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115B1 -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115B1
KR102595115B1 KR1020230101224A KR20230101224A KR102595115B1 KR 102595115 B1 KR102595115 B1 KR 102595115B1 KR 1020230101224 A KR1020230101224 A KR 1020230101224A KR 20230101224 A KR20230101224 A KR 20230101224A KR 102595115 B1 KR102595115 B1 KR 10259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heck
worker
safety
worker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호
홍영기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0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2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a temporal dimension, e.g. time-based feature extraction; Pattern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등 사고 발생 위험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 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CCTV 영상의 위치추적 모니터링 시스템과 개별 단말기의 실시간 통신을 통해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안전체크 계획 및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작업존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안전체크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방법으로서, 작업 현장에서의 (1) 위험요인 발견 및 공유, (2) 위험저감 및 위험제거를 안전체크의 위치기반 확인 기능으로 가능하게 하는 안전사고(중대재해사고)의 실질적 예방도구이다.

Description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 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afety check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of individual workers in CCTV vision at the site of accident risk}
본 발명은 건설현장 등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 위치추적정보에 기초한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현장의 사고발생은 거의 대부분 불안전 행동, 불안전 상태에 의해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작업자의 안전교육, 현장감독 및 통제, 안전체크 등이 엄격하게 수행되고 있지만 유사한 사고는 계속 재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 발생의 다양한 원인 중 주된 원인은 안전체크가 인적 영향 등의 실수로 누락되거나,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에 대한 안전대책 자체가 불충분 하게 계획되거나, 또는 안전대책이 충분히 수립되었더라도 이에 대한 안전체크가 작업 관련자들이 타성에 젖어 형식적으로만 이루어지고 기록됨이 없어, 실질적 실행이 되지 않은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현장에는 잠재적 수많은 위험요소가 있으며 실질적 위험요소는 작업자가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영역 즉, '작업존 또는 작업영역(이하 작업존)'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작업존'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에 대한 안전체크는 사고예방의 마지막 절차가 된다.
특허문헌 1에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와 작업영역을 그룹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작업자와 작업영역 그룹별로 해당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위험 판단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위험요소는 보호구 착용여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작업 영역 내에서 준수하여야 할 행동 등도 있으며, 이를 숙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작업 현장에서 보호구 착용 등의 안전 수칙 확인을 자동화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위험요소는 보호구 착용여부에만 있는 것이 아니며, 특히, 특허문헌 2의 경우 보호구 미착용 등의 안전 수칙은 작업 현장 출입 전에만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러나, 현장에는 작업이 실제 이루어지는 작업존은 한곳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위험요소가 없거나 또는 완화된 장소도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장 내에서 각 작업존 마다 지켜져야 할 안전사항이나 확인되어야 할 위험요소가 다를 수 있는데, 특허문헌 2의 경우 현장 출입부분에서만 특정하여 감시하며, 출입부분 이외의 지역에서 안전수칙을 미준수할 경우 감시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사고 방지 및 사고 발생시의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작업자의 구체적인 안전사항 체크에 대한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위험구역 등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작업자 추락 등의 사고 발생시의 빠른 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고의 예방과는 거리가 있다.
KR 10-2398841 B1 KR 10-2518488 B1 KR 10-2295308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배경과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안전체크 항목을 작성하고 업데이트 하여 이를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개별 작업자를 대상으로 안전체크 사항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위험저감 및 위험제거를 통하여 재해사고의 예방과 위험저감에 대한 실질적 기여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장의 영상이 촬영되는 촬상장치(100); 상기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상기 현장의 영상영역에서 작업존이 지정되는 작업존 지정 모듈(210); 상기 현장의 작업 단계별, 작업자별, 지정된 상기 작업존별 위험요인, 재해유형별로 안전체크 사항의 지정과,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전체크, 현장체크 및 사후체크로 분류되어 작성되는 작업위험분석 모듈(220);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서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 및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입력되고 저장되며,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여부를 단말기(400)로부터 전송 받아 이를 표시하는 모니터부(240)를 포함하는 메인 모듈(230); 각 작업자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모니터부(240)에 표시되는 사항이 함께 표시되는 단말기(400); 상기 단말기(400)의 식별코드를 별도의 카메라에서 스캔하여 각 작업자 개인정보를 인식하는 작업자 인식 모듈(300); 상기 작업자의 상기 안전체크 유형에 따라 상기 안전체크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 및 상기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서 인식된 작업자인지 여부, 및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서 확인된 안전체크 적합 여부에 따라 작업자를 구분하고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추적 모듈(260);을 포함하는 현장에서의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 의해 상기 현장의 작업 단계별, 작업자별, 지정된 상기 작업존별 위험요인, 재해유형별로 안전체크 사항의 지정과,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전체크, 현장체크 및 사후체크로 분류되어 작성되는 단계; (b) 상기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과 상기 안전체크 유형을 메인 모듈(230)에 입력하고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되는 단계와 함께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가 상기 메인 모듈(23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 (c) 상기 작업존 지정 모듈(210)에 의해, 상기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상기 현장의 영상영역이 모니터부(240)에 같이 표시되고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부(240)의 영상영역 안에서 작업존을 지정하는 단계; (d) 상기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상기 각 단말기(400)에 저장된 식별코드가 별도의 카메라 장치에서 스캔되어 각 작업자 개인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e)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에 의해, 상기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영역 내에서, 상기 각 작업자 개인의 인식 여부가 구분되어 위치가 추적되는 단계; 및 (f)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 의해, 상기 각 작업자의 안전체크 유형에 따라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고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장에서의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분류된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전체크인 경우, 상기 (f) 단계는, (f11) 상기 안전체크 확인 모듈(250)에 의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에 진입 전에 상기 안전체크의 적합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f12)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이, 상기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13)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상기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는 단계; 및 (f14)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 밖의 지역에서 상기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f12)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분류된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현장체크인 경우, 상기 (f) 단계는, (f21)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 의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에 진입 후에 상기 안전체크 적합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f22)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이, 상기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23)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는 단계; 및 (f24) 상기 안전체크가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 내에서 상기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입력한 경우, 상기 (f22)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분류된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후체크인 경우, (f31)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작업존 내에서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로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32) 상기 작업존 내에 있었던 작업자의 식별코드가 상기 작업존 밖에서 스캔되어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다시 인식되었는지 판단되는 단계; (f33) 상기 안전체크 확인 모듈(250)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 밖에 위치한 상태에서 1번 이상 재인식된 경우, 상기 안전체크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할 수 있는 준비 단계; (f34)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의 식별코드가 다시 인식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안전체크 사항의 미실행을 포함하는 부적합임을 알리는 단계; (f35)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은, 식별코드가 재인식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상기 안전체크 사항이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작업존에 재진입시 해당 작업자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36)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상기 식별코드가 재인식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상기 안전체크 사항이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에게 상기 단말기(400)를 통하여 상기 안전체크 사항의 부적합 상황을 알리고 위험요인의 제거 및 감소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및 (f37) 상기 식별코드가 재인식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식별코드를 재인식 한 후 상기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판단하여 입력한 경우 상기 (f33)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작업존에서의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이 상기 메인 모듈(230)에 추가로 입력되어 업데이트 되는 단계; 및 (h) 상기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작업존에서의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이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공유된 후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이 상기 단말기(400)를 통하여 상기 안전체크가 부적합인 경우에 부적합 상황을 알리고 위험요인의 제거 및 감소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및 (i) 상기 현장의 모든 각 작업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안전체크 사항 중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 항목을 포함하는 부적합 항목이 모두 전송되어 상기 모니터부(240)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개별 작업자의 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안전관리자 및 개별 작업자는 현장에서 지켜져야 하는 안전체크 사항을 계획하고, 안전체크의 유형별 실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기록함으로써, 형식적인 안전체크에서 벗어나게 함은 물론이고, 각 작업자에게 개별 안전체크 책임을 부여하여 작업자의 불안전 행동과 불안전 상태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 저감 및 제거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한다.
2) 작업에 참여하는 모든 작업자, 관리자 등 책임자가 작업존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대한 위험요인 및 안전체크 사항에 대하여 개별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작성, 기록, 보관,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집단적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변화하는 작업환경의 위험요인과 안전체크 사항에 대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안전체크 사항은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되어 관리자와 작업자가 공유한다.
3) 결과적으로, 현장에서의 사고예방을 위한 다양한 안전관리 방법 중 최종 확인 단계인 안전체크에 대하여 안전체크의 계획(Plan), 안전체크의 실행(Do), 안전체크의 확인(Check), 안전체크의 조치(Action)에 관한 각 모듈의 집합체로서 작업에 관련된 모든 인원에게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중대재해사고의 예방과 위험저감의 실질적 도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이 실제 현장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이 실제 현장에서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작업위험분석 모듈에서 안전체크 사항 및 이의 수행 유형이 작성되는 문서 양식의 예시이다.
도 7은 문서로 작성한 작업위험분석 내용을 메인 모듈에 입력하는 작업위험분석 화면의 예시이다.
도 8은 촬상장치에서 촬영되는 영상영역을 모니터링 부에 출력하여 작업존을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식으로 지정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작업자 인식 모듈에서 개별 단말기에 표시되는 각 작업자별 식별코드와 식별코드가 인식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촬상장치에서 촬영되는 영상영역 내에서 개별 작업자의 식별코드 인식 여부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단말기에 표시되는 안전체크 유형과 안전체크 사항에 대한 적합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안전체크 유형과 안전체크에 대한 부적합 표시 또는 미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안전체크 유형 중 사전체크 유형에서 안전체크 확인 및 통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안전체크 유형 중 사전체크 유형에서 안전체크 실행의 적합 여부에 대한 구분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안전체크 유형 중 현장체크 유형에서 안전체크 확인 및 통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안전체크 유형 중 현장체크 유형에서 안전체크 실행의 적합 여부에 대한 구분 화면을 나타낸다.
도 17은 안전체크 유형 중 사후체크 유형에서 안전체크 확인 및 통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안전체크 유형 중 사후체크 유형에서 안전체크 실행의 적합 여부에 대한 구분 화면을 나타낸다.
도 19는 단말기를 통해 새로운 위험요인과 안전체크 사항을 메인 모듈에 전송하여 업데이트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0은 작업에 참여한 모든 관리자 및 작업자별로 부여된 안전체크 사항의 수행 여부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이 실제 구현됨으로써 작업존 내 작업자가 구분되어 모니터부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이나 공사 현장 등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지켜야 할 안전사항의 체크에 있어서 계획, 실행, 확인 및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과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건설 현장이나 공사 현장 등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현장의 작업존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지켜야 할 안전사항 체크에 있어서 계획, 실행, 확인 및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작업존 내의 안전체크 사항과 유형을 지정하여 계획하고, 지정된 안전체크 사항과 유형을 개별 작업자가 실행하도록 하며, 지정된 안전체크 사항이 실제 실행되었는지 해당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통제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촬상장치(100), 작업존 지정 모듈(210), 작업위험분석 모듈(220), 메인 모듈(230), 단말기(400), 작업자 인식 모듈(300),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 및 위치추적 모듈(260)을 포함한다.
촬상장치(100)는 현장 근처에 설치되어 현장의 영상을 촬영한다. 촬상장치(100)의 구성은 CCTV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 실시간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된다.
촬상장치(100)에 의해 현장의 소정영역의 영상이 영상영역으로서 촬영된다.
작업존 지정 모듈(210)은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현장의 영상영역에서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작업존을 지정한다.
작업존의 지정은 관리자에 의해 현장의 영상에서 실제 작업영역을 확인하여 지정할 수 있으나, 미리 설정된 영상분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현장 작업존 설정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은 작업시 수행되어야 할 안전체크 사항을 작성하고,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이 수행되어야 하는 유형을 분류하여 작성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단계별,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개별 작업자, 지정된 작업존 별로 존재하는 위험요인, 재해 유형별로 안전체크 사항을 지정하고, 지정된 안전체크의 유형을 분류하여 작성한다.
안전체크 유형의 분류는 사전체크, 현장체크 및 사후체크로 나뉜다.
메인 모듈(230)은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서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과 안전체크 유형을 저장한다.
또한 메인 모듈(230)에 입력된 안전체크 사항과 안전체크 유형은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전송 받고 모니터부(240)에 출력되어 표시된다.
단말기(400)는 각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것으로서, 각 작업자의 개인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저장된다.
식별코드는 각 작업자를 개별로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원번호,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작업자를 개별로 구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단말기(400)에 저장 및 표시 가능한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한 메인 모듈(230)에 입력되는 사항 즉,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서 작성되는 안전체크 사항과, 분류된 안전체크 유형에 따른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도 단말기(400)에 표시된다.
단말기(400)의 구성은 각 작업자가 소지한 상태로 작업이 용이하며, 상기한 식별코드 및 메인 모듈(230)에 입력되는 사항이 저장 및 표시되고,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는 단말기(400)를 통하여 표시되는 안전체크 사항과 해당 유형에 따라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입력한다.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상기와 같이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 및 그 유형에 따라 작업자가 입력한 안전체크의 적합 또는 부적합(미실행을 포함)을 메인 모듈(230)로부터 확인한다.
위치추적 모듈(260)은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영역 및 미리 정의된 작업존에 진입하는 각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한다.
위치추적 모듈(260)은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서 식별코드가 인식된 작업자인지 여부 및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서 지정된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에 따라 해당 작업자를 구분하고 그 위치를 계속 추적하여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세히는 후술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장치(100)는 현장의 근처에 설치되어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고, 단말기(400)는 각 작업자가 소지하며, 작업자 인식 모듈(300)은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영역 외의 지역에서 해당 작업존으로 진입하는 가까운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존 지정 모듈(210), 작업위험분석 모듈(220), 메인 모듈(230),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 및 위치추적 모듈(260)은 관리자가 근무하는 통제소(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모듈은 각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작업존을 설정하고, 이러한 작업존 내에서 지켜져야 할 안전체크 사항을 현장의 통제소(200) 등에서 작업자 개인을 식별하는 단말기(400) 등을 통하여 알리고, 이의 실행여부를 통제소(200)에서 확인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세히는 후술한다.
다음, 도 4 내지 도 20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및 개략도이다.
먼저, 현장의 작업존의 안전체크 사항이 지정되고, 안전체크 유형이 분류되어 작성된다(S100).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 의해 현장의 작업 단계별, 작업자별, 지정된 상기 작업존별 위험요인, 재해유형별로 안전체크 사항과 안전체크 유형이 지정된다.
지정된 안전체크의 유형은 사전체크, 현장체크 및 사후체크로 분류되며, 각 안전체크 사항마다 실행을 위해 단독 또는 복수의 작업자가 지정될 수 있다.
다음,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 및 안전체크 유형을 메인 모듈(230)에 입력하고 모니터부(240)와 단말기(400) 화면에 출력 한다(S200).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서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과 안전체크 유형에 따라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안전체크를 단말기(400)을 이용하여 실행하고 해당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가 메인 모듈(230)에 전송되어 저장됨과 함께, 모니터부(240)에 표시되며 및 각 단말기(400)에도 동시에 표시된다.
안전체크의 실행의 적합 여부는 작업자가 스스로 수행하는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로서, 적합 또는 부적합(미실행을 포함)의 결과가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확인된다.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을 만족하는 경우, '적합'으로 입력하며,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 중 만족하지 않는 사항이 있는 경우 '부적합'으로 입력한다.
또한, '부적합'에는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실행하지 않은 행위 즉, '미실행'의 경우를 포함한다.
다음, 시스템 사용자에 의해 현장 영상의 모니터부(240)에서 작업존이 지정된다(S300).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현장의 영상영역은 모니터부(240)에 표시되어 나타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존 지정 모듈(210)은 모니터부(240)에서 나타나는 현장의 영상영역을 통해 실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존을 구획하여 지정한다.
도 8에는 모니터부(240)의 영상영역 중 좌측 하부가 작업존으로 지정된 모습을 나타내고, 복수의 작업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촬상장치(100)을 추가한 다.
다음, 각 단말기(400)에 저장된 식별코드는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여 각 작업자의 개인 정보가 인식된다(S400).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말기(400)에 저장된 식별코드가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스캔되어 각 작업자의 개인정보를 인식한다.
개별 작업자에게 각각 부여된 식별코드는 작업자 개인 단말기(400)에 저장되고,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영역 외부에 설치된 별도의 촬상장치를 통해 식별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각 작업자의 개인정보(성명, 사원번호, 부서 등)가 인식 된다.
다음, 현장의 영상 내에서, 각 작업자의 개인정보 인식 여부가 구분되어 위치가 추적된다(S500).
위치추적 모듈(260)은 식별코드로 인식된 개별 작업자가 촬상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영역 내에 진입 하면 즉시 작업자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식별코드가 인식되지 않은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이를 구분하여 추적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추적 모듈(260)은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영상 내에서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각 작업자 개인이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구분하여 위치를 추적하며, 이는 모니터부(240) 및 각 단말기(400)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도 10에는, 작업자 인식 모듈(300)은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개인정보 인식이 이루어진 작업자의 경우 녹색박스로 표시하여 위치가 추적 되도록 하고, 식별코드를 스캔하지 않아 개인정보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은 작업자가 영상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적색박스로 구분하여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한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각 작업자 개인정보가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다음, 각 작업자의 안전체크 유형 및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에 따라 작업자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통제한다(S600).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 의해, 각 작업자의 안전체크 유형 및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에 따라 작업자를 구분하여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하고 통제한다.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각 작업자가 각 안전체크 유형에 따른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또는 부적합(미실행을 포함) 여부를 분석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관리자 또는 각 작업자는 소지한 단말기(400)에 표시되는 안전체크 사항 및 유형에 따라 안전체크를 수행하여 적합 또는 부적합(미실행을 포함)으로 입력하게 된다.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입력된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녹색박스로,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미실행 포함)인 작업자는 적색박스로 구분하여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며, 구분하는 방식은 상기와 같이 안전체크 유형과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및 실행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안전체크 유형은 상기와 같이, 사전체크, 현장체크, 및 사후체크로 분류된다.
이하에서, 도 13 내지 도 18을 더 참조하여, 각 안전체크 유형에 따른 안전체크의 수행 및 통제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안전체크 유형이 사전체크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전체크 유형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하기 전에 안전체크를 수행하는 유형이다.
먼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하기 전 안전체크의 적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해당 사항을 입력한다(S611).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전에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인 작업자와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를 구분하여 표시한다(S612).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추적 모듈(260)은 안전체크 확인 모듈(250)에 의해 확인된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 판단에 따라,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를 구분하여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한다.
위치추적 모듈(260)은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로부터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하기 전에 안전체크를 적합으로 수행하지 않았다면(미실행의 경우를 포함한다) 해당 작업자를 잠재적 위험발생자로 인식하여 모니터부(240)에 적색박스로 표시하고,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하기 전에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수행하였다면 모니터부(240)에 정상적 안전한 작업자로 인식하여 녹색박스로 표시한다.
다음,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에게 이를 알린다(S613).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전에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 포함)가 있는 경우 이를 해당 작업자에게 단말기(400) 또는 별도로 설치된 현장의 스피커 등을 통하여 알림으로써, 안전체크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 포함)가 작업존 밖으로 나와 안전체크를 적합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의 위험요인을 제거 또는 감소 조치한다.
다음,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가 작업존 밖의 지역에서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고 해당 사항을 입력한다(S614).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안전체크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 포함)가 작업존 밖의 지역에서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되었는지 해당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상기 (S612)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즉, 안전체크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가 작업존 밖의 지역에서 상기 안전체크를 적합으로 입력한 경우에 한정하여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같은 색으로 바꾸어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한다.
다음,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안전체크 사항의 수행 유형이 현장체크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장체크 유형은 각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한 후 즉시 안전체크를 해당 작업존에서 수행하는 방식이다.
먼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후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621).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후, 해당 작업존에 한정하여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를 구분하여 표시한다(S622).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추적 모듈(260)은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 의해 작업존 내에서 확인된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 판단에 따라,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를 구분하여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하며, 표시 방법은 마찬가지로 박스 색을 통하여 할 수 있다.
다음,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에게 이를 알린다(S623).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후에 작업자가 스스로 안전체크를 수행하여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가 있는 경우 이를 해당 작업자의 단말기(400) 또는 별도로 설치된 현장의 스피커 등을 통하여 알림으로써, 안전체크가 부적합인 작업자가 작업존 내에서 안전체크를 적합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의 위험요인을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다음, 안전체크가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를 대상으로 작업존 내에서 안전체크가 적합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고 해당 사항을 입력한다(S624).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가 작업존 내에서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으로 확인된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가 작업존 내에서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S622)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즉,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가 작업존 내에서 위험요인이 제거 또는 감소를 다시 판단하고,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입력한 경우에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같이 녹색 박스로 변경하여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한다.
다음,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안전체크 유형이 사후체크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후체크 방식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후 작업이 완료되어 작업존 영역 밖으로 나갔을 경우 식별코드를 재인식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작업존으로 진입하는 경우,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로 표시(S631) 한다.
위치추적 모듈(260)은 안전체크 유형이 사후체크인 경우, 작업자가 작업존으로 최초 진입하면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인 작업자로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후체크 방식은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한 후에도 안전체크 사항이 단말기(400)에 표시는 되나 입력이 가능하지 않으며(비활성 되어 있음), 일단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인 작업자로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된다.
다음, 작업존 내에 있었던 작업자가 작업존 밖으로 나가 식별코드를 다시 스캔하여 해당 작업자가 작업존 밖으로 나갔는지를 판단한다(S632).
이 과정은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작업존 내에 있었던 작업자가 작업존 밖의 영역에서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작업자의 개인 정보를 재인식하는 과정이다.
다음, 작업자가 작업존 밖에 위치한 상태에서 식별코드를 재인식한 경우, 비활성화된 안전체크 사항이 활성화 되며, 이후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할 수 있다(S633).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의 식별코드가 작업존 밖의 영역에서 재인식된 경우에 한정하여,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작업자가 작업존 밖에 위치한 상태에서 재인식되지 않은 경우 또는 식별코드가 성공적으로 재인식되었으나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경우(미실행인 경우를 포함) 작업자에게 이를 알린다(S634).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해당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후 작업존 영역 밖으로 나가 식별코드를 다시 스캔하지 않은 경우나, 작업존 영역 밖으로 나아가 식별코드를 재스캔 하고도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미실행인 경우를 포함)인 경우에 안전체크 사항의 부적합(미실행 사항을 포함)을 단말기(400) 또는 별도의 스피커 등을 통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알린다.
다음, 식별코드가 다시 인식되지 않은 작업자가 또는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가 작업존에 재진입시 이를 구분하여 표시한다(S635).
위치추적 모듈(260)은, 작업존 밖으로 나아가 다시 인식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안전체크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가 작업존에 재진입시 이를 구분하여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한다.
다음, 식별코드를 재인식 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에게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현장의 위험요인 제거 또는 감소 조치를 수행한다(S636).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식별코드를 다시 인식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가 작업존에 다시 진입하면, 이를 단말기(400) 또는 별도의 스피커 등을 통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해당 작업자가 식별코드를 다시 인식하도록 하거나,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판단되도록 현장의 위험요인의 제거 및 감소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다음, 해당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는 식별코드를 재인식 하거나 또는 안전체크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의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한다(S637).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해당 작업자를 대상으로 식별코드의 재인식 여부 또는 안전체크 사항이 부적합인 작업자(미실행 작업자를 포함)를 대상으로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S633)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즉, 해당 작업자의 식별코드가 작업존 밖으로 나간 후 1번 이상 재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입력한 작업자가 작업존에 다시 진입하면 해당 작업자를 녹색박스로 표시하기 위함이다.
정리하면, 사후체크 유형으로 분류된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 후 작업존에서 다시 벗어나 식별코드를 재인식하고, 이 과정을 통해 현재 작업자의 위치가 작업존 밖의 지역으로 확인됨으로써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에 대하여 실제적 판단과 수행이 이루어진다.
만약 해당 작업자가 작업존에 진입한 후 다시 벗어난 후 식별코드를 다시 스캔하여 인식하지 않으면 안전체크 항목은 계속 비활성화 되어 입력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결과적으로 해당 작업자의 안전체크는 최종적으로 미실행으로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기존에 현장에서 이루어지던 단순히 안전교육 등과는 달리, 각 작업자에게 작업존에서 작업시 지켜져야 할 안전체크 사항을 표시하고 이를 스스로 판단하여 해당 적합 여부를 입력하며, 지정된 작업존의 실체적 위치추적 정보를 통해 안전체크의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위험요인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다음, 작업존에서의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이 업데이트 된다(S700).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작업존에서의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이 발생하면, 이를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하여 메인 모듈(230)에 업데이트 되도록 하며(도 19의 파선 부분), 업데이트된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은 각 단말기(400)를 통해 안전관리자와 개별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업데이트된 안전체크 사항은 지정한 작업존의 위험요인으로서 새로운 담당자에게 위험요인의 제거 또는 감소의 책임이 부여된다. 또한 함께 공유된 작업자에게도 안전체크의 책임이 부여되어 결과적으로 위험요인이 실시간 모니터링 된다.
또한,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서도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의 지정시 이를 반영하여 작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기(400)를 통해 작업존에서의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이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공유된 후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이 단말기(400)를 통하여 안전체크가 부적합인 경우에 부적합 상황을 알려서 위험요인의 제거 및 감소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현장의 모든 각 작업자의 안전체크 실행의 적합 항목과 부적합 항목(미실행 항목을 포함)을 표시한다(S800).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각 작업자의 단말기(400)로부터 메인 모듈(230)로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항목과 부적합 항목(미실행 포함)이 전송되어 모니터부(240) 및 단말기(400)에 표시되며, 또한, 저장 및 기록이 이루어진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이 실제 구현되어 작업존 내 작업자가 구분되어 모니터부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일 예이며, 관리자와 개별 작업자는 이를 확인함으로써 계획된 모든 안전체크가 실제 적합하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적합(미실행)된 안전체크 사항은 작업현장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남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 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현장에서 지켜져야 하는 안전체크 사항을 작성하고, 안전체크의 유형별 계획 대비 실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형식적인 안전체크에서 벗어나게 함은 물론이고, 각 개별 작업자에게 안전체크의 실체적 책임을 부여하고 해당 여부를 기록함으로써, 형식적 또는 거짓의 안전체크가 되지 않도록 한다.
2) 작업에 참여하는 모든 작업자, 관리자 등 책임자가 작업존을 대상으로 작업에 대한 위험요인 및 안전체크 사항에 대하여 개별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작성, 기록, 보관,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위험요인과 안전체크에 관한 집단적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변경된 상황에 대한 즉시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한다. 새롭게 추가된 안전체크 사항을 통해 현장의 잠재적 위험요인은 작업 참여자들에게 공유 되며 위험요인은 제거 또는 감소될 수 있다.
3) 결과적으로, 현장에서의 사고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하나인 안전체크 계획과 실행 문제에 작업에 관련된 모든 인원에게 자발적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작업존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사고의 예방과 위험저감에 실질적 기여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촬상장치
200: 통제소
210: 작업존 지정 모듈
220: 작업위험분석 모듈
230: 메인 모듈
240: 모니터부
250: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
260: 위치추적 모듈
300: 작업자 인식 모듈
400: 단말기

Claims (4)

  1. 현장의 영상이 촬영되는 촬상장치(100);
    상기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상기 현장의 영상영역에서 작업존이 지정되는 작업존 지정 모듈(210);
    상기 현장의 작업 단계별, 작업자별, 지정된 상기 작업존별 위험요인, 재해유형별로 안전체크 사항의 지정과,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전체크, 현장체크 및 사후체크로 분류되어 작성되는 작업위험분석 모듈(220);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서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 및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입력되고 저장되며,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여부를 단말기(400)로부터 전송 받아 이를 표시하는 모니터부(240)를 포함하는 메인 모듈(230);
    각 작업자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모니터부(240)에 표시되는 사항이 함께 표시되는 단말기(400);
    상기 단말기(400)의 식별코드를 별도의 카메라에서 스캔하여 각 작업자 개인정보를 인식하는 작업자 인식 모듈(300);
    상기 작업자의 상기 안전체크 유형에 따라 상기 안전체크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 및
    상기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서 인식된 작업자인지 여부, 및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서 확인된 안전체크 적합 여부에 따라 작업자를 구분하고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추적 모듈(260);을 포함하는,
    현장에서의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따른 안전체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a) 작업위험분석 모듈(220)에 의해 상기 현장의 작업 단계별, 작업자별, 지정된 작업존별 위험요인, 재해유형별로 안전체크 사항의 지정과,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전체크, 현장체크 및 사후체크로 분류되어 작성되는 단계;
    (b) 상기 작성된 안전체크 사항과 상기 안전체크 유형을 메인 모듈(230)에 입력하고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되는 단계와 함께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가 상기 메인 모듈(23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
    (c) 상기 작업존 지정 모듈(210)에 의해, 상기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상기 현장의 영상영역이 모니터부(240)에 같이 표시되고 시스템의 사용자가 모니터부(240)의 영상영역 안에서 작업존을 지정하는 단계;
    (d) 상기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상기 각 단말기(400)에 저장된 식별코드가 별도의 카메라 장치에서 스캔되어 각 작업자 개인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e)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에 의해, 상기 촬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영역 내에서, 상기 각 작업자 개인의 인식 여부가 구분되어 위치가 추적되는 단계; 및
    (f)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 의해, 상기 각 작업자의 안전체크 유형에 따라 안전체크 사항의 적합 여부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고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장에서의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분류된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전체크인 경우,
    상기 (f) 단계는,
    (f11) 상기 안전체크 확인 모듈(250)에 의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에 진입 전에 상기 안전체크의 적합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f12)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이, 상기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13)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상기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는 단계; 및
    (f14)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 밖의 지역에서 상기 안전체크 사항이 적합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f12)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분류된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현장체크인 경우,
    상기 (f) 단계는,
    (f21)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에 의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에 진입 후에 상기 안전체크 적합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f22)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이, 상기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와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23)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는 단계; 및
    (f24) 상기 안전체크가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 내에서 상기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입력한 경우, 상기 (f22)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분류된 상기 안전체크 유형이 사후체크인 경우,
    (f31)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작업존 내에서 안전체크가 적합인 작업자로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32) 상기 작업존 내에 있었던 작업자의 식별코드가 상기 작업존 밖에서 스캔되어 작업자 인식 모듈(300)에 의해 다시 인식되었는지 판단되는 단계;
    (f33) 상기 안전체크 확인 모듈(250)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존 밖에 위치한 상태에서 1번 이상 재인식된 경우, 상기 안전체크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할 수 있는 준비 단계;
    (f34)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작업자의 식별코드가 다시 인식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안전체크 사항의 미실행을 포함하는 부적합임을 알리는 단계;
    (f35) 상기 위치추적 모듈(260)은, 식별코드가 재인식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상기 안전체크 사항이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작업존에 재진입시 해당 작업자를 구분하여 상기 모니터부(240) 및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하는 단계;
    (f36) 상기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은, 상기 식별코드가 재인식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상기 안전체크 사항이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에게 상기 단말기(400)를 통하여 상기 안전체크 사항의 부적합 상황을 알리고 위험요인의 제거 및 감소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및
    (f37) 상기 식별코드가 재인식되지 않은 작업자 또는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인 작업자를 포함하는 부적합인 작업자가 식별코드를 재인식 한 후 상기 안전체크 사항을 적합으로 판단하여 입력한 경우 상기 (f33)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장에서의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작업존에서의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이 상기 메인 모듈(230)에 추가로 입력되어 업데이트 되는 단계; 및
    (h) 상기 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작업존에서의 새로운 안전체크 사항이 안전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공유된 후 안전체크 실행 확인 모듈(250)이 상기 단말기(400)를 통하여 상기 안전체크가 부적합인 경우에 부적합 상황을 알리고 위험요인의 제거 및 감소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및
    (i) 상기 현장의 모든 각 작업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안전체크 사항 중 상기 안전체크 미실행 항목을 포함하는 부적합 항목이 모두 전송되어 상기 모니터부(240)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에서의 안전체크 모니터링 방법.








KR1020230101224A 2023-08-02 2023-08-02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59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224A KR102595115B1 (ko) 2023-08-02 2023-08-02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224A KR102595115B1 (ko) 2023-08-02 2023-08-02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115B1 true KR102595115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224A KR102595115B1 (ko) 2023-08-02 2023-08-02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115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61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907964B1 (ko) *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36370A1 (en) * 2018-01-29 2019-08-01 indus.al Inc Monitoring activities in industrial sites
KR20190092442A (ko) * 2016-11-14 2019-08-07 리파이프 타이 리미티드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295308B1 (ko) 2019-08-13 2021-08-30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KR102398841B1 (ko) 2021-10-12 2022-05-17 주식회사 스마트인사이드에이아이 영상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68597B1 (ko) * 2022-04-14 2022-11-21 주식회사 네오에스앤씨 키오스크 및 비콘-신호를 이용한 공사현장용 작업자 관리시스템
KR102500474B1 (ko) * 2021-08-23 2023-02-17 정명훈 스마트 지능형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8488B1 (ko) 2020-09-29 2023-04-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산업현장의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현장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4819B1 (ko) * 2023-01-26 2023-05-30 한국산업안전(주)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94768A (ko) *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442A (ko) * 2016-11-14 2019-08-07 리파이프 타이 리미티드 현장의 위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5261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907964B1 (ko) *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36370A1 (en) * 2018-01-29 2019-08-01 indus.al Inc Monitoring activities in industrial sites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295308B1 (ko) 2019-08-13 2021-08-30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KR102518488B1 (ko) 2020-09-29 2023-04-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산업현장의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현장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0474B1 (ko) * 2021-08-23 2023-02-17 정명훈 스마트 지능형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8841B1 (ko) 2021-10-12 2022-05-17 주식회사 스마트인사이드에이아이 영상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94768A (ko) *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포스코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102468597B1 (ko) * 2022-04-14 2022-11-21 주식회사 네오에스앤씨 키오스크 및 비콘-신호를 이용한 공사현장용 작업자 관리시스템
KR102534819B1 (ko) * 2023-01-26 2023-05-30 한국산업안전(주)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9347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video processing apparatus,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program
KR101419794B1 (ko) 학교 방문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학교 출입자 관리 방법
KR101036947B1 (ko) 컴퓨터 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범죄 및 사고예방 자동경비 시스템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235329A (ja) 顔識別監視管理方法
KR102398841B1 (ko) 영상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2488483A (zh) 一种基于ai技术的ehs透明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2216010A (zh) 一种校园安全管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3971782B (zh) 一种综合监控信息管理方法和系统
WO2021177183A1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2836563A (zh) 作业现场分类系统和方法
CN112349015B (zh) 基于物联网的方舱管控系统及方法
CN115660297A (zh) 一种工地安全自动ai预警系统及方法
CN111259682A (zh) 监控施工场所的安全的方法和装置
KR102595115B1 (ko) 사고 발생 위험 현장에서 cctv 영상 개별 작업자의위치추적정보를 이용한 안전체크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724029A (zh) 车间人员违规确认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1400604B1 (ko) 실내 이동자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EP3616858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okumentation eines status eines autonomen roboters
WO2023221443A1 (zh) 基于2d相机的安全预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hen et al. Development of permit-to-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POP model for petrochemical construction safety
KR20230138301A (ko) 건설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CN114281656A (zh) 一种智能中控系统
CN113096288A (zh) 一种职工穿戴检测系统
DE10201900447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von unsicheren handlungen oder unsicheren situationen während der konstruktion oder reparatur von bauwerken
TWI820980B (zh) 工程監造管理整合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