 내측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2 케이스(22)는 제3 오픈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케이스(22)는 '제2 이동부'의 상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 케이스(22)는 '제2 이동부'의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프레임'과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부'가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3 프레임'의 상단은 상기 제1-2 케이스(22)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 케이스(22)는 상기 '제2 이동부'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도 기능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의 하부에는 제2 케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30)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하부 영역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일 수 있다. 제2 케이스(30)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4 오픈부(31-1)를 포함하는 스페이서(31)와, 상기 스페이서(31)의 상기 제4 오픈부(31-1)를 커버하는 하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판(32)은 상기 '제1 이동부'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부'가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경우, '제2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하판(32)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판(32)은 상기 '제1 이동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로도 기능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상기 제1 케이스(20) 및 상기 제2 케이스(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스(20) 및 상기 제2 케이스(3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후 설명되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고정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케이스(20) 및 상기 제2 케이스(30)의 수용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고정부'의 '제1 기판(또는 메인 기판)'은 상기 제1 케이스(20) 및 상기 제2 케이스(30)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동 초점 보정 동작(AF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렌즈'를 x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거나, 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손떨림 보정 동작(OIS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렌즈 구동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는 고정부(100), 제1 이동부(200), 제2 이동부(300), 가이드 부재(400), 제1 탄성 부재(500), 제2 탄성 부재(600) 및 기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700)은 인터포져일 수 있다.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제1 이동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센서부(24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700)은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센서부(2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판(700)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센서부(240)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은 상기 센서부(240)와 상기 고정부(1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센서부(240)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부(24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렌즈 구동 장치(10)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 구동 모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A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OI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0)는 렌즈 구동 장치(10)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0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OIS 동작 또는 AF 동작 시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제1 이동부(200)와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10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OIS 동작 시 상기 제1 이동부(200)가 이동할 때, 위치가 고정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AF 동작 시 상기 제2 이동부(300)가 이동할 때, 위치가 고정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측 공간에, 상기 제1 이동부(2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제1축에 대응하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잉(yawing)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제1축과 수직한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제2축에 대응하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칭(pitching) 동작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동부(200)는 OIS 동작을 위한 OIS 모듈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은 기울어짐 또는 틸팅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부(300)는 상기 제1 이동부(2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상기 고정부(100) 및 상기 제1 이동부(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제3축을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상기 제3축에 대응하는 z축(또는 광축)으로 이동하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동부(300)는 AF 동작을 위한 AF 모듈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0)는 구름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400)는 복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00)는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제1 이동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00)는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제1 이동부(200)가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500)는 가압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500)는 상기 가이드 부재(40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500)는 상기 가이드 부재(400)를 구성하는 볼의 개수에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500)는 상기 고정부(1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500)는 상기 가이드 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 부재(500)는 상기 고정부(100)에 결합되는 결합 영역과, 상기 결합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400)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부재(500)의 접촉 영역은 탄성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400)를 z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600)는 상기 제1 이동부(200)에 상기 제2 이동부(300)를 탄성 결합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상기 제2 탄성 부재(600)는 상기 제1 이동부(20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2 이동부(300)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이동부(200)에 대해 상기 제2 이동부(3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상기 제1 이동부(200)에 탄성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광축에 대응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판(700)은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제1 이동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제1 이동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기판(700)은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제1 이동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시에 탄성을 가지고 휘어지는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은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센서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포져'라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센서부(240)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 이동용 기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를 구성하는 고정부(100), 제1 이동부(200), 제2 이동부(300) 및 기판(7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
도 5a는 도 4의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메인 기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고정부(100)는 메인 기판(110), 제1 프레임(120) 및 제1 구동 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20)은 하우징 또는 아우터 쉘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은 메인 기판(110)과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120)과 상기 메인 기판(110) 사이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기판(110) 위에 상기 제1 프레임(120)이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은 상기 메인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은 내측에 공간을 가지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프레임(120)은 사각 형상 이외에도 원형 형상 또는 다각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은 내측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20)은 제1 내지 제4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은 상기 제1 구동 부재(130)가 배치 또는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제1 내지 제4 측벽에는, 상기 제1 구동 부재(130)의 코일 기판(131)이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안착부(미도시)에는 상기 코일 기판(13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미도시)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안착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 또는 고정 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프레임(120)에는 제1 구동 부재(130)의 코일 기판(131)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상기 안착부(미도시)에는 상기 코일 기판(131)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132)를 오픈하는 코일 오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제1 탄성 부재(5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500)의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제1 탄성 부재(50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500)는 제1 상부 탄성 부재(510) 및 제1 하부 탄성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상부 탄성 부재(510)가 안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하부 탄성 부재(52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복수의 코너부의 내측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면은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제1 홈(126) 및 제2 홈(12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면은 복수의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코너부에는 상기 제1 홈(126) 및 상기 제2 홈(129)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홈(126) 및 상기 제2 홈(129)은 상기 가이드 부재(4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볼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126) 및 상기 제2 홈(129)은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면에서 z축 방향(또는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홈(126)은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상면 및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홈(129)은 상기 제1 프레임(120)의 하면 및 상기 하면과 연결되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126)은 상기 가이드 부재(400) 중 상부 가이드 부재(41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홈(129)은 상기 가이드 부재(400) 중 하부 가이드 부재(42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126)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홈(126)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의 일부를 수용하여, 이에 따라 상기 수용된 상부 가이드 부재(410)가 상기 제1 홈(126)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홈(126)은 각각의 코너부의 내측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4개의 제1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는 상기 4개의 제1 홈에 각각 수용되는 4개의 상부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129)은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홈(126)은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의 일부를 수용하여, 이에 따라 상기 수용된 하부 가이드 부재(420)가 상기 제2 홈(129)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홈(129)은 각각의 코너부의 내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4개의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는 상기 4개의 제2 홈에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하부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홈(126)에 상부 가이드 부재(410)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1 상부 탄성 부재(51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에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120)과 상기 제1 이동부(200) 사이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가 안정적으로 가압 및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부(20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비교 예에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마그넷이나 요크 등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120)과 상기 제1 이동부(200) 사이의 고정 및 결합을 위해, 마그넷 및 요크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했다. 이에 반하여,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120)과 상기 제1 이동부(200)의 고정 및 결합을 위해, 상기 제1 상부 탄성 부재(510) 및 제1 하부 탄성 부재(520)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비교 예의 마그넷이나 요크 등에 의해, 오트 포커스 동작 또는 손떨림 보정 동작 시에 발생하는 자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복수의 제1 홈(126)에는 상부 가이드 부재(410)가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홈(129)에는 하부 가이드 부재(4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는 각각 상기 제1 홈(126) 및 상기 제2 홈(129)에 일부가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에서, 상기 내측 공간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이동부(300)의 제2 프레임(310)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00)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 구동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부재(130)는 코일 기판(131), 제1 코일부(132) 및 홀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기판(131)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코일 기판(131)은 복수의 기판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기판 영역에는 제1 코일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코일 기판(131)의 각각의 기판 영역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코일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기판(131)은 추후 설명할 고정부(100)의 메인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 기판(131)은 상기 메인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코일부(132)의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홀 센서(133)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상기 메인 기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상기 제1 코일부(132)는 제1-1 코일(132-1), 제1-2 코일(132-2), 제1-3 코일(132-3), 및 제1-4 코일(1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부(132)는 추후 설명할 제1 이동부(200)의 제2 구동 부재(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를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코일(132-1) 및 상기 제1-1 코일(132-1)과 마주보며 배치된 제1-3 코일(132-3)은 상기 제2 구동 부재(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를 x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코일(132-2) 및 상기 제1-2 코일(132-2)과 마주보며 배치된 제1-4 코일(132-4)은 상기 제2 구동 부재(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를 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부재(130)는 상기 코일 기판(131)에 배치되는 홀 센서(133)를 포함한다. 상기 홀 센서(133)는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33) 는 상기 제1 코일부(132)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홀 센서(133) 중 1개의 홀 센서는 상기 제1 이동부(200)의 y축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 센서(133)는 상기 제1 이동부(200)가 y축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화전한 제1 이동부(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홀 센서(133) 중 다른 1개의 홀 센서는 상기 제1 이동부(200)의 x축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다른 1개의 홀 센서는 상기 회전한 제1 이동부(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코일부(132) 및 상기 홀 센서(133)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일부(132) 및 상기 홀 센서(133)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코일 오픈부(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코일부(132) 및 상기 홀 센서(133)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이동부(200)와 직접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일부(132)와 상기 홀 센서(133)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이동부(200)의 제2 구동 부재(230)와 직접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00)는 메인 기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제1 기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상기 제1 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장치는 광학기기의 전원부 및/또는 제어부일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RPCB(rigi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RPCB와 FPCB가 연결된 RFPCB(rigid flexible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제1 이동부(200) 및 제2 이동부(30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이 오픈된 오픈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상기 오픈부(111)와 인접한 상면에 패드(1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패드(114)는 상기 오픈부(111)와 인접한 상기 메인 기판(110)의 상면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4)는 상기 코일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4)는 상기 코일 기판(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제1 드라이버 IC(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드라이버 IC(112)는 상기 제1 코일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드라이버 IC(112)는 상기 홀 센서(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드라이버 IC(112)는 상기 제1 코일부(132)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가 x축 또는 y축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드라이버 IC(112)는 상기 홀 센서(133)를 통해 감지되는 위치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코일부(13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은 자이로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113)는 손떨림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이로 센서(113)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가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기판(110)의 하면에는 추가적인 패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110)의 하면에 배치된 패드(116)는 추후 설명할 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동부>
도 6은 실시 예의 제2 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이동부(300)는 제3 프레임(310), 렌즈(320), 제3 구동 부재(330) 및 센싱 마그넷(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이동부(3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측 공간 및 상기 제1 이동부(2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상기 고정부(100) 및 상기 제1 이동부(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제3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310)은 내측 공간(311)에 상기 렌즈(320)를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320)는 상기 제3 프레임(310)의 내측 공간(311)에 수용되어 상기 제3 프레임(310)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20)과 상기 제3 프레임(310)은 나사 결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상기 제3 프레임(31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추후 설명할 '이미지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320)는 '이미지 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배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프레임(310)의 내측 공간과 상기 렌즈(320) 사이에는 배럴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렌즈(320)는 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배럴은 상기 제3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320)는 복수의 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310)은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프레임(310)의 외측면에는 제2 코일부(330)가 권선되는 권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310)은 제2 탄성 부재(600)가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프레임(310)은 제2 이동부(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프레임(310)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부(300)가 +z축 방향으로 최대 이동한 경우, 상기 제3 프레임(310)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케이스(2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310)은 하면에 센싱 마그넷 수용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프레임(3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센싱 마그넷 수용부(31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프레임(310)의 센싱 마그넷 수용부(311)에는 센싱 마그넷(34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넷(340)은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넷(340)은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제2 센싱 마그넷(3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부(30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과 추후 설명할 '제2 드라이버 IC'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또는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과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320)의 위치, 또는 상기 제3 프레임(310)의 위치, 나아가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이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 중 하나만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부(300)의 AF 동작에 대한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은 추후 설명할 제2 구동 부재(230)와 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부(300)의 특정 영역에서만 상기 제2 구동 부재(230)와 인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위치 틀어짐과 같은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위치 감지를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3 프레임(310)의 하면의 상호 위치에 각각 상기 제1 센싱 마그넷(341) 및 상기 제2 센싱 마그넷(342)를 배치하여, 상기와 같은 위치 틀어짐과 같은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 프레임(310)의 하면에는 제2 탄성 부재(600)의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의 안착 및 결합을 위한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
도 7a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제2 프레임, 서브 프레임 및 제2 하부 탄성 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c는 실시 예의 제2 프레임, 제2 구동 부재 및 서브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d는 도 7a의 센서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e는 도 7d의 센서 기판의 하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부(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 및 상기 제2 이동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제2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은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측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211)은 상기 가이드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210)의 상기 외측면(211)은 상기 가이드 부재(400)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21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은 광축 방향 또는 z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211)은 좌우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부재(400)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외측면(211)이 가지는 곡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400)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211)이 가지는 곡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211)을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400)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z축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은 마그넷 배치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은 제2 구동 부재(230)의 하부 및 상기 제2 구동 부재(230)의 측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마그넷 배치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은 레일(2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213)은 상기 외측면(211)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제1 레일(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213)은 상기 제2 프레임(210)에 서브 프레임(220)을 끼움 결합 또는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 또는 '고정부'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213)은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외측면(211)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213)은 z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레일(213)은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광축 방향으로 추후 설명할 서브 프레임(220)의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은 스토퍼 기능을 돌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제2 프레임(120)의 상기 외측면(211)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이 이동 가능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를 구성하는 특정 구성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하측 방향으로 최대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케이스(3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다른 구성요소들과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추후 설명될 기판(70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기판(700)과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기판(700)과 광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을 회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제1 오픈 영역(추후 설명)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이동은 x축을 기준으로 회전, y축을 기준으로 회전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제2 프레임(210)이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z축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210)은 서브 프레임(220)이 끼움 결합됨에 따라, 제2 탄성 부재(700)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안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은 내측면에서 내측 방향(제2 이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단턱은 센서부(240)가 안착되는 안착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단턱에는 센서부(240)가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하면에는 센서부(24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240)의 센서 베이스(243)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단턱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단턱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단턱에 상기 센서부(240)의 센서 베이스(243)가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의 제1 이동부(200)는 서브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220)은 상기 제2 프레임(210)과 결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프레임(210)과 상기 서브 프레임(220)은 제2 구동 부재(230)에 대응하는 마그넷이 배치되는 '마그넷 홀더'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서브 프레임(220)의 설명에 앞서, 도면 상에는 제1 이동부(200)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제2 프레임(210)과 서브 프레임(220)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과 서브 프레임(220)은 하나의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구동 부재(230)가 배치되는 '마그넷 수용부'를 포함하는 마그넷 홀더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는 제1 이동부(200)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제1 이동부(200)가 상호 분리된 제2 프레임(210)과 서브 프레임(220)을 포함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과 서브 프레임(220)이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일체형 프레임에 제2 구동 부재(230)을 배치하는데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른 상기 제2 구동 부재(230)의 배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제2 프레임(210)의 제1 마그넷 배치부(212)에 제2 구동 부재(2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210)에 상기 서브 프레임(220)을 끼움 결합하는 것만으로, 상기 제2 구동 부재(230)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1 이동부(2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220)에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레일(213)에 대응하는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프레임(220)에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레일(213)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미도시)은 상기 서브 프레임(220)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220)은 마그넷 배치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220)은 상기 제2 구동 부재(230)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 마그넷 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넷 배치부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상기 제1 마그넷 배치부(212)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220)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프레임(220)의 상면에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프레임(220)에는 제2 탄성 부재(600)가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1 이동부(200)는 제2 구동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부재(230)는 마그넷부일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부재(230)는 상기 고정부(100)의 제1 코일부(132)와 상호 작용을 하여,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제1 이동부(200)를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OIS 마그넷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부재(230)는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상호 작용을 하여, 상기 고정부(100) 및 상기 제1 이동부(200)에 대해 상기 제2 이동부(30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AF 마그넷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구동 부재(230)는 AF 구동과 OIS 구동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 마그넷일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230)는 제1 마그넷부(231), 제2 마그넷부(232), 제3 마그넷부(233) 및 제4 마그넷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13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1 내지 제1-4 코일(132-1, 132-2, 132-3, 13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마그넷부(231)는 상기 제1-1 코일(132-1)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부(231)는 외측면이 상기 제1-1 코일(132-1)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그넷부(231)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넷부(232)는 상기 제1-2 코일(132-2)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넷부(232)는 외측면이 상기 제1-2 코일(132-2)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그넷부(232)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마그넷부(233)는 상기 제1-3 코일(132-3)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3 마그넷부(233)는 외측면이 상기 제1-3 코일(132-3)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마그넷부(233)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마그넷부(234)는 상기 제1-4 코일(132-4)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4 마그넷부(234)는 외측면이 상기 제1-4 코일(132-4)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마그넷부(234)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 각각은 N극을 띄는 2개의 영역과, S극을 띄는 2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 각각은 4극 착자 마그넷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 각각의 외측면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제2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 각각의 내측면은 제3 영역과 제4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4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호 수평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4 영역은 상호 수평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은 N극이고, 상기 제2 영역은 S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영역은 S극이고, 상기 제4 영역은 N극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의 극성은 상기 기재한 것의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 각각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모두 상기 제1 코일부(132)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제3 영역은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제4 영역은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제4 영역은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수평 방향에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제3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이동부(300)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상기 제1 코일부(132)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를 x축 또는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제3 영역은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상호 작용을 하여, 상기 제2 이동부(30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3 구동 부재(33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제3 영역이 아닌 제4 영역과 상호 작용을 하여 상기 제2 이동부(30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이동부(200)는 센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제2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240)는 상기 제2 프레임(210)과 함께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센서 기판(241), 센서(242), 센서 베이스(243) 및 필터(24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기판(241)은 패키지 기판일 수 있다. 센서 기판(241)에는 이미지 센서(242)가 패키지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24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dlalw 센서(242)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이동 시에, 상기 제2 프레임(2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기판(241)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기판(241)은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기판(241)의 상면에는 제2 드라이버 IC(241-1)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는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3 프레임(310)의 센싱 마그넷 수용부(311)과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는 센싱 마그넷 수용부(311)에 수용되는 센싱 마그넷(340)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 또는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는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센싱 마그넷(34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는 홀센서가 내장된 드라이버 IC일 수 있다.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는 상기 센싱 마그넷(340)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이동부(300), 명확하게는 상기 렌즈(3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기판(241) 상에는 센서 베이스(2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베이스(243)는 오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베이스(243)는 렌즈(32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된 영역이 오픈되고, 그에 따라 필터(244)가 안착될 수 있는 단턱(24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턱(243-1)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배치되며, 상기 접착 부재 상에 필터(244)가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44)는 렌즈(320)를 통과하는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센서(242)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244)는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244)는 렌즈(320)와 이미지 센서(2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244)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 필터로 입사되는 적외선을 흡수 또는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베이스(243)는 센서 기판(241)에 배치된 제2 드라이버 IC(241-1)를 오픈하는 소자 오픈부(24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오픈부(243-2)는 제1 소자 오픈부(243-2a) 및 제2 소자 오픈부(234-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소자 오픈부(243-2a) 및 제2 소자 오픈부(234-2b) 중 어느 하나의 소자 오픈부를 통해 오픈된 센서 기판(241)의 상면에는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는 상기 제1 소자 오픈부(243-2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드라이버 IC(241-1)는 제1 소자 오픈부(243-2a)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제3 프레임(310)의 센싱 마그넷 수용부(311)에 수용된 센싱 마그넷(340)과 광축 방향으로 직접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센서 기판(241)은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기판(700)과 결합되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기판(700)과 연결되는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1 영역에는 제1 패드(24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상기 제1 영역과 마주보는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패드(24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3 영역에는 제3 패드(24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3 영역과 마주보는 제4 영역에는 제4 패드(24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241-1), 제2 패드(241-2), 제3 패드(241-3) 및 제4 패드(241-4)는 각각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1 내지 제4 영역에서,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드(241-1)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4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드(241-2)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3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패드(241-3)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3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패드(241-4)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4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1 패드(241-1)가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1 영역의 중앙이 아닌 제4 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2 패드(241-2)가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2 영역의 중앙이 아닌 제3 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3 패드(241-3)가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3 영역의 중앙이 아닌 제1 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4 패드(241-4)가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의 제4 영역의 중앙이 아닌 제2 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1 패드(241-1), 제2 패드(241-2), 제3 패드(241-3) 및 제4 패드(241-4)의 배치 구조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판(700)에 의한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센서 기판(241)의 패드의 배치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판(700)의 패턴부의 배치 구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700)의 패턴부는,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 향상을 위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명확하게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 단자부(721-2))에 대응하는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 기판(241)의 하면에 형성된 패드는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와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는 솔더링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는 상기 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242)와의 신호 교환을 위한 기능 이외에,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능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호 간의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전기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솔더링을 통한 결합 시, 상기 기판(700) 상에 상기 센서 기판(24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드(241-1)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패드(24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패드(241-1a)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드(241-1)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결합을 위한 제1-2 패드(24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는 상기 제1-2 패드(241-1b)가 1개로 구성된다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패드(241-1b)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패드(241-1b)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2 패드(241-1b)는 상기 제1-1 패드(241-1a)의 일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2 패드(241-1b)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2 패드(241-1b)는 상기 제1 패드(241-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패드(241-1a) 및 제1-2 패드(241-1b)는 기능적인 구분을 위해 분리한 것일 뿐,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패드(241-1a)와 제1-2 패드(241-1b)는 한번의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드(241-2)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1 패드(241-2a)를 포함한다. 상기 제2-1 패드(241-2a)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드(241-2)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결합을 위한 제2-2 패드(2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는 상기 제2-2 패드(241-2b)가 1개로 구성된다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2 패드(241-2b)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2 패드(241-2b)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2-2 패드(241-2b)는 상기 제2-1 패드(241-2a)의 일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2 패드(241-2b)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2-2 패드(241-2b)는 상기 제2 패드(241-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패드(241-2a) 및 제2-2 패드(242-1b)는 기능적인 구분을 위해 분리한 것일 뿐,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패드(241-2a)와 제2-2 패드(241-2b)는 한번의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패드(241-3)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패드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패드(241-4)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패드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3 패드(241-3) 및 제4 패드(241-4) 각각은, 상기 제1 패드(241-1) 및 제2 패드(241-2)에 대응하게, 전기 패드 및 고정 패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솔더링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는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를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정렬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 예의 경우,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결합을 위해서는 솔더링 공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예에서 솔더링 작업을 위해, 상기 센서 기판(241)의 복수의 패드와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 사이를 일일이 정렬시켜야 하며, 이에 따른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비교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 기판(700)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솔더링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다양한 요인에 위해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 사이의 위치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센서 기판(241)의 패드는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700)에는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가 배치되는 고정 패드 오픈부(추후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판(700)의 상기 고정 패드 오픈부는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솔더링 공정 시,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를 상기 기판(700)의 고정 패드 오픈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에 의해 상기 센서 기판(241)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패드(241-1b) 및 제2-2 패드(241-2b)는 상기 기판(700)의 고정 패드 오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솔더링 공정에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위치 틀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 사이의 위치 정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 사이의 전기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이동용 기판>
도 8a는 실시 예에 따른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절연부의 평면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패턴부의 평면도이고, 도 8d는 도 8c의 패턴부의 확대도이고, 도 8e는 실시 예의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8f는 실시 예의 기판과 센서 기판의 결합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기판(700) 및 이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기판(700)은 절연부(710) 및 패턴부(72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기판(700)은 연결 스프링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710)는 제1 절연 영역(711) 및 상기 제1 절연 영역(711)과 이격되는 제2 절연 영역(7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710)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과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사이의 이격 영역(7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부(710)는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절연 영역(711) 및 제2 절연 영역(7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제2 절연 영역(712)은 각각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이 가지는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센서 기판(241)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메인 기판(11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센서 기판(241)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메인 기판(11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이 분리된다는 것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과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사이에, 절연부를 구성하는 다른 절연 영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센서 구동 장치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 구동 장치의 이동성은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진행되는 틸팅 특성과,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프트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는 제1 이동부인 센서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과, 고정부인 메인 기판(110)과 연결되는 제2 절연 영역(712)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1 이동부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의 세기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에 방해받지 않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이 상기 제1 이동부와 함께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제1 부분(711a) 및 제2 부분(7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711a)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중앙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711b)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제1 부분(711a)의 주위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분(711a)은 이후에 설명될 제2 패턴부(722)의 제2-1 패턴부(722-1)와 수직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711b)은 이후에 설명될 제2 패턴부(722)의 제2-1 패턴부(722-1)와 수직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제2-1 패턴부(722-1)보다 큰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1 패턴부(722-1)와 수직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제3 부분(712a) 및 제4 부분(7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712a)은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중앙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4 부분(712b)은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기 제3 부분(712a)의 주위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부분(712a)은 이후에 설명될 제2 패턴부(722)의 제2-2 패턴부(722-2)와 수직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712b)은 이후에 설명될 제2 패턴부(722)의 제2-2 패턴부(722-2)와 수직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제2-2 패턴부(722-2)보다 큰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2 패턴부(722-2)와 수직 방향 또는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복수의 오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제1 단자 오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720)를 구성하는 제1 단자부(721)를 노출하는 제1 단자 오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오픈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복수의 제1 변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복수의 제1 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제1-1 변 영역(R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제1-1 변 영역(R1-1)과 반대되는 제1-2 변 영역(R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제1-1 변 영역(R1-1)과 상기 제1-2 변 영역(R1-2) 사이의 제1-3 변 영역(R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제1-1 변 영역(R1-1)과 상기 제1-2 변 영역(R1-2)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3 변 영역(R1-3)과 반대되는 제1-4 변 영역(R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오픈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각각의 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자 오픈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1 변 영역(R1-1)에 형성되는 제1-1 단자 오픈부(7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 오픈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2)에 형성되는 제1-2 단자 오픈부(7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 오픈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3 변 영역(R1-3)에 형성되는 제1-3 단자 오픈부(7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 오픈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4 변 영역(R1-4)에 형성되는 제1-4 단자 오픈부(7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1 변 영역(R1-1)에 형성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패턴부(720)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패턴부(720)를 구성하는 제1 단자부(721-1)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패턴부(720)의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 패드(241-1)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 패드(241-1) 사이의 솔더링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 패드(241-1) 사이의 정렬 정확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 패드(241-1) 사이의 솔더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연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를 통해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제1-1 단자(721-1a)의 하면을 통해, 상기 제1-1 단자(721-1a)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 패드(241-1) 사이의 전기 연결성을 테스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이격 영역(713)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 영역(713)과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상기 이격 영역(713)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상기 이격 영역(713) 사이에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일부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의 일부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일부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1 단자(721-1a)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를 상기와 같이 폐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기판(70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이격 영역(713)과 연결되는 개루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가 개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기판(700)의 신뢰성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가 개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렌즈 구동 장치(10)에 의해 고정부(100)에 대해 제1 이동부(200)가 이동하는 상태에서 전기적인 쇼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가 이동하는 조건에서, 상기 기판(700)의 패턴부(720)의 연결부(721-3)가 탄성을 가지고 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가 개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휘어지는 연결부(721-3)가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에 배치된 제1-1 단자(721-1a)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기적 쇼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가 폐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턴부(720)의 연결부(721-3)가 휘어지는 상황에서도, 상기 제1-1 단자(721-1a)와 상기 연결부(721-3) 사이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기적 신뢰성 및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을 뒤집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예에서는, 절연부(710) 상에 제1 패턴부(721) 및 제2 패턴부(722)가 배치된 후, 상기 제1 패턴부(721) 및 상기 제2 패턴부(722) 상에 센서 기판(241)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실시 예에서는, 절연부(7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패턴부(721) 및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가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상태에서 솔더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패턴부(721) 및 제2 패턴부(722) 위에 절연부(7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721) 위에 센서 기판(24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패턴부(721)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접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에 접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센서 기판의 패드와 상기 제1 패턴부(721) 사이의 솔더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2)에 형성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패턴부(720)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패턴부(720)를 구성하는 제1 단자부(721-1)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패턴부(720)의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2 패드(241-2)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2 패드(241-2) 사이의 솔더링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2 패드(241-2) 사이의 정렬 정확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2 패드(241-2) 사이의 솔더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연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를 통해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제1-2 단자(721-1b)의 하면을 통해, 상기 제1-2 단자(721-1b)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2 패드(241-2) 사이의 전기 연결성을 테스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을 뒤집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동일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x축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는 x축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의 중심과,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의 중심은 x축에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1 변 영역(R1-1)에서 -y축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2 단자 오픈부(711-2)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2)에서,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는 다른 +y축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3 변 영역(R1-3)에 형성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패턴부(720)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패턴부(720)를 구성하는 제1 단자부(721-1)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패턴부(720)의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3 패드(241-3)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3 패드(241-3) 사이의 솔더링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3 패드(241-3) 사이의 정렬 정확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3 패드(241-3) 사이의 솔더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연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를 통해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제1-3 단자(721-1c)의 하면을 통해, 상기 제1-3 단자(721-1c)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3 패드(241-3) 사이의 전기 연결성을 테스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을 뒤집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 및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와 동일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4)에 형성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패턴부(720)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패턴부(720)를 구성하는 제1 단자부(721-1)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패턴부(720)의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4 패드(241-4)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4 패드(241-4) 사이의 솔더링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4 패드(241-4) 사이의 정렬 정확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4 패드(241-4) 사이의 솔더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연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를 통해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제1-4 단자(721-1d)의 하면을 통해, 상기 제1-4 단자(721-1d)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4 패드(241-4) 사이의 전기 연결성을 테스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을 뒤집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 및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와 동일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와 y축 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와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는 y축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의 중심과,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의 중심은 y축에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3 변 영역(R1-3)에서 +x축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4 단자 오픈부(711-4)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4 변 영역(R1-4)에서,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와는 다른 -x축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고정 패드 오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패드 오픈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에서,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 영역(711)은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고정 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1-2 패드(241-1b)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제1-2 패드(241-1b)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2 패드(241-1b)가 삽입되는 삽입부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에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1-2 패드(241-1b)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의 결합 시, 이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판(700) 상에 상기 센서 기판(241)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1-2 패드(241-1b)는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이 상기 기판(70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위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개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이격 영역(71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가 개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의 결합 시, 상기 제1-2 패드(241-1b)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가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411-1)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411-1)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와 같이 제1-1 단자 오픈부(411-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411-1)가 형성된 영역에서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411-1)와 인접하게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 내에 상기 센서 기판(241)의 고정 패드 중 하나인 제1-2 패드(241-1b)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고정 패드인 상기 제1-2 패드(241-1b)를 통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1 변 영역(R1-1)에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 영역(711)은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는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는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고정 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2-2 패드(241-2b)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는 상기 제2-2 패드(241-2b)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2-2 패드(241-2b)가 삽입되는 삽입부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에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2-2 패드(241-2b)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의 결합 시, 이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판(700) 상에 상기 센서 기판(241)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2-2 패드(241-2b)는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이 상기 기판(70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위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6)는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와 동일한 개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2 고정 패드 오픈부(711-5)는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2)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는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에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고정 패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는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결합 작업성의 향상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2 패드(241-1b)는 상기 제1 고정 패드 오픈부(711-5)에만 배치되어야 한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단자 오픈부의 인접 영역에 각각 고정 패드 오픈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기판(70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의 결합 시,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2 패드(241-2b)가 상기 4개의 고정 패드 오픈부의 어떠한 고정 패드 오픈부 내에 위치하여도,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기판(700)의 결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3 패드(241-3)는 고정 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 내에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3 패드(241-3)의 고정 패드가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제1 절연 영역(711)는 제4 고정 패드 오픈부(711-8)를 포함한다. 상기 제4 고정 패드 오픈부(711-8)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에는 상기 제3 고정 패드 오픈부(711-7)에 대응하게, 고정 패드가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상기 고정 패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에서의 절연부(710)는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와 이격되는 제2 절연 영역(7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복수의 제2 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 변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제2 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1 변 영역(R1-1)과 마주보는 제2-1 변 영역(R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2)과 마주보는 제2-2 변 영역(R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3 변 영역(R1-3)과 마주보는 제2-3 변 영역(R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이격 영역(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4 변 영역(R1-4)과 마주보는 제2-4 변 영역(R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제2 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단자 오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상기 제2-1 변 영역(R2-1)에 형성되는 제2-1 단자 오픈부(7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720)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상기 패턴부(720)를 구성하는 제2 단자부(721-2)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상기 제2-1 단자(721-2a)는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 사이의 솔더링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와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 사이의 정렬 정확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판(700)의 상측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와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의 솔더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700)과 상기 메인 기판(110) 사이의 연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를 통해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노출되는 부분을 통해 상기 기판(700)과 상기 메인 기판(1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성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1 변 영역(R2-1)에서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1 변 영역(R2-1)에서, +y축 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격 영역(713)에 배치되는 패턴부(720)의 연결부(721-3)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실시 예의 패턴부(72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마주보지 않는 제1 절연 영역(711) 및 제2 절연 영역(712)에 각각 배치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가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1 변 영역(R2-1)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1 변 영역(R1-1)과 제2-1 변 영역(R2-1) 사이의 이격 영역에서의 연결부(721-3)의 밀집도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21-3)의 밀집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 중, 서로 다른 연결부(721-3)가 서로 접촉 또는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구동 신뢰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1 단자 오픈부(712-1)가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1 변 영역(R2-1)에서 한쪽 방향으로 치우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721-3)의 밀집도를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의 결합 시,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상기 센서 기판 사이의 관계에 대응하게, 상기 메인 기판(110)을 뒤집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 예에서, 절연부(710) 위에 제1 패턴부(721)가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721) 위에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의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패턴부(721) 위에 절연부(710)가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연부(711) 위에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 단자 오픈부 내에서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메인 기판 사이의 솔더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와 마주보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의 중심은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의 중심과 x축에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는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에 대응하게, 상기 제2 단자 오픈부에서도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쇼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다른 제2 변 영역에도 각각 제2 단자 오픈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2 변 영역(R2-2)에는 제2-2 단자 오픈부(7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3 변 영역(R2-3)에는 제2-3 단자 오픈부(71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4 변 영역(R2-4)에는 제2-4 단자 오픈부(712-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은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제1 결합 홀(7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홀(712-5)은 상기 제2 절연 영역(712)과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기판(700)은 상기 절연부(710)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부(720)는 기능에 따라 제1 패턴부(721) 및 제2 패턴부(72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 상기 메인 기판(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 전달용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신호 패턴부일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기판(7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패턴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 더미 패턴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제1 패턴부(7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센서 기판(241) 및 상기 메인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센서 기판(241)에 포함된 그라운드층(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메인 기판(110)에 포함된 그라운드층(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2 패턴부(722)는 그라운드 기능을 하면서, 상기 기판(7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턴부(720)는 도전성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 및 상기 제2 패턴부(722)는 동일한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패턴부(721)와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서로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실시 예에서는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위해, 상기 제1 패턴부(721) 및 제2 패턴부(722)가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패턴부(721) 및 상기 제2 패턴부(722)의 도금 공정 또는 에칭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패턴부(722)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제2-1 패턴부(722-1) 및 제2-2 패턴부(7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표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오픈 영역(O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절연부(710)에서,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상기 절연부(710)의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상기 제2-1 패턴부(722-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2 절연 영역(712)에 형성된 결합 홀(712-5)과 정렬되는 결합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서,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 단자 오픈부를 노출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상에서,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 단자 오픈부를 노출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패턴부(722-1) 및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일정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절연 영역(711)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은, 상기 제2-1 패턴부(722-1)에 의해 덮이는 제1 부분(711a)과, 상기 제1 부분(711a)을 제외한 제2 부분(7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의 상기 제2 부분(711b)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을 오픈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2 절연 영역(712)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면은 상기 제2-2 패턴부(722-2)에 의해 덮이는 제3 부분(712a)과 상기 제3 부분(712a)을 제외한 제4 부분(712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면의 제4 부분(712b)은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면의 가장 자리 영역을 오픈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패턴부(722-1) 및 상기 제2-2 패턴부(722-2)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1 패턴부(722-1) 및 상기 제2-2 패턴부(722-2)가 서로 분리된다는 것은, 신호 배선인 제1 패턴부를 제외한 다른 금속에 의해 상기 제2-1 패턴부(722-1) 및 상기 제2-2 패턴부(722-2)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센서 구동 장치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는 제1 이동부인 센서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과, 고정부인 메인 기판(110)과 연결되는 제2 절연 영역(712) 사이가, 신호 배선인 제1 패턴부(721)를 제외한 다른 금속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는 센서 기판의 이동에 방해를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센서 구동 장치의 이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과, 고정부인 메인 기판(110)과 연결되는 제2 절연 영역(712) 사이가, 신호 전달용 제1 패턴부(721) 이외의 금속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는 제1 이동부의 이동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절연부(710)의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제2 절연 영역(712) 및 이격 영역(7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제2 패턴부(722)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연결부(7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패턴부(721)는 메인 기판(11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 이동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구리(Cu)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구리(Cu)에, 니켈(Ni), 주석(Sn), 베릴륨(Be) 및 코발트(C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원계 합금일 수 있고,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3원계 합금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스프링 역할이 가능한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기 특성이 좋은 철(Fe), 니켈(Ni), 아연 등의 합금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패턴부(721)는 금(Au), 은(Ag), 팔라듐(Pd) 등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한 도금층으로 표면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시에도 끊어지지 않는 일정 수준 이상의 특성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일정 수준 이상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및 0.2% 오프셋 항복 강도(0.2% offset yield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721)는 500N/mm2 이상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800N/mm2 이상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1000N/mm2 이상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1400N/mm2 이상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500N/mm2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0.2% offset yield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800N/mm2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0.2% offset yield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1000N/mm2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0.2% offset yield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는 1400N/mm2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0.2% offset yield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제2 절연 영역(712)과 접촉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의 제1 단자부(721-1)의 하면의 일부, 제2 단자부(721-2)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제2 절연 영역(712)과 접촉한다. 이때, 상기 접촉하는 표면의 거칠기에 따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700)의 신뢰성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하는 표면이 0.025㎛ 내지 0.035㎛ 범위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또는/및 0.3㎛ 내지 0.5㎛ 범위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패턴부(721)가 상기 절연부(710)에서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은 일정 수준 이상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의 거칠기는 상기 절연부(710)와의 밀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의 거칠기는 금속층(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패턴부(721)를 형성하는 공정(예를 들어, 에칭 공정)에서, 포토레지스트(PR: Photo Resist)와의 밀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은 0.05㎛ 내지 0.5㎛ 범위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은 0.05㎛ 내지 0.2㎛ 범위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은 0.08㎛ 내지 0.15㎛ 범위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은 0.6 내지 5㎛ 범위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은 0.7 내지 3.0㎛ 범위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제1 패턴부(721)의 표면은 1.0 내지 2.5㎛ 범위의 10점 평균 거칠기(Rz)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패턴부(721) 및 제2 패턴부(722)는 통상적인 회로 기판의 제조 공정인 어디티브 공법(Additive process), 서브트렉티브 공법(Subtractive Process), MSAP(Modified Semi Additive Process) 및 SAP(Semi Additive Process) 공법 등으로 가능하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와 연결되는 제1 단자부(721-1),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와 연결되는 제2 단자부(721-2),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부(721-1)와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7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연결부(721-3)는 구성의 설명을 위해 구분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 이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각각의 제1 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각각의 제1 단자 오픈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서로 다른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4개의 코너부 중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이동부의 이동 시에, 상기 기판(700)의 변 영역에서의 틸팅보다 코너부(모서리 부분)에서의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코너부에서 상기 이동부의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부(723)가 다수 존재하는 각각의 코너부에서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모듈 틸팅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부(723)는 절곡 부분을 가지면서, 상기 이격 영역(713)의 코너부에 밀집되어 배치되는데, 실제 틸팅이 변의 중앙 부분에서 이루어진다면 틸팅의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 단자부(721-2)가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부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1 변 영역(R1-1)에 형성된 복수의 제1-1 단자(72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1 단자(721-1a)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1 패드(241-1)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1 단자(721-1a)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1 변 영역(R1-1)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제1-1 단자 오픈부(711-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 단자(721-1a)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1 코너부(CN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2)에 형성된 복수의 제1-2 단자(7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2 단자(721-1b)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제2 패드(241-2)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2 단자(721-1b)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2 변 영역(R1-2)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제1-2 단자 오픈부(711-2)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단자(721-1b)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2 코너부(CN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3 변 영역(R1-3)에 형성된 복수의 제1-3 단자(721-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3 단자(721-1c)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3 패드(241-3)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3 단자(721-1c)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3 변 영역(R1-3)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제1-3 단자 오픈부(711-3)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3 단자(721-1c)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3 코너부(CN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4 변 영역(R1-4)에 형성된 복수의 제1-4 단자(721-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4 단자(721-1d)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기 제4 패드(241-4)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4 단자(721-1d)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제1-4 변 영역(R1-4)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제1-4 단자 오픈부(711-4)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4 단자(721-1d)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4 코너부(CN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241)와 솔더링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상기 메인 기판(110)과 연결되는 제2 단자부(7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서로 다른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4개의 코너부에서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이동부의 이동 시에, 상기 기판(700)의 변 영역에서의 틸팅보다 코너부(모서리 부분)에서의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코너부에서 상기 이동부의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부(723)가 다수 존재하는 각각의 코너부에서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모듈 틸팅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부(723)는 절곡 부분을 가지면서, 상기 이격 영역(713)의 코너부에 밀집되어 배치되는데, 실제 틸팅이 변의 중앙 부분에서 이루어진다면 틸팅의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 단자부(721-2)가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부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1 변 영역(R2-1)에 형성된 복수의 제2-1 단자(7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1 단자(721-2a)는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1 단자(721-2a)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1 변 영역(R2-1)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기 제2-1 단자 오픈부(712-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1 단자(721-2a)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3 코너부(CN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2 변 영역(R2-2)에 형성된 복수의 제2-2 단자(7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2 단자(721-2b)는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2 단자(721-2b)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2 변 영역(R2-2)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기 제2-2 단자 오픈부(712-2)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2 단자(721-2b)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4 코너부(CN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3 변 영역(R2-3)에 형성된 복수의 제2-3 단자(721-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3 단자(721-2c)는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3 단자(721-2c)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기 제2-3 변 영역(R2-3)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기 제2-3 단자 오픈부(712-3)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3 단자(721-2c)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2 코너부(CN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4 변 영역(R2-4)에 형성된 복수의 제2-4 단자(721-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4 단자(721-2d)는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4 단자(721-2d)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상기 제2-4 변 영역(R2-4)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의 제2-3 단자 오픈부(712-4)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4 단자(721-2d)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1 코너부(CN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와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1-3)는 제1 절연 영역(711) 및 제2 절연 영역(712)에서, 서로 마주보는 변 영역에 배치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를 서로 연결하지 않고, 서로 마주보지 않는 변 영역에 배치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절연부(71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절연부(710)의 상기 이격 영역(713)에 플라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부(721-3)에 의한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부(721-3)의 탄성을 향상시켜, 이에 따른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721-3)는 제1 연결부(721-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상기 제1-1 단자(721-1a)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4 단자(721-2d)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 부분(BP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복수의 절곡 부분(BP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1 단자부(721-1)와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이격 영역(713)의 코너부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 영역(713)은 4개의 코너부(CN1, CN2, CN3, CN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4개의 코너부 중 제1 코너부(CN1) 영역에 형성된 제1 절곡 부분(B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상기 제1-1 단자(721-1a)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4 단자(721-2d)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721-3a)의 제1 절곡 부분(BP1)은 상기 일단에서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721-3)는 제2 연결부(7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721-3b)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3 단자(721-2c)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부(721-3b)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 부분(BP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연결부(721-3b)는 복수의 절곡 부분(BP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721-3b)는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1 단자부(721-1)와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이격 영역(713)의 4개의 코너부 중 제2 코너부(CN2)에 형성된 제2 절곡 부분(B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721-3b)는 상기 제1-2 단자(721-1b)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3 단자(721-2c)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721-3b)의 제2 절곡 부분(BP2)은 상기 일단에서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721-3b)의 제2 절곡 부분(BP2)은 상기 제1 연결부(721-3a)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721-3)는 제3 연결부(72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721-3c)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연결부(721-3c)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 부분(BP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연결부(721-3c)는 복수의 절곡 부분(BP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연결부(721-3c)는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1 단자부(721-1)와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이격 영역(713)의 4개의 코너부 중 제3 코너부(CN3) 영역에 형성된 제3 절곡 부분(BP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721-3c)는 상기 제1-3 단자(721-1c)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1 단자(721-2a)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연결부(721-3c) 의 제3 절곡 부분(BP3)은 상기 일단에서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연결부(721-3c)의 제3 절곡 부분(BP3)은 상기 제1 연결부(721-3a) 및 상기 제2 연결부(721-3b)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1-3)는 제4 연결부(721-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부(721-3d)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2 단자(721-2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연결부(721-3d)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 부분(BP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연결부(721-3d)는 복수의 절곡 부분(BP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연결부(721-3d)는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1 단자부(721-1)와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이격 영역(713)의 4개의 코너부 중 제4 코너부(CN4) 에 형성된 제4 절곡 부분(BP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연결부(721-3d)는 제1-4 단자(721-1d)와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2 단자(721-2b)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4 연결부(721-3d)의 제4 절곡 부분(BP4)은상기 일단에서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연결부(721-3d)의 제4 절곡 부분(BP4)은 상기 제1 연결부(721-3a), 상기 제2 연결부(721-3b) 및 상기 제3 연결부(721-3c)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예의 연결부(721-3)는 제1 단자부(721-1)와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이격 영역(713)의 서로 다른 코너부에 배치되는 절곡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절곡 부분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부(721-3)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렌즈 구동 장치에 의한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절곡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절곡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시, 각각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힘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절곡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절곡되는 경우, 각각의 연결부 중 특정 연결부에 힘이 집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힘이 집중되는 연결부가 다른 연결부에 비해 먼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절곡 부분이 서로 동일한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시, 각각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각각의 연결부 중 특정 연결부가 먼저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연결부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모든 연결부가 동일한 시점에 끊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의 틸팅에 강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결부(721-3)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712)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21-3)의 절곡 부분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712)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이격 영역(713) 상에서 플라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상기 연결부(721-3)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상기 연결부(721-3)는 서로 1:1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상기 제1-1 단자(721-1a),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4 단자(721-2d) 및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서로 1:1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상기 제1-1 단자(721-1a)의 개수,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4 단자(721-2d)의 개수 및 상기 제1 연결부(721-3a)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3 단자(721-2c) 및 상기 제2 연결부(721-3b)는 서로 1:1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2 단자(721-1b)의 개수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3 단자(721-2c)의 개수 및 상기 제2 연결부(721-3b)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 그리고 상기 제3 연결부(721-3c)는 서로 1:1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3 단자(721-1c)의 개수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1 단자(721-2a)의 개수와, 상기 제3 연결부(721-3c)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2 단자(721-2b)와, 상기 제4 연결부(721-3d)는 서로 1:1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제1-4 단자(721-1d)의 개수와,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제2-2 단자(721-2b)의 개수와, 상기 제4 연결부(721-3d)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단자부(721-1)에서, 제1 절연 영역(711)의 서로 다른 제1 변 영역에 배치된 각각의 제1 단자들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단자(721-1a), 제1-2 단자(721-1b), 제1-3 단자(721-1c) 및 제1-4 단자(721-1d)는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2 단자부(721-2)에서, 제2 절연 영역(712)의 서로 다른 제2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2 단자들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단자(721-2a), 제2-2 단자(721-2b), 제2-3 단자(721-2c) 및 제2-4 단자(721-2d)는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부(721-3)에서, 이격 영역(713)의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배치된 연결부들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721-3a), 제2 연결부(721-3b), 제3 연결부(721-3c) 및 제4 연결부(721-3d)는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제1 단자부(721-1)의 개수, 제2 단자부(721-2)의 개수 및 연결부(721-3)의 개수를 서로 동일하게 하여, 이에 따른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에 제1 단자부, 제2 단자부 및 연결부가 집중적으로 배치되거나, 다른 영역에 비해 특정 영역에 배치된 제1 단자부, 제2 단자부 및 연결부의 개수가 많은 경우, 상기 집중적으로 배치된 영역에서의 이동량과 상기 적게 배치된 부분에서의 이동량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연결부(721-3)를 배치하는데 있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4개의 제1 변 영역, 제2 절연 영역(712)의 4개의 제2 변 영역 및 상기 이격 영역(713)의 4개의 코너부에 분산 배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전체 개수,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전체 개수, 및 상기 연결부(721-3)의 전체 개수는 상기 메인 기판(11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의 채널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과 상기 센서 기판(241) 사이의 통신 채널 수는 32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자부(721-1)의 개수는 32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자부(721-1)에서, 상기 제1-1 단자(721-1a), 제1-2 단자(721-1b), 제1-3 단자(721-1c) 및 제1-4 단자(721-1d)의 개수는 각각 8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부(721-2)의 개수는 32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단자부(721-2)에서, 제2-1 단자(721-2a), 제2-2 단자(721-2b), 제2-3 단자(721-2c) 및 제2-4 단자(721-2d)의 개수는 각각 8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721-3)의 개수는 32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721-3)에서, 제1 연결부(721-3a), 제2 연결부(721-3b), 제3 연결부(721-3c) 및 제4 연결부(721-3d)의 개수는 각각 8개일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채널 수는 3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 패턴부(721)의 두께는 10㎛ 내지 6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721)의 두께는 15㎛ 내지 5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721)의 두께는 20㎛ 내지 45㎛일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의 두께가 10㎛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시에 상기 제1 패턴부(721)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턴부(721)의 두께가 60㎛보다 크면, 상기 연결부(721-3)의 탄성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에 방해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부(721)의 두께가 60㎛보다 크면, 상기 탄성력의 저하로 인한,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이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소비 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안정적으로 제1 이동부(2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패턴부(721)의 두께는 35㎛±5㎛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21-3)의 길이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폭의 적어도 1.5배 이상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721-3)의 길이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폭의 20배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격 영역(713)의 폭은 1.5mm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1-3)의 길이가 상기 이격 영역(713)의 폭의 1.5배보다 작으면, 상기 연결부(721-3)의 탄성력 저하로 인해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721-3)의 길이가 상기 이격 영역(713)의 폭의 20배보다 크면, 상기 연결부(721-3)에 의한 신호 전달 거리가 커짐에 따른 저항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721-3)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721-3)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격 영역(713)의 복수의 코너부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상기 이격 영역(713)의 코너부에 위치하고, 서로 동일한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되는 절곡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721-3)는 이격 영역(713)의 제1 코너부(CN1(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 절곡 부분(BP1)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721-3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721-3a)의 제1 절곡 부분(BP1)은 상기 제1 코너부(CN1)에서 일부 영역을 회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부(721-3)의 절곡 부분(BP1)은 상기 제1 코너부(CN1)의 일부 영역을 오픈하는 제1 오픈 영역(OR)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을 회피하면서,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내측 및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은 제2 프레임의 돌출부와 광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연결부(732)에 제1 오픈 영역(OR)포함함으로써,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는 상기 연결부(732)의 제1 오픈 영역(OR1)을 통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돌출부(214)로 인해 상기 연결부(73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연결부(721-3a1)과,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연결부(721-3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 대비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에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는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는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 대비 상기 제2 절연 영역(712)에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수는 내측 연결부(721-3a2)의 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예로 상기 제1 연결부(721-3a)는 6개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721-3a)를 구성하는 6개의 라인 중 일부는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를 구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를 구성하는 라인의 개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를 구성하는 라인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라인의 개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라인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라인의 개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라인의 개수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라인의 개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라인의 개수의 1.7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라인의 개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라인의 개수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721-3a)의 라인의 개수가 6개인 경우,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라인의 수는 4개이고,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라인의 수는 2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제1 내지 제4 외측 연결부(721-3a11, 721-3a12, 721-3a13, 721-3a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는 제1 및 제2 내측 연결부(721-3a21, 721-3a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연결부(721-3a)에서,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연결부(721-3a2)의 개수보다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연결부(721-3a1)의 개수를 많게 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개수를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개수보다 많게 하는 경우,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개수가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보다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길이가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에 비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의 세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개수가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개수보다 많게 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량을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와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 각각은 복수의 절곡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복수 회 절곡되며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1 코너부(CN2)에서,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는 복수 회 절곡되며, 상기 이격 영역(713)의 제1 코너부(CN2)에서 상기 제1 오픈 영역(OR)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절곡점의 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절곡점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절곡 횟수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절곡 횟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5개의 절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는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일단에서부터, 제1-1 절곡점(A1), 제1-2 절곡점(A2), 제1-3 절곡점(A3), 제1-4 절곡점(A4) 및 제1-5 절곡점(A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게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도 5개의 절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는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일단에서부터, 제2-1 절곡점(B1), 제2-2 절곡점(B2), 제2-3 절곡점(B3), 제2-4 절곡점(B4) 및 제2-5 절곡점(B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 및 내측 연결부(721-3a2)의 각각의 절곡점의 개수는 4개 이하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6개 이상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절곡점의 수와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절곡점의 수를 동일하게 하여,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절곡점의 수와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절곡점의 수가 다른 경우, 보다 많은 절곡점을 가지는 연결부에 힘이 집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힘이 집중되는 연결부가 다른 연결부보다 먼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정확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의 절곡점의 개수와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의 절곡점의 개수를 서로 동일하게 하여, 이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시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 및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 및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에 균일하게 힘이 분산됨에 따라, 특정 연결부가 먼저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연결부가 끊어지는 상황이 오더라도, 상기 내측 연결부(721-3a2) 및 상기 외측 연결부(721-3a1)가 동일 시점에 끊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200)의 이동 시에, 상기 내측 연결부(721-3a1) 또는 외측 연결부(721-3a2)의 각각의 절곡점에 회전 또는 틸팅에 의한 힘이 집중되는데,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내측 연결부(721-3a1) 및 외측 연결부(721-3a2)의 수를 동일하게 하여 특정 절곡점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내측 연결부(721-3a1) 및 외측 연결부(721-3a2)의 절곡점 수의 차이가 40% 이내, 또는 20% 이내, 또는 10% 이내로 조절함으로써, 특정 절곡점에 힘이 집중됨에 따라 특정 연결부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 기판(110)은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 기판(241)은 상기 기판(700)의 전도성 패턴부(721)의 제2 단자부(7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단자부(721-1)와 상기 제2 단자부(721-2) 사이에는 이들을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7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기판(110)과 상기 센서 기판(241)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센서 기판(241)을 구성하는 제1 이동부(200)는 상기 연결부(721-3)의 탄성력에 의해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센서 기판(241)은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서는 연결 스프링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스프링부(800)는 일단이 상기 센서 기판(241)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연결 스프링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의 일단은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스프링부(800)는 일단이 상기 센서 기판(241)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연결 스프링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의 타단은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에 특정 세기의 전류를 특정 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는 상기 제1 연결 스프링부(810)와 연결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상기 제2 연결 스프링부(820)와 연결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결합 구조>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고정부(100), 제1 이동부(200) 및 제2 이동부(3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100)의 내측 공간에는 제1 이동부(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이동부(200)의 내측 공간에는 제2 이동부(30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0)와 제1 이동부(200)는 가이드 부재(400) 및 제1 탄성 부재(50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200)와 제2 이동부(300)는 제2 탄성 부재(600)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부(200)와 제2 이동부(3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200)는 제2 프레임(210), 서브 프레임(220), 제2 구동 부재(230) 및 센서부(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210)에는 센서부(240)가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제5 안착부(215)에 접착 부재(미도시)를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안착부(215)의 하면에 센서부(240)의 센서 베이스(243)를 고정 또는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210)에 상기 센서부(2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제1 마그넷 배치부(212)에 제2 구동 부재(230)를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서브 프레임(220)의 하면에 제2 탄성 부재(600)의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의 일단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제1 레일(213)에 상기 서브 프레임(220)을 끼운 후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210)에 상기 서브 프레임(22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프레임(220)은 상기 제1 레일(213)의 최하단까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220)은 상기 제2 프레임(210)에 안착된 제2 구동 부재(230)의 측부의 일부와 상부를 둘러싸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부재(23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220)에는 상기 하부 탄성 부재(620)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탄성 부재(620)는 상기 제2 프레임(210)과 상기 서브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220) 및 상기 제2 프레임(21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이동부(200)에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에 결합된 제2 하부 탄성 부재(620) 위에 상기 제2 이동부(300)의 제3 프레임(310)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미도시)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이동부(2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기 제2 하부 탄성 부재(620)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에 상기 제2 이동부(30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부(200)와 상기 제2 이동부(300) 상에 제2 상부 탄성 부재(610)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서브 프레임(220)과 상기 제3 프레임(310)에 상기 제2 상부 탄성 부재(61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이동부(200)와 상기 제2 이동부(30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제1 이동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400) 및 상기 가이드 부재(400) 상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5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된다는 것은 상기 가이드 부재(400)와 상기 제1 탄성 부재(500)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의 내측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00)의 제1 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에 상기 제1 이동부(200)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프레임(120)에 가이드 부재(400)의 하부 가이드 부재(42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20)은 상기 제1 프레임(120)의 4개의 코너부의 하단에 하부 가이드 부재(420)의 결합을 위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는 상기 제1 프레임(120)에 각각 배치되도록 복수의 하부 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120)에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120)에 제1 하부 탄성 부재(5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부 탄성 부재(520)는 서로 분리된 4개의 서브 하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120)의 4개의 코너부의 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부 탄성 부재(520)는 제1 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결합 영역과,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와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는 상기 제1 하부 탄성 부재(520)의 접촉 영역에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외측면(211)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곡면을 가짐에 따라,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후,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120)에 상부 가이드 부재(41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120)은 4개의 코너부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 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는 상기 제1 프레임(120)의 결합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의 상부 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프레임(120)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120)에 제1 상부 탄성 부재(510:511, 512, 513, 51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탄성 부재(510)는 상기 제1 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결합 영역과,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와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는 상기 제1 상부 탄성 부재(510)의 접촉 영역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상기 제1 프레임(120) 내에서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410) 및 하부 가이드 부재(420)는 각각 상기 제1 상부 탄성 부재(510) 및 제1 하부 탄성 부재(520)의 각각의 접촉 영역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제1 이동부(200)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부는 고정부(100)에 배치된 제1 구동 부재(130), 제1 이동부(200)에 배치된 제2 구동 부재(230) 및 제2 이동부(300)에 배치된 제3 구동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동 부재(130)는 제1 코일부(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코일부(132)는 제1-1 코일(132-1)과, 제1-2 코일(132-2)과, 제1-3 코일(132-3)과, 제1-4 코일(13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 부재(230)는 제1 마그넷부(231), 제2 마그넷부(232), 제3 마그넷부(233) 및 제4 마그넷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구동 부재(330)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마그넷부(231)는 상기 제1-1 코일(132-1)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부(231)는 외측면이 상기 제1-1 코일(132-1)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그넷부(231)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넷부(232)는 상기 제1-2 코일(132-2)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넷부(232)는 외측면이 상기 제1-2 코일(132-2)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그넷부(232)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마그넷부(233)는 상기 제1-3 코일(132-3)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3 마그넷부(233)는 외측면이 상기 제1-3 코일(132-3)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마그넷부(233)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마그넷부(234)는 상기 제1-4 코일(132-4)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4 마그넷부(234)는 외측면이 상기 제1-4 코일(132-4)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마그넷부(234)는 내측면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한, 상기 제1 이동부(200) 및 제2 이동부(300)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 이동부(200)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제1 코일부(132)의 4개의 코일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에 의해 z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x축 회전-
제1-1 코일(132-1)에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3 코일(132-3)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 코일(132-1)에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1 코일(132-1)과 상기 제1 마그넷부(2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1 코일(132-1)의 상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3 코일(132-3)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3 코일(132-3)과 상기 제3 마그넷부(23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3 코일(132-3)의 하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제1-1 코일(132-1)이 배치된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3 코일(132-3)이 배치된 부분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x축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x축 회전-
제1-1 코일(132-1)에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3 코일(132-3)에는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 코일(132-1)에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1 코일(132-1)과 상기 제1 마그넷부(2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1 코일(132-1)의 하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3 코일(132-3)에는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3 코일(132-3)과 상기 제3 마그넷부(23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3 코일(132-3)의 상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제1-1 코일(132-1)이 배치된 부분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3 코일(132-3)이 배치된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x축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y축 회전-
제1-2 코일(132-2)에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4 코일(132-4)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코일(132-2)에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2 코일(132-2)과 상기 제2 마그넷부(2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2 코일(132-2)의 상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4 코일(132-4)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4 코일(132-4)과 상기 제4 마그넷부(23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4 코일(132-4)의 하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제1-2 코일(132-2)이 배치된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4 코일(132-4)이 배치된 부분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y축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y축 회전-
제1-2 코일(132-2)에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제1-4 코일(132-4)에는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코일(132-2)에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2 코일(132-2)과 상기 제2 마그넷부(2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2 코일(132-2)의 하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4 코일(132-4)에는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4 코일(132-4)과 상기 제4 마그넷부(23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4 코일(132-4)의 상측 방향으로의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200)는 고정부(100)에 대해 상기 제1-2 코일(132-2)이 배치된 부분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4 코일(132-4)이 배치된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y축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z축 이동-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의 제2 코일부에는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에 제1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내측의 제3 영역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의 전체 영역에서 상측 방향으로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에 상측 방향으로 자기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3 구동 부재(330)가 배치된 제2 이동부(300)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z축 이동-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의 제2 코일부에는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에 제2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넷부(231, 232, 233, 234)의 내측의 제3 영역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의 전체 영역에서 하측 방향으로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 부재(330)에 하측 방향으로 자기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제3 구동 부재(330)가 배치된 제2 이동부(30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
이하에서는 실시 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에서 설명된 센서 기판(241), 이미지 센서(242), 기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 센서 모듈은 기판(700)과 결합되는 메인 기판(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포져에 대응하는 기판(700)은 '제1 기판'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 센서(242)가 배치되는 센서 기판(241)은 '제2 기판'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기판(110)은 '제3 기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2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도 2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것에 대응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은 기판(7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700)은 절연부(71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710)는 제1 절연 영역(711), 제2 절연 영역(712) 및 이들 사이의 이미지 센서(2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절연부(710)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부(720)는 전기적 신호 전달 기능을 위한 제1 패턴부(721) 및 기판(700)의 강성 확보 기능을 하는 제2 패턴부(7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센서 기판(241)이나 상기 메인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기판(700)의 강성 확보를 위한 더미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72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721)와 전기적으로 분리(또는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연결부(7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와 상기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절연부(710)의 상기 이격 영역(7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72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되는 제2-2 패턴부(7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이 오픈(OR)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700) 상에는 센서 기판(241)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기판(241) 상에는 이미지 센서(242)가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 상에는 제1 접착부(SB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부(SB1) 상에는 센서 기판(24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은 상기 제1 접착부(SB1)를 통해 상기 기판(7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에 배치된 패드(241-1, 241-2)는 상기 제1 접착부(SB1)를 통해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700) 상에는 메인 기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은 제3 오픈 영역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주위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의 제2 단자부(721-2) 상에는 제2 접착부(S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기판(110)은 상기 제2 접착부(SB)를 통해 상기 기판(7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는 상기 제2 접착부(SB)를 통해 상기 기판(700)의 제2 단자부(7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b는 도 12a의 변형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도 12a에서, 기판(700)이 뒤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뒤집힌 상태의 기판(700) 상에 센서 기판(241)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 모듈은 기판(7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700)은 절연부(71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710)는 제1 절연 영역(711), 제2 절연 영역(712) 및 이들 사이의 이미지 센서(2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절연부(710)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부(720)는 전기적 신호 전달 기능을 위한 제1 패턴부(721) 및 기판(700)의 강성 확보 기능을 하는 제2 패턴부(7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센서 기판(241)이나 상기 메인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기판(700)의 강성 확보를 위한 더미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72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721)와 전기적으로 분리(또는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연결부(7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와 상기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절연부(710)의 상기 이격 영역(7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72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되는 제2-2 패턴부(7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이 오픈(OR)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700) 상에는 센서 기판(241)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기판(241) 상에는 이미지 센서(242)가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700)은 도 12a 와는 다르게, 제1 패턴부(721) 및 제2 패턴부(722)가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700)의 제1 절연 영역(711)에 형성된 제1 단자 오픈부를 통해, 상기 제1 패턴부(721)와 상기 센서 기판(241)의 패드는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직접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700)의 상기 제1 단자 오픈부 내에는 제1 접착부(SB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부(SB1) 상에는 센서 기판(24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은 상기 제1 접착부(SB1)를 통해 상기 기판(7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에 배치된 패드(241-1, 241-2)는 상기 제1 접착부(SB1)를 통해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부(SB1)의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오픈부 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기판(700)과 센서 기판(24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체적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700) 상에는 메인 기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은 제3 오픈 영역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주위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700)의 상기 제2 단자 오픈부 내에는 제2 접착부(S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착부(SB) 상에는 메인 기판(110) 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은 상기 제2 접착부(SB)를 통해 상기 기판(7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에 배치된 패드(116)는 상기 제2 접착부(SB)를 통해 상기 기판(700)의 제2 단자부(7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착부(SB)의 일부가 상기 제2 단자 오픈부 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기판(700)과 메인 기판(1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체적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방열에 취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지 기판(700)하고만 접촉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 기판(241) 및 이미지 센서(242)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렌즈 구동 장치는 제2 케이스(30)의 하판(32)에 의해, 상기 기판(700)의 하부 영역이 덮이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242)에서 발생하는 열은 렌즈 구동 장치의 수용 공간 내에 갇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을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의 이미지 센서 모듈과 비교하여,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 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방열을 위한 방열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실시 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에서,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과, 상기 제2 패턴부(722)의 제2-1 패턴부(722-1)은 제1 실시 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의 구조와 다를 수 있다.
제2 실시 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기판(7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700)은 절연부(71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710)는 제1 절연 영역(711), 제2 절연 영역(712) 및 이들 사이의 이미지 센서(2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판(700)은 상기 절연부(710)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부(720)는 전기적 신호 전달 기능을 위한 제1 패턴부(721) 및 기판(700)의 강성 확보 기능을 하는 제2 패턴부(7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센서 기판(241)이나 상기 메인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기판(700)의 강성 확보를 위한 더미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72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721)와 전기적으로 분리(또는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721)는 제1 단자부(721-1), 제2 단자부(721-2) 및 연결부(7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부(721-1)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부(721-2)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721-3)는 상기 제1 단자부(721-1)와 상기 제2 단자부(721-2)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절연부(710)의 상기 이격 영역(7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72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부(722)는 상기 제2 절연 영역(712) 상에 배치되는 제2-2 패턴부(7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센서 기판(241)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이 오픈(OR)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700) 상에는 메인 기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은 제3 오픈 영역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 기판(241)의 주위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의 제2 단자부(721-2) 상에는 제2 접착부(S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기판(110)은 상기 제2 접착부(SB)를 통해 상기 기판(7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기판(110)의 패드(116)는 상기 제2 접착부(SB)를 통해 상기 기판(700)의 제2 단자부(7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예에서의 제2 패턴부(722)의 제2-1 패턴부(722-1)에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을 오픈하는 제2 오픈 영역(OR)을 포함하였다.
이와 다르게, 제2 실시 예에서의 제2 패턴부(722)의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2 오픈 영역(OR)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은 상기 제2-1 패턴부(722-1)의 하면을 노출하는 관통 홀 (71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는 상기 제2-1 패턴부(722-1)의 하면을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하면에 부착되는 방열부(930)의 상면을 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제1 절연 영역(711)의 면적은 상기 제2-1 패턴부(722-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면적은 상기 제2-1 패턴부(722-1)의 면적의 9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면적은 상기 제2-1 패턴부(722-1)의 면적의 9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면적은 상기 제2-1 패턴부(722-1)의 면적의 85%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1 패턴부(722-1)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 상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패턴부(722-1)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상기 관통 홀 (711-9) 내에는 접착층(9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920)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의 내부를 채우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920)의 두께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의 두께 또는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920)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1 패턴부(722-1)와 상기 방열부(930) 사이를 접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부(930)는 상기 접착층(920)을 통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920)은 열경화성 접착제, 경화성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접착층(920)은 솔더 페이스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접착층(920)은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판(700) 상에는 센서 기판(241)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기판(241) 상에는 이미지 센서(242)가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 상에는 제1 접착부(SB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부(SB1) 상에는 센서 기판(24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은 상기 제1 접착부(SB1)를 통해 상기 기판(7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기판(241)에 배치된 패드(241-1, 241-2)는 상기 제1 접착부(SB1)를 통해 상기 기판(700)의 제1 단자부(7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기판(241)에는 비아(2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기판(241)의 비아(241-5)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기판(241)의 비아(241-5)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아(241-5)는 상기 센서 기판(241)을 관통하는 비아 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비아 홀 내부를 금속 물질로 충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아(241-5)의 상면은 상기 이미지 센서(242)의 하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아(241-5)의 하면에는 접착부(9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910)는 상기 비아(241-5)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910)는 상기 비아(241-5)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242)의 하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910)는 상기 제2-1 패턴부(72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910)의 상면은 상기 센서 기판(241)의 비아(241-5)와 직접 접촉하고, 하면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 상에 배치된 제2-1 패턴부(722-1)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기판(241)의 비아(241-5) 및 상기 접착부(910)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242)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제2-1 패턴부(722-1)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절연부(710)의 하면에는 방열부(93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부(930)는 상기 절연부(710)의 제1 절연 영역(7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부(930)는 상기 접착층(920)을 통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실시 예에서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센서 기판(241)에 비아(241-5)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910)을 통해 상기 비아(241-5)와 제2-1 패턴부(722-1)을 연결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층(920)을 통해 상기 제2-1 패턴부(722-1)와 상기 방열부(930)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242)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비아(241-5), 상기 접착부(910), 제2-1 패턴부(722-1) 및 접착층(920)을 통해 방열부(930)로 전달되어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센서(242)에서 발생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상기 기판(70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 예에서의 방열부(930)는 상기 접착층(920)과 접촉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절연 영역(711)과 접촉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예에서의 방열부(930)의 면적은 상기 접착층(92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부(930)의 면적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에 형성된 관통 홀 (711-9)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24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242)의 방열 특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242)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이미지 센서(242)에서 획득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은 접착층(920a) 및 방열부(930a)의 구조를 제외하면 도 13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모듈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열부(930)는 상기 접착층(920)을 통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하면에 부착되었다.
이와 다르게, 제3 실시 예에서의 방열부(930a)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하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 예에서의 방열부(930a)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실시 예에서의 접착층(920a)의 두께는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층(920a)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의 일부만을 채울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의 방열부(930a)는 상기 접착층(920a)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방열부(930a)는 상기 접착층(920a)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 (711-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부(930a)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절연 영역(711)의 관통 홀(711-9) 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이 가지는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의 두께를 줄임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을 슬림화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1500)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1500)는 후면에 제공된 카메라 모듈(1000), 플래쉬 모듈(1530), 자동 초점 장치(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1500)는 제2 카메라 모듈(1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 촬영 기능 및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소정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도 카메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AF 또는 줌 기능과 함께 OIS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1530)은 그 내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1530)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작동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1510)는 발광부로서 표면 광방출 레이저 소자의 패키지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1510)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151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이 저하되는 조건, 예컨대 10m 이하의 근접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1510)는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700)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차량(8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소정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카메라 센서(2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메라(2000)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적용된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의 차량(800)은, 전방 영상 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2000)를 통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미식별 상황을 판단하고 미식별시 가상 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2000)는 차량(800)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러한 전방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2000)가 촬영한 영상에 차선, 인접차량, 주행 방해물, 및 간접도로 표시물에 해당하는 중앙 분리대, 연석, 가로수 등의 오브젝트가 촬영된 경우, 프로세서는 이러한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영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카메라 센서(2000)를 통해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 정보를 더 보완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영상에 촬영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센서(2000)는 오브젝트의 측정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차량(8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등의 정보를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차량(800)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으로는 충돌 위험시 운전자가 제동장치를 밟지 않아도 스스로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는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차선 이탈 시 주행 방향을 조절해 차선을 유지하는 주행 조향보조 시스템(LKAS: Lane Keep Assist System), 사전에 정해 놓은 속도로 달리면서도 앞차와 간격을 알아서 유지하는 어드밴스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Advanced Smart Cruise Control), 사각지대 충돌 위험을 감지해 안전한 차로 변경을 돕는 후측방 충돌 회피 지원 시스템(ABSD: Active Blind Spot Detection), 차량 주변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AVM: Around View Monitor) 등이 있다.
이러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에서 카메라 모듈은 레이더(Radar) 등과 함께 핵심 부품으로 기능을 하며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비중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의 경우 차량 전방 카메라 센서와 레이더 센서로 전방 차량이나 보행자를 감지,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긴급 제동해 줄 수 있다. 또는 주행 조향보조 시스템(LKAS)의 경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운전자가 방향지시 등 조작 없이 차로를 이탈하는지 감지하여 자동으로 핸들을 조향해 차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AVM)의 경우 차량의 사방에 배치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차량 주변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 상에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제1 절연 영역, 및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절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신호 전달을 위한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와 분리되는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단자부;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 및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패턴부와 분리된 제2-2 패턴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패턴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상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중앙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단자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단자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오픈부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영역은,
    상기 제2 단자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 단자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의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단자 오픈부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오픈부 및 상기 제2 단자 오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절연부의 상기 이격 영역과 연결되지 않는,
    회로 기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이격되는 고정 패드 오픈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패드 오픈부는 상기 이격 영역과 연결되는,
    회로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패턴부의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의 상기 제2-1 패턴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패턴부의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의 상기 제2-2 패턴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을 제외한 제4 부분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영역은 제1 내지 제4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는 절곡 부분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자부에 연결되는,
    회로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제1-1 내지 제1-4 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1 내지 제1-4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내지 제1-4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상기 제1-1 내지 제1-4 변 영역과 각각 마주보는 제2-1 내지 제2-4 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1 내지 제2-4 변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2-1 내지 제2-4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내지 제1-4 단자는,
    상기 이격 영역의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 중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로 기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내지 제2-4 단자는,
    상기 이격 영역의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 중 서로 다른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로 기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1 단자부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자부 각각에 연결되는,
    회로 기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1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1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4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2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2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3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1-3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3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1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1-4 단자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4 단자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제2-2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4 코너부의 각각의 일부 영역을 오픈하는 오픈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오픈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결부의 개수는 상기 외측 연결부의 개수보다 적은,
    회로 기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외측 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절곡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19. 제1 절연 영역,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절연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부;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단자부와, 상기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단자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배치되는 제2-1 패턴부와, 상기 제2 단자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절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패턴부와 분리된 제2-2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센서 기판; 및
    상기 센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센서 기판을 관통하는 비아를 포함하고,
    상기 비아는 접착부를 통해 상기 제2-1 패턴부와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2-1 패턴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 영역을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관통 홀 내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패턴부의 면적은,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절연 영역의 면적보다 큰,
    이미지 센서 모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절연 영역에 형성된 관통 홀 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영역은,
    상기 제1 단자부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부의 일부를 오픈하는 제1 단자 오픈부, 및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오픈부와 이격되는 고정 패드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기판의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는 제1-1 패드와,
    상기 고정 패드 오픈부 내에 삽입되는 제1-2 패드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24.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영역 및 상기 제1 이동부에 연결되는 영역을 포함하며,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포함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장치.
  25. 제24항에 포함된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이동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051997A 2021-04-21 2021-04-21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KR20220145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97A KR20220145215A (ko) 2021-04-21 2021-04-21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JP2022070047A JP7471341B2 (ja) 2021-04-21 2022-04-21 回路基板、イメージセンサーモジュール、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US17/726,135 US11936968B2 (en) 2021-04-21 2022-04-21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module,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2210425542.8A CN115226288A (zh) 2021-04-21 2022-04-21 电路板、图像传感器模块、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EP22169134.8A EP4084586A1 (en) 2021-04-21 2022-04-21 A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module,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23152129A JP2024001896A (ja) 2021-04-21 2023-09-20 回路基板、イメージセンサーモジュール、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US18/428,017 US20240171839A1 (en) 2021-04-21 2024-01-31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module,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97A KR20220145215A (ko) 2021-04-21 2021-04-21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215A true KR20220145215A (ko) 2022-10-28

Family

ID=8383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997A KR20220145215A (ko) 2021-04-21 2021-04-21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520B1 (en) Camera module
US9491364B2 (en) Camera module
CN114788421A (zh) 用于图像传感器的基板
KR20220145215A (ko) 기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US20240064404A1 (en) Sensor driving device
KR2022011304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40094597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20129357A (ko) 센서 이동 기판,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6113879A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20210132382A (ko) 회로기판, 센서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4084586A1 (en) A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module,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157701A (ko) 기판,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6327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20108955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48944A (ko) 기판,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26000A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7981340A (zh) 传感器驱动装置和包括该传感器驱动装置的相机模块
KR20220109674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62509A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40820A (ko) 기판,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09684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167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59675A (ko) 기판,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03882A (ko) 카메라 장치
KR2022014926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