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155A - 전자동 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동 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155A
KR20220140155A KR1020210046305A KR20210046305A KR20220140155A KR 20220140155 A KR20220140155 A KR 20220140155A KR 1020210046305 A KR1020210046305 A KR 1020210046305A KR 20210046305 A KR20210046305 A KR 20210046305A KR 20220140155 A KR20220140155 A KR 20220140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washing
housing
wa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준
Original Assignee
조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준 filed Critical 조희준
Priority to KR102021004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155A/ko
Publication of KR2022014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동 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쌀과 물이 채워져 세척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밥을 짓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조절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여 소용돌이 치게해 쌀과 물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가지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며, 밥을 짓기 위한 선행작업인 쌀세척과 물조절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밥을 짓기 위한 선행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편의성이 좋고 불순물은 제거되고 영양분은 남아있으며 물이 많은 질밥이나 물이 적은 된밥이 아닌 중간밥 또는 찰진밥인 양질의 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동 쌀 세척장치{Automatic rice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밥을 짓기 위한 쌀을 씻어내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척통에 들어있는 쌀이 잠기도록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세척봉이 회전하면 쌀과 물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혼합되어 세척되며, 쌀을 세척하여 불순물이 섞인 물은 버리고 밥을 짓기 위해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받아 바로 취사가 가능하게끔 개선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밥을 짓기 위해서 밥솥용기에 쌀을 필요한 만큼 넣고 쌀이 잠기도록 물을 받은 다음에 젓거나 흔들어서 쌀에 묻어있는 불순물을 씻어낸다.
이처럼 한차례 이상 헹궈내어 불순물이 섞인 물은 버리고 밥을 짓는데 필요한 깨끗한 물을 밥솥용기에 표시된 눈금만큼 채우거나, 계량 도구를 사용해 채워 넣어 전기 밥솥, 냄비 등으로 밥을 짓는다.
이렇게 밥을 짓기 위한 선행 작업은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행하는데, 사람마다 작업 방식이 달라서 쌀이 덜 씻겨서 불순물이 남아있거나, 너무 많이 헹궈내어 쌀이 가지는 영양분까지 빠져나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밥을 짓기 위한 물조절에 있어서 쌀의 양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도 다르기 때문에 표시 눈금이나 계량 도구를 사용해 물을 받아야 하는데, 사람의 감과 눈대중 또는 쌀 위에 손바닥을 대고 손등이나 손목이 물에 잠길 정도로 물을 채우는 것으로 많이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물을 받으면 물조절이 실패하여 물이 많아 죽이나 떡과 같은 질밥을 짓거나 물이 적어 덜익은 된밥을 짓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017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밥을 짓기 위해 쌀을 씻고 물조절하는 과정이 개선된 쌀 세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쌀에서 영양분이 빠지지 않게 불순물을 씻어내고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여 양질의 밥(찰진밥 또는 중간밥)을 짓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쌀 세척장치는, 쌀과 물이 채워지면서 세척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하부에는 밥을 짓기에 적당하도록 물조절하는 물조절배관을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여 소용돌이를 치게해 쌀과 물이 섞이면서 세척되게 하는 세척부가 결합되어 하우징의 상단에 탈부착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밥을 짓는 선행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편리하며 양질의 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쌀 세척장치는, 급수관과 배수관, 물조절배관이 연결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세척봉과 스크래퍼를 가지는 쌀 세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쌀이 가지는 영양분은 빠지지 않게 불순물만 씻어내며 씻어낸 쌀과 깨끗한 물이 밥솥용기에 채워지고 적정량의 물을 가지게 물조절되어 간편하게 양질의 밥을 지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단면도
이하, 전자동 쌀 세척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바,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쌀 세척장치(1)는 쌀과 물이 채워지며 세척된 쌀과 깨끗한 물을 밥솥용기(30)에 공급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탈부착되며 하우징(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세척부(22)가 결합된 하우징 커버(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쌀을 채워 넣기 위해 상부에 개방부(10-1)가 형성되며 측면 위쪽으로는 쌀을 세척하기 위해서 물을 채우는 급수관(11)과 측면 아래쪽으로는 쌀을 세척하는데 사용한 물을 빼내기 위한 배수관(12)이 연결되고, 배수관(12)에는 물이 빠져나갈 때 쌀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걸러내기 위한 필터(F)가 내장되며 배수밸브(12-1)가 결합되어 물이 빠지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하우징(10) 바닥에서 내부공간을 지나 측면으로 나가는 'ㄱ' 자 형의 물조절배관(13)이 위치하여 밥솥용기(30)에 채워진 물을 흡입구(13-1)를 통해 빨아들여 물조절하고, 물을 배출할 때 쌀이 딸려 나오지 않게 필터(F)가 내장된다.
하우징(10) 바닥에는 세척된 쌀과 취사에 필요한 물이 빠질 수 있게 배출구(10-2)가 형성되며 바닥 사이의 수납공간(10-3)에서 움직여 배출구(10-2)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문(14)이 위치한다.
또한, 하우징(10) 바닥의 아래에는 하우징(10) 외주면을 따라서 아래로 연장되어 '∩' 자 모양이 되는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쌀 세척장치(1)가 밥솥용기(30) 위에서 안정감있게 안착되며, 배출구(10-2)로 떨어지는 쌀과 물이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 커버(20)는 개방부(10-1)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내부에서 쌀과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며, 위쪽에는 세척모터(21)가 결합되고 아래쪽에는 세척모터(2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세척부(22)가 위치한다.
세척부(22)는 하우징(10) 내부에서 회전하여 쌀과 물이 섞이면서 세척되게 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23)과 하우징(10) 내부 직경보다 작고 회전축(23)을 중심으로 관통되게 위치하여 보조 프레임(24-1)으로 연결되는 프레임(24), 프레임(24)과 보조 프레임(24-1)의 아래로 회전축(23)처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가져 배열되는 세척봉(25)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23)의 아래쪽 끝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스크래퍼(26)가 위치하여 하우징(10) 바닥에 가라앉은 쌀을 훑어내어 세척되게 하고 세척된 쌀이 배출구(10-2)를 통해 밥솥용기(30)로 떨어지도록 밀어낸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40은 스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전자동 쌀 세척장치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밥솥용기(30)의 상단이 플랜지(15) 사이로 위치하여 하우징(10) 바닥에 닿아 자리잡게 하며 개방부(10-1)로 쌀을 채워 넣고 하우징 커버(20)를 결합하고 쌀을 세척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부(22)가 하우징(10) 내부로 향하게끔 하우징 커버(20)를 개방부(10-1)에 결합하고 급수관(11)에서 쌀이 잠겨지도록 적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채워진다.
하우징(10)에 물이 채워지면 세척모터(21)가 작동하여 세척부(22)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소용돌이침에 따라 쌀과 물도 세척부(22)의 회전을 따라서 움직인다.
세척부(22)의 회전을 따라 움직이는 쌀은 물속을 떠다니면서 묻어있는 불순물이 씻겨나가 세척된다.
이때, 세척봉(25)은 소용돌이칠 수 있을 만큼의 갯수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어 쌀과 부딪혀 깨지지 않게한다.
또한, 떠오르지 않고 바닥에 붙어있어 씻겨지지 않은 쌀은 회전축(23)의 끝에 위치한 스크래퍼(26)가 훑어내 떠올려서 세척되게 한다.
회전하여 쌀을 세척하는 세척부(22)가 설정된 회전수 또는 시간이 되면 회전작동을 멈추고 배수밸브(12-1)가 열리면서 배수관(12)으로 쌀을 세척한 물이 빠져나가면서 내장되어 있는 필터(F)로 인해 쌀은 빠지지 않도록 걸러낸다.
위와 같은 세척과정을 한차례 이상 진행한 후 다시 깨끗한 물을 적정량 공급하며, 세척된 쌀과 깨끗한 물이 준비되면 개폐문(14)이 수납공간(10-3)으로 들어가 배출구(10-2)가 열리면서 쌀과 물이 아래에 위치한 밥솥용기(30)로 떨어져 담아진다.
또한, 세척부(22)가 천천히 회전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 바닥에 남아있는 쌀을 스크래퍼(26)가 배출구(10-2)로 밀어내어 밥솥용기(30)로 떨어트린다.
그리고, 밥솥용기(30)에 세척된 쌀과 취사에 필요한 깨끗한 물이 공급되면서 내부공간 바닥에 남아있는 쌀을 배출구(10-2)로 흘려보내 쌀과 물이 담기게 되며, 물이 많이 공급되면, 밥솥용기(30) 내부에 일부분이 진입해 있는 물조절배관(13)을 통해 물을 배출시켜 밥솥용기(30)에 담긴 물의양을 조절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조절배관(13)의 흡입구(13-1)가 밥솥용기(30)에 담겨지는 쌀을 취사하기 위해 채워지는 적정량의 물의 수면 높이에 위치하고 세척된 쌀과 함께 깨끗한 물이 밥솥용기(30)에 넘치지 않을 정도로 채워져 흡입구(13-1)가 물에 잠기게 되면 펌프(도면 미도시)가 작동하여 흡입구(13-1)가 잠기지 않을 만큼 물을 흡입해 빼내어 물조절한다.
이렇게 세척된 쌀로 밥을 짓기에 좋도록 물조절이 끝나면 밥솥용기(30)를 들어내어 바로 취사가 가능하며 선행작업이 간단하게 진행되어 편의성이 좋고, 불순물은 제거되고 좋은 영양분은 남아있는 양질의 밥을 만들어낸다.
1: 쌀 세척장치
10: 하우징 10-1: 개방부
10-2: 배출구 10-3: 수납공간
11: 급수관
12: 배수관 12-1: 배수밸브
13: 물조절배관 13-1: 흡입구
14: 개폐문
15: 플랜지
20: 하우징 커버
21: 세척모터
22: 세척부
23: 회전축
24: 프레임 24-1: 보조 프레임
25: 세척봉
26: 스크래퍼
30: 밥솥용기
F: 필터

Claims (2)

  1. 밥을 짓기 위해 쌀을 세척하는 쌀 세척장치에 있어서,
    쌀이 채워지도록 상부에는 개방부(10-1)가 형성되고 물의 공급과 배수를 위한 관이 연결되며, 바닥에는 세척된 쌀을 빼낼 수 있게 열리고 닫히는 개폐문(14)을 가지는 하우징(10)과,
    회전하여 쌀과 물을 섞어내 세척되게 하는 세척부(22)가 결합되어 개방부(10-1)에 탈부착되는 하우징 커버(20)로 구성되며,
    상기 세척부(22)는 세척모터(21)로 회전하는 회전축(23)에 보조 프레임(24-1)과 프레임(24)이 연결되고 각각의 프레임(24,24-1)의 아래 방향으로 세척봉(25)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여 회전하게 되면 소용돌이치게 되면서 쌀과 물이 혼합되면서 세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쌀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세척된 쌀로 밥을 짓기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면서 생기는 수면의 높이에 위치하여 물이 넘치게 되면 흡입하여 물조절을 하기 위하여 흡입구(13-1)가 구비된 물조절배관(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쌀 세척장치.
KR1020210046305A 2021-04-09 2021-04-09 전자동 쌀 세척장치 KR20220140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05A KR20220140155A (ko) 2021-04-09 2021-04-09 전자동 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05A KR20220140155A (ko) 2021-04-09 2021-04-09 전자동 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55A true KR20220140155A (ko) 2022-10-18

Family

ID=8380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05A KR20220140155A (ko) 2021-04-09 2021-04-09 전자동 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01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72A (ko) 2001-07-25 2003-02-05 이금숙 전 자동 무인 압력 전기밥솥의 쌀 세척 및 이송기능과정수 공급기능과 폐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쌀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72A (ko) 2001-07-25 2003-02-05 이금숙 전 자동 무인 압력 전기밥솥의 쌀 세척 및 이송기능과정수 공급기능과 폐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쌀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671B1 (ko) 쌀 세척장치
KR101974195B1 (ko) 기름 순환식 튀김장치
KR20220140155A (ko) 전자동 쌀 세척장치
JP2012011018A (ja) 自動洗米炊飯器
CN204540711U (zh) 大豆清洗装置
JP2020198987A (ja) 洗米装置
JP3483334B2 (ja) 洗米装置
JP2011110205A (ja) 洗米装置
US2764169A (en) Dishwashing machine
KR20180106051A (ko) 쌀 세척 장치
JPH0681610B2 (ja) 洗米給水法および装置
JP3785080B2 (ja) 洗米装置
KR102422374B1 (ko) 무인 취사 밥솥 장치
AU714910B2 (en) Culinary utensil washing machine
CN213940439U (zh) 一种用于电饭锅的洗米装置
JP3384143B2 (ja) 自動販売機の飲料調理装置
JP6933193B2 (ja) 洗米炊飯装置
JP7167701B2 (ja) 洗米装置
KR100649454B1 (ko) 초음파 세척장치
SU17733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йки плодоовощного сырья
JP2582449Y2 (ja) 洗米給水装置
JP3384142B2 (ja) 自動販売機の飲料調理装置
JP2022099438A (ja) 洗米炊飯装置
JPH0734784B2 (ja) 炊飯装置
JPS6345806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