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531A -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531A
KR20200036531A KR1020180116296A KR20180116296A KR20200036531A KR 20200036531 A KR20200036531 A KR 20200036531A KR 1020180116296 A KR1020180116296 A KR 1020180116296A KR 20180116296 A KR20180116296 A KR 20180116296A KR 20200036531 A KR20200036531 A KR 2020003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ite
rule
safety
safety system
system b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121B1 (ko
Inventor
진현미
Original Assignee
진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미 filed Critical 진현미
Priority to KR102018011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1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한 안전 룰을 설정하기 위한 룰 설정모듈,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정보 획득모듈,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및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알림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Construction site safety system based on rule setting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들 및/또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이 건설현장 내에서 안전과 작업효율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안전 룰로 설정하고, 건설현장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영상정보 내의 객체들(예컨대, 건설장비, 작업자 등)의 행위나 위치, 이동경로가 미리 설정된 안전 룰에 어긋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성은 물론 작업 효율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은 수많은 중장비들과 작업자들이 모여 작업을 수행하는 관계로 복잡하고 시끄러운 작업환경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사소한 실수나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들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항시 존재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의 사고는 인명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상당히 크며, 대규모 장비들이 많은 건설장비로 인한 사고는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큰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 개개인에 대한 안전교육 외에는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기 어려우며, 단순히 관리자가 각각의 작업자들을 일일이 관리, 감독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사고에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또는, 건설현장에서 단순히 작업자의 위치만을 단편적으로 파악하여, 작업자의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작업자들을 관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가서는 안될 몇몇 제한된 특정 위치로의 작업자 접근을 방지할 수 있어도,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현장에서 건설장비, 작업자들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들 및/또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행위나 위치, 이동경로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작업진행 효율까지 고려할 수 있는 안전 룰을 설정하고, 건설장비들이나 작업자들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분석하여 안전 룰에 어긋나는 행위를 삼갈 수 있도록 작업자들에게 개별적인 알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안전을 담보하면서도 작업 효율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0238007,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들 및/또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행위나 위치, 이동경로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작업진행 효율까지 고려할 수 있는 안전 룰을 설정하고, 건설장비들이나 작업자들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분석하여 안전 룰에 어긋나는 행위를 삼갈 수 있도록 작업자들에게 개별적인 알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한 안전 룰을 설정하기 위한 룰 설정모듈,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정보 획득모듈,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및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알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룰은, 상기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와 관련된 건설장비 룰 및 상기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과 관련한 작업자 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장비 룰은, 상기 건설현장에 배치될 건설장비의 종류, 건설장비의 수, 건설장비의 이동경로, 또는 건설장비의 종류별 배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룰은, 작업자의 이동경로, 상기 건설현장 내 작업자의 위치, 상기 건설현장 내 특정 위치에 허용되는 작업자 인원, 또는 상기 건설장비별로 소정 범위 이내 허용된 인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상기 객체별로 구비되는 소정의 식별수단을 통해 상기 각 객체들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식별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에 상응하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은,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한 안전 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상기 객체별로 구비되는 소정의 식별수단을 통해 상기 각 객체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식별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에 상응하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들 및/또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행위나 위치, 이동경로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작업진행 효율까지 고려할 수 있는 안전 룰을 설정하고, 건설장비들이나 작업자들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분석하여 안전 룰에 어긋나는 행위를 삼갈 수 있도록 작업자들에게 개별적인 알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안전을 담보하면서도 작업 효율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영상획득장치(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획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안전 룰에 어긋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정보를 분석하하여 영상정보로부터 소정의 객체나 오브젝트를 디텍팅하고 특정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안전 룰은 건설현장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해 설정되는 룰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전 룰은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들과 관련한 건설장비 룰, 및/또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과 관련한 작업자 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건설현장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룰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에 의한 분석이 수행되고,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건설현장에서 건설작업을 관리, 감독하는 소정의 관리자 단말기(200) 및/또는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300)로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는 건설현장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미리 설정된 안전 룰에 어긋나는 행위나 바람직하지 않은 건설장비의 배치, 작업자의 위치 등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나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행위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알림정보에 의해 관리자 및/또는 작업자는 안전 룰에 어긋나는 행위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여 건설현장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건설현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인원들이 들을 수 있는 전체 방송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건설현장의 특성상 작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건설장비, 작업수행으로 인한 소음이 평상시에 비해 매우 심할 수 있으므로, 특히 작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는 상기 알림정보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를 통해 개별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쉬는 시간이나 근무 외 시간에는 상기 알림정보가 건설현장 전체로 방송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건설현장에 위치한 작업자들 및/또는 건설현장에 배치된 건설장비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설현장의 작업자들 및/또는 건설장비들에는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식별수단이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식별수단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작업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들이 필수로 착용해야하며, 다른 장비들에 비해 비교적 어느 각도에서도 눈에 띄기 쉬운 안전헬멧에 상기 식별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별수단은 영상정보를 통해 분석, 식별이 가능한 문자나 숫자, 기호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RF 태그나 NFC 모듈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건설현장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식별수단과 통신이 가능한 소정의 식별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건설현장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자들이나 건설장비들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의 구성과 기능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룰 설정모듈(110), 영상정보 획득모듈(120), 판단모듈(130), 및/또는 알림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소정의 서버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과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단말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이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상기 영상획득장치(10),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의 일부의 구성은 소정의 서버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의 구성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에 분산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버와 관리자 단말기(200)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에서 영상정보를 획득,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 룰에 어긋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로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이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즉,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관리 사무소 등과 같이 건설현장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컴퓨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 역시 작업자가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는 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소정의 웨어러블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룰 설정모듈(110)은 건설현장의 안전과 관련된 안전 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룰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와 관련한 건설장비 룰, 및/또는 작업자들과 관련한 작업자 룰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안전 룰에는 건설 기간에 따른 건설작업 과정의 작업 진척도 달성에 관련한 건설작업 룰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안전 룰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은 건설현장 내에 설치되는 영상획득장치(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모듈(130)은 상기 영상정보 획득모듈(1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영상정보 내에서 객체들(예컨대, 건설장비, 작업자 등)이 상기 룰 설정모듈(110)에 의해 설정된 안전 룰에 어긋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130)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알림모듈(140)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로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알림모듈(140)은 상기 판단모듈(130)에 의해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난다고 판단되는 객체에 상응하는 작업자 단말기(300)로 상기 알림정보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판단모듈(130)은 상기 영상정보 내에서 상기 식별수단을 통해 안전 룰에 어긋난다고 판단되는 개별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안전 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룰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게 건설장비와 관련된 건설장비 룰과, 작업자들과 관련한 작업자 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룰에는 작업자들 및/또는 건설장비나 건설작업의 전반적인 사항을 관리하는 관리자와 관련된 룰이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안전 룰이 건설장비 및 작업자 관련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전 룰은 굳이 건설장비/작업자 관련을 나누지 않고 건설현장의 안전과 관련된 사항에 대한 룰로 통합된 통합 룰로 설정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건설장비/작업자 외에 더욱 세분화된 분야별로 룰을 설정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건설장비 룰은, 건설현장에 배치될 건설장비의 종류, 건설장비의 수, 건설장비의 이동경로 및/또는 건설장비별 배치될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건설현장에서 건설장비 중 몇 대의 포크레인이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야 하는지가 건설장비 룰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판단모듈(130)에 의해 건설현장을 촬영한 영상정보가 분석되고, 분석결과 포크레인이 설정된 건설장비 룰에 맞도록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만약 판단결과 포크레인의 수나 포크레인의 배치 위치가 설정된 건설장비 룰에 어긋나는 경우, 상기 알림모듈(140)은 포크레인의 위치 또는 수가 건설장비 룰에 어긋난다는 사실을 알림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작업자 단말기(300)로 전송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림모듈(140)이 작업자 단말기(300)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는 포크레인의 운행을 담당하는 담당 작업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건설장비의 종류 또는 건설장비의 식별정보별로, 어떠한 건설장비가 건설현장 내에서 어떤 경로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가 상기 건설장비 룰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포크레인 1은 굴착작업이 진행 중인 현장의 제1위치로부터 수 미터 범위 이내에서 배치되거나 이동될 수 있고, 포크레인 2는 제2위치로부터 수 미터 범위 이내에 배치되거나 이동될 수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포크레인들로부터 흙이나 건축자재 등을 적재하기 위한 덤프트럭이 어느 경로를 통해 어느 포크레인으로 향해야 할지 여부 등이 건설장비 룰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건설장비들의 배치 위치나 이동경로를 건설장비 룰로 설정하는 경우, 복잡한 건설현장 내에서 동선이 엉켜 작업이 지체되거나, 자칫 인명사고와 같은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을 어느 정도 미리 방지할 수 있어 건설현장 안전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자 룰은,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과 관련된 룰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자 룰은 건설현장 내에서 작업자가 수행하는 행위들 중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를 정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는 작업자의 안전을 저해하는 행위 및 작업의 효율을 저해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컨대, 건설장비가 가동되고 있는 중에 특정 작업자가 건설장비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일정 시간 동안 위치하고 있거나, 건설장비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이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판단모듈(130)은 특정 작업자가 건설장비에 의해 안전사고를 당할 우려가 높으므로 안전 룰에 어긋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판단모듈(130)은 특정 작업자가 건설현장 내에서 사고 위험이 높은 특정 위치에 있거나, 상기 특정 위치를 향해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고 있는 상황이 영상정보로부터 분석되면 안전 룰에 어긋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작업자 룰은 상기 건설장비의 종류별로, 각 건설장비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는 허용인원 수를 포함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탑승자를 제외하고 포크레인을 중심으로 반경 3m 이내에는 작업자가 위치할 수 없다는 것을 작업자 룰로 설정하거나, 크레인 주변에는 최대 3명 이내의 작업자까지만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작업자 룰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자 룰은 작업자의 근무태도에 관한 사항이 작업자 룰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정보의 분석결과 특정 작업자가 근무시간에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불필요한 위치에 일정 시간 이상 오래 머무르고 있는 경우,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기(300)로 알림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200)로 알림정보를 전송, 관리자가 작업자의 관리, 감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건설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요한 작업자들의 인원 수나 작업자들의 위치가 상기 작업자 룰로 설정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건설현장 전체에 있어야 할 작업자들의 수나, 건설현장 내의 특정 위치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 인원 수가 적정한지 여부 등이 작업자 룰로 설정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를 예방은 물론, 원활한 작업 진행을 위해 필요한 세부 사항들을 안전 룰로 설정하고, 건설현장을 촬영한 영상정보의 분석을 통해 건설장비 및/또는 작업자들의 행위, 동선, 위치 등을 파악하여 설정된 안전 룰에 어긋나는 경우에는 해당 인원이나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어,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하면서 적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한 안전 룰을 설정(s11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건설현장 내에 설치된 영상획득장치(10)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획득(s120)할 수 있으며, 이처럼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s130)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100)은 분석결과 영상정보 내에서 파악된 객체들(예컨대, 건설장비, 작업자 등)의 행위나 위치, 동선이 설정된 안전 룰에 어긋나는지 여부를 판단(140)하여, 안전 룰에 어긋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로 알림정보를 전송(s15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한 안전 룰을 설정하기 위한 룰 설정모듈;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정보 획득모듈;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및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알림모듈을 포함하는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룰은,
    상기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건설장비와 관련된 건설장비 룰 및 상기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과 관련한 작업자 룰을 포함하는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장비 룰은,
    상기 건설현장에 배치될 건설장비의 종류, 건설장비의 수, 건설장비의 이동경로, 또는 건설장비의 종류별 배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룰은,
    작업자의 이동경로, 상기 건설현장 내 작업자의 위치, 상기 건설현장 내 특정 위치에 허용되는 작업자 인원, 또는 상기 건설장비별로 소정 범위 이내 허용된 인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상기 객체별로 구비되는 소정의 식별수단을 통해 상기 각 객체들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식별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에 상응하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6.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한 안전 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상기 객체별로 구비되는 소정의 식별수단을 통해 상기 각 객체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이 식별된 객체들 중 상기 안전 룰에 어긋나는 객체에 상응하는 작업자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
  8.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16296A 2018-09-28 2018-09-28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9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96A KR102190121B1 (ko) 2018-09-28 2018-09-28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96A KR102190121B1 (ko) 2018-09-28 2018-09-28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31A true KR20200036531A (ko) 2020-04-07
KR102190121B1 KR102190121B1 (ko) 2020-12-11

Family

ID=7029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296A KR102190121B1 (ko) 2018-09-28 2018-09-28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12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36B1 (ko) *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20007460A (ko) *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102361552B1 (ko) * 2021-04-08 2022-02-14 이정우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20220082412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포스코 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449823B1 (ko) 2021-11-11 2022-09-30 위즈코어 주식회사 건설 현장의 이미지 태깅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20220142835A (ko) * 2021-04-15 2022-10-24 (주)유셀네트웍스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03230A1 (ko) * 2021-07-19 2023-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장비 착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500474B1 (ko) * 2021-08-23 2023-02-17 정명훈 스마트 지능형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95115B1 (ko) * 2023-08-02 2023-10-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35902B1 (ko) * 2023-04-13 2024-02-14 소니드로보틱스 주식회사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작업 공정별 상황 인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007B1 (ko) 1997-12-03 2000-01-15 김헌출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KR101653736B1 (ko) * 2014-10-10 2016-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3283B1 (ko) * 2014-12-31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45670B1 (ko) * 2017-02-08 2017-06-27 김동관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007B1 (ko) 1997-12-03 2000-01-15 김헌출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KR101653736B1 (ko) * 2014-10-10 2016-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101723283B1 (ko) * 2014-12-31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5670B1 (ko) * 2017-02-08 2017-06-27 김동관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460A (ko) *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102235036B1 (ko) *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20082412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포스코 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361552B1 (ko) * 2021-04-08 2022-02-14 이정우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20220142835A (ko) * 2021-04-15 2022-10-24 (주)유셀네트웍스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03230A1 (ko) * 2021-07-19 2023-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장비 착용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500474B1 (ko) * 2021-08-23 2023-02-17 정명훈 스마트 지능형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9823B1 (ko) 2021-11-11 2022-09-30 위즈코어 주식회사 건설 현장의 이미지 태깅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2635902B1 (ko) * 2023-04-13 2024-02-14 소니드로보틱스 주식회사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작업 공정별 상황 인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95115B1 (ko) * 2023-08-02 2023-10-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121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6531A (ko)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90120B1 (ko)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Zhang et al. Real-time alarming, monitoring, and locating for non-hard-hat use in construction
US104774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intrusion counter-measures
KR20170006095A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bderrahim et al. A mechatronics security system for the construction site
KR20150025515A (ko) 이동 단말기 위치 판단 규칙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보안 정책 적용 방법, 이를 통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554404A (zh) 监护方法、控制器、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26531B1 (ko)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CN104641377A (zh) 用于移动计算设备的数据丢失防护
KR102398841B1 (ko) 영상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6152A (ko)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US202301624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isk in construction site based on image analysis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5230078A (en) Method for a console to quickly monitor a group
KR20160059105A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CN112434975A (zh) 一种加油站卸油作业过程数字化监管方法及系统
KR102104485B1 (ko)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KR102084565B1 (ko) 현장맞춤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98478A (ko) 정의된 객체를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21143A1 (en) Method for managing breakdown of construction equipment for providing current workable information
CN111341133B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KR102389521B1 (ko) 융복합 산업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35902B1 (ko)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작업 공정별 상황 인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