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527B1 -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527B1
KR101573527B1 KR1020150091131A KR20150091131A KR101573527B1 KR 101573527 B1 KR101573527 B1 KR 101573527B1 KR 1020150091131 A KR1020150091131 A KR 1020150091131A KR 20150091131 A KR20150091131 A KR 20150091131A KR 101573527 B1 KR101573527 B1 KR 10157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terminal
information
enclosure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안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안순현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15009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함체 내에 내장되며, 시설물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의 점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함체 내에 구비되어 시설물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장에는 여러 종류의 시설물들(예,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물들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시설물을 점검하는 사람(이하 '점검자')이 장애가 발생한 시설물이 설치된 현장에 직접 가서, 장애를 점검하고 복구한다.
그리고 점검자는 시설물 점검 후 시설물 관리 센터로 복귀하고, 해당 시설물에 대한 점검 정보를 직접 점검 관리 서버에 기록한다. 이렇게 시설물에 대한 점검 정보를 점검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경우에, 점검자는 일부 정보를 누락할 수도 있고, 점검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설물에 대한 점검 정보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없고, 점검자가 시설물을 점검하는 업무의 처리 능률이 좋지 않다.
특히, 내부망을 이용하는 시설물들의 특성으로 인하여, 점검자가 센터로 복귀한 후 해당 시설물의 점검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 이상, 관리자는 점검 내역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점검 정보를 내부 통신망의 운영 서버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는 함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 내에 내장되며 시설물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의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운영 서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의 도어(door) 개폐, 소정 버튼 동작 및 기 설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된 시각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은, 카메라, 초음파 수위계, 무선 비상벨, 가로등, 및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및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 또는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에 부착된 QR(Quick Response) 코드가 상기 단말에 의해 읽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과 통신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는, 무선 비상벨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벨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에 포함된 카메라가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설물을 점검한 점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전송하는 단말; 및 함체 내에 구비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전송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설물의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 요청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영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단말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에 접속할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 소정 버튼 동작 및 기 설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된 시각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비상 신호를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에 따라, 상기 무선 비상벨 및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에 내장되는 시설물 제어 장치가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설물 관리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을 점검한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 소정 버튼 동작 및 기 설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점검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시각 정보를 상기 내부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관리 방법은, 무선 비상벨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벨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에 포함된 카메라가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관리 방법은,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에 따라, 상기 무선 비상벨 및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점검 정보를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 전용 통신망을 이용해 운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폐쇄망(내부망)에 실시간으로 시설물의 점검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시간 동안에만 단말이 함체 장치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비상벨과 함체 장치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비상벨과 주변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0)은 함체 장치(100), 운영 서버(200) 및 단말(300)을 포함하며,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한다. 이때, 시설물(10)은 도로, 골목, 공원 등과 같은 현장에 설치되는 설비(전기 전자 장치)로써,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초음파 수위계, 무선 비상벨, 가로등, 신호등, 그리고 기타 센서 등을 포함한다.
함체 장치(100)는 함체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시설물(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함체 장치(100)는 시설물(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거나, 시설물(10)의 온/오프 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함체 장치(100)는 시설물(10)을 점검한 정보(이하 '시설물 점검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시설물 점검 정보를 내부 통신망(400)을 통해 운영 서버(200)로 전송한다.
함체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운영 서버(200)는 시설물(10)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시설물(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운영 서버(200)는 내부 통신망(400)을 통해 함체 장치(100)로부터 시설물 점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한다.
또한, 운영 서버(200)는 시설물(10)을 점검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운영 서버(200)는 시설물(10)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시설물(10) 점검을 단말(3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 서버(200)는 외부 통신망(예, 인터넷, 외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단말(300)에게 시설물(10)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서버(200)는 시설물(10)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시설물(10) 중 시설물(10-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한 경우에, 단말(300)에게 시설물(10-1)에 대한 점검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운영 서버(200)는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로 접속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함체 장치(100)로의 접속이 허용되는 단말들을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 서버(200)는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로 접속할 권한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단말(300)의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함체 장치(100)와 운영 서버(200) 간의 관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관계일 수 있다. 단말(300)은 운영 서버(200)로부터 시설물 점검 요청을 수신하여 점검자에게 제공하고, 점검자로부터 시설물 점검 정보(또는, A/S 정보, 유지 보수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시설물 점검 정보는, 시설물(10)의 작동 상태 정보, 시설물(10)의 장애 정보, 시설물(10)의 장애 복구 정보 및 단말(300)의 정보(예, 단말 식별자, 또는 점검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설물 점검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사진), 동영상, 또는 접점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말(300)은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설물 점검 요청을 수신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시설물 점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통신망(400)은 시설물(10)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 전용 통신망으로써, 소정 권한을 가진 장치만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망이거나, 외부 통신망(미도시, 예, 인터넷, 외부 이동 통신망 등)과 구별(분리)되는 폐쇄 통신망(전용 통신망, 업무망)일 수 있다. 내부 통신망(400)이 외부 통신망과 분리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접근(접속)과 내부 정보 유출이 차단될 수 있다. 즉, 높은 보안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함체 장치(100)는 시설물 점검 정보 전송 시에 외부 통신망이 아닌 내부 통신망(400)을 이용하기 때문에, 운영 서버(200)는 시설물 점검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체 장치(100)는 제어 장치(102)와 제어 장치(102)를 보호하는 함체(103)를 포함하며, 함체(103) 내 제어 장치(102)가 내장된다. 여기서, 제어 장치(102)는 시설물(10)을 제어하고, 시설물(10)에 대한 정보(예, 작동 상태 정보 등)를 원격지에 있는 운영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함체(103)는 도어(door)(104)를 포함하며, 도어(104)에는 불특정인이 함체 장치(100)를 여는 것을 막고, 권한을 가진 특정인(예, 키를 가진 사람, 또는 비밀번호를 아는 사람)만이 함체 장치(100)를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함체 장치(100)에는 함체 장치(100)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Q1)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Q1)는 제어 장치(102) 또는 함체(103)에 부착될 수 있다.
단말(300)은 QR 코드 리더 기능을 이용해 QR 코드(Q1)를 읽음(스캔)으로써, 함체 장치(100)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300)은 QR 코드 리더 기능을 통해 읽은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달하고, 운영 서버(200)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함체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을 온(ON)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2)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 내부망 통신부(120), 제어부(130), 등록 설정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수행하며, 단말(300)로부터 시설물 점검 정보를 수신한다.
내부망 통신부(120)는 내부 통신망(400)을 통해 운영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시설물 점검 정보를 내부 통신망(400)을 통해 운영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시설물(10),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 및 내부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소정 버튼 동작 및 함체 도어(104)의 개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의 동작을 활성화/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함체 장치(100)의 도어(104)의 열림을 감지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웨이크업(wake-up) 상태)하여, 단말(300)과 연결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함체 장치(100)의 도어(104)의 닫힘을 감지하면,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비활성화(휴면(sleep) 상태)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함체 장치(100)에 포함된 소정 버튼의 눌러짐을 감지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비활성화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시설물 점검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내부망 통신부(12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함체 장치(100)의 도어(104)가 점검자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에, 도어(104)가 개폐된 시각 정보와 점검자에 의해 함체 장치(100)의 도어(104)가 개폐된 이유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내부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의 QR 코드(Q1)를 읽었음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300)과 통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활성화)할 수 있다.
등록 설정부(140)는 함체 장치(100)에 접속이 허용된 단말을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에 접속이 허용된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함체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등록 설정부(140)는 등록된 단말의 정보(예, 단말 식별자)를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등록 설정부(140)는 운영 서버(200)에 구비되어, 접속이 허용된 단말을 등록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30)와 연결되고, 제어부(13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 이동 통신부(320), 입력부(330), QR 코드 리더부(340), 제어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는 함체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수행하며, 점검자로부터 입력된 시설물 점검 정보를 함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동 통신부(320)는 이동 통신을 통해 운영 서버(200)로부터 시설물 점검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부(320)는 외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200)로부터 시설물(10)에 대한 점검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시설물 점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30)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이미지(사진), 동영상, 또는 접점신호를 점검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QR 코드 리더부(340)는 함체 장치(100)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함체 장치(100) 내부에 존재하는 QR 코드(Q1)를 읽는다. QR 코드 리더부(340)에 의해 읽혀진 QR 코드(Q1)의 정보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운영 서버(200)로 전송된다.
제어부(35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 이동 통신부(320), 입력부(330), QR 코드 리더부(340) 및 저장부(360)를 제어하며, 각 구성(310~340, 360)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한다.
저장부(360)는 제어부(350)와 연결되고, 제어부(35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300)은 시설물 점검 요청을 운영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시설물 점검 정보를 점검자로부터 입력 받아 함체 장치(100)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단말(300)은 상술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200)는 모니터링부(210), 점검 요청부(220), 제1 통신부(230), 접속 제어부(240), 제2 통신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10)는 시설물(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210)는 시설물(10)의 작동 상태, 장애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점검 요청부(220)는 시설물(10)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시설물(10)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시설물 점검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점검 요청부(220)는 시설물(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음이 모니터링부(210)에 의해 감지된 경우 또는 주기적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시설물 점검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30)는 점검 요청부(220)에 의해 생성된 시설물 점검 요청 정보를 단말(300)에게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230)는 이동 통신망(예, 외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시설물 점검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접속 제어부(240)는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에 접속하는 것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제어부(240)는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 단말(300)의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단말(300)이 접속이 허용(허락)된 단말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단말(300)이 등록된 접속 허용 단말인 경우에만, 단말(300)이 함체 장치(100)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50)는 내부 통신망(400)을 통해 함체 장치(100)로부터 시설물 점검 정보를 수신한다.
저장부(260)는 시설물 점검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저장부(260)는 시설물 점검 정보(단말(300)에 의해 생성된 정보), 단말(300)의 정보(예, 단말 식별자) 그리고 함체 장치(100)의 도어(104)가 개폐된 시각 정보(함체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부(260)는 누가 언제 왜 함체 장치(100)를 열었고 닫았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모니터링부(210), 점검 요청부(220), 제1 통신부(230), 접속 제어부(240), 제2 통신부(250) 및 저장부(260)를 제어하며, 각 구성(210~260)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200)는 함체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들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한다(S10).
운영 서버(200)는 시설물(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시설물(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한 경우에, 시설물(10)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는 시설물 점검 요청 정보를 단말(300)에게 전송한다(S11).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설물(10) 중 시설물(10-1)에 장애가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말(300)은 시설물(10-1)에 대한 점검 요청을 운영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단말(300)을 소지한 점검자로 하여금 시설물(10-1)을 점검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설물(10-1)에 대한 점검 요청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시설물(10-1)을 제어하는 함체 장치(100-1)는 함체 장치(100-1)의 도어(104)가 단말(300)의 점검자에 의해 열린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한다(S12). 이때, 함체 장치(100-1)는 단말(300)이 읽은 QR 코드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단말(300)은 함체 장치(100-1)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접속을 시도한다(S13).
함체 장치(100-1)는 단말(300)이 접속 권한을 가지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구체적으로, 함체 장치(100-1)는 단말(300)이 접속 권한을 가지는 지 여부를 기 저장된 등록 단말 정보를 이용해 직접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함체 장치(100-1)는 운영 서버(200)에게 단말(300)이 접속 권한을 가지는 지를 판단해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말(300)이 접속 권한을 가지는 경우에, 함체 장치(100-1)는 단말(300)의 접속을 허용한다(S15).
단말(300)은 시설물(10-1)을 점검한 정보(예, 장애 사유, 장애 복구 정보 등)를 점검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시설물 점검 정보를 함체 장치(100-1)에게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S16).
함체 장치(100-1)는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설물 점검 정보를 내부 통신망(400)을 통해 운영 서버(200)로 전송한다(S17). 또한, 함체 장치(100-1)는 시설물 점검 정보와 함께, 단말(300)의 정보(예, 단말 식별자) 및 함체 장치(100-1)의 도어(104)가 개폐된 시각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200)는 함체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시설물 점검 정보, 함체 장치(100-1)가 개폐된 시각 정보, 단말(300)의 정보 등)를 저장한다(S18).
한편, 함체 장치(100-1)는 도어(104)가 닫힌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비활성화하여 단말(300)의 접속을 차단한다(S19).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 시설물(10) 중 하나인 무선 비상벨을 관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함체 장치(100), 무선 비상벨(WB), 스피커(SP), 형광등(LT) 및 카메라(C1)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 도로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m개의 무선 비상벨(WB-1~WB-m), m개의 스피커(SP-1~SP-m) 및 m개의 형광등(LT-1~LT-m)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카메라(C1)는 함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시설물(10)으로써, CCTV 카메라일 수 있다.
무선 비상벨(WB)은 함체 장치(100)와 연동하여, 함체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비상벨(WB) 중 일부(WB-2~WB-m)는 함체 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비상벨(WB)은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예,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에, 무선 비상 신호를 함체 장치(100)에게 무선으로 전송한다.
한편, 무선 비상벨(WB)의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 스피커(SP)로부터 비상 사운드가 출력되고, 형광등(LT)이 턴온된다. 예를 들어, 무선 비상벨(WB) 중 무선 비상벨(WB-2)의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에, 스피커(SP-2)로부터 비상 사운드가 출력되고, 형광등(LT-2)이 턴온된다. 또한, 무선 비상벨(WB)의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 비상벨 관리 센터와의 비상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함체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비상벨(WB)로부터 무선 비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비상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설물(1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함체 장치(100)가 무선 비상벨(WB) 중 무선 비상벨(WB-3)로부터 무선 비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무선 비상벨(WB-3)을 나타내는 벨 식별자(무선 비상 신호에 포함)를 이용해 무선 비상벨(WB-3)이 설치된 지역의 위치를 판단하고, 카메라(C1)가 무선 비상벨(WB-3)이 설치된 지역을 촬영하도록 카메라(C1)의 PTZ(Pan, Tilt, Zoom)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함체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함체 장치(10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함체 장치(100)는 함체(103)의 도어(104) 개폐에 따라, 무선 비상벨(WB) 및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체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가 휴면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가 무선 비상벨(WB)과 연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함체 장치(100)의 도어(104)가 닫혀 있는 경우에, 함체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비상벨(WB)과 연동하여 무선 비상벨(WB)의 무선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함체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가 웨이크업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가 단말(300)과 연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체 장치(100)의 도어(104)가 열린 경우에, 함체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300)과 연동하여 단말(300)로부터 시설물 점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함체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가 웨이크업 상태인 경우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가 무선 비상벨(WB)과 계속적으로 연동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비상벨(WB) 중에서 무선 비상벨(WB-3)의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무선 비상벨(WB-3)의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에, 무선 비상벨(WB-3)은 무선 비상 신호를 생성한다(S20).
무선 비상벨(WB-3)은 무선 비상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함체 장치(100)에게 전송한다(S21).
함체 장치(100)는 무선 비상벨(WB-3)이 설치된 위치를 무선 비상 신호에 포함된 무선 비상벨(WB-3)의 벨 식별자를 이용해 판단한다(S22).
함체 장치(100)는 카메라(C1)가 무선 비상벨(WB-3)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카메라(C1)의 PTZ를 제어한다(S23).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함체 내에 내장되며, 시설물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의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운영 서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된 시각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의 도어(door) 개폐, 소정 버튼 동작 및 기 설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은,
    카메라, 초음파 수위계, 무선 비상벨, 가로등, 및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인
    시설물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및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 또는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에 부착된 QR(Quick Response) 코드가 상기 단말에 의해 읽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과 통신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무선 비상벨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벨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에 포함된 카메라가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
  8. 시설물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한 점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전송하는 단말; 및
    함체 내에 구비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된 시각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시설물의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 요청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단말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에 접속할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 소정 버튼 동작 및 기 설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비상 신호를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에 따라 상기 무선 비상벨 및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벨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시설물에 포함된 카메라가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
  15. 함체에 내장되는 시설물 제어 장치가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을 점검한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시각 정보를 상기 내부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 소정 버튼 동작 및 기 설정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무선 비상벨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비상 신호에 포함된 벨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에 포함된 카메라가 상기 무선 비상벨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도어 개폐에 따라 상기 무선 비상벨 및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KR1020150091131A 2015-06-26 2015-06-26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57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31A KR101573527B1 (ko) 2015-06-26 2015-06-26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131A KR101573527B1 (ko) 2015-06-26 2015-06-26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527B1 true KR101573527B1 (ko) 2015-12-01

Family

ID=5488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131A KR101573527B1 (ko) 2015-06-26 2015-06-26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5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34B1 (ko) * 2016-04-29 2016-10-04 (주)삼경엠에스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WO2018186547A1 (ko) * 2017-04-04 2018-10-11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4627A (ko) 2018-02-05 2019-08-14 이용석 가로등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6544A (ko) 2018-09-28 2020-04-07 진현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34B1 (ko) * 2016-04-29 2016-10-04 (주)삼경엠에스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WO2018186547A1 (ko) * 2017-04-04 2018-10-11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4627A (ko) 2018-02-05 2019-08-14 이용석 가로등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6544A (ko) 2018-09-28 2020-04-07 진현미 건설현장 작업환경 개선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9028B1 (en) Wireless alarm system with remote alarm receipt
CN101043400B (zh) 使用智能通信装置的进入验证系统和方法
KR101573527B1 (ko)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608639B1 (ko) 스마트 정보 보안 통합 시스템
JP2006279927A (ja) 監視制御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4954352A (zh) 安全系统访问检测
CN105246138A (zh) 物联网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KR200300473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30134585A (ko) 휴대 단말의 센싱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JP2009164968A (ja) 移動端末および端末機能制御プログラム
JP2013164774A (ja) 自動通報機能を有するインテリジェント監視システム及びインテリジェント監視装置
CN113962577A (zh) 一种多体系智慧园区平台
KR20150119700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공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2598076B (zh) 用于识别和传达特定于周围环境和设备的状态的警报装置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JP2006013980A (ja)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機能制限システム
JP2007201876A (ja) カメラ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
KR10240039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비상벨 유지보수 방법
KR20230079913A (ko)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분석을 통하여 안전사고 예방경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폴
JP2003204542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343438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80099368A (ko) 장애인 주차 단속 장치 방법
JP2004013617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KR102233440B1 (ko)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방법 및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시스템
KR101062688B1 (ko) 촬영 제한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