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000A -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000A
KR20220144000A KR1020210049663A KR20210049663A KR20220144000A KR 20220144000 A KR20220144000 A KR 20220144000A KR 1020210049663 A KR1020210049663 A KR 1020210049663A KR 20210049663 A KR20210049663 A KR 20210049663A KR 20220144000 A KR20220144000 A KR 20220144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ell
antigen receptor
chimeric antigen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화섭
전태훈
양준
이창희
이나영
박인병
강석진
박시원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뮤노로지컬디자이닝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뮤노로지컬디자이닝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뮤노로지컬디자이닝랩
Priority to KR102021004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000A/ko
Priority to PCT/KR2022/004149 priority patent/WO2022220433A1/ko
Publication of KR2022014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11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3Natural-killer cells [NK or NK-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3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recombinant expression
    • A61K39/4631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7CD8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21CD28,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78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62DNA sequences coding for fusion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2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signal sequ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3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ransmembrane se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 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및 상기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 또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PD-1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과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독성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의 경우 PD-L1을 발현하는 암종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갖게되므로 암 치료를 위한 면역세포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Chimeric antigen receptor specifically binding to programmed death-ligand 1(PD-L1)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 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 및 상기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 또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rogrammed death-ligand 1(PD-L1 또는 CD274 또는 B7-H1)은 40 kDa의 내재성 막 단백질(integral membrane protein)이며, 다양한 암종(malignant cells)과 골수유래 면역억제 세포(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또는 면역세포에서 관찰된다(Iwai et al., 2002; Blank et al., 2004; Von Knethen and Brune, 2019). 특히 암세포는 PD-L1을 과발현하여 종양 항원 특이적 T 세포(tumor antigen-specific T cells)의 공격을 회피하게 된다(Okazaki and Honjo, 2007; Markham, 2016; Cao et al., 2019). 즉, 암세포가 PD-L1을 과발현하면, 종양 항원 특이적으로 활성화된 T 세포에서 발현되는 PD-L1의 수용체인 PD-1과 결합하고, PD-L1 / PD-1 신호전달을 통하여 종양 항원 특이적 T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게 된다(Okazaki and Honjo, 2007; Markham, 2016; Cao et al., 2019). 이에 따라, PD-L1 / PD-1 신호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중화항체(면역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중화항체가 암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다(Sznol and Chen, 2013; Homet Moreno et al., 2015). 지금까지 PD-L1을 발현하는 암종은 흑색종(melanoma), 폐암(lung cancer), 육종(Sarcoma), 신장암(renal-cell carcinoma), 림프종(lymphoma), 직장암(colorectal cancer), 위암(gastric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진행된 고형암(advanced solid tumor),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등이 있다(Zhang et al., 2020).
효과적인 암 치료를 위해서 직접적으로 암 세포를 표적하는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lymphocytes, CTL)와 자연살생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가 중요하다는 사실이 보고되어 왔다. 지금까지 세포독성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를 이용한 항암 치료에 대한 연구는 환자 유래 특정 암 항원을 환자의 세포독성 T 세포에 전달하여 활성을 유발하거나,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을 유발하고자 하였다(Galluzzi et al., 2018; Lu et al., 2020). 하지만, 최근에는 세포독성 T 세포와 자연살생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항암 치료 방법이 도입되었다. 즉, 항원을 인식하는 항체의 단일사슬 Fv 단편(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scFv) 부분을 CD3 제타(zeta) 또는 다른 단백질의 세포질내 신호전달 도메인(cytoplasmic signaling domain)에 접목시킨 도메인에 접목시킨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시도되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에 접목시키면 항원 제시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APC)에 의한 신호 전달과 관계없이 단일사슬 Fv 단편의 특정 항원 인지만으로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의 항암 작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HLA type에 제한적이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치료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나 자연살생세포는 여러 암에서 효능을 보이고 있다(Holzinger et al., 2016; Pettitt et al., 2018; Wang et al., 2020).
한편, Programmed death 1(PD-1 또는 CD279)은 28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형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이며, T 세포가 활성화될 때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 글로불린(Ig) 수퍼 패밀리(immunoglobulin superfamily)에 속하는 내재성 막 단백질(integral membrane protein)이다(Ishida et al., 1992). 활성화된 T 세포에서 발현되는 PD-1은 그 리간드인 PD-L1과 결합하여, T 세포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yn et al., 2017).
현재, 키메릭 항원 수용체(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0506호)나 인간화 항-BCMA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사용한 암의 치료에 관한 것으로, 면역 작동세포(effector cell)의 집단이 항 PD-L1 항체와 조합하여 병용투여 되는 방법(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7626호)이 공개되어 있으나, PD-L1이 발현되는 암세포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PD-1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domain)을 항원 결합 도메인의 구성으로 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면역 항암 치료제로서 이용하는 발명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암세포에서의 PD-L1 발현이 확인 또는 유도된다는 점과, 상기 PD-L1과 PD-1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PD-1의 세포외 도메인을 사용한 PD-L1을 발현하는 암 특이적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와 자연살생세포를 제작하고, 상기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가 PD-L1을 발현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 능력이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때, PD-1의 세포외 도메인 각각을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과 연결하는 융합 단백질을 만들어 신호 전달 강도를 증폭하였다. 즉, 기존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단일사슬 Fv 단편에 의해 항원을 인식하는 부위가 하나인 반면에, 본 발명자들이 고안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PD-1의 세포외 도메인 각각을 인간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과 연결시켜, 키메릭 항원 수용체 하나당 2개의 PD-1의 세포외 도메인이 항원을 인식하게 하여, 신호 전달 강도를 증폭하고자 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0506호 (2017. 08. 07)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7626호 (2017. 04. 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 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형질전환된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 또는 PD-L1을 발현하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항원 결합 부위인 세포외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로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PD-1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 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질전환된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 또는 PD-L1을 발현하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PD-1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과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독성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의 경우 PD-L1을 발현하는 암종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갖게 되므로 암 치료를 위한 면역세포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키는 각 도메인의 cDNA 구역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티바이럴 벡터의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트로바이럴 벡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독성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표적인 PD-L1을 발현하는 암세포에서 PD-L1의 발현량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현 벡터를 렌티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질도입시킨 세포독성 T 세포(PD-1 CAR-T cell)에서의 GFP의 발현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현 벡터를 레트로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질도입시킨 자연살생세포(PD-1 CAR-T cell)에서의 PD-1의 발현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현 벡터를 렌티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질도입시킨 세포독성 T 세포(PD-1 CAR-T cell)가 PD-L1을 인식하는지 여부를 유세포 분석을 이용해 나타낸 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현 벡터를 레트로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질도입시킨 자연살생세포(PD-1 CAR-NK cell)가 PD-L1을 인식하는지 여부를 유세포 분석을 이용해 나타낸 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독성 T 세포(PD-1 CAR-T cell) 또는 공벡터를 형질도입시킨 세포독성 T 세포(Mock T cell)를 작동 세포(effector cell)로 하여 PD-L1을 발현하는 암세포(Raji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살생세포(LAG-3 CAR-NK cell) 또는 공벡터를 형질도입시킨 자연살생세포(Mock NK cell)를 작동 세포(effector cell)로 하여 PD-L1을 발현하는 암세포(Raji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항원 결합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로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PD-1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는 자연적으로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가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항원 제시 세포(APC)나 항체의 매개 없이 원하는 항원에 결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T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해당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에 발현시키기 위한 융합 단백질을 의미한다. 즉,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에 발현시 항원에 결합하여 이들 세포들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단백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고자 하는 세포에 특이적인 항원을 인식하는 단백질일 수 있으며, 상기 면역 반응을 일으키고자 하는 세포는 특정 조직에 존재하거나 병변을 일으킨 조직을 이루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은 기능적 동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 동등물’이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말한다.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이란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단편, 유도체 및 유사체(analogues)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단편', '유도체' 및 '유사체'는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과 실질적으로 같은 생물학적 기능 또는 활성을 보유하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본 발명의 단편, 유도체 및 유사체는 (i) 하나 이상의 보존적(conservative) 또는 비보존적 아미노산 잔기(바람직하게는 보존적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폴리펩티드(상기 치환된 아미노산 잔기는 유전 암호에 의해 암호화될 수도,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ⅱ)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에서 치환기(들)를 가지는 폴리펩티드, 또는 (ⅲ) 또 다른 화합물(폴리펩티드의 반감기를 연장할 수 있는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결합된 성숙 폴리펩티드로부터 유래된 폴리펩티드, 또는 (ⅳ) 부가적인 아미노산 서열(예를 들면, 선도 서열, 분비 서열, 상기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데 사용된 서열, 프로테이노젠(proteinogen) 서열 또는 융합 단백질)과 결합된 상기 폴리펩티드로부터 유래된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정의된 상기 단편, 유도체 및 유사체는 당업자에 잘 알려져 있다.
PD-1 단백질은 28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형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이며, T 세포가 활성화될 때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면역 글로불린(Ig) 수퍼 패밀리(immunoglobulin superfamily)에 속하는 내재성 막 단백질(integral membrane protein)이다.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신호전달을 증폭하기 위해 PD-1의 세포외 도메인 한 쌍을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에 각각 연결시킨 이합체(dimer)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D-1의 세포외 도메인은 서열번호 1 또는 이와 95%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은 서열번호 2 또는 이와 95%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PD-L1"은 40 kDa의 내재성 막 단백질(integral membrane protein)이며, 다양한 암종(malignant cells)과 골수유래 면역억제 세포(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또는 면역세포에서 관찰된다. 지금까지 PD-L1을 발현하는 암종은 흑색종(melanoma), 폐암(lung cancer), 육종(Sarcoma), 신장암(renal-cell carcinoma), 림프종(lymphoma), 직장암(colorectal cancer), 위암(gastric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진행된 고형암(advanced solid tumor),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 및 전립선암(prostate cancer)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은 PD-1의 세포외 도메인과 보조자극, 필수 신호전달 도메인을 세포막 사이로 연결하는 부위이며, 세포내 신호 전달 도메인은 항원 결합 도메인의 결합에 의해 면역 세포의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부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CD28, CD3엡실론, CD45, CD4, CD5, CD8, CD9, CD16, CD22, CD33,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및 CD15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CD8은 CD8α 또는 CD8β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D8α의 막관통 도메인일 수 있고, 이는 서열번호 3 또는 이와 95%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항원 결합 도메인에 결합에 의해 면역 세포의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부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포내 도메인은 CD28, 4-1BB, CD3 제타(zet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메릭 항원 수용체는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으로 CD28, 4-1BB, CD3 제타(zeta)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활성으로 암 세포, 특히 PD-L1을 발현하는 암세포에 대한 사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CD28은 서열번호 4 또는 이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기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고, 4-1BB(CD137)은 서열번호 5 또는 이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기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CD3 제타(zeta)는 NK 세포 활성화 도메인으로 기능하며, 서열번호 6 또는 이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기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CD8α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CD8α 신호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7 또는 이와 95%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 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폴리 뉴클레오티드는 코돈의 축퇴성 (degeneracy)으로 인하여 또는 상기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키고자 하는 생물에서 선호되는 코돈을 고려하여, 코딩영역으로부터 발현되는 항원 수용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코딩영역에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코딩영역을 제외한 부분에서도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수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 유전자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폴리 뉴클레오티드는 이와 동등한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한, 하나 이상의 핵산 염기가 치환, 결실, 삽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변이될 수 있으며, 이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폴리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벡터는 당 분야에 공지된 벡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항원 수용체를 생산하고자 하는 숙주세포의 종류에 따라 프로모터(promoter), 종결자(terminator), 인핸서(enhancer) 등과 같은 발현조절 서열,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서열 등을 적절히 선택하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박테리오 파아지 벡터 및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및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엘리먼트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시그널 서열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하며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렌티-바이러스용 벡터 또는 레트로-바이러스용 벡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pCDH-CMV-MCS-EF1-copGFP 벡터(렌티-바이러스용 벡터)와 pLNCX2(레트로-바이러스용 벡터)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일시예에서,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상기 벡터를 통해 세포에 도입하여 세포를 형질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세포는 T 세포, 종양 침윤 림프구, B 세포, 자연살생세포, 또는 NKT 세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cell)또는 자연살생세포 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골수, 말초혈액, 말초혈액단핵세포 또는 제대혈로부터 얻거나 제조될 수 있으며, 세포는 인간 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도입되어 형질전환된 세포는 PD-L1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이와 강하게 결합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이하 간략하게 'CAR-T 세포'라 약칭함)" 또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NK 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NK cell, 이하 간략하게 'CAR-NK 세포'라 약칭함)"란 정상의 T 세포 또는 자연살생세포를 형질도입 등의 방법으로 본래의 T 세포 수용체 또는 NK cell 수용체가 아닌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T 세포 또는 NK cell을 의미한다. 이 수용체를 갖는 T 세포 또는 NK 세포는 표적세포(target cell)의 세포자살을 유도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CAR-T 세포나 CAR-NK 세포는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cell) 또는 NK cell에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도입된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CAR-T 치료제의 기존 장점인 항암 특이적 표적 치료의 장점을 가지며, 특히, 본 발명의 CAR-T 세포나 CAR-NK 세포는 PD-L1을 발현하는 암세포를 인지하여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세포 치료제"는 개체로부터 분리, 배양 및 특수한 조작을 통해 제조된 세포 및 조직으로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으로서, 세포 혹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 동종, 또는 이종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선별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상세하게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 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유효성분이 각각 단제인 경우의 투여횟수는 같은 횟수여도 좋고, 다른 횟수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PD-L1을 발현하는 암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개체란, PD-L1을 발현하는 암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과,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면 개체의 종류는 제한 없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 치료 대상이 되는 암의 종류로는 흑색종(melanoma), 폐암(lung cancer), 육종(Sarcoma), 신장암(renal-cell carcinoma), 림프종(lymphoma), 직장암(colorectal cancer), 위암(gastric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진행된 고형암(advanced solid tumor),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 및 전립선암(prostate cancer)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전자 합성 방법에 의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 유전자의 클로닝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PD-1의 세포외 도메인 한 쌍을 각각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에 연결시킨 항원 인식 부위와 CD8α의 막관통 도메인, CD28, 4-1BB, CD3 제타(zeta) 각각의 세포내 도메인 부분의 단백질 암호화 서열을 유전자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서 확인하였다.
그 후 상기 도메인들을 이루는 염기서열의 종결 코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서열들을 하나로 이어 유전자 합성을 진행하였다. 유전자 합성의 정확도는 단백질 발현 플라스미드를 제작한 후 시퀀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키는 각 도메인의 cDNA 구역을 나타낸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 발현 플라스미드 제조
PD-L1을 인식하고,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과 신호전달 단백질 도메인을 융합시킨 재조합 단백질을 세포독성 T 세포와 자연살생세포에 발현시키기 위해, 해당 유전자를 렌티바이러스 유래 발현벡터인 pCDH-CMV-MCS-EF1-copGFP(System Biosciences) 또는 레트로바이러스 유래 발현벡터인 pLNCX2(Addgene)에 클로닝하였다.
먼저, pCDH-CMV-MCS-EF1-copGFP 벡터에 클로닝하기 위해서 5′말단에 제한효소 XbaI의 절단 부위 서열을 만드는 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제한효소 절단 부위를 만들고, 3′말단에도 제한효소 NotI의 절단 부위 서열을 만드는 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제한효소 절단 부위를 만들었다. 그 후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인해 제한효소 절단 부위를 가진 유전자를 5′말단은 XbaI을 처리하였으며, 3′말단은 NotI을 처리하였다. 그리고 발현 벡터의 다중클로닝 자리를 XbaI과 NotI을 처리하여 유전자가 삽입될 수 있게 만들었다. 제한효소가 처리된 유전자와 발현 벡터를 섞어 준 다음, 결합 효소(ligase)를 처리하여 연결하였다.
다음, pLNCX2 벡터에 클로닝하기 위해서 5′말단에 제한효소 Bgl II의 절단 부위 서열을 만드는 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제한효소 절단 부위를 만들고, 3′말단에도 제한효소 NotI의 절단 부위 서열을 만드는 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제한효소 절단 부위를 만들었다. 그 후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인해 제한효소 절단 부위를 가진 유전자를 5′말단은 BglII를 처리하였으며, 3′말단은 NotI을 처리하였다. 그리고 발현 벡터의 다중클로닝 자리를 BglII과 NotI을 처리하여 유전자가 삽입될 수 있게 만들었다. 제한효소가 처리된 유전자와 발현 벡터를 섞어 준 다음, 결합 효소(ligase)를 처리하여 연결하였다.
그 결과, PD-L1을 인식하고,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과 신호전달 단백질 도메인을 융합시킨 단백질(도 3 참조)을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PD-L1.CAR-T.pCDH-CMV-MCS-EF1-copGFP 및 PD-L1.CAR-NK.pLNCX2를 완성하였다(도 2a 및 도 2b 참조).
실시예 3. PD-L1을 발현하는 사람 세포주 screening
PD-L1을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사람 세포주를 screening하기 위해서, B 세포 림프종(B cell lymphoma)유래 세포주인 Raji (ATCC) 세포주에서 PD-L1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발현 확인을 위해 형광단백질이 부착된 PD-L1과 결합이 가능한 항체(biolegend)를 세포주에 처리한 후, 유세포 분석(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Raji 세포주에서 PD-L1을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상기 결과를 근거로 PD-L1을 발현하는 Raji 세포주를 표적세포(target cell)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세포독성 T 세포 분리 및 활성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T 세포를 제작하기 위해 먼저 세포 독성 T 세포를 사람의 말초 혈액 단핵세포에서 분리하였다. 사람의 말초 혈액 단핵세포(메디랩 코리아)를 구입한 후, 세포독성 T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서 자력이용 세포 분리법(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을 이용하였다. 말초 혈액 단핵세포들을 세포독성 T 세포를 제외한 다른 면역세포들과 결합 가능한 항체(CD8+ T cell biotin-conjugated antibody cocktail, Miltenyi Biotec)와 결합시킨 다음, 상기 항체들을 다시 자성을 가진 마이크로비드(anti-biotin microbead)(Miltenyi Biotec)와 결합시켰다. 상기 마이크로비드와 그에 붙은 항체, 세포들을 자기장 분리 칼럼(magnetic seperation column) (Miltenyi Biotec)에 통과시켜 그 중 항체로 표지되지 않은 세포독성 T 세포를 얻었다. 분리한 세포독성 T 세포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독성 T 세포의 세포표면 인자인 CD8과 CD3ε을 이용한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95% 이상의 순도를 보였다.
분리한 세포독성 T 세포의 활성화를 위해 1Х106개/ml의 사람 CD3와 CD28 항체가 코팅된 자석비드(Thermo Fisher Scientific), 그리고 100 U/μl recombinant human IL-2가 첨가된 10% 송아지 혈청 함유 RPMI (Welgene)에 1.5Х106개/ml의 밀도로 세포를 재구성하여 24 웰(well) 세포 배양 접시에 접종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5.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세포독성 T 세포 제작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작한 재조합 벡터를 세포독성 T 세포에 도입하기 위하여 293FT 세포(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한 렌티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먼저, 293FT 세포를 100π 세포 배양 접시에 2.5Х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한 후, 10% 송아지 혈청을 함유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세포가 접시의 60~70% 정도를 덮을 정도로 자라면, 20μg의 PD-1.CAR-T.pCDH-CMV-MCS-EF1-copGFP 벡터 DNA를 10μg의 psPAX2(Addgene)와 3μg의 pMD2.G(Addgene) 벡터를 Calcium phosphate 및 Hepes-buffered solution을 이용하여 결정화시킨 후 293FT 세포에 도입하였다. 그 후, 상기 발현 벡터가 도입된 293FT 세포를 48시간 후 24시간 간격으로 렌티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배양 상층액을 모았다. 모은 상층액을 초고속 원심분리기를 21,000rpm으로 2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바이러스를 농축시켰다. 농축된 바이러스를 polybrene 4μg/ml과 혼합하여 활성화시킨 세포독성 T 세포의 배양액에 추가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1,800g로 7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형질도입을 진행하였다. 원심 분리를 마친 세포독성 T 세포는 4시간 동안 추가 배양 후 10% 송아지 혈청 함유 RPMI 배양액으로 교체하였으며 48시간 후에는 형질도입한 세포독성 T 세포의 일부를 형질도입 효율 측정에 사용하였다. 형질도입 효율은 세포 내부의 GFP 발현량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해 측정했으며 형질도입된 세포독성 T 세포(PD-1 CAR-T cell)를 공벡터로 제작한 바이러스를 형질도입한 세포독성 T 세포(Mock CAR-T cell)의 형질도입 비율을 비교하였다(도 5a 참조).
실시예 6.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자연살해세포 제작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작한 재조합 벡터를 NK 세포에 도입하기 위하여 293GPG 세포를 사용한 레트로바이러스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먼저, 293GPG 세포 3Х106개를 10ml의 10% 송아지 혈청 함유 DMEM 배양액 10ml에 풀어 100π 세포 배양 접시에 접종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앞서 제작한 재조합 벡터(PD-1.CAR-NK.pLNCX2 벡터) 20μg을 Calcium phosphate 및 Hepes-buffered solution을 이용하여 결정화시킨 후 앞서 배양한 293GPG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해주었다. 이 후 24시간 간격으로 72시간에 걸쳐 배양액을 교체하며 레트로바이러스를 함유한 293GPG 세포의 배양 상층액을 채취 및 보관하였다.
상기 채취한 레트로바이러스 함유 상층액은 초고속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1,000 rpm으로 2시간 동안 원심분리 후 농축 이전 대비 100배로 농축될 수 있도록 10% 송아지 혈청 함유 Myelocult H5100 배양액(STEMCELL)에 재구성하였다. 농축한 레트로바이러스를 NK92MI 세포(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 형질도입하기 위해 NK92MI 세포를 24 well 세포 배양 접시에 5Х105/ml의 밀도로 접종하였다. 그 다음 농축된 레트로바이러스에 polybrene을 8ug/ml만큼 첨가한 혼합액을 배양 중인 NK92MI세포의 배양액에 추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새 배양액으로 교체하였으며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의 선별을 위해 배양액 교체 후 24시간 후부터는 neomycin 항생제(600μg/ml)가 첨가된 Myelocult H5100 배양액을 이용하여 레트로바이러스를 처리해준 NK92MI세포를 배양하였다. 14일 간의 neomycin 선별과정을 마친 NK92MI 세포는 다시 신선한 배양액에 옮겨 1주일간 증식시켰다.
증식 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해 NK92MI 세포의 PD-1 발현량을 측정하였으며 PD-1.CAR-NK.pLNCX2를 도입한 NK92MI 세포(PD-1 CAR-NK cell)와 공벡터인 pLNCX2를 도입한 NK92MI 세포(Mock CAR-NK cell)의 PD-1 발현량을 항 인간 PD-1 항체(biolegend)를 이용한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도 5b 참조).
실시예 7. 키메릭 항원 수용체와 PD-L1을 발현하는 사람 세포주의 친화도 측정
상기 제작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PD-L1을 발현하는 사람 세포주와 친화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제작한 PD-1 CAR-T cell과 PD-1 CAR-NK cell이 PD-L1과 결합하는가를 측정하기 위해, 수용성 재조합 human PD-L1 IgG (R&D system)를 PD-1 CAR-T cell과 PD-1 CAR-NK cell에 처리하여 유세포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용성 재조합 human PD-L1 IgG는 Mock CAR-T cell과 결합하지 않지만, PD-1 CAR-T cell과 결합하며(도 6a 참조), 또한 수용성 재조합 human PD-L1 IgG는 Mock CAR-NK cell과 결합하지 않지만, PD-1 CAR-NK cell과는 결합한다(도 6b 참조).
상기 결과를 근거로 제작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PD-1 CAR-T cell과 PD-1 CAR-NK cell을 작동 세포(effector cell)로 PD-L1을 발현하는 Raji 세포주를 표적세포로, PD-1 CAR-T cell과 PD-1 CAR-NK cell의 PD-L1 특이적 세포독성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8. CAR-T 세포의 PD-L1+ cell 특이적 세포독성 검증
제작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세포독성 T 세포가 PD-L1을 발현하는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지하여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에서 선정한 표적세포인 Raji 세포(PD-L1 positive cell)를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세포독성 T 세포(PD-1 CAR-T cell) 혹은 공벡터를 도입한 세포독성 T 세포(Mock T cell)와 6시간 동안 공배양하였다. 공배양 후 상층액에 존재하는 젖산 탈수소 효소(lactate dehydrogenase)의 양으로 세포독성 T 세포의 표적세포(target cell)에 대한 세포독성 정도를 측정하는 비방사성 세포독성 분석법(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을 이용하였다.
먼저, 96 well 세포 배양 접시의 well에 세포독성 T 세포(1x105 cell)와 표적세포(1x104 cell)를 각각 넣어 effector: target ratio를 10:1로 맞추고, well당 부피는 100μl가 되도록 접종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250g 조건에서 4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간 간격을 가깝게 만든다. 6시간 배양 후 각 well의 상층액을 50μl씩 걷어내어 흡광도 측정용 투명 96 well 접시에 옮긴 후 분석용액 및 1M 염산용액을 처리하여 효소 반응을 진행 및 정지시킨다. 효소 반응을 정지시키고 난 후에는 형광/발광/흡광 측정기(multi-detection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nm 파장대의 흡광도를 측정 및 수치 변환하여 각 well의 세포독성 T 세포의 세포독성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도 7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작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세포독성 T 세포(PD-1 CAR-T cell)는 Raji 세포주에 16% 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인 반면, 대조군인 공벡터를 도입한 세포독성 T 세포(Mock CAR-T cell)의 경우 Raji 세포주에 6%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PD-1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는 키메릭 항원 인지 수용체 발현 세포독성 T 세포가 PD-L1 단백질에 특이적인 세포독성을 보임으로써, 상기 CAR-T 세포를 이용하여 관련된 암 세포 치료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CAR- NK 세포의 PD-L1+ cell 특이적 세포독성 검증
제작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NK 세포가 PD-L1을 발현하는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지하여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에서 선정한 표적세포인 Raji 세포(PD-L1 positive cell)를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NK 세포(PD-1 CAR-NK cell) 혹은 공벡터를 도입한 NK 세포(Mock NK cell)와 공배양하였다.
공배양 후 상층액에 존재하는 젖산 탈수소 효소(lactate dehydrogenase)의 양으로 NK 세포의 표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정도를 측정하는 비방사성 세포독성 분석법(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을 이용하였다.
먼저, 96 well 세포 배양 접시의 well에 자연살해세포(1x105 cell)와 표적세포(1x104 cell)를 각각 넣어 effector: target ratio를 10:1로 맞추고, well당 부피는 100μl가 되도록 접종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250g의 조건에서 4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간 간격을 가깝게 만든다. 6시간 배양 진행 후 각 well의 상층액을 50μl씩 걷어내어 흡광도 측정용 투명 96 well 접시에 옮긴 후 분석용액 및 1M 염산용액을 처리하여 효소 반응을 진행 및 정지시킨다. 효소 반응을 정지시키고 난 후에는 형광/발광/흡광 측정기(multi-detection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nm 파장대의 흡광도를 측정 및 수치 변환하여 각 well의 NK 세포의 세포독성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도 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작한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자연살생세포(PD-1 CAR-NK cell)는 Raji 세포주에 45% 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인 반면, 대조군인 공벡터를 도입한 세포독성 T 세포(Mock CAR-NK cell)의 경우 Raji 세포주에 8%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PD-1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는 키메릭 항원 인지 수용체 발현 NK 세포가 PD-L1 단백질에 특이적인 세포독성을 보임으로써, 상기 CAR-NK 세포를 이용하여 관련된 암 세포 치료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IMMUNOLOGICAL DESIGNINGLAB CO., LTD <120> Chimeric antigen receptor specifically binding to CD47 and use thereof <130> KP21-0029-ILDL <160> 1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1 extracellular domain <400> 1 Ser Pro Asp Arg Pro Trp Asn Pro Pro Thr Phe Ser Pro Ala Leu Leu 1 5 10 15 Val Val Thr Glu Gly Asp Asn Ala Thr Phe Thr Cys Ser Phe Ser Asn 20 25 30 Thr Ser Glu Ser Phe Val Leu Asn Trp Tyr Arg Met Ser Pro Ser Asn 35 40 45 Gln Thr Asp Lys Leu Ala Ala Phe Pro Glu Asp Arg Ser Gln Pro Gly 50 55 60 Gln Asp Cys Arg Phe Arg Val Thr Gln Leu Pro Asn Gly Arg Asp Phe 65 70 75 80 His Met Ser Val Val Arg Ala Arg Arg Asn Asp Ser Gly Thr Tyr Leu 85 90 95 Cys Gly Ala Ile Ser Leu Ala Pro Lys Ala Gln Ile Lys Glu Ser Leu 100 105 110 Arg Ala Glu Leu Arg Val Thr Glu Arg Arg Ala Glu Val Pro Thr Ala 115 120 125 His Pro Ser Pro Ser Pro Arg Ser Ala Gly Gln Phe Gln Thr Leu Val 130 135 140 <210> 2 <211> 23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 <400> 2 Gly Ser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1 5 10 15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20 25 30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35 40 45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50 55 60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65 70 75 80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85 90 95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100 105 110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115 120 125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Asp Glu 130 135 140 Leu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145 150 155 160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165 170 175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180 185 190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195 200 205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210 215 220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225 230 <210> 3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8-alpha transmembrane domain <400> 3 Ile Tyr Ile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Val Leu Leu Leu 1 5 10 15 Ser Leu Val Ile Thr 20 <210> 4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28 Cytoplasmic domain <400> 4 Arg Ser Lys Arg Ser Arg Leu Leu His Ser Asp Tyr Met Asn Met Thr 1 5 10 15 Pro Arg Arg Pro Gly Pro Thr Arg Lys His Tyr Gln Pro Tyr Ala Pro 20 25 30 Pro Arg Asp Phe Ala Ala Tyr Arg Ser 35 40 <210> 5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137 Cytoplasmic domain <400> 5 Lys Arg Gly Arg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1 5 10 15 Arg Pro Val Gln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20 25 30 Pro Glu Glu Glu Glu Gly Gly Cys Glu Leu 35 40 <210> 6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3z Cytoplasmic domain <400> 6 Arg Ala Lys Phe Ser Arg Ser Ala Glu Thr Ala Ala Asn Leu Gln Asp 1 5 10 15 Pro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Gly Arg Arg Glu Glu Tyr 20 25 30 Asp Val Leu Glu Lys Lys Arg Ala Arg Asp Pro Glu Met Gly Gly Lys 35 40 45 Gln Gln Arg Arg Arg Asn Pro Gln Glu Gly Val Tyr Asn Ala Leu Gln 50 55 60 Lys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Gly Thr Lys Gly Glu 65 70 75 80 Arg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Gln Gly Leu Ser Thr 85 90 95 Ala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Gln Thr Leu Ala Pro 100 105 110 Arg <210> 7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8-alpha Signal peptide <400> 7 Met Ala Leu Pro Val Thr Ala Leu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1 5 10 15 His Ala Ala Arg Pro 20 <210> 8 <211> 4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1 extracellular domain <400> 8 tccccagaca ggccctggaa cccccccacc ttctccccag ccctgctcgt ggtgaccgaa 60 ggggacaacg ccaccttcac ctgcagcttc tccaacacat cggagagctt cgtgctaaac 120 tggtaccgca tgagccccag caaccagacg gacaagctgg ccgccttccc cgaggaccgc 180 agccagcccg gccaggactg ccgcttccgt gtcacacaac tgcccaacgg gcgtgacttc 240 cacatgagcg tggtcagggc ccggcgcaat gacagcggca cctacctctg tggggccatc 300 tccctggccc ccaaggcgca gatcaaagag agcctgcggg cagagctcag ggtgacagag 360 agaagggcag aagtgcccac agcccacccc agcccctcac ccaggtcagc cggccagttc 420 caaaccctgg tg 432 <210> 9 <211> 70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 <400> 9 ggatccgagc ccaaatcttg tgacaaaact cacacatgcc caccgtgccc agcacctgaa 60 ctcctggggg gaccgtcagt cttcctcttc cccccaaaac ccaaggacac cctcatgatc 120 tcccggaccc ctgaggtcac atgcgtggtg gtggacgtga gccacgaaga ccctgaggtc 180 aagttcaact ggtacgtgga cggcgtggag gtgcataatg ccaagacaaa gccgcgggag 240 gagcagtaca acagcacgta ccgtgtggtc agcgtcctca ccgtcctgca ccaggactgg 300 ctgaatggca aggagtacaa gtgcaaggtc tccaacaaag ccctcccagc ccccatcgag 360 aaaaccatct ccaaagccaa agggcagccc cgagaaccac aggtgtacac cctgccccca 420 tcacgagatg agctgaccaa gaaccaggtc agcctgacct gcctggtcaa aggcttctat 480 cccagcgaca tcgccgtgga gtgggagagc aatgggcagc cggagaacaa ctacaagacc 540 acgcctcccg tgctggactc cgacggctcc ttcttcctct acagcaagct caccgtggac 600 aagagcaggt ggcagcaggg gaacgtcttc tcatgctccg tgatgcatga ggctctgcac 660 aaccactaca cgcagaagag cctctccctg tctccgggta aa 702 <210> 10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8-alpha transmembrane domain <400> 10 atctacatct gggcgccctt ggccgggact tgtggggtcc ttctcctgtc actggttatc 60 acc 63 <210> 11 <211> 1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28 Cytoplasmic domain <400> 11 aggagtaaga ggagcaggct cctgcacagt gactacatga acatgactcc ccgccgcccc 60 gggcccaccc gcaagcatta ccagccctat gccccaccac gcgacttcgc agcctatcgc 120 tcc 123 <210> 12 <211> 1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137 Cytoplasmic domain <400> 12 aaacggggca gaaagaaact cctgtatata ttcaaacaac catttatgag accagtacaa 60 actactcaag aggaagatgg ctgtagctgc cgatttccag aagaagaaga aggaggatgt 120 gaactg 126 <210> 13 <211> 3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3z Cytoplasmic domain <400> 13 agagcaaaat tcagcaggag tgcagagact gctgccaacc tgcaggaccc caaccagctc 60 tacaatgagc tcaatctagg gcgaagagag gaatatgacg tcttggagaa gaagcgggct 120 cgggatccag agatgggagg caaacagcag aggaggagga acccccagga aggcgtatac 180 aatgcactgc agaaagacaa gatggcagaa gcctacagtg agatcggcac aaaaggcgag 240 aggcggagag gcaaggggca cgatggcctt taccagggtc tcagcactgc caccaaggac 300 acctatgatg ccctgcatat gcagaccctg gcccctcgct aa 342 <210> 14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CD8-alpha Signal peptide <400> 14 atggccttac cagtgaccgc cttgctcctg ccgctggcct tgctgctcca cgccgccagg 60 ccg 63

Claims (15)

  1. 항원 결합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 및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로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PD-1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PD-1의 세포외 도메인 한 쌍이 이합체(dimer)의 형태로 각각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1의 세포외 도메인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4. 제2항에 있어서,
    인간 이뮤노글로블린 G1 중쇄 불변 영역(IgG1 heavy chain constant region)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관통 도메인은 CD8α이며,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CD28, 4-1BB 및 CD3-zeta로 이루어진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D28은 서열번호 4; 4-1BB은 서열번호 5; 및 CD3-zeta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 결합 도메인은 CD8α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며,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 뉴클레오티드.
  10. 제9항의 폴리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11. 제10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세포독성 T 세포 또는 NK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13. 제12항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D-L1을 발현하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D-L1을 발현하는 암은 흑색종(melanoma), 폐암(lung cancer), 육종(Sarcoma), 신장암(renal-cell carcinoma), 림프종(lymphoma), 직장암(colorectal cancer), 위암(gastric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진행된 고형암(advanced solid tumor),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 및 전립선암(prostate canc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1항의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치료제.
KR1020210049663A 2021-04-16 2021-04-16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20144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63A KR20220144000A (ko) 2021-04-16 2021-04-16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PCT/KR2022/004149 WO2022220433A1 (ko) 2021-04-16 2022-03-24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63A KR20220144000A (ko) 2021-04-16 2021-04-16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00A true KR20220144000A (ko) 2022-10-26

Family

ID=8363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663A KR20220144000A (ko) 2021-04-16 2021-04-16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4000A (ko)
WO (1) WO202222043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626A (ko) 2014-07-21 2017-04-04 노파르티스 아게 인간화 항-bcma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사용한 암의 치료
KR20170090506A (ko) 2014-12-19 2017-08-07 다나-파버 캔서 인스티튜트 인크.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0282B2 (en) * 2013-03-25 2017-10-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ti-CD276 polypeptides, proteins, and chimeric antigen receptors
JP2020512284A (ja) * 2016-12-22 2020-04-23 ウィンドミル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免疫系調節組成物および方法
EP3688143A4 (en) * 2017-09-26 2021-09-22 Longwood University PD1 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AS IMMUNOTHERAPY
SG11202101067XA (en) * 2018-07-04 2021-03-30 Cytoimmune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munotherapy targeting flt3, pd-1, and/or pd-l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626A (ko) 2014-07-21 2017-04-04 노파르티스 아게 인간화 항-bcma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사용한 암의 치료
KR20170090506A (ko) 2014-12-19 2017-08-07 다나-파버 캔서 인스티튜트 인크.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433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825B1 (ko) 전위효소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JP2022001067A (ja) キメラ抗体受容体(CARs)の構成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13234682B (zh) 靶向cd7的工程化免疫细胞、嵌合抗原受体、cd7阻断分子及应用
CN109562126A (zh) 嵌合抗原受体(car)、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160067177A (ko) 키메라 항원 수용체
CN109836498A (zh) 一种靶向ror1的单链抗体、嵌合抗原受体t细胞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678963A (zh) 一种靶向cd24且激活nk细胞的双特异性抗体的制备及其应用
CN109837246A (zh) 一种敲除pd1的靶向ror1的嵌合抗原受体t细胞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32557A (ko) Baff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4400B1 (ko) Ceacam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ceacam6 키메릭 항원 수용체
KR102671411B1 (ko) Baff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102671408B1 (ko) HLA class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20144000A (ko)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20138909A (ko) Cd4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30062691A (ko) Cad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30058232A (ko) Cd13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30012129A (ko) Cd3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20122831A (ko) HLA class II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20153707A (ko) Baff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20136876A (ko)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포함하는 형질전환된 항원 특이적 전문적 항원표출세포 및 이의 용도
KR20220138790A (ko)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포함하는 형질전환된 항원 특이적 전문적 항원표출세포 및 이의 용도
KR20230089464A (ko)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포함하는 형질전환된 항원 특이적 전문적 항원표출세포 및 이의 용도
KR20230089462A (ko)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포함하는 형질전환된 항원 특이적 전문적 항원표출세포 및 이의 용도
KR102671409B1 (ko) Cd30을 발현하는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31801A (ko)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포함하는 형질전환된 항원 특이적 전문적 항원표출세포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