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034B1 -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034B1
KR101662034B1 KR1020160053220A KR20160053220A KR101662034B1 KR 101662034 B1 KR101662034 B1 KR 101662034B1 KR 1020160053220 A KR1020160053220 A KR 1020160053220A KR 20160053220 A KR20160053220 A KR 20160053220A KR 101662034 B1 KR101662034 B1 KR 10166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cradle
terminal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훈
엄연옥
Original Assignee
(주)삼경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경엠에스 filed Critical (주)삼경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05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은, 검침원이 소유한 것으로서, 전기 및 기계 설비에 부착된 제어반으로부터 인식한 운행정보와, 상기 운행정보를 인식한 모니터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침모듈과,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코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검침단말; 상기 전기 및 기계 설비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검침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한 시간인 단말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단말인식모듈과,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와 함께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확인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반; 상기 모니터링시간정보와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침시간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ing System for Reading Meter}
본 발명은 시설에서 전기설비, 기계설비, 난방설비 등을 총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기계실에서 검침원이 보유한 검침단말을 통해 기계실의 운행정보를 모니터링할 때, 검침데이터와 검침원 또는 검침단말의 인식여부를 동시에 중앙관리서버로 송신하여, 검침데이터에 생성된 시간과 검침원 또는 검침단말의 인식시간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검침데이터와 정상적인 검침 여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기계설비(냉난방, 공기조화기, 펌프, 엘리베이터, 배전 등)를 각각 집약적으로 설치한 방인 기계실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계실은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1층 구석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검침원을 두어 주기적으로 기계설비가 정상 작동하는지 검침을 수행해야 한다. 기계설비의 정상 작동 여부는 건축물 전체를 커버하는 기계실의 특성 상 항상 기계설비의 정상 작동을 검침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계실은 건물의 외진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검침을 수행하는 것을 따라다니면서 확인하지 않는 이상 제대로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전기 배전과 관련된 설비도 포함되기 때문에 섣불리 자동화 기기만으로 검침을 대신하기도 애매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검침정보와 함께 검침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시스템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6-264839호 ‘엘리베이터의 보수 내용 제시 시스템’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보수 점검 항목에 따라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 점검 상황에 관한 보수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과, 입력된 보수 데이터를 집계하여 보수 점검 항목마다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내 보수 데이터에서 전문가용 상세한 표시를 위한 보수 데이터를 작성하고 저장하는 제1 표시용 보수데이터 저장 수단과, 데이터베이스 내 보수 데이터에서 일반 이용자용 일반적인 표시를 위한 보수 데이터를 작성하고 저장하는 제2 표시용 보수데이터 저장 수단과, 제1 및 제2 표시용 보수데이터 저장 수단에 각각 저장된 상세한 표시용 데이터와 간략한 표시용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세한 표시용 데이터가 표시 가능한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이나, 이는 보수점검데이터를 제공하지만 보수점검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 여부를 안내하는 수단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소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 2012-176820호 ‘보수 점검 관리 시스템 및 보수 점검 관리 방법’을 참조하면, 보수 점검 관리 시스템으로서, 보수 점검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보수 점검부분의 보수 점검이 실시되기 위해 변위되는 변위 부재와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장치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수 점검부분의 보수 점검이 실시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장치와 상기 판정 장치의 판정 결과의 정보가 입력되는 보수 점검 관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 점검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나, 이는 보수점검여부만을 알려주는 기능에 국한되는 것이므로, 점검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포함되지 않아 별도의 방법을 사용하여 점검결과를 따로 제공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따랐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에게 검침정보와 함께 검침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여 알릴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스템 관리자에게 검침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침정보와 함께 검침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침자가 수동 검침여부를 쉽게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은, 검침원이 소유한 것으로서, 전기 및 기계 설비에 부착된 제어반으로부터 인식한 운행정보와, 상기 운행정보를 인식한 모니터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침모듈과,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코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검침단말; 상기 전기 및 기계 설비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검침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한 시간인 단말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단말인식모듈과,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와 함께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확인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반; 상기 모니터링시간정보와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침시간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반은, 근접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검침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한 시간인 검침원확인시간을 생성하는 검침원인식모듈 및, 상기 검침원확인시간을 상기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검침원확인전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침시간분석모듈은,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와 상기 검침원확인시간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침시간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검침단말인식모듈은, NFC 리더기를 포함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침단말확인모듈은, 상기 검침단말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기 제어반은,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와,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중인 상기 운행정보를 감지하여 운행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운행감지센서부 및, 상기 운행감지정보를 상기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운행감지전송부로 구성되는 운행감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침시간분석모듈은, 상기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운행정보와 상기 운행감지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운행정보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은, 전면부 일 측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크래들과,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연장 처리된 것으로서, 상기 운행감지센서부가 포함하는 광학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광학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양 지지편을 연결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클립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양 지지편 사이에서 상기 크래들에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되 각각의 상기 지지편의 끝 단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운행감지센서부는, 상기 크래들의 끝 단에 부착되고,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를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반사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갓의 내부면에는 반사경이 부착되고, 상기 상측 지지편의 상기 연장클립과 결합 형성되는 상기 광학센서는 상기 반사경에서 표시되는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의 상(像)을 향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복수개의 분할크래들로 구성되되, 상기 분할크래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두 개의 결합바가 각각 대각으로 교차하는 힌지핀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하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과, 일 단이 상기 고정홈에, 타 단은 상기 전기 및 기계 설비의 표면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배기홈에 끼움결합되어 하부면을 지지하는 고정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제어반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이 수납되는 공간인 크래들수납부와, 상기 크래들수납부와 상기 크래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크래들수납부에서 탄성 돌출되는 고정 스토퍼와, 상기 크래들이 상기 크래들수납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을 일정 각도 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1) 검침원이 검침단말을 통해 생성한 검침정보를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2) 검침원이 검침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정보 생성 시간의 비교를 통한 인증과정을 거치고, 이러한 비교결과를 시스템 관리자에게 검침정보와 함께 제공하여 검침정보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3) 검침원의 인증과정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크래들을 추가하여 검침단말의 인식과 표시정보의 자동인식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크래들을 장착한 제어반의 사시도.
도 5는 크래들에 반사갓을 추가로 장착한 제어반의 사시도.
도 6은 크래들에 자바라구조 및 고정바를 추가로 장착한 제어반의 사시도.
도 7은 크래들수납부를 형성한 제어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검침단말(1), 제어반(2), 중앙관리서버(3)로 구성된다.
먼저 검침단말(1)은 전기 및 기계 설비의 운행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모니터링하여 검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발신자단말의 경우 검침을 수행하는 검침기와 검침기를 통해 생성된 검침데이터와 검침을 수행한 검침단말(1)의 인증정보를 후술할 중앙관리서버(3)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용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는 무전기, 피쳐폰, 태블릿PC, 스마트폰, PDA, 포켓PC 등을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어반(2)은 시설(건축물)에서 전기 및 기계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제어반(2)은 스위치, 버튼, 제어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 또는 검침원의 조작을 통해 전기 및 기계 설비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전기 및 기계설비의 일 측에 부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전자파 장해 등의 이유로 전기 및 기계설비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설비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앙관리서버(3)는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검침단말(1)로부터 검침데이터를 전송받고, 제어반(2)으로부터 추가 확인정보를 전송받아 검침데이터의 믿을 수 있는지 여부(유효성)를 판단하고 이를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검침단말(1)과 제어반(2) 사이에서 유효성을 판단하고, 검침데이터와 유효성 판단 정보를 함께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편리하게 검침자의 검침데이터를 믿을 수 있는 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토대로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에서 검침단말(1)은 검침모듈(100), 인증코드생성모듈(110)로 구성된다.
검침모듈(100)은 전기 및 기계 설비에 부착된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인식한 운행정보와, 운행정보를 인식한 모니터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검침모듈(100)에는 예를 들어 광학센서나 통신안테나, 감지바 등 직접 정보를 인식하거나 전기적 데이터로 변환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인증코드생성모듈(110)은 검침단말(1)로부터 저장된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것이다. 인증코드는 검침단말(1)에 기 저장된 고유의 인증코드일 수도 있고, 검침단말(1)에서 임의로 생성된 인증코드일 수도 있다. 고유의 인증코드인 경우 검침단말(1)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통해 어떤 검침단말(1)이 검침에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함께 확인할 수도 있으며, 공통적으로는 검침단말(1)을 사용하여 언제 검침을 수행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반(2)은 크게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 검침단말인식모듈(210), 단말확인전송모듈(220)로 구성된다.
먼저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은 전기 및 기계 설비의 일 측에 부착되어 전기 및 기계 설비의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즉, 전기 및 기계설비의 운행에 따라 전기 및 기계설비의 일 측에 부착되어 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배전설비라면 입력되는 전력(일반적으로 22.9kW)과 배전중인 전압(일반적으로 380V/220V) 및 배전중인 전류(일반적으로 10A)의 실시간 변화를 수치로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은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전력소모가 적고, 후술할 광학센서에서 문자를 인식하는데 용이한 8digit LED가 주로 채용된다.
다음으로 검침원이 보유한 검침단말(1)을 통해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에서 표시중인 운행정보와 운행정보를 파악한 모니터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의 전송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검침원이 검침단말(1)을 사용, 모니터링하여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에서 표시중인 운행정보를 파악하면, 검침단말(1)에서는 운행정보를 파악한 모니터링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검침데이터로 생성한다. 검침원은 검침단말(1)의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제어반(2)으로 검침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검침단말인식모듈(210)은 인증코드를 수신한 시간인 단말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한다. 이 단말확인시간정보는 후술할 중앙관리서버(3)의 검침시간분석모듈(300)에서 활용된다.
단말확인전송모듈(220)은 검침단말(1)로부터 수신한 검침데이터와 검침단말인식모듈(210)에서 생성된 단말확인시간정보를 중앙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제어반(2)은 검침원인식모듈(230)과 검침원확인전송모듈(240), 운행감지장치(25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검침원인식모듈(230)은 검침단말(1) 뿐만 아니라 검침원의 근접 여부도 감지하여, 검침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한 시간인 검침원확인시간을 생성한다. 또한 검침원인식모듈(230)은 근접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여기에서 근접센서는 초음파센서나 인체감지센서 등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장치가 사용 가능하다. 단순하게 검침단말(1)만을 확인한다면, 검침원이 직접 수동으로 검침을 수행하지 않고 검침단말(1)의 자동검침기능 만을 사용하여 검침하였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검침원의 수동 검침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 횟수의 근접 여부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검침원확인시간이 생성되거나, 모든 근접 여부가 감지된 시간을 포함시킴으로서 검침원의 수동 검침을 확인할 수도 있다.
검침원확인전송모듈(240)은 검침원인식모듈(230)에서 생성된 검침원확인시간을 중앙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운행감지장치(250)는 운행감지센서부(251)와 운행감지전송부(252)로 구성된다. 먼저 운행감지센서부(251)는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에서 표시중인 운행정보를 감지하여 운행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자동 검침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운행감지센서부(251)는 반사갓(406)과 광학센서(418)로 구성되는데, 이 광학센서(418)는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에서 표시중인 운행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이다.
운행감지전송부(252)는 운행감지센서부(251)에서 생성된 운행감지정보를 중앙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관리서버(3)는 제어반(2)에서 가공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이를 정리하고, 시스템 관리자에게 최종적으로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관리서버(3)는 검침시간분석모듈(300)로 구성된다.
먼저 검침시간분석모듈(300)은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모니터링시간정보와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확인시간의 비교는 실제 모니터링시간정보와 단말을 확인한 시간을 비교하는 것으로서 이 차이가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단말로 모니터링을 수행한 것임을 증명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다. 이 오차범위의 경우 모니터링 후 검침단말(1)을 인식할 수 있는 시간을 어림잡아 설정하게 된다.
또한 검침시간분석모듈(300)에는 검침시간비교부(301)과 운행정보비교부(30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검침시간비교부(301)의 경우, 단말확인시간정보와 검침원확인시간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운행정보비교부(302)는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운행정보와 운행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검침시간비교부(301)은 앞서 설명한 검침원확인시간을 통해 실제 검침원이 검침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검침원의 수동 점검과 점검 이후 검침단말(1)을 인식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오차범위를 두어 검침원의 수동 검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운행정보비교부(302)는 검침원이 수동으로 측정한 운행정보와 자동으로 인식된 운행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운행정보와 운행인식정보가 동일하지 못한 경우라면 검침원의 수동측정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검침원이 보다 확실하게 검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검침시간분석모듈(300)에서 판단된 정보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에게 관련된 안내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안내모듈(3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안내모듈(310)은 검침시간분석모듈(300)에서 판단된 오차범위 이내 여부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에게 검침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안내모듈(310)은 검침안내작성부(311)과 비교안내추가부(312), 동일안내작성부(313), 동일안내추가부(314)를 추가로 포함한다.
검침안내작성부(311)은 검침시간비교부(301)에서 판단된 오차범위 이내 여부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에게 안내하는 검침비교안내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고, 비교안내추가부(312)는 검침데이터에 검침비교안내메시지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검침원확인시간과 단말확인시간정보의 비교결과를 검침데이터와 함께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관리자가 쉽게 검침원의 수동 검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안내메시지라고 함은 예를 들어 ‘검침원의 검침시간과 검침데이터의 생성시간은 오차범위 이내입니다.’와 같이 비교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텍스트로 작성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이는 후술할 내용 중 안내메시지가 포함되는 것들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동일안내작성부(313)은 운행정보비교부(302)에서 판단된 동일 여부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에게 안내하는 동일안내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고, 동일안내추가부(314)는 검침데이터에 동일안내메시지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운행정보와 운행인식정보의 동일여부를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관리자가 쉽게 검침원의 수동 검침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다시 한 번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검침원이 보유한 검침단말(1)을 통해 제어반(2)의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을 모니터링 한다. 이것은 검침원이 직접 수동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검침단말(1)에서 모니터링한 운행정보와 모니터링을 수행한 시간을 포함하는 검침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검침단말(1)에서 운행감지센서부(251)를 통해 자동으로 운행정보를 감지한 운행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반(2)에서 검침단말(1)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하여 검침단말(1)을 인식하고 이를 수신한 시간인 단말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중앙관리서버(3)에서 검침데이터와 단말확인시간정보, 운행감지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모니터링시간정보와 단말확인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오차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관리자에게 검침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되며, 이를 통해 검침원의 꼼꼼한 수동 검침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검침단말(1)을 인식하고, 운행감지센서부(251)을 통해 자동으로 운행정보를 감지하도록 광학센서(418)를 배치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제어반(2)은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을 지지하되, 전원공급단자(401)을 포함하는 크래들(4)과, 크래들(4)에 연결된 것으로, 전원공급단자(4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및,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연장 처리된 것으로서, 운행감지센서부(251)와 연결되어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포트(405)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크래들을 장착한 제어반의 사시도이다.
제어반(2)은 크래들(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 바, 크래들(4)에는 전원공급단자(401)과 전원공급단자(4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단자(401)로부터 연장 처리된 것으로서, 운행감지센서부(251)(특히, 광학센서(418))와 연결되어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포트(405)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충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외부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제어반(2)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전원공급장치와 전원공급단자(401)은 도면에 상세하게 표시되어있지는 않지만, 검침원이나 기타 다른 사용자 또는 외부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쉽게 훼손되지 않도록 크래들(4)의 내부 또는 하단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크래들(4)의 내면은 고무, 실리콘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고, 외면은 단단한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내부의 전원공급장치를 보호하며 외부의 제어반(2)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단자(401)로부터 연장되어 운행감지센서부(251)까지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포트(405)는 일종의 전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외부로 전력이 새어 나가거나 외력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고무 등의 절연성과 내구성을 갖춘 피복을 씌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 수준으로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충분하게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크래들(4)의 이러한 구성은 제어반(2)을 거치 및 지지함과 동시에 제어반(2) 전반과 운행감지센서부(251)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역할로서 크래들(4)의 상부면 일 측에는 NFC리더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검침단말인식모듈(210)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침단말인식모듈(210)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검침단말(1)로부터 인증코드를 입력받아 단말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전원공급단자(401)의 일부를 감싸는 연장클립(402)이 포함될 수 있다. 연장클립(402)은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편(403)과, 양 지지편(403)을 연결하는 라운드부(404)를 포함하는 클립 형상으로 구현되어, 양 지지편(403) 사이에서 크래들(4)에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된다. 이 때 양 지지편(403)은 크래들(4)에 가해지는 파지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 각각의 지지편(403)의 일 측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되고, 절곡부에서부터 지지편(403)의 끝 단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미도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연장클립(402)과 크래들(4)의 결합을 더욱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크래들(4)에서 연장클립(402)의 맞닿는 부위에는 내측으로 소폭 함입 형성되어 절곡부의 절곡 끝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슬릿(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하여 절곡부가 수용슬릿으로 삽입되어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5는 크래들에 반사갓을 추가로 장착한 제어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운행감지센서부(251)는 크래들(4)의 끝 단에 부착되고,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를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반사갓(4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4에서 보여진 구성에서는 운행감지센서부(25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운행감지센서부(251)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운행감지센서부(251)에서 광학센서(418)은 제어반(2)을 인식하는 광학센서장치인데, 이러한 광학센서(418)의 상부면이 노출된다면 먼지나 기타 이물질 등으로 오염되어 센싱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외부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광학센서(418)의 안전성을 보장하면서도 상부면을 가려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광학센서(418)에 묻어 오염되지 않도록 반사갓(406)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반사갓(406)은 크래들(4)의 끝 단에 부착되고,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을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측면에서 본다면 빗변이 높이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제어반(2)과 가까워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보다 향상된 안전성과 오염방지 기능을 갖게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반사갓(406)의 내부면에는 반사경(407)이 부착될 수 있다. 반사경(407)은 거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사갓(406)의 내부면에 반사경(407)이 부착되는 경우, 반사경(407)이 마주보고 있는 제어반(2)의 표면을 반사경(407)에 비출 수 있게 된다. 이 때, 광학센서(418)를 기존의 제어반(2)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한 것이 아닌, 각도를 반대로 하여 반사경(407)에 표시되는 제어반(2)의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200)의 상(像)을 향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으로서 안전성과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최종적인 형상을 갖게 된다.
도 6은 크래들에 자바라구조 및 고정바를 추가로 장착한 제어반의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래들(4)에는 검침단말인식모듈(210)과 운행감지장치(250)의 운행감지센서부(251)가 부착된다. 이 때 검침단말인식모듈(210)은 검침단말(1)과 근거리통신을 수행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검침단말(1)이 검침단말인식모듈(210)이 위치하는 부위에 올려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운행감지센서부(251)가 자동으로 제어반(2)을 인식하고 있더라도 검침원의 수동 검침을 위해서는 제어반(2) 앞쪽으로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크래들(4)를 일정 길이 연장시켜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4)를 2개 이상의 분할크래들(411)로 나누어 구성하고, 각 분할크래들(411)을 힌지(410)을 매개로 결합된 두 개의 결합바(409)가 각각 대각으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힌지핀(408)으로 고정시켜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바라형태의 크래들(4)를 형성한다. 또, 이 분할크래들(411)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검침단말인식모듈(210)을 부착시켜 분할크래들(411)을 당겨 길이를 조절하더라도 검침단말인식모듈(210)을 문제없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의 경우 분할크래들(411)이 길게 뻗어짐에 따라 중력의 영향으로 분할크래들(411)이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것을 대비하기 위해 전기 및 기계 설비 표면에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홈(413) 일부를 활용하는 것으로 해당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크래들(4)에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홈과 배기홈(413)에는 일 단이 고정홈에, 타단은 배기홈(413)에 끼움결합되어 분할크래들(4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고정바(412)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바(412)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끼울 수 있도록 하려면 배기홈(413)과 고정홈의 크기나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분할크래들(411)이 길게 연장되더라도 휘어지지 않도록 분할크래들(411)의 하부면에서 고정바(412)의 끼움결합을 통해 받쳐지는 것이다.
도 7은 크래들수납부를 형성한 제어반의 사시도이다.
더하여 크래들(4)의 연장방법을 자바라방식이 아닌 슬라이드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제어반(2)에는 크래들수납부(416)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크래들수납부(416)은 제어반(2)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크래들(4)에 위치하는 다른 부자재와의 연관성을 생각한다면 제어반(2)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크래들(4)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크래들수납부(416)를 구비하는 경우, 크래들(4)을 크래들수납부(416)로부터 인출 및 인입하여 사용함으로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즉 크래들수납부(416)로부터 크래들(4)이 인출된 상태에서 검침단말인식모듈(210) 또는 운행감지센서부(251)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래들수납부(416)는 고정 스토퍼(417)와 회전축(415)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스토퍼는 크래들수납부(416)의 내측면에서 탄성 돌출되어 커넥터(41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넥터(414)는 고정 스토퍼(417)와 마찰에 의해 고정된다. 더욱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크래들수납부(416)의 가장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위를 별도의 커넥터(414)로 구성하되, 커넥터(414)에 일정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여 고정 스토퍼(417)가 홈에 끼워져 더욱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스토퍼(417)는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압박을 가해 고정 역할을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스토퍼(417)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축(415)은 커넥터(414)의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 크래들(4)이 크래들수납부(416)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크래들(4)을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내용을 다시 종합하면 크래들수납부(416)에 수납되어있던 크래들(4)과 커넥터(414)는 크래들수납부(416)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되 인출된 이후 일부가 크래들수납부(416)에 남아 고정 스토퍼(417)를 통해 밀착 고정되며,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축(415)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크래들(4)을 이중 서랍구조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크래들(4)을 추가 연장시키거나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설치하고 가이드레일을 통해 일정 부위만 추가 연장될 수 있는 구성 등 공지의 다양한 크래들(4) 연장 방법 또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검침단말 2: 제어반
3: 중앙관리서버 4: 크래들
100: 검침모듈 110: 인증코드생성모듈
200: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 210: 검침단말인식모듈
220: 단말확인전송모듈 230: 검침원인식모듈
240: 검침원확인전송모듈 250: 운행감지장치
251: 운행감지센서부 252: 운행감지전송부
300: 검침시간분석모듈 301: 검침시간비교부
302: 운행정보비교부 310: 안내모듈
311: 검침안내작성부 312: 비교안내추가부
313: 동일안내작성부 314: 동일안내추가부
401: 전원공급단자 402: 연장클립
403: 지지편 404: 라운드부
405: 연결 포트 406: 반사갓
407: 반사경 408: 힌지핀
409: 결합바 410: 힌지
411: 분할크래들 412: 고정바
413: 배기홈 414: 커넥터
415: 회전축 416: 크래들수납부
417: 고정 스토퍼 418: 광학센서

Claims (9)

  1.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으로서,
    검침원이 소유한 것으로서,
    전기 및 기계 설비에 부착된 제어반으로부터 인식한 운행정보와, 상기 운행정보를 인식한 모니터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침모듈과,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코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검침단말;
    상기 전기 및 기계 설비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검침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한 시간인 단말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단말인식모듈과,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와 함께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확인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반;
    상기 모니터링시간정보와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침시간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근접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검침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한 시간인 검침원확인시간을 생성하는 검침원인식모듈 및,
    상기 검침원확인시간을 상기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검침원확인전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침시간분석모듈은,
    상기 단말확인시간정보와 상기 검침원확인시간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지정된 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침시간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단말인식모듈은,
    NFC 리더기를 포함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검침단말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와,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중인 상기 운행정보를 감지하여 운행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운행감지센서부 및,
    상기 운행감지정보를 상기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운행감지전송부로 구성되는 운행감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침시간분석모듈은,
    상기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운행정보와 상기 운행감지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운행정보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전면부 일 측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크래들과,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연장 처리된 것으로서, 상기 운행감지센서부가 포함하는 광학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광학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전원공급단자의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양 지지편을 연결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클립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양 지지편 사이에서 상기 크래들에 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되 각각의 상기 지지편의 끝 단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운행감지센서부는,
    상기 크래들의 끝 단에 부착되고,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를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반사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갓의 내부면에는 반사경이 부착되고, 상기 상측 지지편의 상기 연장클립과 결합 형성되는 상기 광학센서는 상기 반사경에서 표시되는 상기 운행정보 표시 디스플레이의 상(像)을 향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복수개의 분할크래들로 구성되되,
    상기 분할크래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두 개의 결합바가 각각 대각으로 교차하는 힌지핀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하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과,
    일 단이 상기 고정홈에, 타 단은 상기 전기 및 기계 설비의 표면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배기홈에 끼움결합되어 하부면을 지지하는 고정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제어반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크래들이 수납되는 공간인 크래들수납부와,
    상기 크래들수납부와 상기 크래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크래들수납부에서 탄성 돌출되는 고정 스토퍼와,
    상기 크래들이 상기 크래들수납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을 일정 각도 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KR1020160053220A 2016-04-29 2016-04-29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KR10166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20A KR101662034B1 (ko) 2016-04-29 2016-04-29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20A KR101662034B1 (ko) 2016-04-29 2016-04-29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034B1 true KR101662034B1 (ko) 2016-10-04

Family

ID=5716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220A KR101662034B1 (ko) 2016-04-29 2016-04-29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0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220A (zh) * 2017-09-15 2018-02-09 宁波博恩电气有限公司 用于电力设备的巡检方法
CN107704934A (zh) * 2017-09-15 2018-02-16 宁波博恩电气有限公司 电力设备巡检系统
KR102109025B1 (ko) * 2019-10-21 2020-05-11 주식회사 승화기술정책연구소 모바일단말 및 위치정보를 이용한 성능기반 항만시설 리스크 평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972A (ja) * 1999-03-09 2000-09-22 Nohmi Bosai Ltd 管理室制御盤
KR101573527B1 (ko) * 2015-06-26 2015-12-01 렉스젠(주)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60006831A (ko) * 2014-07-09 2016-01-20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1083A (ko) * 2014-09-11 2016-03-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엔에프씨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972A (ja) * 1999-03-09 2000-09-22 Nohmi Bosai Ltd 管理室制御盤
KR20160006831A (ko) * 2014-07-09 2016-01-20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1083A (ko) * 2014-09-11 2016-03-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엔에프씨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KR101573527B1 (ko) * 2015-06-26 2015-12-01 렉스젠(주)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220A (zh) * 2017-09-15 2018-02-09 宁波博恩电气有限公司 用于电力设备的巡检方法
CN107704934A (zh) * 2017-09-15 2018-02-16 宁波博恩电气有限公司 电力设备巡检系统
KR102109025B1 (ko) * 2019-10-21 2020-05-11 주식회사 승화기술정책연구소 모바일단말 및 위치정보를 이용한 성능기반 항만시설 리스크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034B1 (ko) 시설 검침 관리 시스템
CN104471506A (zh) 用于工作流程监测系统的温度监测装置
JP6555432B2 (ja) 電力量計と検針方法、およびパスキー変更方法
US9400209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relative alignment of two articles, and vibration measurement device
JP2015051876A (ja) エレベータデバイスのための測定テープ
KR101965321B1 (ko) 센서융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통합관리 시스템
US9972989B2 (en) Optical voltage sensing for underground medium voltage wires
CN103776396B (zh) 平面度检测装置
US11048279B2 (en) Liquid handling system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205594110U (zh) 一种电能表串户检测装置
KR20070079704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수도계량기 원격검침시스템
KR20160070098A (ko)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320203B1 (en) Vibratio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CN104081239A (zh) 连接器检测
JP2013171453A (ja)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方法
US202304124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SENSORS OF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CN106291081B (zh) 远场区验电系统和方法
JP4853436B2 (ja) 給電レー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5324776A (zh) 用于装置保护的硬件密钥系统
JP5378836B2 (ja)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US10091674B2 (en)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sensor apparatus placements in building
US10071255B2 (en) Monitoring system
KR20220042571A (ko) Rfid 체크카드 기반의 개인 식별정보 및 발열 검사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988229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方法
KR20200030746A (ko) 산업용 계측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