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818A - 기판 실장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실장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818A
KR20220144818A KR1020227030285A KR20227030285A KR20220144818A KR 20220144818 A KR20220144818 A KR 20220144818A KR 1020227030285 A KR1020227030285 A KR 1020227030285A KR 20227030285 A KR20227030285 A KR 20227030285A KR 20220144818 A KR20220144818 A KR 2022014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terminals
holding
straigh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롱 페이
무네히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 실장용 커넥터(1)는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제1 실장부(M1), 타단부가 제1 접속부(C1)가 되는 복수의 제1 직선 단자(T1)와,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실장부(M2), 제2 실장부(M2)의 단부로부터 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J2) 및 제2 연결부(J2)의 단부로부터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접속부(C2)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굴곡 단자(T2)와, 복수의 제1 직선 단자(T1)와 복수의 제2 굴곡 단자(T2)를, Y 방향을 따라 교호로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H)를 구비한다. 보유지지부(H)는, 복수의 제1 실장부(M1)와 복수의 제2 실장부(M2)를, XY 방향을 포함하는 제1 평면에 배치하고, 각 제2 접속부(C2)를 제1 평면의 수선 방향으로 각 제1 접속부(C1)로부터 거리 Dz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한다.

Description

기판 실장용 커넥터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해서 사용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쇄 배선 기판의 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단자가 2열, 정렬 상태에서 고정된 표면 실장형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면 실장형 커넥터는, 수형 단자의 리드부가, 기판 방향을 향해서 굴곡하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한 리드부의 선단이, 인쇄 배선 기판의 표면에 납땜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9-12928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면 실장형 커넥터를 삽입 발출할 때에 리드부의 굴곡 부분에 삽입 발출에 의한 스트레스가 걸리기 쉽다. 그 때문에, 리드부가 변형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단자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기판 실장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는, 기판에 표면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이며,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제1 실장부, 타단부가 제1 접속부가 되는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실장부, 상기 제2 실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굴곡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교호로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실장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실장부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제1 평면에 배치하고, 상기 각 제2 접속부를 상기 제1 평면의 수선 방향으로 상기 각 제1 접속부로부터 소정의 제1 거리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는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단자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 실장용 커넥터(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를 복수 배열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의 변형예에 관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b)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b)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b)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은, 동일한 구성인 것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각 도면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서 적절히 XYZ 직교 좌표축을 기재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1)가 기판(B)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판 실장용 커넥터(1)는 기판(B)에 표면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기판 실장용 커넥터(1)는 복수의 제1 직선 단자(T1), 복수의 제2 굴곡 단자(T2), 복수의 제3 직선 단자(T3), 복수의 제4 굴곡 단자(T4), 및 이들 단자(T1 내지 T4)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H)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T1 내지 T4)는, 예를 들어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유지지부(H)는,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직선 단자(T1)와 복수의 제2 굴곡 단자(T2)는, Y 방향(제2 방향)을 따라 거리 Dy의 등간격으로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3 직선 단자(T3)와 복수의 제4 굴곡 단자(T4)는, Y 방향을 따라 거리 Dy의 등간격으로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직선 단자(T1)와 복수의 제4 굴곡 단자(T4)는, Z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굴곡 단자(T2)와 복수의 제3 직선 단자(T3)는 Z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 직선 단자(T1)는, X 방향(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직선 단자(T1)의 일단부가 제1 실장부(M1), 타단부가 제1 접속부(C1)로 되어 있다.
제2 굴곡 단자(T2)는, 제2 실장부(M2), 제2 연결부(J2) 및 제2 접속부(C2)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 굴곡 단자(T2)는, 전체로서, 제2 연결부(J2)에서 굴곡한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실장부(M2)는,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연결부(J2)는, 제2 실장부(M2)의 제2 접속부(C2) 측단부로부터, X 방향에 대하여 경사 또는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이며, 제3 직선 단자(T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접속부(C2)는, 제2 연결부(J2)의, 제2 실장부(M2)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3 직선 단자(T3)는, 제1 직선 단자(T1)와 대략 마찬가지인,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3 직선 단자(T3)의 일단부가 제3 실장부(M3), 타단부가 제3 접속부(C3)로 되어 있다.
제4 굴곡 단자(T4)는, 제4 실장부(M4), 제4 연결부(J4) 및 제4 접속부(C4)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4 굴곡 단자(T4)는, 전체로서, 제2 굴곡 단자(T2)와 대략 마찬가지인, 제4 연결부(J4)에서 굴곡한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4 실장부(M4)는,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4 연결부(J4)는, 제4 실장부(M4)의 제4 접속부(C4) 측단부로부터, X 방향에 대하여 경사 또는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이며, 제1 직선 단자(T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접속부(C4)는, 제4 연결부(J4)의, 제4 실장부(M4)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X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접속부(C1), 제2 접속부(C2), 제3 접속부(C3), 및 제4 접속부(C4)는, 커넥터의 수형 단자이며, 서로 굵기가 동등한 원주상 또는 각주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기판(B)은 제1 면(F1)과, 제2 면(F2)을 갖고 있다. 제1 면(F1) 및 제2 면(F2)은, X 방향 및 Y 방향을 포함하는 XY 평면이다. 제1 면(F1)은 제1 평면, 제2 면(F2)은 제2 평면에 대응하고 있다. 기판(B)의 두께는 Wb이며, 제1 면(F1)과 제2 면(F2)은, 두께 Wb만큼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제1 실장부(M1) 및 제2 실장부(M2)는, 제1 면(F1)에 배치되고, 제1 면(F1)에 납땜 등에 의해 표면 실장된다. 제3 실장부(M3) 및 제4 실장부(M4)는, 제2 면(F2)에 배치되고, 제2 면(F2)에 납땜 등에 의해 표면 실장된다.
보유지지부(H)는, 제1 실장부(M1) 및 제2 실장부(M2)를 제1 면(F1)에 실장 가능하도록, 제1 실장부(M1) 및 제2 실장부(M2)를 제1 면(F1)에 대응하는 제1 평면에 배치한다. 보유지지부(H)는, 제3 실장부(M3) 및 제4 실장부(M4)를 제2 면(F2)에 실장 가능하도록, 제3 실장부(M3) 및 제4 실장부(M4)를 제2 면(F2)에 대응하는 제2 평면에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유지지부(H)는, 제1 실장부(M1) 및 제2 실장부(M2)에 있어서의 외주의, 제4 실장부(M4) 및 제3 실장부(M3)에 가까운 측이 제1 평면에 위치하고, 제3 실장부(M3) 및 제4 실장부(M4)에 있어서의 외주의, 제2 실장부(M2) 및 제1 실장부(M1)에 가까운 측이 제2 평면에 위치하도록, 제1 실장부(M1), 제2 실장부(M2), 제3 실장부(M3) 및 제4 실장부(M4)를 보유지지한다.
이 경우, 제1 실장부(M1)와 제4 실장부(M4) 사이, 및 제2 실장부(M2)와 제3 실장부(M3) 사이에 있어서의, 외주간의 Z 방향의 거리는, 기판(B)의 두께 Wb와 동등하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직선 단자(T1) 및 제3 직선 단자(T3)는, 모두 대략 직선상의 봉상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장부(M1)와 제3 실장부(M3)의 외주간의 Z 방향의 거리가 기판(B)의 두께 Wb와 동등하면, 제1 접속부(C1)와 제3 접속부(C3)의 외주간의 Z 방향의 거리도 또한, 기판(B)의 두께 Wb와 동등하다. 또한, 제1 접속부(C1)와 제2 접속부(C2) 사이의 Y 방향의 거리 및 제3 접속부(C3)과 제4 접속부(C4) 사이의 Y 방향의 거리도 또한, 거리 Dy로 되어 있다.
제1 접속부(C1), 제2 접속부(C2), 제3 접속부(C3), 및 제4 접속부(C4)는 굵기가 동등하므로, 이들 접속부(C1 내지 C4)의 Z 방향의 폭을 Wz라 한다. 그렇게 하면, 제1 접속부(C1)와 제3 접속부(C3) 사이의 Z 방향의 거리 Dz는, 하기의 식 (1)로 표현된다. 거리 Dz=Wb+Wz/2+Wz/2=Wb+Wz … (1)
또한, 제1 접속부(C1), 제2 접속부(C2), 제3 접속부(C3), 및 제4 접속부(C4)의 상호간 거리 Dy, Dz 및 후술하는 거리 D는, 이들 접속부(C1 내지 C4)의 축심간의 거리다. 거리 Dy는 거리 Dz와 동등하다.
보유지지부(H)는, 제2 접속부(C2)를, 제1 평면의 수선 방향인 Z 방향으로, 제1 접속부(C1)로부터 거리 Dz(제1 거리)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한다. 보유지지부(H)는, 제4 접속부(C4)를, 제2 평면의 수선 방향인 Z 방향으로, 제3 접속부(C3)로부터 거리 Dz(제2 거리)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제1 거리와 제2 거리가 동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H)는, 제1 접속부(C1), 제2 접속부(C2), 제3 접속부(C3), 및 제4 접속부(C4)의 선단을, Y 방향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정방격자의 교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정방격자의 한변의 길이에 상당하는, 제1 접속부(C1), 제2 접속부(C2), 제3 접속부(C3), 및 제4 접속부(C4) 상호간의 간격은, 거리 D=(Dy2+Dz2)1/2가 된다.
기판 실장용 커넥터(1)의 구성에 따르면, 대략 직선 형상을 갖는 제1 직선 단자(T1) 및 제3 직선 단자(T3)가, 그들의 일단부측에서 기판(B)에 표면 실장되어, 타단부측의 제1 접속부(C1) 및 제3 접속부(C3)가 커넥터의 수형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기판 실장용 커넥터(1)를 삽입 발출할 때에 제1 접속부(C1) 및 제3 접속부(C3)에 가해진 하중은, 제1 직선 단자(T1) 및 제3 직선 단자(T3)에 직선적으로 전해진다. 그 결과, 기판 실장용 커넥터(1)는, 제1 직선 단자(T1) 및 제3 직선 단자(T3)의 일부에 하중이 집중하는 일이 없어,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제1 직선 단자(T1) 및 제3 직선 단자(T3)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J2) 및 제4 연결부(J4)는, 보유지지부(H)에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실장용 커넥터(1)를 삽입 발출할 때에 제2 접속부(C2) 및 제4 접속부(C4)에 가해진 하중은, 제2 연결부(J2) 및 제4 연결부(J4)와 보유지지부(H)로 분산해서 받아 들여진다. 그 결과, 제2 연결부(J2) 및 제4 연결부(J4)에 가해지는 하중이 저감되므로,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제2 굴곡 단자(T2) 및 제4 굴곡 단자(T4)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제2 연결부(J2) 및 제4 연결부(J4)가 보유지지부(H)에 매설됨으로써, 보유지지부(H)가 제2 연결부(J2) 및 제4 연결부(J4)의 변형을 방해한다. 그 결과,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제2 굴곡 단자(T2) 및 제4 굴곡 단자(T4)의 변형이 더욱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2 연결부(J2) 및 제4 연결부(J4)를 보유지지부(H)에 매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몰드 성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거리 Db의 간격으로 복수의 기판(B)를 평행하게 배열하고, 각 기판(B)의 단부에 기판 실장용 커넥터(1)를 설치하면, 복수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1)에 걸쳐서, 접속부(C1 내지 C4)를, 정방격자의 교점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거리 Db는, 거리 Dz의 4배와 같다.
도 6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a)는, 제1 접속부(C1)의 열과 제2 접속부(C2)의 열을 포함하는 2열 커넥터이다. 기판 실장용 커넥터(1a)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1)와는, 제3 직선 단자(T3) 및 제4 굴곡 단자(T4)를 구비하지 않고, 보유지지부(H) 대신에 보유지지부(Ha)를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보유지지부(Ha)는, 제1 접속부(C1) 및 제2 접속부(C2)만을 보유지지부(H)와 마찬가지로 보유지지한다.
기판 실장용 커넥터(1a)에 의하면, 한 쌍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1a)를 기판(B)의 양면에, Z 방향의 방향을 반전해서 설치함으로써, 기판 실장용 커넥터(1)와 마찬가지인 4열 커넥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보유지지부(Ha)는, 보유지지부(H)와 마찬가지로, 제2 접속부(C2)를, 제1 평면의 수선 방향인 Z 방향으로, 제1 접속부(C1)로부터 거리 Dz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한다. 그 결과, 기판(B)의 양면에 설치된 한 쌍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1a)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접속부(C1)의 간격도 또한, 거리 Dz가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1a)를 기판(B)의 양면에, Z 방향의 방향을 반전해서 설치함으로써, 4열분의 제1 접속부(C1) 및 제2 접속부(C2)를, 정방격자의 교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a)는, 기판(B)의 편면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실장용 커넥터(1b)의 보유지지부(Hb)는 제1 커넥터(1b1)와, 제2 커넥터(1b2)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커넥터(1b1)는, 제1 보유지지부(H1), 복수의 제1 직선 단자(T1b) 및 복수의 제2 굴곡 단자(T2b)를 포함한다. 제1 보유지지부(H1)는, 복수의 제1 직선 단자(T1b)와 복수의 제2 굴곡 단자(T2b)를 수지 몰드에 의해 보유지지한다.
제2 커넥터(1b2)는, 제2 보유지지부(H2), 복수의 제3 직선 단자(T3b) 및 복수의 제4 굴곡 단자(T4b)를 포함한다. 제2 보유지지부(H2)는, 복수의 제3 직선 단자(T3b)와 복수의 제4 굴곡 단자(T4b)를 수지 몰드에 의해 보유지지한다.
제1 보유지지부(H1)는, 제2 보유지지부(H2)와 대향하는 대략 평탄한 제1 벽면(Fb1)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보유지지부(H2)는, 제1 보유지지부(H1)와 대향하는 대략 평탄한 제2 벽면(Fb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벽면(Fb1)과 제2 벽면(Fb2)은, 제1 보유지지부(H1)와 제2 보유지지부(H2)가 조합된 상태에서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제1 벽면(Fb1)으로부터는 볼록부(2)가 돌출하고, 제2 벽면(Fb2)에서는 오목부(3)가 오목하게 가라앉아 있다. 볼록부(2)와, 오목부(3)가 감합함으로써, 제1 보유지지부(H1)와 제2 보유지지부(H2)가 위치 결정되고, 일체로 조합되어 있다. 제1 보유지지부(H1)와 제2 보유지지부(H2)는 볼록부(2)와 오목부(3)의 감합력에 의해 일체로 보유지지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제1 벽면(Fb1)과 제2 벽면(Fb2)이 접착되어 일체로 보유지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커넥터(1b1)와 제2 커넥터(1b2)가 조합된 기판 실장용 커넥터(1b)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와 마찬가지인 핀 배치로 제1 직선 단자(T1b), 제2 굴곡 단자(T2b), 제3 직선 단자(T3b) 및 제4 굴곡 단자(T4b)의 각 단자(T1b 내지 T4b)를 보유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는 제2 벽면(Fb2)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오목부(3)는 제1 벽면(Fb1)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단자(T1b 내지 T4b)는, 단자(T1 내지 T4)와는,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직선 단자(T1b) 및 제3 직선 단자(T3b)에 있어서의 제1 실장부(M1b) 및 제3 실장부(M3b)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직선 단자(T1b) 및 제3 직선 단자(T3b)에 있어서의 제1 접속부(C1b) 및 제3 접속부(C3b)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팔각형으로 되어 있다.
제2 굴곡 단자(T2b) 및 제4 굴곡 단자(T4b)에 있어서의, 제2 실장부(M2b), 제4 실장부(M4b), 제2 연결부(J2b) 및 제4 연결부(J4b)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접속부(C2b)는, 제2 연결부(J2b)에 이어지는 직사각형부(C2b1)와, 직사각형부(C2b1)에 이어지는 접속부(C2b2)를 포함한다. 제4 접속부(C4b)는, 제4 연결부(J4b)에 이어지는 직사각형부(C4b1)와, 직사각형부(C4b1)에 이어지는 접속부(C4b2)를 포함한다. 직사각형부(C2b1, C4b1)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부(C2b2, C4b2)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팔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C1b), 제3 접속부(C3b) 및 접속부(C2b2, C4b2)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어도 된다.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핀 형상은, 커넥터의 수형 핀 형상으로서 적합하다.
제1 접속부(C1b), 제3 접속부(C3b) 및 접속부(C2b2, C4b2)는, 보유지지부(Hb)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자(T1b 내지 T4b)에 있어서의, 보유지지부(Hb)로부터 제1 실장부(M1b), 제2 실장부(M2b), 제3 실장부(M3b), 제4 실장부(M4b)측의 부분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된다. 또한, 단자(T1b 내지 T4b)에 있어서의, 보유지지부(Hb)로부터 제1 접속부(C1b), 제2 접속부(C2b), 제3 접속부(C3b), 제4 접속부(C4b)측에는, 보유지지부(Hb)로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과, 그 직사각형의 부분으로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부분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Hb)로부터 단자(T1b 내지 T4b)가 돌출하는 부분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된다.
기판 실장용 커넥터(1b)는, 제1 커넥터(1b1)와, 제2 커넥터(1b2)를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제조한 후, 제1 커넥터(1b1)와, 제2 커넥터(1b2)를 결합해서 제작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b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금형(101, 102)에 의해, 수지 몰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커넥터(1b2)도 또한, 제1 커넥터(1b1)와 마찬가지로, 2개의 금형을 사용해서 수지 몰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를, 수지 몰드로 제조하고자 하면, 제1 실장부(M1)와 제4 실장부(M4) 사이, 제2 실장부(M2)와 제3 실장부(M3) 사이, 제1 접속부(C1)와 제4 접속부(C4) 사이 및 제2 접속부(C2)와 제3 접속부(C3)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보유지지부(H)의 벽을 성형하기 위한 삽입편(삽입자)이 필요해진다.
즉, 제1 커넥터(1b1)와, 제2 커넥터(1b2)를 조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1b)는, 수지 몰드 시에 금형의 삽입편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판 실장용 커넥터(1)와 비교해서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1b)는, 보유지지부(Hb)로부터 단자(T1b 내지 T4b)가 돌출하는 부분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단자(T1b 내지 T4b)가 돌출하는 부분의 금형(101, 102)의 형상이 직사각 형상의 절결이 된다. 이러한 직사각 형상의 단자(T1b 내지 T4b)와 직사각 형상의 절결은, 밀착하기 쉽고, 따라서 수지 몰드 시에 금형(101, 102) 내로부터 수지가 새기 어렵다.
또한, 반드시 거리 Dy와 거리 Dz가 동등한 예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거리 Dy와 거리 Dz가 다른 경우, 접속부(C1 내지 C4) 및 접속부(C1b 내지 C4b)를, 마름모 형상의 격자의 교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거리 Dz는 식 (1)을 충족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1 거리와 제2 거리가 모두 거리 Dz로 동등한 예를 나타냈지만, 제1 거리와 제2 거리는 달라도 된다. 또한, 제2 연결부(J2, J2b) 및 제4 연결부(J4, J4b) 중 적어도 한쪽은, 보유지지부(H, Ha, Hb)에 매설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는, 기판에 표면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이며,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제1 실장부, 타단부가 제1 접속부가 되는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실장부, 상기 제2 실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굴곡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교호로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실장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실장부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제1 평면에 배치하고, 상기 각 제2 접속부를 상기 제1 평면의 수선 방향으로 상기 각 제1 접속부로부터 소정의 제1 거리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대략 직선 형상을 갖는 제1 직선 단자가, 일단부측의 제1 실장부에서 기판에 표면 실장되고, 타단부측의 제1 접속부가 커넥터 단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기판 실장용 커넥터를 삽입 발출할 때에 제1 접속부에 가해진 하중은, 제1 직선 단자에 직선적으로 전해진다. 그 결과, 기판 실장용 커넥터는, 제1 직선 단자의 일부에 하중이 집중할 우려가 저감된다. 따라서, 이 기판 실장용 커넥터는,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단자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1 직선 단자의 상기 수선 방향의 폭과 상기 기판의 두께를 가산한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를 기판의 양면에, 방향을 반전해서 설치함으로써, 4열 커넥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속부의 열과, 제2 접속부의 열과의 간격인 제1 거리가, 제1 직선 단자의 수선 방향의 폭과 기판의 두께를 가산한 길이와 같다. 그 결과, 한 쌍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접속부의 열 간격도 또한, 제1 거리가 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를 사용하여, 단자가 4열 등간격으로 배치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굴곡해서 하중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쉬운 제2 연결부가 보유지지부에 매설되므로, 보유지지부가 제2 연결부의 변형을 방해한다. 그 결과,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제2 굴곡 단자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제3 실장부, 타단부가 제3 접속부가 되는 복수의 제3 직선 단자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4 실장부, 상기 제4 실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4 접속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4 굴곡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유지지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3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4 굴곡 단자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호로 보유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실장부와 상기 복수의 제4 실장부를 제2 평면에 배치하고, 상기 각 제4 접속부를 상기 제2 평면의 수선 방향으로 상기 각 제3 접속부로부터 소정의 제2 거리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두께와 같은 거리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단자가 4열 배치된 커넥터가 얻어진다. 또한, 제1 직선 단자와 마찬가지로, 제3 직선 단자에 대해서도, 제3 직선 단자의 일부에 하중이 집중할 우려가 저감된다. 따라서, 이 기판 실장용 커넥터는,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단자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3 직선 단자의 상기 수선 방향의 폭과 상기 기판의 두께를 가산한 길이와 같고,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각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각 제4 굴곡 단자를 각각 대향 배치하고, 상기 각 제2 굴곡 단자와 상기 각 제3 직선 단자를 각각 대향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단자가 4열 등간격으로 배치된 커넥터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굴곡해서 하중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쉬운 제4 연결부가 보유지지부에 매설되므로, 보유지지부가 제4 연결부의 변형을 방해한다. 그 결과, 삽입 발출 스트레스에 의한 제4 굴곡 단자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를 수지 몰드에 의해 보유지지하는 제1 보유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제3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4 굴곡 단자를 수지 몰드에 의해 보유지지하는 제2 보유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유지지부는, 상기 제2 보유지지부와 대향하는 제1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보유지지부는, 상기 제1 벽면과 밀착하는 제2 벽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판 실장용 커넥터를, 제1 직선 단자와 제2 굴곡 단자를 제1 보유지지부에서 보유지지하는 부분과, 제3 직선 단자와 제4 굴곡 단자를 제2 보유지지부에서 보유지지하는 부분을 분리된 상태에서 수지 몰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지 몰드를 위한 금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벽면 중, 한쪽의 벽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벽면에는 상기 볼록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볼록부를 오목부에 감합시킴으로써 제1 직선 단자와 제2 굴곡 단자가 제1 보유지지부에서 보유지지된 부분과, 제3 직선 단자와 제4 굴곡 단자가 제2 보유지지부에서 보유지지된 부분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실장부측의 부분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접속부측에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과, 그 직사각형의 부분으로 이어짐과 함께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유지지부로부터 제1 직선 단자 및 제2 굴곡 단자가 돌출하는 부분에서는, 제1 직선 단자 및 제2 굴곡 단자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된다. 그 결과, 수지 몰드로 보유지지부를 성형하는 경우에, 제1 직선 단자 및 제2 굴곡 단자가 금형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금형 형상이 직사각 형상의 절결이 된다. 직사각 형상의 단자 형상과 직사각 형상의 금형 절결은 밀착하기 쉽다. 그 결과, 수지 몰드 시에, 금형 내에서 수지가 새기 어려워진다. 또한,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핀 형상은, 커넥터의 수형 핀 형상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제3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제4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실장부측의 부분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1, 제3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제4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접속부측에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과, 그 직사각형의 부분으로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유지지부로부터 제1, 제3 직선 단자 및 제2, 제4 굴곡 단자가 돌출하는 부분에서는, 이들 단자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된다. 그 결과, 수지 몰드로 보유지지부를 성형하는 경우에, 이들 단자가 금형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금형 형상이 직사각 형상의 절결이 된다. 직사각 형상의 단자 형상과 직사각 형상의 금형 절결은 밀착하기 쉽다. 그 결과, 수지 몰드 시에, 금형 내에서 수지가 새기 어려워진다. 또한,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핀 형상은, 커넥터의 수형 핀 형상으로서 적합하다.
1, 1a, 1b: 기판 실장용 커넥터
B: 기판
C1, C1b: 제1 접속부
C2, C2b: 제2 접속부
C2b1, C4b1: 직사각형부
C2b2, C4b2: 접속부
C3, C3b: 제3 접속부
C4, C4b: 제4 접속부
D, Db, Dy: 거리
Dz: 거리(제1 거리, 제2 거리)
F1: 제1 면
F2: 제2 면
Fb1: 제1 벽면
Fb2: 제2 벽면
H, Ha, Hb: 보유지지부
J2, J2b: 제2 연결부
J4, J4b: 제4 연결부
M1, M1b: 제1 실장부
M2, M2b: 제2 실장부
M3, M3b: 제3 실장부
M4, M4b: 제4 실장부
T1, T1b: 제1 직선 단자
T2, T2b: 제2 굴곡 단자
T3, T3b: 제3 직선 단자
T4, T4b: 제4 굴곡 단자
X 방향(제1 방향)
Y 방향(제2 방향)

Claims (10)

  1. 기판에 표면 실장하기 위한 기판 실장용 커넥터이며,
    소정의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제1 실장부, 타단부가 제1 접속부가 되는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실장부, 상기 제2 실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굴곡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교호로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실장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실장부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제1 평면에 배치하고, 상기 각 제2 접속부를 상기 제1 평면의 수선 방향으로 상기 각 제1 접속부로부터 소정의 제1 거리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1 직선 단자의 상기 수선 방향의 폭과 상기 기판의 두께를 가산한 길이와 같은, 기판 실장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매설되어 있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제3 실장부, 타단부가 제3 접속부가 되는 복수의 제3 직선 단자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4 실장부, 상기 제4 실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연결부 및 상기 제4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4 접속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4 굴곡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유지지부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3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4 굴곡 단자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호로 보유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실장부와 상기 복수의 제4 실장부를 제2 평면에 배치하고, 상기 각 제4 접속부를 상기 제2 평면의 수선 방향으로 상기 각 제3 접속부로부터 소정의 제2 거리 이격시켜서 보유지지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두께와 같은 거리 이격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3 직선 단자의 상기 수선 방향의 폭과 상기 기판의 두께를 가산한 길이와 같고,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각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각 제4 굴곡 단자를 각각 대향 배치하고, 상기 각 제2 굴곡 단자와 상기 각 제3 직선 단자를 각각 대향 배치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매설되어 있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를 수지 몰드에 의해 보유지지하는 제1 보유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제3 직선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4 굴곡 단자를 수지 몰드에 의해 보유지지하는 제2 보유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유지지부는, 상기 제2 보유지지부와 대향하는 제1 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보유지지부는, 상기 제1 벽면과 밀착하는 제2 벽면을 구비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벽면 중, 한쪽의 벽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벽면에는 상기 볼록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실장부측의 부분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1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접속부측에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과, 그 직사각형의 부분으로 이어짐과 함께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제3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제4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실장부측의 부분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며,
    상기 복수의 제1, 제3 직선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제4 굴곡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접속부측에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과, 그 직사각형의 부분으로 이어짐과 함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인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KR1020227030285A 2020-03-03 2021-02-13 기판 실장용 커넥터 KR20220144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6190 2020-03-03
JP2020036190 2020-03-03
PCT/JP2021/005379 WO2021177003A1 (ja) 2020-03-03 2021-02-13 基板実装用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818A true KR20220144818A (ko) 2022-10-27

Family

ID=7761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285A KR20220144818A (ko) 2020-03-03 2021-02-13 기판 실장용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548292B2 (ko)
KR (1) KR20220144818A (ko)
CN (1) CN115210957A (ko)
TW (1) TW202135384A (ko)
WO (1) WO20211770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9288A (ja) 1995-11-01 1997-05-1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3448B1 (en) 1989-04-17 1998-07-22 Connector Systems Technology N.V. Coaxial connector for connection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2543600B2 (ja) * 1989-10-17 1996-10-16 ジューキ株式会社 プリンタ
JPH07272803A (ja) * 1994-03-31 1995-10-20 Amp Japan Ltd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9288A (ja) 1995-11-01 1997-05-1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003A1 (ja) 2021-09-10
JP7548292B2 (ja) 2024-09-10
CN115210957A (zh) 2022-10-18
JPWO2021177003A1 (ko) 2021-09-10
TW202135384A (zh)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8771B2 (en) Electr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976319B2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solder tails
JP663558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3975072A (en) Low profile integrated circuit connector and method
US7341482B2 (en) Strain relief for ball grid array connectors
JP2007535102A (ja) プリント配線板との無はんだの電気的な接続のためのピン、圧入工具ならびに無はんだの電気的な接続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JP2021064443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7257445B2 (ja) 基板モジュール
KR101452626B1 (ko)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KR20220144818A (ko) 기판 실장용 커넥터
EP0654184B1 (en) Conne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515993B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및 그 접촉자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JPH10199640A (ja) 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JP2015062201A (ja) 接続部材
US6896559B2 (en) Pin retention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JP5065112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US5277618A (en) Connector having fixing 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JP2018147857A (ja) 接続装置、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S61227386A (ja) グランド端子板を有する多極コネクタおよびその作成方法
JP2020202012A (ja) 端子及びコネクタ
US5334047A (en) Electrical connector mounting posts
CN111128525B (zh) 导磁芯体、无线充电线圈组件和无线充电装置
KR102330375B1 (ko) 보호소자가 구비된 커넥터
US11146010B2 (en) Overmolded contact assembly
JP2021168265A (ja) 同軸コネクタおよび基板接続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