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085A -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085A
KR20220140085A KR1020210045982A KR20210045982A KR20220140085A KR 20220140085 A KR20220140085 A KR 20220140085A KR 1020210045982 A KR1020210045982 A KR 1020210045982A KR 20210045982 A KR20210045982 A KR 20210045982A KR 20220140085 A KR20220140085 A KR 2022014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signal
pedal
st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085A/ko
Priority to US17/471,811 priority patent/US11981308B2/en
Priority to CN202111159478.5A priority patent/CN115195464A/zh
Publication of KR2022014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60W60/0016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of the vehicle or its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1Handover processes from occupants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6Adjusting of accelerator pedal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8Feedback, closed loop systems or details of feedback error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0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use of a 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동 오프상태에서 시동 온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먼저 팝업되고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가속페달(10)이 팝업되도록 하고, 시동 온상태에서 시동 오프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가속페달(10)이 먼저 하이드되고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하이드되도록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OPERATION CONTROL METHOD OF FOLDABLE PEDAL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 온(ON)시에는 폴더블 가속페달보다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먼저 팝업되고, 시동 오프(OFF)시에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보다 폴더블 가속페달이 먼저 하이드되도록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차량으로 최근 들어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및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발을 뻗어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하기에, 자율주행모드에서 운전석 하부공간에 위치한 페달(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이 실내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운전자의 휴식에 방해가 되고, 특히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페달장치의 패드가 오조작되면 자율주행이 강제로 종료됨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장치의 패드가 운전자쪽으로 돌출되게 노출되고,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 및 오조작 방지 등의 안전을 위해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장치의 패드가 운전자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숨겨지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폴더블 페달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경우 종래에는 시동 온(ON)시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동시에 팝업(pop-up)되게 작동하는 구성으로,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동시에 팝업되면,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차량 안전성을 나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시동 오프(OFF)시에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동시에 하이드(hide)되게 작동하는 구성으로,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동시에 하이드되면, N단 주차를 위해 N단 변속을 행할 때에 운전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137427호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시동 오프 상황에 따라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의 팝업동작 또는 하이드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제어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으로, 시동 오프상태에서 시동 온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먼저 팝업되고 이후에 폴더블 가속페달이 팝업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 확률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동 온상태에서 시동 오프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가속페달이 먼저 하이드되고 이후에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하이드되도록 함으로써, N단 주차를 위한 운전자의 N단 변속 행위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시동 오프 후 소정시간 내에 재시동을 할 때에도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은, 차량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시동버튼의 작동여부 또는 도어 오픈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시동버튼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도어 오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팝업시키는 제2단계; 상기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팝업되고 난 후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ON)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팝업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일 때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이고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모두 하이드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피드백되어서 제1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단계 이후 차량이 주행을 종료한 상태에서 시동 오프(OFF)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시동 오프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하이드시키는 제6단계; 상기 폴더블 가속페달이 하이드되고 난 후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제8단계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하이드시키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단계를 통해 폴더블 가속페달이 팝업되고 나면 차량은 주행준비 상태가 되고, 수동운전모드 또는 자율주행모드에 따라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모두 팝업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7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팝업시키는 제3단계와 제4단계사이로 피드백되어서 제4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8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의 동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차량의 변속단은 N단(중립단)으로 변경되고, 제어로직은 제9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9단계 이후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이고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모두 하이드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피드백되어서 제1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고, 제1단계에서 시동버튼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동시에 도어 오픈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로직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은,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한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온 상태로 변경될 때에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먼저 팝업시키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팝업되고 난 후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팝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로 변경될 때에 폴더블 가속페달을 먼저 하이드시키고, 폴더블 가속페달이 하이드되고 난 후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하이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은,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시동 오프 상황에 따라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의 팝업동작 또는 하이드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시동 오프상태에서 시동 온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먼저 팝업되고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가속페달이 팝업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 확률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동 온상태에서 시동 오프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가속페달이 먼저 하이드되고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하이드되도록 함으로써, N단 주차를 위한 운전자의 N단 변속 행위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시동 오프 후 소정시간 내에 재시동을 할 때에도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폴더블 가속페달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및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으로 작동하는 폴더블 가속페달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및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에는 폴더블 페달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데, 폴더블 페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가속페달(10)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를 포함한다.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은 페달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며, 페달하우징(30)은 실내측에서 운전석 하부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에서 수동운전모드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폴더블 가속페달(10)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직접 발로 조작하게 되며, 이를 위해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은 운전자쪽으로 노출이 되도록 페달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pop up)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 및 오조작 방지 등과 안전을 위해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은 페달하우징(3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hide)상태가 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은 운전자쪽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폴더블 가속페달(10)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의 팝업상태와 하이드(숨김)상태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각각 강제로 회전시키는 제1액추에이터(40) 및 제2액추에이터(50)를 더 포함하고, 제1액추에이터(40)와 제2액추에이터(50)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기(60)에 의해 각각 동작이 제어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이 시동 오프(OFF) 상태일 때에는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시키고,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온(ON) 상태로 변경될 때에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먼저 팝업시키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팝업되고 난 후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가속페달(10)을 팝업시키고, 차량이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로 변경될 때에는 폴더블 가속페달(10)을 먼저 하이드시키고, 폴더블 가속페달(10)이 하이드되고 난 후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하이드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시동버튼(70)의 작동여부 또는 도어 오픈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시동버튼(70)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도어 오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팝업시키는 제2단계; 상기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팝업되고 난 후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ON)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 폴더블 가속페달(10)을 팝업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시작되고(단계 S1),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일 때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은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한 제1,2액추에이터(40,50)의 작동으로 모두 하이드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단계 S2, 도 4의 (A)상태)
상기 단계 S2 이후에 운전자가 시동버튼(70)을 조작하거나 또는 차량 탑승을 위해 도어를 오픈하면, 제어기(60)는 시동버튼(70)의 작동여부 또는 도어스위치(100)의 작동에 의한 도어 오픈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를 수행하고(단계 S3), 상기 제1단계(단계 S3)에서 시동버튼(70)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도어 오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한 제2액추에이터(50)의 작동으로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먼저 팝업되는 제2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4, 도 4의 (B)상태)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온 상태로 변경시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폴더블 가속페달(10)보다 먼저 팝업되는 이유는 안전성 때문이며, 반대로 폴더블 가속페달(10)이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보다 먼저 팝업되면,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급발진 및 급가속이 발생으로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온 상태로 변경될 때에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폴더블 가속페달(10)보다 먼저 팝업되도록 한다.
상기 제2단계(단계 S4)를 통해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팝업되고 나면, 제어기(60)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팝업된 시점부터 소정시간(일예로 1분 또는 3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ON)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5)
브레이크신호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의 조작시 발생되고, 시동 온신호는 운전자의 시동버튼(70) 조작시 발생한다.
상기 제3단계(단계 S5)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단계 S6),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한 제1액추에이터(40)의 작동으로 폴더블 가속페달(10)이 팝업되는 제4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7, 도 4의 (C)상태)
하지만, 상기 제3단계(단계 S5)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이고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하이드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피드백(단계 S3 이전으로 피드백)되어서 제1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4단계(단계 S7)를 통해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모두 팝업된 상태가 되면 차량은 주행준비가 완료된 상태가 되고, 차량 주행시 수동운전모드 또는 자율주행모드에 따라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모두 팝업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단계 S8, 도 4의 (C)상태)
자율주행 차량에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운전모드 또는 자율주행모드로 변경하는 주행모드 스위치(80)가 구비되고, 운전자가 자율주행모드 스위치(81)를 조작하면 차량은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가 실행되고, 이때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은 모두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한 제1,2액추에이터(40,50)의 작동으로 하이드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반대로, 운전자가 수동운전모드 스위치(82)를 조작하면 차량은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행하는 수동주행모드가 실행되고, 이때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은 모두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한 제1,2액추에이터(40,50)의 작동으로 팝업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도 4의 (D)상태)
상기 제4단계(단계 S7) 이후 차량이 주행을 종료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버튼(70)을 조작하면 제어기(60)는 시동 오프(OFF)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를 수행하고(단계 S9), 상기 제5단계(단계 S9)에서 시동 오프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고(단계 S10)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한 제1액추에이터(40)의 작동으로 폴더블 가속페달(10)을 먼저 하이드시키는 제6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11, 도 4의 (E)상태)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로 변경시 폴더블 가속페달(10)을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보다 먼저 하이드시키는 이유는, 시동 오프 후 소정시간내에 다시 재시동을 할 때에 잦은 변경에 따른 회로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특히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동 오프 후 N(중립)단 주차를 위한 운전자의 N단 변속 행위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6단계(단계 S11)를 통해 폴더블 가속페달(10)이 하이드되고 나면, 제어기(60)는 폴더블 가속페달(10)이 팝업된 시점부터 소정시간(일예로 1분 또는 3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ON)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7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12)
브레이크신호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의 조작시 발생되고, 시동 온신호는 운전자의 시동버튼(70) 조작시 발생한다.
상기 제7단계(단계 S12)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제어기(60)는 소정시간(일예로 1분 또는 3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8단계를 수행하고(단계 S13), 상기 제8단계(단계 S13)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한 제2액추에이터(50)의 작동으로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을 하이드시키는 제9단계를 수행한다.(단계 S14, 도 4의 (F)상태)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는 운전자의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90, Shift Lock Release button) 조작시 발생한다.
한편, 상기 제7단계(단계 S12)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제어기(60)는 시동 오프 후 소정시간내에 운전자가 차량을 다시 재시동을 하기 위한 동작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의 판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 폴더블 가속페달(10)을 팝업시키는 제3단계와 제4단계사이로 피드백(단계 S6 이전으로 피드백)되어서 제4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8단계(단계 S13)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의 동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차량의 변속단은 N단(중립단)으로 변경되고(단계 S15), 본 발명에 따른 제어로직은 단계 S15를 통해 제9단계(단계 S14)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9단계(단계 S14)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이고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모두 하이드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피드백(단계 S3 이전으로 피드백)되어서 제1단계(단계 S3)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게 되고(도 4의 (A)상태), 제1단계(단계 S3)에서 시동버튼(70)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동시에 도어 오픈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로직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시동 오프 상황에 따라 폴더블 가속페달(10)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의 팝업동작 또는 하이드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동 오프상태에서 시동 온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먼저 팝업되고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가속페달(10)이 팝업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 확률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동 온상태에서 시동 오프상태가 될 때에는 폴더블 가속페달(10)이 먼저 하이드되고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20)이 하이드되도록 함으로써, N단 주차를 위한 운전자의 N단 변속 행위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시동 오프 후 소정시간 내에 재시동을 할 때에도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폴더블 가속페달 20 - 폴더블 브레이크페달
30 - 페달하우징 40 - 제1액추에이터
50 - 제2액추에이터 60 - 제어기
70 - 시동버튼 80 - 주행모드 스위치
81 - 자율주행모드 스위치 82 - 수동운전모드 스위치
90 - 시프트 락 릴리즈 버튼 100 - 도어스위치

Claims (9)

  1. 차량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시동버튼의 작동여부 또는 도어 오픈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시동버튼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도어 오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팝업시키는 제2단계;
    상기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팝업되고 난 후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ON)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팝업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일 때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이고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모두 하이드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피드백되어서 제1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차량이 주행을 종료한 상태에서 시동 오프(OFF)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시동 오프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하이드시키는 제6단계;
    상기 폴더블 가속페달이 하이드되고 난 후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의 동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제8단계를 통해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하이드시키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를 통해 폴더블 가속페달이 팝업되고 나면 차량은 주행준비 상태가 되고, 수동운전모드 또는 자율주행모드에 따라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모두 팝업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동 온신호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팝업시키는 제3단계와 제4단계사이로 피드백되어서 제4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에서 소정시간내에 브레이크신호와 시프트 락 릴리즈신호의 동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면, 차량의 변속단은 N단(중립단)으로 변경되고, 제어로직은 제9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 이후 제어로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이고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모두 하이드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피드백되어서 제1단계부터 다시 로직을 수행하고, 제1단계에서 시동버튼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동시에 도어 오픈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로직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9.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한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폴더블 가속페달과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모두 하이드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온 상태로 변경될 때에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먼저 팝업시키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이 팝업되고 난 후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가속페달을 팝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로 변경될 때에 폴더블 가속페달을 먼저 하이드시키고, 폴더블 가속페달이 하이드되고 난 후 시간차를 두고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을 하이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KR1020210045982A 2021-04-08 2021-04-08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KR20220140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82A KR20220140085A (ko) 2021-04-08 2021-04-08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US17/471,811 US11981308B2 (en) 2021-04-08 2021-09-10 Operation control method of foldable pedal apparatus
CN202111159478.5A CN115195464A (zh) 2021-04-08 2021-09-30 可折叠踏板装置的操作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82A KR20220140085A (ko) 2021-04-08 2021-04-08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85A true KR20220140085A (ko) 2022-10-18

Family

ID=8351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982A KR20220140085A (ko) 2021-04-08 2021-04-08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1308B2 (ko)
KR (1) KR20220140085A (ko)
CN (1) CN1151954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427A (ko) 2016-06-03 201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2525B1 (en) * 1999-02-25 2001-02-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ovable vehicle pedal apparatus
KR100494788B1 (ko) * 2002-10-24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KR20210059859A (ko) * 2019-11-15 2021-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
KR20220060242A (ko) 2020-11-04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64791A (ko) 2020-11-12 2022-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427A (ko) 2016-06-03 201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95464A (zh) 2022-10-18
US11981308B2 (en) 2024-05-14
US20220324420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127B2 (en) Control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WO2021213153A1 (zh) 车辆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辆
JP5353863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8831859B2 (en) Method for accelerating a vehicle and hybrid vehicle
US9309966B2 (en)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JP2007216896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16203870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JP2019182038A (ja) 駐車支援装置
KR20220140085A (ko)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JP5472084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6203871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JP2012127315A (ja) アイドルストップ車両の制御装置
JP2003184713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S6158332B2 (ko)
JP2007223356A (ja) 電源制御装置
JP2012007568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4052617A (ja) アイドルストップ装置
JP2003286930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3054366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0274267A (ja) 自動変速機付車両のエンジン始動時制御装置
KR20220023871A (ko) 자율주행 차량의 수동운전모드시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의 작동제어방법
US20220379915A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foldable pedal device
JP7476914B2 (ja) 車両
JPWO2006046273A1 (ja) 自動車用ブレーキ装置
JP2006007848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