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217A - 복합 외장패널 - Google Patents

복합 외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217A
KR20220142217A KR1020210048680A KR20210048680A KR20220142217A KR 20220142217 A KR20220142217 A KR 20220142217A KR 1020210048680 A KR1020210048680 A KR 1020210048680A KR 20210048680 A KR20210048680 A KR 20210048680A KR 20220142217 A KR20220142217 A KR 2022014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ing
composite exterior
finishing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한
Original Assignee
에이원렌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원렌탈(주) filed Critical 에이원렌탈(주)
Priority to KR102021004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217A/ko
Publication of KR2022014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04F13/084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with means pierc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감재용 타일을 마감패널로 형성하고, 보강패널과 단열패널을 마감패널과 일체로 형성하여 건물의 벽면 마감시 타일의 꺾임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며 보다 견고한 시공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원가 절감과 단열 효과가 있는 건식 결합방식의 복합 외장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은 건물의 벽면에 일면이 설치되는 단열패널, 미리 설정된 압축 강도와 밀도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형성되어 단열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는 보강패널, 그리고 보강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외장패널{COMPOSITE EXTERIOR PANEL}
본 발명은 복합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외장패널은 경량화, 단열성, 안정성뿐만 아니라 시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있다. 최근 들어, 외벽 단열 마감 시스템으로 드라이비트 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건물의 외벽에 마감재로 결합되는 타일은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장식면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접착제가 접착되어 건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타일을 마감재로 사용할 경우 건물의 외벽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타일을 부착하는 습식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타일의 시공 위치와 결합 시간에 따라 접착제의 점도 및 함수량 등이 다르게 되어 타일의 부착상태가 균일하지 못하였다.
또한 건물 외벽의 안쪽으로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 타일과의 시공방법이 번거롭고 공기가 장기화되며, 필요 이상으로 원자재가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마감재로 사용할 경우에도 단열의 문제와 고가의 비용문제, 타일의 무게보다 더 무거운 하중에 대한 영향으로 시공문제뿐만 아니라 시공 후 관리가 어려워 시공이 용이하며 보다 견고한 시공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외장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감재용 타일을 마감패널로 형성하고, 보강패널과 단열패널을 마감패널과 일체로 형성하여 건물의 벽면 마감시 타일의 꺾임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며 보다 견고한 시공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원가 절감과 단열 효과가 있는 건식 결합방식의 복합 외장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은 건물의 벽면에 일면이 설치되는 단열패널, 미리 설정된 압축강도와 밀도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형성되어 단열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는 보강패널, 그리고 보강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며, 보강패널은 마감패널과 단열패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감패널의 꺾임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패널과 보강패널, 그리고 마감패널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패널은 접합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면이 보강패널의 일측면 보다 더 길게 제1 돌출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제1 돌출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열패널은 제1 돌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연결되는 단열패널의 타측면이 보강패널의 타측면 보다 더 길게 제2 돌출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제2 돌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강패널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패널은 제1 돌출면에서 고정부재의 장착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고정부재의 일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단열홈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보강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부, 그리고 제1 고정부의 타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절곡 연결되어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홈의 깊이는 제1 고정부의 두께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마감패널은 접합면을 기준으로 보강패널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패널은 포세린 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패널은 제1 두께를 갖고 형성되며, 보강패널은 제2 두께를 갖고 형성되고, 단열패널은 제3 두께를 갖고 형성되며, 제1 두께 내지 제3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작으며, 제3 두께는 제2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패널은 세라믹 발포폼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패널은 준불연 발포 폴리스틸렌(EPS)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패널과 보강패널, 그리고 단열패널을 일체의 복합 외장패널로 형성함으로써 복합 외장패널 자체에 외장재와 단열재의 기능을 일체화하고, 사전에 미리 제작된 복합 외장패널을 공사현장에서 건식공법으로 한번의 시공을 통하여 건물의 외장처리와 단열처리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건물의 전체 외장처리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과 보강패널의 일체형 구조로 마감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인 복합 외장패널의 무게를 감소시키며 마감패널의 꺾임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어 운반과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이 벽면에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에서 보강패널과 단열패널에 고정 지지된 고정부재가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복합 외장패널들이 벽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인접면들이 밀착관계로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이 벽면에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에서 보강패널과 단열패널에 고정 지지된 고정부재가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복합 외장패널들이 벽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인접면들이 밀착관계로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10)은 단열패널(100), 보강패널(110), 마감패널(120)을 포함하며, 마감패널(120)만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마감패널(120)과 단열패널(100)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마감패널(120)의 단점을 보완하고 단열패널(100)과 보강패널(110), 그리고 마감패널(120)을 일체화 제조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시공함으로써 공사비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단열패널(100)과 보강패널(110), 그리고 마감패널(120)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 그리고 단열패널(100)을 일체의 복합 외장패널(10)로 형성하며,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의 일체형 구조로 마감패널(120)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인 복합 외장패널(10)의 무게를 감소시키며 마감패널(120)의 꺾임강도(Modulus of Rupture)를 보강시킬 수 있어 운반과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열패널(100)은 벽면(20)에 일면이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열패널(100)은 벽면(20)에 일면이 인접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단열패널(100)은 준불연 발포 폴리스틸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 폼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열패널(100)은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경량 압축 스티로폼재, 발포 우레탄 폼, 발포 폴리에틸렌 소재로 된 보온 단열재, 페놀폼(PF), 유리섬유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단열패널(100)은 서로 접합되는 보강패널(110)과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면이 보강패널(110)의 일측면 보다 더 길게 제1 돌출길이(t1)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제1 돌출면(100a)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열패널(100)의 돌출면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패널(100)은 제1 돌출면(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연결되는 단열패널(100)의 타측면이 보강패널(110)의 타측면 보다 더 길게 제2 돌출길이(t2)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제2 돌출면(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패널(100)은 정면을 기준으로 상부의 가로방향에 제1 돌출면(100a)이 구비되고, 측부의 세로방향에 제2 돌출면(100b)이 구비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열패널(100)은 적어도 일면이 보강패널(110) 또는 마감패널(120)의 해당면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단열패널(100)들간의 인접 결합시 단열패널(100)과 단열패널(100)을 서로 밀착시키며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패널(100)과 단열패널(10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최소화하여 단열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보강패널(110)은 미리 설정된 압축강도와 밀도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형성되어 단열패널(100)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단열패널(100)과 보강패널(110)의 결합시 해당되는 결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해 단열패널(100)과 보강패널(11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난연 기능을 갖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보강패널(110)은 세라믹 발포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 발포폼은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압축강도, 밀도, 함수율을 포함하는 물리적 특성을 갖고 적어도 마감패널(120)의 자체 꺾임강도 보다 더 큰 꺾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라믹 발포폼을 보강패널(100)로 사용하는 경우, 강도를 유지하며 경량화를 구현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단열성, 내열성, 보온성, 방음성, 방수성, 내오염성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 효과와 내항균성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마감패널(120)은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산석 보드, 허니컴 보드, 시멘트 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산석(volcanic stone)을 보강패널(100)로 사용하는 경우, 친환경 건축용 자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온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항균, 탈취, 살균, 중금속 흡착능 및 높은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패널(110)은 마감패널(120)과 단열패널(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감패널(120)의 꺾임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패널(110)은 단열패널(100)에 비해 강한 압축강도를 갖고 형성됨에 따라 고정물의 안전한 결합이 가능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외장패널(10)이 벽면(2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보강패널(110)에 고정도구가 일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외장패널(10)의 벽면(20) 결합시 보강패널(110)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벽면(2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보강패널(110)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부(310), 그리고 제1 고정부(310)의 타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절곡 연결되어 벽면(20)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에는 각각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구멍(314, 3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20)는 L형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벽면(20)에 고정부재(30)를 설치하는 경우, 제2 고정부(320)의 절곡된 타측을 앵커볼트(322)를 사용하여 벽면(20)에 고정하고, 제2 고정부(320)의 일측과 제1 고정부(310)의 타측을 체결볼트(318)로 체결한다. 그리고 제1 고정부(310)의 일측에 보강패널(110)을 고정 결합한다. 여기서, 제1 고정부(310)와 보강패널(110)의 고정 결합시 보강패널(11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고정핀(312)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핀(312)은 보강패널(110)에 일측이 일부 삽입되며, 타측이 보강패널(11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312)의 일측이 보강패널(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이 보강패널(1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인접하는 보강패널(110)과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보강패널(110)이 상하로 연결되는 경우, 하측의 보강패널(110)에서 상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된 고정핀(312)은 상측의 보강패널(110)에서 하부면에 타측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핀(312)의 일측이 하측의 보강패널(110)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고, 고정핀(312)의 타측이 상측의 보강패널(11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어 서로 대응하는 보강패널(110)들이 하나의 고정핀(312)을 통해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응되는 보강패널(110)들 사이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접착제 또는 체결도구가 불필요하며, 하나의 고정핀(312)으로 고정 결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강패널(110) 또는 단열패널(100) 간의 결합시 서로 대응하는 결합면에는 해당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보강패널(110) 또는 단열패널(100) 간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재(30)는 단열패널(100)의 결합면에 안착되어 단열패널(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패널(100)은 제1 돌출면에서 고정부재(30)의 장착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고정부재(30)의 일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단열홈(102)을 가질 수 있다. 단열패널(100)에 구비되는 단열홈(102)의 깊이는 제1 고정부(310)의 두께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열패널(100)의 단열홈(102)에 접하는 제1 고정부(310)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패널(100)의 단열홈(102)과 제1 고정부(310)의 접합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단열패널(100)의 단열홈(102)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310)가 서로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열패널(100)이 보강패널(110)과 일체로 결합되고 보강패널(110)이 마감패널(120)과 일체로 결합시 단열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보강패널(110) 또는 마감패널(120) 보다 단열패널(100)의 측면 부위 4면 중 적어도 1면 또는 2면이 고정부재(30)의 두께만큼 크게 형성한다. 그리고 단열패널(100)의 단열홈(102)에 안착되는 고정부재(30)가 단열패널(100)의 돌출 높이와 일치되도록 하여 서로 인접되는 단열패널(100)들 사이의 틈새 공간이 없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마감패널(120)은 보강패널(110)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며, 타면이 마감처리되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마감패널(120)은 포세린 타일(porcelain tile)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의 결합시 해당되는 결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해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패널(120)이 타일로 형성되고 보강패널(110)이 세라믹 발포폼으로 형성되는 경우, 접착제는 타일 접착력 강화제가 포함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타일 접착력 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내수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강패널(110)과 마감패널(120)을 보다 더 강한 접착력으로 일체화시킴으로써 폴리싱 타일 또는 포세린 타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 시공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마감패널(120)로 사용되는 타일의 경량화와 꺾임강도를 보강하여 시공 품질을 확보하고, 타일의 접착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시공 자재비와 시공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마감패널(120)은 접합면을 기준으로 보강패널(11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패널(120)은 제1 두께를 갖고 형성되며, 보강패널(110)은 제2 두께를 갖고 형성되고, 단열패널(100)은 제3 두께를 갖고 형성되며, 제1 두께 내지 제3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작으며, 제3 두께는 제2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는 5.5t, 제2 두께는 30t, 제3 두께는 100~180t로 설정할 수 있다.
마감패널(120)로 타일만 사용하거나 타일과 단열재를 접착 결합으로 사용하는 경우, 타일의 두께가 얇아서 일반 앵글 앵커 방식으로 벽면(20)에 직접 시공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력의 약화로 인해 박리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120)로 타일이 아닌 석재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앵글 앵커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나, 석재의 무게는 타일의 무게 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석재의 무게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석재의 무게로 인해 전체적인 마감패널(120) 하중의 증가로 인한 구조물의 변형 및 스트레스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석재의 꺾임강도는 100~150N/cm2 이며, 타일의 꺾임강도는 120~170N/cm2 정도이므로 충격 또는 풍압에 파손이 가능하다. 다만, 석재 또는 타일을 사용하여 기존 방법으로 벽면(20)에 시공 시 단열재 시공 후 외장재인 석재 또는 타일을 시공하여 공사비가 상승하며,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10)은 마감패널(120)로 타일 또는 석재를 사용하는 경우 타일 또는 석재를 얇게 가공 후 보강패널(110)에 부착함으로써 복합 외장패널(10)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120)의 무게 감소에 따른 전체 복합 외장패널(10)의 변형 또는 기타 변이의 발생이 적다. 또한,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의 접착을 더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벽면(20) 고정 시공 시 보강패널(110)과 고정부재(30), 그리고 고정부재(30)와 벽면(20)의 안전한 결합으로 시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 그리고 단열패널(100)을 일체의 복합 외장패널(10)로 형성하여 꺾임강도가 보강된 마감 기능과 단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타일을 포함하는 마감패널(120)에 세라믹 발포폼을 포함하는 보강패널(110)을 일체로 결합하여 타일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꺾임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외장패널(10)의 꺾임강도가 800~870N/cm2를 유지하여 충격과 풍압에 더 강하다. 또한,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 그리고 단열패널(100)이 일체로 형성된 복합 외장패널(10)을 사전에 미리 제작하여 한번의 시공으로 건물의 외장처리와 단열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장마감 공사시 전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단열패널(100)과 보강패널(110), 그리고 마감패널(120)의 일체화 사전 제작에 따라 공사기간 단축과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120)과 보강패널(110)의 일체 결합에 따라 마감패널(12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타일 또는 석재보다 가벼운 마감패널(120)을 형성할 수 있어 운반의 용이성과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패널(110)의 이면에 단열패널(100)이 일체로 형성되어 건식공법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단열재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10)이 벽면(2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건물 벽면(20)의 최하부에서 고정부재(30)의 제2 고정부(320)를 건물 벽면(20)에 앵커볼트(322)로 고정한다. 여기서, 복합 외장패널(10)은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복합 외장패널(10)이 설치되는 공간에 대응하여 벽면(20)에 미리 표시된 제2 고정부(320)의 설치위치에 맞게 고정작업을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복합 외장패널(10)의 하부에서 보강패널(110)에 제1 고정부(310)가 일부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20)과의 수직,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하며,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복합 외장패널(10)의 하부가 건물 벽면(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복합 외장패널(10)의 상부를 건물 벽면(20)에 고정하는 작업을 한다. 작업자는 복합 외장패널(10)의 상부를 벽면(20)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 미리 설치된 복합 외장패널(10)의 상부에서 고정부재(30)의 제2 고정부(320)를 건물 벽면(20)에 앵커볼트(322)로 고정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복합 외장패널(10)의 상부에서 보강패널(110)에 제1 고정부(310)가 일부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20)과의 수직,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하며,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를 결합한다. 복합 외장패널(10)이 복수개인 경우, 먼저 제1 복합 외장패널(10a)을 상기한 방법으로 건물 벽면(20)에 설치하고, 제1 복합 외장패널(10a)의 상부에서 제1 고정부(310)의 고정핀(312)을 통해 서로 인접되는 제1 복합 외장패널(10a)의 보강패널(110)과 제2 복합 외장패널(10b)의 보강패널(110)이 고정 결합되도록 제2 복합 외장패널(10b)을 위치시키며 건물 벽면(20)에 설치한다. 상기한 작업방식으로 건물 벽면(20)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해당되는 복합 외장패널(10)을 연결하며 건물 벽면(20)에 복수의 복합 외장패널(10)들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복합 외장패널(10a, 10b)들이 벽면(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인접면들이 밀착관계로 시공될 때 단열패널(100)의 두께로 인해 서로 대응되는 마감패널(120)들과 보강패널(110)들 사이에는 틈(줄눈 간격)이 생긴다. 복수의 복합 외장패널(10a, 10b)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시공시 마감패널(120)들과 보강패널(110)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경계부의 틈새는 충진재를 이용하여 줄눈 시공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재는 백업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를 경계부의 틈새로 주입하여 틈새의 빈 공간을 충진함으로써 복수의 복합 외장패널(10a, 10b)들 사이의 틈새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10)은 사전에 미리 설정된 단위 크기로 제작하여 현장의 시공장소에서 별도의 조립작업 없이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서 조립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의 개별 조립작업에 비해 전체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의 여러 작업에 의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 외장패널(10)의 설치 작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복합 외장패널 20 ; 벽면
30 ; 고정부재 100 ; 단열패널
102 ; 단열홈 110 ; 보강패널
120 ; 마감패널 310 ; 제1 고정부
320 ; 제2 고정부 312 ; 고정핀
322 ; 앵커볼트

Claims (11)

  1. 건물의 벽면에 일면이 설치되는 단열패널,
    미리 설정된 압축 강도와 밀도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단열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는 보강패널, 그리고
    상기 보강패널의 타면에 일면이 고정 결합되는 마감패널
    을 포함하는 복합 외장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단열패널은 접합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면이 상기 보강패널의 일측면 보다 더 길게 제1 돌출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제1 돌출면을 형성하는 복합 외장패널.
  3. 제2항에서,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제1 돌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단열패널의 타측면이 상기 보강패널의 타측면 보다 더 길게 제2 돌출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제2 돌출면을 형성하는 복합 외장패널.
  4. 제2항에서,
    상기 보강패널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합 외장패널.
  5. 제4항에서,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제1 돌출면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장착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단열홈을 갖는 복합 외장패널.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보강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절곡 연결되어 상기 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복합 외장패널.
  7. 제6항에서,
    상기 단열홈의 깊이는 상기 제1 고정부의 두께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복합 외장패널.
  8. 제1항에서,
    상기 마감패널은 포세린 타일을 포함하는 복합 외장패널.
  9. 제1항에서,
    상기 보강패널은 세라믹 발포폼을 포함하는 복합 외장패널.
  10. 제1항에서,
    상기 단열패널은 준불연 발포 폴리스틸렌(EPS) 폼을 포함하는 복합 외장패널.
  11. 제1항에서,
    상기 보강패널은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단열패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꺾임강도를 보강하는 복합 외장패널.
KR1020210048680A 2021-04-14 2021-04-14 복합 외장패널 KR20220142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80A KR20220142217A (ko) 2021-04-14 2021-04-14 복합 외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80A KR20220142217A (ko) 2021-04-14 2021-04-14 복합 외장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217A true KR20220142217A (ko) 2022-10-21

Family

ID=8380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680A KR20220142217A (ko) 2021-04-14 2021-04-14 복합 외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2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US9957722B2 (en) Insulated wall panel
KR102136753B1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CN104797761A (zh) 构造具有强热绝缘的建筑物的方法以及通过该方法构造的建筑物
CN101892744A (zh) 一种轻型复合保温墙体安装芯层的施工方法
KR20130098239A (ko)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101995382B1 (ko)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KR102136755B1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US10415236B2 (en)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KR20220142217A (ko) 복합 외장패널
EP2857609B1 (en) Method for making facades of buildings
KR101768683B1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시공방법
KR20090005274A (ko)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JP362105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壁式構造の外断熱建築物に於ける帳壁取付方法及び取付金具
KR20180092477A (ko) 프리캐스트 내,외벽을 갖는 조립식 벽체
KR102210564B1 (ko) 세라믹 타일 퍼티 공법
KR102382543B1 (ko) 건축물 외벽의 다중단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S5947784B2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における外壁の構造
KR100398911B1 (ko) 건축물 외벽패널 제조방법 및 그 외벽패널
RU2544181C2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золяции и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фасада
KR100729851B1 (ko) 건축물 단열 소재의 시공 방법
KR101636237B1 (ko) 단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JP2001132136A (ja) 合成2重壁パネル及びその施工法
KR102136757B1 (ko)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