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601A -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 - Google Patents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601A
KR20220144601A KR1020210051115A KR20210051115A KR20220144601A KR 20220144601 A KR20220144601 A KR 20220144601A KR 1020210051115 A KR1020210051115 A KR 1020210051115A KR 20210051115 A KR20210051115 A KR 20210051115A KR 20220144601 A KR20220144601 A KR 20220144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fiber
mask sheet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길
이재용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Priority to KR102021005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601A/ko
Publication of KR2022014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32B5/267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spunbond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착용자의 안면에 대응되는 형상이되, 적어도 일면에 양극 금속 분말이 분산 도포된 구조의 시트 부재; 및 시트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트 형태로 형성되는 음극 패턴; 을 포함하며, 자체적으로 미세 전류를 생성하므로 피부의 미용 효과 및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MULTI-LAYER MASK SHEET WITH EXCELLENT TOUCH AND STRENGTH}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모공 깊숙이 쌓여있는 피지와 노폐물을 제거해주고, 얼굴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는 기능을 주로 하며, 그 종류로는 머드나 황토를 원료로하는 머드 또는 황토 마스크팩, 알로에를 원료로하는 알로에 마스크팩, 오이를 원료로하는 오이 마스크팩, 수분공급을 중점으로하는 워터 마스크팩, 천연과일을 원료로 하는 과일 마스크팩 등 다양한 마스크팩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팩은 부직포, 종이 등의 마스크 시트를 얼굴 형상으로 재단하여 포장봉투에 접어넣고 거기에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제거, 미백 및 영양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액상의 마사지 원료를 충전시킨 후 밀봉 및 포장하여, 그 포장봉투 내에서 액상의 성분을 부직포, 종이 등에 함침시킨 형태나, 마스크 시트의 표면에 유효성분을 겔(gel)화한 마사지층을 가지는 구조이다.
또한, 최근에는 마스크 팩의 강도 및 형태 안정성, 보습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직포를 여러 층 적층한 마스크 팩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마스크 팩은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섬유 소재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직포는 고압 수류로 섬유를 교락시켜,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의 스펀레이스, 방사에 의해 직접 결합하며 주로 자기접착으로 결합하는 방식의 스펀본드, 바인더가 없는 초극세섬유로 제조되는 멜트브로우, 특수바늘로 웹을 교략하여 결합하는 방식의 니들펀치, 마지막으로 실로 재봉하여 만들어지는 스티치본드 방식의 부직포가 있다.
특히,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5332호에는 층상 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팩 시트는 올레핀 섬유를 이용한 스펀 본드 부직포의 일면에 천연 섬유 소재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적층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펀 레이드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강도가 강한 대신 촉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촉감이 뛰어난 마스크 팩용 마스크 시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53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도가 우수하여 잘 찢어지지 않으면서도 촉감이 우수한 마스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습식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2층; 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습식 부직포는 길이 0.1 내지 10mm의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면섬유, 마섬유, 견섬유, 대나무 섬유, 레이온 섬유 및 비스코스 섬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1층의 셀룰로오스 섬유는 제2층의 셀룰로오스 섬유와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층에는 평균 직경이 0.3 내지 3mm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층의 면적 당 홀의 개수는 50 내지 500개/100cm2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 계면에 섬유 교락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합지함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촉감이 우수하며, 습식 부직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1)는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습식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층(10); 및 상기 제1층(10)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2층(20); 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펀 레이드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강도가 강한 대신 촉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습식 부직포는 촉감이 우수하나 강도가 약해 잘 찢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합지함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촉감이 우수하며, 습식 부직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2층 구조를 포함하며, 상세하게는 습식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층과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층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층으로서, 습식 부직포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섬유를 용매와 혼합하여 제조한 현탁액을 종이 뜨기 방법과 같이 패널 상에 캐스팅하여 웹을 형성하고, 상기 웹을 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층을 습식 부직포로 형성함으로써 사용 시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습식 부직포의 경우 박막화에 유리하여, 피부 밀착성이 향상된 마스크 시트 제조에 용이하다.
이 때, 상기 습식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면섬유, 마섬유, 견섬유, 대나무 섬유, 레이온 섬유 및 비스코스 섬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습식 부직포는 길이 0.1 내지 10mm의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습식 부직포는 길이 0.1 내지 5mm의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습식 부직포에 있어 단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습식 부직포 제조 시 섬유가 용매 내에서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습식 부직포의 질감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습식 부직포 내 섬유의 길이가 0.1 mm 미만이면, 섬유 사이의 결합력이 떨어져 부직포의 형태 안정성이 저하되고, 반면에, 10 mm를 초과하면, 습식 부직포 제조 시 용매에 섬유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식 부직포는 평량이 1 내지 20gsm(g/m2)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1 내지 15gsm, 1 내지 10gsm, 또는 1 내지 5gsm일 수 있다. 상기 평량은 단위 면적(m2) 당 중량을 의미하며, 섬유의 종류 및 직조 구조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중량의 습식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마스크 팩의 중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일한 중량의 마스크 시트를 사용함에도 마스크 시트 내에서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차지하는 중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마스크 팩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식 부직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섬유는 그 섬도가 0.1 내지 1.5데니어 또는 0.5 내지 1.0데니어일 수 있다. 섬도가 상기 범위 이내일 때 습식 부직포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섬유 교락 구조를 형성하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제2층은 제1층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마스크 착용 시 공기 중에 노출되는 층으로,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고압 수류로 섬유를 교락시켜,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제2층으로 강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습식 부직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마스크 시트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고, 외부 환경과의 접촉에도 마스크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면섬유, 마섬유, 견섬유, 대나무 섬유, 레이온 섬유 및 비스코스 섬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제1층의 셀룰로오스 섬유는 제2층의 셀룰로오스 섬유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각 층에 부여하고자 하는 기능 및 특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1층의 습식 부직포는 수분을 빠르게 흡수 및 발산하고,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으며, 통기성이 우수한 대나무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제2층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촉감이 뛰어나고,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면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평량이 5 내지 50gsm(g/m2)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5 내지 45gsm, 5 내지 40gsm 또는 5 내지 35gsm일 수 있다. 상기 평량은 단위 면적(m2) 당 중량을 의미하며, 섬유의 종류 및 직조 구조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스펀 레이스 부직포의 평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마스크 시트에서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차지하는 중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마스크 팩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식 부직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섬유는 그 섬도가 0.5 내지 2.0데니어 또는 1.0 내지 1.5데니어일 수 있다. 마스크 팩의 강도가 유지되기 용이하며, 습식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섬유 교락 구조를 형성하기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제2층에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은 제2층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제2층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에 다수 개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제1층의 섬유가 홀의 외주 부분에서 제2층의 섬유와 쉽게 교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섬유 교락 구조 형성이 더욱 용이해진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2층에는 평균 직경이 0.3 내지 3mm, 0.5 내지 2mm 또는 1 내지 1.5mm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홀의 평균 직경이 상기 범위일 때 제1층과 제2층 사이 섬유 교락 구조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홀의 평균 직경이 0.3mm 미만인 경우 경우 홀의 외주 부위에 섬유 교락 구조가 형성되기 어려우며, 홀의 크기가 3mm를 초과할 경우 마스크 시트의 형태 안정성 및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층의 면적 당 홀의 개수는 50 내지 500개/100cm2, 100 내지 400개/100cm2, 150 내지 300개/100cm2 또는 200 내지 250개/100cm2일 수 있다. 즉 상기 면적 당 홀의 개수는 한 변이 10cm인 정사각형 영역 내 있는 면적 당 홀의 개수를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홀의 개수가 50개/100cm2미만일 경우 섬유 교락 구조가 충분히 형성되기 어려우며, 홀의 개수가 50개/100cm2를 초과할 경우 부직포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지므로 형태 안정성 및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신율이 높은 수지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리프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아라미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중간층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간층은 신율이 50 내지 300%, 100 내지 250% 또는 150 내지 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수분 공급 시 수축률이 5 내지 15%, 상세하게는 10 내지 15%이며, 수분 건조 시 수축율이 5 내지 15%, 상세하게는 10 내지 15%일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 시트는 마스크 팩으로 제조 시 피부미용성분 조성물과 같은 수분에 함침될 때 한 번 수축하고, 이후 마스크 팩의 사용 과정에서 피부미용성분 조성물이 증발할 때 한 번 더 수축함으로써 이중 리프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에서, 제1층과 제2층 사이에는 섬유 교락 구조가 형성된다. 섬유 교락 구조란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 사이 계면에서 습식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얽혀서 형성된 구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습식 부직포의 표면 영역으로부터 상기 스펀 레이스 부직포 내부 영역의 소정 깊이까지 습식 부직포을 이루는 섬유과 얽히게 된다. 특히, 스펀 레이스 부직포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습식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홀 내부의 빈 공간으로 빠져나온 후 홀의 외주 부분에서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교락된다. 이로써, 마스크 시트는 두께 방향 단면에서 관찰했을 때 스펀 레이스 부직포와 습식 부직포가 적어도 서로 간에 일부분 중첩된 영역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중첩 영역에 섬유 교락 구조가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가 중간층을 더 포함할 경우, 섬유 교락 구조는 제1층과 중간층 및 중간층과 제2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 교락 구조는 습식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층과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2층 사이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며, 마스크 시트에 우수한 탄성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스크 시트의 피부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구조가 서로 다른 두 층이 별도의 접착층 형성 없이 결합될 수 있으며, 마스크 시트의 박형화 및 경량화에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섬유 교락 구조는 수분 또는 피부미용 성분 등에 대한 함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섬유 교락 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배치한 상태에서 고압의 워터 제트(water jet)를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층과 제2층이 결합된 상태의 마스크 시트는 평균 두께가 1 내지 5mm, 또는 2 내지 3mm이며, 평량이 20 내지 60gsm, 또는 30 내지 50gsm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마스크 시트는 이후 재단되어 피부미용성분 등이 함침됨으로써 마스크 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습식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습식 부직포를 합지하여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시트의 양면에 액체를 분사하여 스펀 레이스 부직포와 습식 부직포 사이 계면에 섬유 교락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합지함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촉감이 우수하며, 습식 부직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습식 부직포는 통상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습식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펀 레이스 부직포의 경우, 셀룰로오스 섬유를 혼타하여 섬유를 풀어내고, 혼입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카딩(carding)을 통해 얇은 막 상태의 웹을 제조한다. 상기 웹에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 분사수의 압력에 의해 셀룰로오스 섬유끼리 서로 엉키게 하여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고압 수류를 분사하기 전에 웹을 연신하여 웹의 두께를 균일화함과 동시에 원하는 범위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에 수분을 부여함으로써, 제트 수류를 분사할 때 섬유 사이의 반발을 억제하여 효과적인 부직포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스펀 레이스 부직포에는 평균 직경이 0.3 내지 3mm, 0.5 내지 2mm 또는 1 내지 1.5mm인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면적 당 홀의 개수는 50 내지 500개/100cm2, 100 내지 400개/100cm2, 150 내지 300개/100cm2 또는 200 내지 250개/100cm2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홀은 고압 수류를 분사할 때 수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부직포 형성 후 후가공 과정을 통해 부직포 상에 인위적으로 상기와 같은 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습식 부직포의 경우 셀룰로오스 섬유를 용매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형성하고, 이를 수동제지기 등을 사용하여 패널과 같은 지지 부재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웹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용매가 제거된 웹은 캘린더링 등의 압착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셀룰로오스 섬유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 과정은 섬유를 용매에 분산시키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그 길이가 0.1 내지 10mm, 또는 0.1 내지 5mm가 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습식 부직포 및 스펀 레이스 부직포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섬유는 면섬유, 마섬유, 견섬유, 대나무 섬유, 레이온 섬유 및 비스코스 섬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습식 부직포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섬유는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1층이 되는 습식 부직포는 수분을 빠르게 흡수 및 발산하고,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으며, 통기성이 우수한 대나무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제2층이 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촉감이 뛰어나고,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면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합지되어 적층 시트가 제조되면 적층 시트의 양면에 액체를 분사하여 섬유 교락 구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적층 시트를 지면에 평행하게 올려놓고, 위쪽 방향과 아래쪽 방향에서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계면에 위치한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일부가 빠져나오면서 서로 엉키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분사 방향 및 분사 횟수에 일정한 패턴을 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위쪽 방향에서 액체를 1회 분사하고, 아래쪽 방향에서 액체를 2회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액체를 분사하기 전에 상기 적층 시트를 프리 웨팅시킬 수 있다.
이 때, 액체의 분사 횟수는 3번 내지 12번, 예를 들어, 4번 내지 10번일 수 있으며, 분사 압력은 40 내지 120bar, 또는 60 내지 100bar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습식 부직포가 결합되면, 이를 건조하여 마스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건조 전 또는 건조 후에 결합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습식 부직포를 가압하여 압축함으로써 스펀 레이스 부직포 및 습식 부직포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습식 부직포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합지함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촉감이 우수하며, 습식 부직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1층으로서 평균 섬도가 0.5데니어이고, 평균 길이가 5mm인 대나무 섬유를 습식 초지하여 평균 두께 0.5mm, 평량 5gsm의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나무 섬유를 물에 3중량%의 농도로 분산시킨 후 2,000rpm으로 교반하여 펄프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이후 고해하고 장망식 초지기(Fourdrinier Machine)에 공급하여 초지시킨 후 150℃ 가열프레스에서 2분간 속도 1m/min, 2ton의 압력으로 캘린더링하여 습식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제2층으로서, 평균 섬도가 1.0 데니어인 면섬유를 카딩하여 웹을 제조한 후, 스펀 레이스 공정으로 5kgf/cm2 수류 교락 압력을 부여하고, 110℃에서 30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평균 두께 1.5mm, 평량 35gsm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 때, 후가공을 통해 스펀 레이스 부직포에 평균 직경이 1 내지 1.5mm인 홀을 다수 개 형성하였다. 상기 홀의 개수는 10×10cm 당 평균 225개였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합지하여 적층 시트를 제조하고, 10bar의 압력으로 적층 시트를 프리 웨팅한 후, 적층 시트의 윗면 및 아랫면에 60bar의 압력으로 물을 6회 분사하여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섬유 교락 구조를 형성하여 중량이 40gsm인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액체의 분사는 적층 시트의 윗면에 1회, 아랫면에 2회 분사하는 것을 1세트로 하여 총 2회 반복되었다.
비교예 1
제1층으로 실시예에 사용된 습식 부직포와 두께가 동일한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2층으로 실시예에 사용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와 두께가 동일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2층으로서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ASTM D1894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제1층에 대한 동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동마찰계수는 0.24였으며, 비교예 1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동마찰계수는 0.60였다.
실험예 2
ASTM D5035에 따라서 실시예 및 비교예 2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인장 강도는 26N/50mm였으며, 비교예 2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인장 강도는 11N/50mm였다.
실험예 3
핫멜트 점착제를 OPP 필름(35㎛)에 15g/m2로 도포한 시트를 폭 25mm로 절단한 것을 2개 준비하고 그 사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3의 마스크 시트를 적층시킨 후, 1kg 하중으로 2왕복으로 압착했다. 압착으로부터 10분간실온에 정치하고, 90도 각도, 300mm/min의 박리 속도로 접착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층 간 접착력은 480g/25mm였으며, 비교예 3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층 간 접착력은 330g/25mm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검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는 피부와 접촉하는 제1층이 습식 부직포로 되어 있어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사용된 비교예 1에 비해 촉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제2층은 스펀 레이스 부직포로 되어 있어, 습식 부직포가 사용된 비교예 2에 비해 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에서 제2층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홀이 형성되지 않은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한 비교예 3에 비해 층 간 접착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마스크 시트
10: 제1층
20: 제2층

Claims (7)

  1.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습식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2층; 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부직포는 길이 0.1 내지 10mm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면섬유, 마섬유, 견섬유, 대나무 섬유, 레이온 섬유 및 비스코스 섬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마스크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셀룰로오스 섬유는 제2층의 셀룰로오스 섬유와 상이한 마스크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에는 평균 직경이 0.3 내지 3mm인 홀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마스크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면적 당 홀의 개수는 50 내지 500개/100cm2인 마스크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 계면에 섬유 교락 구조가 형성된 마스크 시트.
KR1020210051115A 2021-04-20 2021-04-20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 KR20220144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115A KR20220144601A (ko) 2021-04-20 2021-04-20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115A KR20220144601A (ko) 2021-04-20 2021-04-20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601A true KR20220144601A (ko) 2022-10-27

Family

ID=8381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115A KR20220144601A (ko) 2021-04-20 2021-04-20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6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32A (ko)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휴비스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332A (ko)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휴비스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s et al. Composite nonwovens
EP0896645B1 (en) Durable spunlaced fabric structures
US8584328B2 (en) Process for preparing a non-woven fabric having a surface covered with microfiber and fabric obtainable with said process
JP5199953B2 (ja)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KR101976155B1 (ko) 마스크팩용 혼섬부직포
KR20120107908A (ko)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4722222B2 (ja) 化粧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09270B1 (ja) 多層繊維構造物
CN106573452B (zh) 用于软体家具的内衬
KR101887950B1 (ko)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CN110582601A (zh) 具有不同孔组的纤维素纤维非织造织物
JP5309268B1 (ja) 多層繊維構造物
JP2015048569A (ja) 不織布及び該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0155454A (ja)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5884733B2 (ja) 積層不織布とその製品
WO2006018969A1 (ja) 積層シート
US20010000585A1 (en) Durable, absorbent spunlaced fabric structures
JP5295713B2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44601A (ko)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다층 마스크 시트
EP2348147B1 (en) Process of making a non-woven cleaning cloth
KR20220144597A (ko) 밀착성 및 리프팅 효과가 우수한 마스크 시트
KR102274952B1 (ko) 3 층상구조 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44591A (ko) 이중 리프팅 효과를 갖는 마스크 시트
KR20220144602A (ko) 섬유 웹과 부직포가 합지된 구조의 마스크 시트
JPS63211354A (ja) 複合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