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835A -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835A
KR20220142835A KR1020210049355A KR20210049355A KR20220142835A KR 20220142835 A KR20220142835 A KR 20220142835A KR 1020210049355 A KR1020210049355 A KR 1020210049355A KR 20210049355 A KR20210049355 A KR 20210049355A KR 20220142835 A KR20220142835 A KR 2022014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control
control system
mobile photographing
safety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443B1 (ko
Inventor
김구동
Original Assignee
(주)유셀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셀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유셀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1004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4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Abstract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 현장 내 서로 다른 영역들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부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PHOTOGRAPHING EVICE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해, 도시 곳곳에서 건설, 개발 및/또는 보수 등을 위한 각종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공사 현장이 증가함에 따라, 공사 현장의 안전 관리 미흡으로 인한 산업 재해 역시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산업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공사 현장 내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각종 방안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나, 산업 재해를 방지하기엔 역부족인 실정이다. 예를 들어, 공사 현장에 안전을 관리 및 감독하는 요원을 투입하거나, 건설 장비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를 추가하는 등의 방안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공사 현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많은 안전 관리 요원이 필요하게 되어 인건비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안전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건설 장비, 또는 건축물에 의한 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촬영 장치들을 이용하여, 작업 현장에 대한 안전을 관리하는 중앙관제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 현장 내 서로 다른 영역들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부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는, 중앙관제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오디오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은, 이동식 촬영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 영상출력 장치,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출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에서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촬영 장치들로부터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현장 곳곳의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촬영 장치에 비상 상황 전파를 위한 별도의 비상 버튼을 마련함으로써, 중앙관제시스템에서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여 대처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촬영 장치에서 배터리가 하단부에 배치됨으로써, 전도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촬영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촬영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관제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환경의 안전을 점검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현장의 비상상황을 전파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촬영 장치에서 작업 환경의 안전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관제시스템에서 작업 환경의 안전을 점검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개시물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몇몇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1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100)은, 이동식 촬영장치들(110-1 내지 110-N), 및 중앙관제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각각은, 공사 현장 내 지정된 영역들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네트워크(130)를 통해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각각은, 휴대 가능한 크기 및/또는 이동이 용이한 형태(예: 바퀴가 구비된 형태)로 구비되어,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은 모두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됨으로써, 지정된 영역들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중 적어도 일부 장치들은 동일한 장소에 배치되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다른 영역들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중 적어도 일부 장치들은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되나, 동일한 제1 영역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동일한 제1 영역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의 배치 장소(또는 배치 위치), 설치 방향, 및/또는 촬영 방향은 안전 관리자에 의해 결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각각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을 통해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예: 작업자 식별 정보, 장비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복수의 이동식 촬영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공사 현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복수의 이동식 촬영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는, 중앙관제시스템(12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공사 현장 내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복수의 이동식 촬영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공사 현장 내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 점검을 수행하고, 안전 점검 결과를 출력 장치(예: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및/또는 비상경광등)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 현장 내 인물들의 안전모 착용 여부, 또는 작업 현장의 안전 펜스 설치 여부와 같은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 요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안전 점검 결과, 작업 환경이 안전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안전 요건이 만족된 경우), 이동식 촬영장치들(110-1 내지 110-N)로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신호는,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 시,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신호는, 이동식 촬영장치들(110-1 내지 110-N)과 중앙관제시스템(120) 간에 미리 약속된 문자 및/또는 숫자로 구성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이거나,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각각은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신호가 미리 약속된 문자 및/또는 숫자로 구성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인 경우, 미리 지정된 알림음 또는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 점검이 완료되어 작업 시작이 승인되었음을 작업자들에게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로,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신호가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인 경우, 오디오 장치(예: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 점검이 완료되어 작업 시작이 승인되었음을 작업자들에게 알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각각은 작업 중 발생되는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림으로써, 중앙관제시스템(120)이 작업 현장의 비상 상황에 대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블럭도이다. 도 2의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도 1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구성은 일 실시 예로, 각각의 구성 요소는 하나의 칩, 부품 또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거나, 칩, 부품 또는 전자 회로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복수 개의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칩 또는 부품 또는 전자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어 하나의 칩, 부품 또는 전자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점선으로 도시된 구성 요소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무선통신 모듈(210), 카메라 모듈(220), 배터리(230), 프로세서(240), 출력모듈(250), 입력모듈(260), 및 센서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통신 모듈(210)은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모듈(210)은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와 중앙관제시스템(120)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 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관제시스템(12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또는 5G 통신과 같은 통신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나열된 통신 방식들은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RFID,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NFC, 또는 IrDA와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RFID 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작업 현장 내 RFID 태그를 소유한 작업자 및/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장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10)은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20)은 지정된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2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0)은 예를 들어, 싱글 카메라,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나열된 카메라들은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20)은 회전형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형 카메라는,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촬영 각도 및/또는 촬영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형 카메라는 카메라의 촬영 각도 및/또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 각도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23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 모듈(250)은 시각 및/또는 청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모듈(250)은, 오디오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를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 또는 특정 상황이나 특정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알림 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모듈(250)은 오디오 앰프를 포함하여 설정된 증폭률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다. 증폭률은, 프로세서(240)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것은,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듣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점등 및/또는 점멸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 경광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모듈(260)은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외부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260)은, 오디오 입력 장치, 기계식 입력 수단, 및/또는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기계식 입력 수단은, 예를 들어,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일면에 구비되는 누름 버튼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모듈(260)은 비상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 누름 버튼(비상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터치식 입력수단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상 키, 소프트 키, 비주얼 키, 또는 터치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 출력 모듈(250)의 스피커, 오디오 앰프, 및 입력 모듈(260)의 마이크로폰은 하나의 오디오 모듈(또는 오디오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27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외부 환경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70)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이동식 촬영 장치(110)가 지정된 영역에 고정된 상태인지, 또는 이동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나열된 센서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예로, 센서 모듈(270)은 그립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여,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온 되면,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을 위해 카메라 모듈(2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구동된 카메라 모듈(2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무선통신 모듈(210)을 통해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출력 모듈(250)로 제공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220))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입력 모듈(260)을 통해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비상용 누름 버튼의 눌림이 감지될 시, 작업 현장에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인지하고,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작업 시작이 승인된 이후에, 이동식 촬영 장치(110)가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승인 없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 시작이 승인되었음을 감지하고, 작업 시작 승인 이후에 센서 모듈(27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동식 촬영 장치(110)가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가 이동되는 경우, 이동 감지 정보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이동 감지 정보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이동 허용 불가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경고음 및/또는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이동 감지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허용 가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 의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이동이 허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작업 현장의 소음 크기를 측정 및/또는 추정하고, 작업 현장의 소음 크기를 기반으로 입력 오디오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거나, 출력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증폭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입력 모듈(260)을 통해 작업 현장의 소음을 측정하거나, 카메라 모듈(22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 현장의 소음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0)는 카메라 모듈(220)을 통해 동작 중인 건설 장비의 종류 및 개수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음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영상 분석 결과, 1대의 굴착기가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1대의 굴착기에 대해 실험을 통해 미리 획득된 소음 크기를 작업 현장의 소음 크기로 추정할 수 있다. 입력 오디오에 대한 필터링 기능은, 필터링을 통해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고,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 신호만을 획득하는 기능일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입력 오디오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통해 작업자의 음성 신호만을 획득하여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증폭률은, 작업 현장의 소음 크기가 크게 측정 및/또는 추정될수록, 크게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소음 크기에 따라 결정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증폭률이 지정된 증폭률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또는 소음 크기가 지정된 소음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지정된 증폭률에 따라 오디오 신호가 증폭되어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 및/또는 오디오 앰프를 제어하면서, 조명 장치(예: 경광등)가 지정된 패턴에 따라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의 소음이 과도하게 큰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프로세서(240)는 작업 현장 내 소음이 과도하게 큰 경우에 비상 경광등이 점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출력 중임을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대한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상태인 동안에만 입력 모듈(26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카메라 모듈(220)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센서 모듈(270)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접근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하지 않은 상태인 동안에는 입력 모듈(26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는, 입력 모듈(26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입력 모듈(26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기능은 항상 활성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상태인 동안에만, 입력 모듈(260)에 포함된 마이크로폰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가 작업자에 의해 오프(off)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 오프에 대한 권한이 없는 작업자에 의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 오프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 오프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전원 오프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전원 오프 버튼의 눌림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전원 오프 버튼은, 기계식 버튼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소프트웨어식 버튼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전원 오프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가 오프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외부 입력에 의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 오프(Off)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 RFID 수신기)을 통해 전원 오프를 요청한 사용자가 작업자인지, 또는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전원 오프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 오프에 대한 권한 확인을 위한 RFID 태그 접촉을 요청하는 메시지(또는 전원 오프에 대한 권한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출력 모듈(25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RFID 수신기를 통해 RFID 태그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RFID 수신기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 정보와 동일할 경우, 전원 오프에 대한 권한이 성공적으로 확인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RFID 수신기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 정보와 다른 경우, 전원 오프에 대한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안전 관리자가 접근한 경우에만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예: RFID 수신기)를 통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 정보가 동일한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원 오프가 요청되는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 정보가 상이한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전원 오프 이전에, 전원 오프를 요청한 안전 관리자의 식별 정보와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오프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중앙관제시스템(120)에서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을 오프시킨 안전 관리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전원 온/오프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따라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대한 권한을 확인하고, 확인된 권한에 따라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성 및/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RFID 수신기를 통해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가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갖는 안전 관리자인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안전 관리자가 접근한 상태인 경우,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 또는 촬영 각도 및/또는 촬영 방향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접근한 사용자가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대해 제한적인 권한을 갖는 작업자인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동작과 관련된 기능들 중 작업자에 대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안전 관리자가 접근한 상태인 경우, 작업자에 대해 지정된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만을 활성화시키고, 다른 기능들(예: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 촬영 각도 및/또는 촬영 방향 제어 기능)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지정된 주기마다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작업 진행 중에 작업자 및/또는 장비가 작업 현장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작업 시작 이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감지된 작업자 및/또는 장비가 작업 시작 이후에 감지되지 않는 경우, 현장을 이탈한 것으로 결정하고, 현장 이탈한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예시도이다. 도 3의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도 2의 이동식 촬영 장치(110)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이동식 고정대(301), 배터리(311), 마이크(321), 오디오 앰프(322), 스피커(323), 카메라(331), 무선통신 장치(341), 안테나(343), 및 비상버튼(351)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고정대(301)는 용이한 이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바퀴(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이동식 고정대(301)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11)(예: 도 2의 배터리(230))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311)를 하단부에 구비하는 것은, 전도에 의한 사고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331)는 회전형 카메라일 수 있다. 회전형 카메라는,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촬영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구성 요소들의 배치 위치 및 구조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관제시스템(120)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도 1의 중앙관제시스템(120)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무선통신 모듈(410), 관리 서버(420), 영상 출력장치(430), 오디오 장치(440), 조명 장치(450), 제어 장치(460), 및 모바일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통신 모듈(410)은 중앙관제시스템(120)과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410)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 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관제시스템(120)의 무선통신 모듈(410)은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의 무선통신 모듈(210)과 동일한 통신 방식(예: GSM, CDMA, CDMA2000, EV-DO, WCDMA, HSDPA, HSUPA, LTE, LTE-A, 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무선통신 모듈(210)을 통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저장 및/또는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20)는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영상 출력장치(43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 서버(420)는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 현장에 대한 안전 점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420)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 현장 내 인물들의 안전모 착용 여부, 안전 펜스 설치 여부, 필수 장비 존재 여부 와 같은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필수 장비는, 작업 단계(또는 작업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작업 단계에서의 필수 장비는, 소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소작업 단계에서의 필수 장비는, 고소작업대, 및/또는 사전 등록 심의된 고소 작업용 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 단계에 대한 정보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무선통신 모듈(210)을 통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 현장에 대한 안전 점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20)는 작업 현장 내 작업자에 대한 정보(예: 작업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등록된 작업자들이 모두 작업 현장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 현장 내 장비에 대한 정보(예: 장비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작업 단계에 대한 필수 장비가 모두 준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서버(420)는 미리 등록된 작업자들이 모두 작업 현장에 위치해 있고, 필수 장비가 모두 준비된 경우,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촬영 영상 분석을 통해 안전 요건 만족된 것으로 결정되고,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안전 요건이 만족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최종적으로 작업 현장에 대한 안전 요건이 만족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420)는 영상 출력 장치(430), 오디오 장치(440), 또는 조명 장치(45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안전 요건 만족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오디오 장치(440), 또는 제어 장치(4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440), 또는 제어 장치(4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이거나, 미리 약속된 문자 및/또는 숫자로 구성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장치(440), 또는 제어 장치(4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오디오 신호(예: "작업을 시작하세요"와 같은 음성 신호)이거나,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 의해 작업 시작이 승인되었음을 나타내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무선통신 모듈(410)을 통해 비상 상황 알림 신호가 수신된 경우, 작업 현장에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오디오 장치(440), 또는 조명 장치(4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한 이동식 촬영 장치(110)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동식 촬영 장치(110)로부터 획득되는 촬영 영상이 강조 표시(예: 확대, 또는 그래픽 추가)되도록 영상 출력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서버(420)는 비상 상황 알림 신호에 포함되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한 이동식 촬영 장치(110)를 식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420)는 미리 등록된 모바일 장치(420)로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미리 등록된 모바일 장치(420)는,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기(예: 스마트폰, 노트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출력장치(430)는 관리 서버(420), 및/또는 제어 장치(460)(예: 제어 컴퓨팅 장치)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 및/또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출력장치(430)는 무선통신 모듈(410)을 통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획득되는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출력장치(42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들에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 각각의 촬영 영상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출력장치(420)는 관리 서버(420), 및/또는 제어 장치(460)(예: 제어 컴퓨팅 장치)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에 표시되는 복수의 영상들 중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복수의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그래픽 효과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440)는 관리 서버(420), 및/또는 제어 장치(460)(예: 제어 컴퓨팅 장치)의 제어에 따라 각종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및/또는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440)는 무선통신 모듈(410)을 통해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획득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장치(44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440)는 오디오 장치(440)의 마이크로폰(마이크)를 통해 오디오 신호(예: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관리 서버(42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명 장치(450)는 관리 서버(420), 및/또는 제어 장치(460)(예: 제어 컴퓨팅 장치)의 제어에 따라 점등 및/또는 점멸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350)는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광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450)는 관리 서버(420)의 제어에 의해 지정된 패턴으로 점멸됨으로써,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장치(460)는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제어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460)는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중앙관제시스템(120) 내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460)는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중앙관제시스템(120) 내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거나,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작업 시작 승인 신호,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요청 신호, 이동식 촬영 장치에 대한 전원 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들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도 2의 이동식 촬영 장치(110)이고,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도 4의 중앙관제시스템(120)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환경의 안전을 점검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510에서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 모듈(220), 또는 도 3의 카메라(331))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 배치된 후, 전원이 온됨으로써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512에서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514에서 이동식 촬영 장치(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예: 도 4의 영상 출력장치(4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촬영 영상을 송신하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개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할한 후, 분할된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각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516에서 작업 환경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의 안전 점검은,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중앙관제시스템(12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촬영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수동 확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작업 환경의 안전 점검이 수동 확인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로부터 입력(예: 도 4의 오디오 장치(440)를 통한 음성 입력, 또는 도 4의 제어 장치(460)를 통한 데이터 입력)을 통해 안전 점검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의 안전 점검은, 중앙관제시스템(120)에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되었는지 확인하는 자동 확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작업 환경의 안전 점검이 자동 확인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촬영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 점검 완료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상술한 수동 확인 방식과 자동 확인 방식을 동시에 수행하여 작업 환경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의 안전 점검 결과,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안전 요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임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작업 환경의 안전 점검이 완료된 후,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518에서 작업 시작 승인 신호를 이동식 촬영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작업 시작 승인 신호는,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중앙관제시스템(120)과 이동식 촬영 장치(110) 간에 미리 약속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520에서 작업 시작 승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작업 시작 승인 신호가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인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예: 도 3의 스피커(323))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오디오 앰프(322)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작업 시작 승인 신호가 미리 약속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인 경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도 5에서, 동작 510, 동작 512, 및 동작 514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까지, 또는 촬영 중지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 현장의 비상상황을 전파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동작들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610에서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동작 612에서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중에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구비된 비상 상황 버튼에 대한 눌림이 감지될 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비상 상황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614에서 작업 현장에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경고등을 지정된 점멸패턴에 따라 점멸시키면서, 스피커를 통해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 시스템(120)은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한 이동식 촬영 장치(110)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동식 촬영 장치(110)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면서, 해당 영역에서 비상 상황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616에서 비상 상황 대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대처 정보는, 중앙관제시스템(120)에 미리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되거나,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비상 상황 대처 정보가 획득된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618에서 비상 상황 대처 정보를 이동식 촬영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한 이동식 촬영 장치, 및 작업 현장 내 다른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 비상 상황 대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 내 모든 작업자들이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비상 상황 대처 정보가 수신될 경우, 동작 620에서 비상 상황 대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대처 정보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촬영 장치에서 작업 환경의 안전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01에서 전원이 온(On)되고, 동작 703에서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 모듈(220), 또는 도 3의 카메라(331))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 배치된 후, 전원이 온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전원이 온되면, 작업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05에서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703 및 동작 705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전원이 온된 동안에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07에서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09에서 수신된 신호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미리 약속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인지, 또는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 신호가 오디오 신호인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11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는, 예를 들어, 안전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지시 시항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 안전 점검 완료로 인한 작업 시작을 승인하는 음성 신호, 또는 안전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지정된 증폭률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작업자가 오디오 신호를 듣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신 신호가 제어 신호인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13에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각도 및/또는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각도 및/또는 촬영 방향이 변경되도록 카메라 및/또는 카메라 각도 조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15에서 비상 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비상 버튼의 눌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동작 707로 되돌아갈 수 있다.
비상 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는 경우,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작업 현장에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하고, 동작 717에서 비상 상황 알림 신호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중앙관제시스템에서 작업 환경의 안전을 점검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01에서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각 이동식 촬영 장치 별로 촬영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촬영 영상을 송신하는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개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할한 후, 분할된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각 이동식 촬영 장치(110)의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801은 이후의 동작들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03에서 작업 환경에 대한 안전 점검을 수행하여, 안전 요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의 안전 점검은,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가 중앙관제시스템(12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촬영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수동 확인 방식, 중앙관제시스템(120)에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되었는지 확인하는 자동 확인 방식, 또는 수동 확인 방식과 자동 확인 방식을 결합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동 확인 방식의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입력 장치(예: 도 4의 오디오 장치(440), 또는 도 4의 제어 장치(460))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로부터 안전 점검이 완료되었음을 입력받을 있다. 자동 확인 방식의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촬영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 점검 완료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작업 환경의 안전 요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11에서 안전 요건 준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안전 요건 준수 요청 신호는, 미 준수된 안전 요건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요건 준수 요청 신호는, 안전모 착용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작업 환경의 안전 요건이 만족된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05에서 작업 시작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작업 시작 승인 전송 신호는, 작업 시작이 승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07에서 제어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 전송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제어 장치(예: 도 4의 제어 장치(460))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로부터 이동식 촬영 장치(410)의 촬영 각도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제어 신호 전송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마이크(예: 도 4의 오디오 장치(440)에 포함된 마이크로폰)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오디오 신호 전송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 전송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09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이동식 촬영 장치(410)의 촬영 각도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이동식 촬영 장치(4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 전송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15에서 이동식 촬영 장치(110)로부터 비상 상황 알림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비상 상황 알림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동작 817에서 시스템 관리자 및/또는 안전 관리자에게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관제시스템(120)은, 경고등, 오디오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에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비상 상황을 알리는 동작은 도 6의 동작 614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앙관제시스템(120)은, 미리 등록된 모바일 장치로 비상 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식 촬영 장치(110)는 작업 시작 전의 안전 점검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예: 작업자 식별 정보, 장비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중앙관제시스템(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관제시스템(120)은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및/또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 현장에 대한 안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는, 사용자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을 이용하여 작업 현장 곳곳의 안전을 점검한 후, 작업자들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전 요건 미준수에 의해 사고가 발생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을 이용함으로써, 전체 공사 현장 중 작업이 진행될 장소(영역)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장소에 집중적으로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110-1 내지 110-N)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안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4)

  1.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 현장 내 서로 다른 영역들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부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시스템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수신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는, 안전 요건 만족 여부, 또는 작업 시작 승인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이동식 고정대, 안테나, 무선통신 장치, 카메라, 및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상기 무선통신 장치,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오디오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식 고정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전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비상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비상 버튼의 눌림이 감지될 시, 비상 상황 발생 알림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상기 비상 상황 발생 알림 신호가 수신될 시, 영상출력 장치, 오디오 장치, 또는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회전형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형 카메라의 촬영 각도, 또는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안전 관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앰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앰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현장 내 소음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소음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앰프의 증폭률을 조절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는 상기 조절된 증폭률에 따라 증폭되는, 안전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작업 현장 내 소음 크기를 추정하고, 추정된 소음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앰프의 증폭률을 조절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는 상기 조절된 증폭률에 따라 증폭되는, 안전 관리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작업 현장 내 소음 크기가 지정된 소음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증폭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에 상기 조명 장치가 지정된 패턴에 따라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획득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상기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지정된 안전 요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 요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현장에 대한 영상 촬영 중에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가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 촬영 중에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가 이동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작업 현장 내 작업자, 또는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 현장에 미리 등록된 작업자, 및 필수 장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상기 작업 현장을 촬영하는 중에 전원 오프를 요청하는 외부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원 오프를 요청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식별 정보와 미리 등록된 안전 관리자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전원 오프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 각각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활성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 또는 촬영 각도 제어 기능, 또는 촬영 방향 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17. 이동식 촬영 장치에 있어서,
    중앙관제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오디오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 작업 현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식 촬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는, 안전 요건 만족 여부, 또는 작업 시작 승인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식 촬영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비상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상 버튼의 눌림이 감지될 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비상 상황 발생 알림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이동식 촬영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회전형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형 카메라의 촬영 각도, 촬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이동식 촬영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앰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앰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이동식 촬영 장치.
  22. 중앙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식 촬영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
    영상출력 장치;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출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를 이동식 촬영 장치들로 전송하는, 중앙관제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는, 안전 요건 만족 여부, 또는 작업 시작 승인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점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중앙관제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오디오 장치; 및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식 촬영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상 상황 발생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상 상황 발생 알림 신호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영상출력 장치, 상기 오디오 장치, 또는 상기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중앙관제시스템.
KR1020210049355A 2021-04-15 2021-04-15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6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55A KR102568443B1 (ko) 2021-04-15 2021-04-15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55A KR102568443B1 (ko) 2021-04-15 2021-04-15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35A true KR20220142835A (ko) 2022-10-24
KR102568443B1 KR102568443B1 (ko) 2023-08-23

Family

ID=8380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355A KR102568443B1 (ko) 2021-04-15 2021-04-15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4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540A (ko) * 2010-01-08 2011-07-14 (주)넥스챌 전력 설비 작업 현장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력 설비 작업 현장 상황 모니터링 방법
KR102086079B1 (ko) * 2018-10-02 2020-03-06 (주)오픈웍스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95174B1 (ko) * 2020-06-08 2020-12-28 주식회사 휴랜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540A (ko) * 2010-01-08 2011-07-14 (주)넥스챌 전력 설비 작업 현장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력 설비 작업 현장 상황 모니터링 방법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86079B1 (ko) * 2018-10-02 2020-03-06 (주)오픈웍스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95174B1 (ko) * 2020-06-08 2020-12-28 주식회사 휴랜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443B1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133B1 (ko) 재난구조로봇을 이용한 재난구조시스템
KR102101584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43142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74872B1 (ko) 작업자 안전감시 시스템
KR20210042603A (ko) 스마트 안전모 동작 시스템
US11080990B2 (en) Portable 360-degree video-based fire and smoke detector and wireless alerting system
KR20220007460A (ko)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JP6956018B2 (ja) 安全管理システム
KR102202807B1 (ko)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68443B1 (ko)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5005152A (ja) クレーンの吊り荷と作業員の接近警告システム
KR102513984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JP2019179527A (ja) 管制装置
KR10128149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US20230092428A1 (en) Telematics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and improving worksite safety
KR20110042816A (ko) 안전모의 작업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14668A (ko)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58905B1 (ko) Rtls를 이용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GB2595843A (en) Safety system
TW202011361A (zh) 消防資訊整合系統
KR20190116019A (ko) 재난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84408B1 (ko) 로고라이트를 이용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7114421B2 (ja) 携帯端末、行動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