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120B1 -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120B1
KR102190120B1 KR1020180116323A KR20180116323A KR102190120B1 KR 102190120 B1 KR102190120 B1 KR 102190120B1 KR 1020180116323 A KR1020180116323 A KR 1020180116323A KR 20180116323 A KR20180116323 A KR 20180116323A KR 102190120 B1 KR102190120 B1 KR 102190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ccident
work environment
p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544A (ko
Inventor
진현미
Original Assignee
진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미 filed Critical 진현미
Priority to KR102018011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1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은, 소정의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하는 공간모듈,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과거사례모듈, 상기 공간정보 내에서 건설현장의 작업 종류별 참여객체를 설정하는 설정모듈,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정보 획득모듈,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 및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A system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 of construction sit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델링된 건설현장의 공간정보와, 건설현장에 참여하는 참여객체들을 설정하고, 건설현장을 촬영한 촬영정보로부터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를 수집하며, 과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및/또는 지연에 대한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학습된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행동정보와 수집된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에서의 사고 위험도 및/또는 작업 지연도 등을 판단하여 건설현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거나, 공사가 지연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관리자의 관리, 감독이나 작업자 개개인의 주의에 의존하여 충분히 예상되고 예방 가능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과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사례들을 학습하여, 건설현장에 참여하는 참여객체들(예컨대, 작업자들, 건설장비들 등)이 어떠한 행위를 수행하고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현재 건설현장의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참여객체들의 행위, 이동경로 등)와 비교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가 어느정도인지 파악하고,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여 사고발생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573527,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모델링된 건설현장의 공간정보와, 건설현장에 참여하는 참여객체들을 설정하고, 건설현장을 촬영한 촬영정보로부터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를 수집하며, 과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및/또는 지연에 대한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학습된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행동정보와 수집된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에서의 사고 위험도 및/또는 작업 지연도 등을 판단하여 건설현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과거 건설현장에서 공사가 지연되는 경우에 대한 과거 지연사례를 통해, 현재 건설현장에서의 참여객체의 행동정보가 지연을 유발할 수 있을지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과거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정보와, 현재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뿐 아니라 작업환경에 의한 사고발생 위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은, 소정의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하는 공간모듈,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과거사례모듈, 상기 공간정보 내에서 건설현장의 작업 종류별 참여객체를 설정하는 설정모듈,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정보 획득모듈,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 및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동정보는, 상기 건설현장 내에서 상기 참여객체의 위치, 이동경로, 작업별 참여객체의 수, 또는 참여객체의 장비 착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고행동정보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기간에 상응하는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간정보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과거사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 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거사례는, 과거 건설현장의 지연사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행동정보와 상기 지연사례에 상응하는 지연행동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작업 지연도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 진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수집된 행동정보와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진행도별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거사례는,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상응하는 과거 작업환경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공간정보 또는 상기 촬영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과거 작업환경정보 및 상기 작업환경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은,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소정의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공간정보 내에서 건설현장의 작업 종류별 참여객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 및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사고행동정보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기간에 상응하는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추출된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공간정보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과거사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선택된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 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과거 건설현장의 지연사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행동정보와 상기 지연사례에 상응하는 지연행동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작업 지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소정의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 진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수집된 행동정보와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진행도별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상응하는 과거 작업환경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 및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공간정보 또는 상기 촬영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 작업환경정보 및 상기 작업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모델링된 건설현장의 공간정보와, 건설현장에 참여하는 참여객체들을 설정하고, 건설현장을 촬영한 촬영정보로부터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를 수집하며, 과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및/또는 지연에 대한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학습된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행동정보와 수집된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에서의 사고 위험도 및/또는 작업 지연도 등을 판단하여 건설현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참여객체를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공간모듈(110), 과거사례모듈(120), 설정모듈(130), 촬영정보 획득모듈(140), 분석모듈(150), 및/또는 제어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소정의 서버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과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단말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의 일부의 구성은 소정의 서버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의 구성은 건설현장을 통제하고 관리, 감독하기 위한 소정의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분산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버와 관리 시스템(미도시)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즉,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이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간모듈(110)은 소정의 건설현장에 대한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정보는 예컨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는 건설현장의 공간 구성(설계), 상기 건설현장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서브 공간들(예컨대, 작업 종류별 작업공간, 휴식공간 등) 및/또는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각종 오브젝트들(예컨대, 건설장비, 작업자들, 건축자재 등)에 대한 위치,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에서 진행되는 공사의 종류, 상기 건설현장의 특성(예컨대, 건설현장의 지반, 토질, 지역, 날씨 등) 등과 같은 작업환경에 대한 작업환경정보 역시 상기 공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과거사례모듈(120)은 과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정보에 대한 사고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과거사례는 과거 건설현장에서 작업기한을 넘겨 공사가 지연된 경우에 대한 정보인 지연사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과거사례에는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대한 공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순히 참여객체들의 위치, 이동이나 어떠한 행위뿐 아니라 건설현장의 특성에 따른 작업환경에서 사고 또는 지연을 유발한 요인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즉, 과거 작업환경정보까지 상기 공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고사례는 과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고사례는 빌딩을 건축하는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의 붕괴나 건설장비의 충돌/전복, 작업자의 실족, 추락 등과 같은 인명사고 등과 같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각종 사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사고사례는 단순히 어떠한 건설현장에서 어떠한 사고가 발생했다는 사실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작업기간 또는 사고시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단위기간 동안 해당 사고에 이르기까지 건설현장에 참여한 참여객체(예컨대, 작업자들, 건설장비들 등)의 행위나 이동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사고사례에는 건설현장의 참여객체들이 어떠한 행위를 수행하여 사고가 발생했는지, 또는 상기 참여객체들이 어떤 이동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중에 사고가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건설장비의 작업반경과 다른 참여객체(예컨대, 다른 건설장비 혹은 작업자)의 이동경로가 겹쳐지는 행동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특정 건설장비에 의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참여객체들의 이동경로 즉, 어떠한 특정 건설장비의 작업반경에 겹치는 이동경로로 이동하는 참여객체의 행위, 이동이 사고를 유발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가 상기 사고사례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참여객체의 행위 및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행동정보라고 정의하도록 한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행동정보는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나 이동은 물론, 참여객체의 안전장비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 작업별 참여객체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사고사례에는 과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정보와, 해당 사고가 발생하기까지의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고를 유발한 요인이 되는 행동정보는 사고행동정보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과거사례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지연사례는 건설현장에서 작업 기한 내에 정해진 작업 달성도를 달성하지 못하고 공사가 지연된 사례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연사례에서도 해당 건설현장의 참여객체들에 대한 행동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가 작업을 지연시켰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유사한 건설현장의 지연사례들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데, 유사한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행위를 제외하고 참여객체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정보들을 통해 참여객체들의 비효율적인 행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작업의 지연을 유발한 참여객체의 행동정보는 지연행동정보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모듈(130)은 상기 공간정보 내에서 상기 건설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별 참여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동시간대에 여러 종류의 작업들이 수행되게 되는데, 상기 설정모듈(130)은 이러한 작업들의 종류별로 어떠한 참여객체들이 작업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착작업에 참여하는 건설장비(예컨대, 포크레인 등)나, 상기 건설장비를 운행하는 작업자를 포함하는 작업자들이 상기 굴착작업에 대한 참여객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빌딩을 건설할 때에는 타워크레인 등과 같은 건설장비와 작업자들이 참여객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참여객체 설정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참여객체를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의 작업이 수행되는 건설현장(1)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건설현장(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정보로 모델링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건설현장(1)은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현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모듈(130)은 상기 건설현장(1)에 참여하는 참여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굴착작업을 수행하는 포크레인(10)과, 상기 포크레인(10)으로부터 토굴된 흙 등을 운반하는 덤프트럭(20) 등과 같은 건설장비가 상기 참여객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설현장(1)에서 상기 건설장비들 외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예컨대, 30, 40)이 상기 참여객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참여객체들이 상기 건설현장(1) 내에서 배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가 상기 공간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건설현장(1)에 참여하는 참여객체들이 설정되면, 각각의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사고 위험도 및/또는 작업 지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참여객체들 각각의 이동경로 예컨대, 작업자(30)의 이동경로(31)나, 작업자(40)의 이동경로(41), 및/또는 덤프트럭(20)의 이동경로(21)가 상기 행동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포크레인(10)의 작업반경(11)이 상기 행동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설정모듈(130)은 이러한 상기 참여객체를 설정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수행되는 공사의 목적과 기한 등을 고려하여 배치될 최적의 건설장비의 수/종류, 작업 인원의 수, 인원 배분 등에 대한 작업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작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작업정보는 상기 공간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와 유사한 조건을 가지는 과거사례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모듈(1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공간정보가 모델링되고, 상기 참여객체가 설정되면, 실제 건설현장에서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건설현장에는 상기 건설현장을 촬영할 소정의 촬영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건설현장에 대한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촬영정보 획득모듈(140)은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정보(즉,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석모듈(150)은 상기 촬영정보 획득모듈(14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촬영정보에 포함된 상기 건설현장 내의 참여객체들에 대한 행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소정의 영상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오브젝트(객체)를 특정하고 해당 객체의 이동이나 행위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과거사례모듈(120)에 저장된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60)은 이러한 학습에 의해, 건설현장 내에서 참여객체의 어떤 행위나 이동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지 즉,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높은 사고행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분석모듈(150)에 의해 수집된 상기 참여객체의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행동정보, 상기 사고행동정보와 함께 상기 공간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사고 위험도는 상기 건설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소정의 수치로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모듈(160)에 의해 판단된 상기 사고 위험도는 상기 건설현장을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나, 또는 상기 건설현장의 관리 사무소에 구비된 소정의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60)은 전술한 상기 과거사례모듈(120)에 저장되는 과거사례 중, 작업의 종류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건설현장(1)에 참여한 참여객체가 일정 부분 이상 유사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건설현장(1)의 사고 위험도 및/또는 작업 지연도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으로 활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과거사례에서 참여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이동경로가 다른 참여객체의 이동경로와 특정 위치에서 겹쳐지는 시점에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상기 건설현장(1)의 참여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객체의 이동경로가 상기 과거사례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경우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설현장(1) 내에 배치된 포크레인(10), 및 작업자들(예컨대, 30, 40)이 참여객체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건설현장(1) 내에 위치한 소정의 건설자재(20)와 같은 물체가 상기 건설현장(1)의 환경정보 또는 하나의 참여객체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포크레인(10)의 경우 그 회전 반경 내에 사람이나 기타 장애물이 있는 경우 가동 중 사고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하므로, 상기 포크레인(10)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가 작업반경(11)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촬영정보 획득모듈(140)로부터 획득되는 촬영정보에서, 참여객체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작업자(30) 및/또는 작업자(40)의 이동경로가 상기 작업반경(11)을 향해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깝게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60)은 사고 위험도를 높게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들(예컨대, 30, 40) 및/또는 상기 건설현장(1)의 관리자에게 위험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생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레인(10)의 작업반경(11) 내에 건설자재(20)와 같은 물체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도 사고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참여객체 즉, 상기 포크레인(10)이 배치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건설자재(2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60)이 과거 건설현장에서 지반이 약한 위치에 배치된 건설장비가 배치되어 사고가 발생한 경우를 학습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분석모듈(150)에 의해 수집된 행동정보에서 참여객체(예컨대, 건설장비)가 배치된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공간정보를 통해 해당 위치의 지반이 약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위치의 지반의 특성이 과거사례에서 사고가 발생한 지반의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해당 위치에는 상기 건설장비를 배치하지 않거나 배치되더라도 일정 시간 이상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과거사례에서 과거 행동정보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기간에 상응하는 사고시점 서고행동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과거 행동정보 전체와 상기 행동정보를 비교하기보다, 사고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의 기간(예컨대, 한 시간, 6 시간, 하루, 일주일 등)동안의 행동정보를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로 추출하여 상기 행동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160)은 전술한 작업환경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과거사례에는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상응하는 과거 작업환경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촬영정보 및/또는 상기 공간정보로부터 현재 건설현장에 대한 작업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현재 건설현장에 대한 작업환경정보와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 작업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사고 위험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지연사례를 이용하여, 상기 지연사례에 상응하는 지연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비교, 현재 건설현장의 작업 지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60)은 과거 건설현장에서 기한 내에 작업을 완수하지 못하고 지연된 지연사례에서, 지연을 유발한 지연행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지연행동정보는 예컨대, 특정 작업에 참여하도록 설정된 참여객체(예컨대, 작업자)가 다른 위치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물러 있거나, 필요 이상으로 오랜시간동안 한 가지 작업만을 반복하는 행위와 같은 비효율적이고 불필요한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행동정보와 상기 분석모듈(150)에 의해 수집된 행동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지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지연도는 별다른 교정없이 현재의 행동정보가 지속될 경우, 작업의 진행이 어느 정도 지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수치나 문자로 나타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지연도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60)에 의해 관리자의 단말기나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 진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빌딩을 건설하는 건설현장의 경우, 빌딩을 올리기 전 터를 고르는 작업에서부터 건물이 지어짐에 따라 올라가는 층별 작업 등 작업 진행도에 따라 수행되는 작업은 물론 공간정보 자체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모듈(110)은 이러한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모듈(130)은 상기 작업 진행도별로 각각 참여객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모듈(150) 역시 상기 작업 진행도별로 각각 참여객체의 행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와, 각각의 작업 진행도별로 수집된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진행도별 사고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의 진행에 따른 단계별로 보다 세밀한 사고 위험도가 판단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환경의 사고발생위험을 낮추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상기 촬영정보로부터 각각의 참여객체 즉, 건설현장에 위치한 작업자들 및/또는 건설현장에 배치된 건설장비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각각의 참여객체가 식별가능해지는 경우 사고를 유발한 참여객체의 식별이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사고 위험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설현장의 작업자들 및/또는 건설장비들과 같은 참여객체에는 상기 분석모듈(150)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식별수단이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식별수단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작업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들이 필수로 착용해야하며, 다른 장비들에 비해 비교적 어느 각도에서도 눈에 띄기 쉬운 안전헬멧에 상기 식별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건설장비에도 상기 식별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별수단은 영상정보를 통해 분석, 식별이 가능한 문자나 숫자, 기호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RF 태그나 NFC 모듈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건설현장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식별수단과 통신이 가능한 소정의 식별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건설현장에 배치되어 있는 참여객체들 각각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s110)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 지연사례, 및/또는 작업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과거사례를 저장(s12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상기 공간정보 내에서 작업 종류별 참여객체를 설정(s130)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상기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소정의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획득(s140)하고,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참여객체들의 행동정보를 수집(s150)할 수 있다.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100)은 이처럼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그리고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s16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소정의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하는 공간모듈;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 및 지연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과거사례모듈;
    상기 공간정보 내에서 건설현장의 작업 종류별 참여객체를 설정하는 설정모듈;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정보 획득모듈;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 및 작업 지연도를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 진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사고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상기 사고행동정보는 사고시점을 중심으로 소정 기간 동안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참여한 참여객체의 사고를 유발한 행동정보를 의미함-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며,
    상기 행동정보와 상기 지연사례에 상응하는 지연행동정보-상기 지연행동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참여한 참여객체의 작업 지연을 유발한 행동정보를 의미함-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지연도를 판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수집된 행동정보와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진행도별 사고 위험도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촬영정보에 포함된 상기 참여객체별로 구비되는 소정의 식별수단-상기 식별수단은 촬영정보를 통해 분석, 식별이 가능한 문자나 숫자, 기호의 형태로 구현-을 통해 상기 각 참여객체들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정보는,
    상기 건설현장 내에서 상기 참여객체의 위치, 이동경로, 작업별 참여객체의 수, 또는 참여객체의 장비 착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고행동정보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기간에 상응하는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간정보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과거사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 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사례는,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상응하는 과거 작업환경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공간정보 또는 상기 촬영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과거 작업환경정보 및 상기 작업환경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8.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소정의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 및 지연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공간정보 내에서 건설현장의 작업 종류별 참여객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사고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상기 사고행동정보는 사고시점을 중심으로 소정 기간 동안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참여한 참여객체의 사고를 유발한 행동정보를 의미함-,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행동정보와 상기 지연사례에 상응하는 지연행동정보-상기 지연행동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참여한 참여객체의 작업 지연을 유발한 행동정보를 의미함-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작업 지연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소정의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모델링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 진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진행도별 공간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수집된 행동정보와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진행도별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촬영정보에 포함된 상기 참여객체별로 구비되는 소정의 식별수단-상기 식별수단은 촬영정보를 통해 분석, 식별이 가능한 문자나 숫자, 기호의 형태로 구현-을 통해 상기 각 참여객체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사고행동정보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기간에 상응하는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추출된 사고시점 사고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공간정보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과거사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선택된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과거 행동정보와 상기 행동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과거 건설현장의 사고사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사례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 건설현장에 상응하는 과거 작업환경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획득된 상기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여객체의 행위 및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행동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공간정보 또는 상기 촬영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건설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사례를 학습하고, 수집된 상기 행동정보와 학습된 상기 과거사례에 상응하는 사고행동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건설현장의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이 상기 과거 작업환경정보 및 상기 작업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제공방법.
  14.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제8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16323A 2018-09-28 2018-09-28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9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23A KR102190120B1 (ko) 2018-09-28 2018-09-28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23A KR102190120B1 (ko) 2018-09-28 2018-09-28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44A KR20200036544A (ko) 2020-04-07
KR102190120B1 true KR102190120B1 (ko) 2020-12-11

Family

ID=7029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23A KR102190120B1 (ko) 2018-09-28 2018-09-28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590B1 (ko) * 2020-06-10 2022-02-24 (주)아디아랩 중장비 차량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26675B1 (ko) 2020-08-20 2021-03-11 와이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1556B1 (ko) * 2020-10-19 2021-07-01 주식회사 캠파트너스 공사 현장의 화재 감시를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13479B1 (ko) * 2020-12-23 2021-10-18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안전기준에 따른 가이드 제공 시스템
KR102362808B1 (ko) * 2021-03-24 2022-02-14 (주)유엔이커뮤니케이션즈 상황별 근로자위험도 측정 방법
KR102411316B1 (ko) * 2021-07-28 2022-06-22 박덕근 건설 현장의 작업자 안전도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2635902B1 (ko) * 2023-04-13 2024-02-14 소니드로보틱스 주식회사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작업 공정별 상황 인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35901B1 (ko) * 2023-04-21 2024-02-14 소니드로보틱스 주식회사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위험 객체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988A (ja) * 1998-06-17 2000-01-07 Daiken Trade & Ind Co Ltd 建築物施工に対する工程管理支援装置及び建築物施工に対する工程管理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723283B1 (ko) * 2014-12-31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77177B1 (ko) * 2017-07-12 2018-07-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993A (ko) * 2008-12-30 2010-07-08 한국도로공사 안전사고 위험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3054A (ko) * 2014-08-21 2016-03-03 주승철 Rfid 단말기와 ip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KR101573527B1 (ko) 2015-06-26 2015-12-01 렉스젠(주)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70006095A (ko) *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988A (ja) * 1998-06-17 2000-01-07 Daiken Trade & Ind Co Ltd 建築物施工に対する工程管理支援装置及び建築物施工に対する工程管理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723283B1 (ko) * 2014-12-31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77177B1 (ko) * 2017-07-12 2018-07-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44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120B1 (ko)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90121B1 (ko)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Vahdatikhaki et al. Framework for near real-time simulation of earthmoving projects using location tracking technologies
CN111083640B (zh) 施工现场的智能监管方法及系统
KR102669321B1 (ko) 산업용 차량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산업용 차량 환경에서의 머신-실행가능한 방법
US11587006B2 (en) Workflow deployment
CN110390789A (zh) 基于大数据的森林防火数据分析系统
US20110184604A1 (en) Hierarchical contingency management system for mission planners
KR102026531B1 (ko)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EP3022870A2 (en) Mission component evaluation and response architecture
KR102644388B1 (ko) 평활화 필터를 가진 동적 차량 성능 분석기
CN111988524A (zh) 一种无人机与摄像头协同避障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12282819B (zh) 基于视觉的综采工作面人员目标安全监控方法及系统
KR102391207B1 (ko) 3d 모델링 기반 작업자 위치 관리 시스템
KR102635902B1 (ko) Ai 로봇을 이용한 건설 현장의 작업 공정별 상황 인식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989678A (zh) 一种基于多无人机的油田巡检定点数据采集系统及方法
US20230162110A1 (en)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equipment telematic data
JP2022129533A (ja) 運航空域管理装置、無人飛行体運航管理装置、無人飛行体遠隔操縦装置、及び、無人飛行体
KR20210131568A (ko) 지능형 농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84565B1 (ko) 현장맞춤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Hussaini et al. An alert-generation framework for improving resiliency in human-supervised, multi-agent teams
CN116166006A (zh) 无人车控制方法、无人车及存储介质
Patterson et al. Modelling safe landing zone detection options to assist in safety critical UAV decision making
CN112835699B (zh) 任务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