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136A -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136A
KR20220139136A KR1020210045393A KR20210045393A KR20220139136A KR 20220139136 A KR20220139136 A KR 20220139136A KR 1020210045393 A KR1020210045393 A KR 1020210045393A KR 20210045393 A KR20210045393 A KR 20210045393A KR 20220139136 A KR20220139136 A KR 2022013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utputting
lecture
review
korean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재
Original Assignee
박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재 filed Critical 박명재
Priority to KR102021004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9136A/ko
Publication of KR2022013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18Speech coding using phonetic or linguistical decoding of the source; Reconstruction using text-to-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한국사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하위 카테고리의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체크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수의 강의 콘텐츠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KOREAN HISTORY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본 개시는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하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스스로 다양한 주제 또는 유형과 연관된 복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는 사용자가 복습을 수행하기 위하여 강의 콘텐츠 내용의 전부를 다시 출력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역사적 사건, 키워드, 인물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는 한국사의 과목 특성상, 방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콘텐츠의 원본을 이용하여 복습을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복습을 반복 실행하여도 학습자가 자신의 취약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종래의 각종 한국사 학습 콘텐츠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 및 인물에 관한 기술을 단순히 사건 진행 순서에 따라 나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텐츠들을 학습하더라도, 학습자는 다양한 지역, 인물, 사회적 배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역사적 사건 또는 인물에 관한 심층 주제의 학습을 진행하기 어렵고, 관련 주제에 대한 시험문제에 대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하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스스로 다양한 주제 또는 유형과 연관된 복습을 수행할 수 있는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한국사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하위 카테고리의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체크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수의 강의 콘텐츠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의 중요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설명 구간 및 설명 구간에 대응되는 태그(tag)를 출력하는 단계, 및 태그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복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 및 재생 횟수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시작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복습 콘텐츠를 재생 속도로 재생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습 콘텐츠는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포함하고,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1회차에 제1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2회차에 제1 콘텐츠를 출력한 후,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습 콘텐츠는 오디오 강의 및 오디오 강의의 내용을 연상시키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오디오 강의가 재생되는 동안, 복수의 이미지 각각을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생성된 서술형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서술형 문제의 풀이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풀이 결과와 사전에 저장된 서술형 문제의 정답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풀이 결과와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술형 문제의 정답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풀이 결과와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정답이 포함된 서술형 문제에 TTS(Text To Speech)기능을 적용하여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로 분류된 하위 카테고리의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고,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복수의 체크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강의 콘텐츠 각각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세부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의 이중 계층 구조를 하나의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하여, 한국사와 관련된 주제의 전체적인 구성을 시각적으로 또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강의 콘텐츠 하위 카테고리의 중요도를 기초로 자신만의 다양한 복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콘텐츠의 학습 후에 해당 콘텐츠의 암기 여부를 테스트하고, 관련된 내용을 단지 텍스트가 아닌 오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재확인함으로써 해당 내용에 대한 기억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및/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에서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학습'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학습'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반복 학습'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 암기'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계층 트리'는 본 개시의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또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학습 콘텐츠 또는 학습자가 학습한 복수의 학습 콘텐츠를 임의의 카테고리 또는 계층구조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학습 콘텐츠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는, 계층 트리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학습 콘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또는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한국사 과목의 자기 주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100)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10)를 통해,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이전에 출력된 복수의 학습 콘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복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생성된 복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 및 재생 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가 재생 속도를 'x2'로 선택하고, 재생 횟수를 '2회'로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습 콘텐츠를 기존 속도의 2배로 2회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100)가 재생 속도를 'x0.5'로 선택하고, 재생 횟수를 '3회'로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습 콘텐츠를 기존 속도의 0.5배로 3회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이미지 연상법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습 콘텐츠는 오디오 강의 및 오디오 강의와 연관된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오디오 강의와 오디오 강의의 특정 재생 시점에 출력되도록 사전 결정된 복수의 이미지를 각각 확인함으로써, 이미지 연상법을 통해 복습 콘텐츠를 학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복수의 이미지가 특정 재생 시점에 애니메이션 형태로 출력되도록, 소위 플립-어-클립(Flip a Clip) 기능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반복하여 암기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는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본문에 포함된 빈칸의 단어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0)는 해당 본문과 관련된 오디오를 청취함으로써 유추된 단어가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및/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 및/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및/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 (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에서 동작하는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또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사진, 영상, 텍스트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수신한 사용자 입력 또는 미디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생성, 업데이트, 저장하거나/저장하고 네트워크(220)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디스플레이 장치(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10)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30)는 디스플레이 이외에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외부 서버(예를 들어, 도 2의 23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이나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외부 장치를 통해 생성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나, 외부 장치에 저장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개념, 반복, 어휘, 어순, 시험, 영상 학습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설치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 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읽거나 불러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개념 학습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32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편집된 학습 콘텐츠 또는 미디어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강사의 필기 등)에 기초하여 변경/편집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되도록 한국사 학습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베이스(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추출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30) 상에 표시된 화면(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변경/편집(예를 들어, 확대, 축소 등)하여 재출력되거나, 추가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가 다른 화면에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알고리즘(또는 명령어)을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화면(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통해 출력된 후, 사전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제2 화면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화면(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함과 동시에, 이와 연관된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영상, 문서 등)이 함께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40)는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컴팩트 플래시 카드, SD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와 같이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기기가 삽입될 수 있다.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에 삽입가능한 저장기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통해 출력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자기주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410)의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위 카테고리(예를 들어, '조선 시대')의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하위 카테고리의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41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410)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 중 제1 콘텐츠(420_1)에 대응되는 체크 박스 인터페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410)란,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 각각을 하위 카테고리(예를 들어, '용어, 문장', '이미지', '키워드', '기출', '문제 유형', '특징 변화', '시간(연도)', '핵심', '시기, 기록, 사건', '인물' 등)를 기초로 분류하고, 분류된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를 소위 마인드 맵과 유사한 형태로 출력한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 각각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 중 제1 콘텐츠(420_1)의 '용어 1' 항목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44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 각각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용어' )와 관련된 구성(예를 들어, '용어 1', '용어 2' 및 '용어 3')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의 다중 계층 구조(예를 들어, 상위 카테고리인 '조선시대', 그 하위 카테고리인 '용어' 및 그 하위 카테고리인 '용어 1')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하여, 한국사와 관련된 주제들의 전체적인 계층 구성을 시각적으로 또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강의 콘텐츠(420, 422)의 계층 구조 중에서 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중요도를 기초로, 자신만의 고유의 복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510)에서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520, 522)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크 박스 인터페이스(530, 532) 중 적어도 하나의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체크 박스 인터페이스(530, 532) 중 제1 인터페이스(530_5), 제2 인터페이스(532_4) 및 제3 인터페이스(532_5)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제1 인터페이스(530_5), 제2 인터페이스(532_4) 및 제3 인터페이스(532_5) 상에는 체크(v)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체크 박스 인터페이스(530, 53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인터페이스(530_5), 제2 인터페이스(532_4) 및 제3 인터페이스(532_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문제 유형' 학습 콘텐츠, '사건' 학습 콘텐츠 및 '인물'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1 복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미 선택된 체크박스 인터페이스들(530_5, 532_4, 532_5)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이 해제된 학습 콘텐츠가 제거된 새로운 복습 콘텐츠를 재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인터페이스(530_5)의 선택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1 복습 콘텐츠에서 '문제 유형' 학습 콘텐츠가 제거된 제2 복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학습'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51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로 구성된 복습 콘텐츠의 '셀프 학습' 방식을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제1 동작 단계(61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612) 상에서 '셀프 학습'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612)에서 '셀프 학습'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태그(tag)를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복습 콘텐츠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설명 구간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며, 각 설명 구간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태그(예를 들어, 깃발 형태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62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인물' 학습 콘텐츠가 '셀프 학습' 방식으로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물'과 같이 특정 주제와 관련된 학습 콘텐츠의 해당 주제와 관련된 설명 구간 단위로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설명 구간에 표시된 태그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주제를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 학습 콘텐츠가 '고국천왕' 및 '광개토대왕'과 관련된 설명 구간 단위로 구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국천왕'과 관련된 제1 설명 구간(624_1) 및 '광개토대왕'과 관련된 제2 설명 구간(624_2) 각각의 인접한 위치에 제1 태그(622_1) 및 제2 태그(622_2)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태그(622_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설명 구간(624_1), 예를 들어, '고국천왕'을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설명 구간(624_1) 및 제2 설명 구간(624_2)은 팝업창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63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사건' 학습 콘텐츠가 '셀프 학습' 방식으로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건'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설명 구간들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설명 구간 단위로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건' 학습 콘텐츠가 '조선 건국', '임진 왜란' 및 '탕평책 실시'와 관련된 설명 구간 단위로 구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선 건국'와 관련된 제3 설명 구간(634_1), '임진 왜란'과 관련된 제4 설명 구간(634_2) 및 '탕평책 실시'와 관련된 제5 설명 구간(634_3) 각각의 인접한 위치에 제3 태그(632_1), 제4 태그(632_2) 및 제5 태그(632_3)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태그(632_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3 설명 구간(634_1), 예를 들어, '조선 건국'을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설명 구간(634_1) 내지 제5 설명 구간(634_3)은 팝업창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제4 동작 단계(64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문제 유형' 학습 콘텐츠가 '셀프 학습' 방식으로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제 유형' 학습 콘텐츠를 '정답' 및 '빈출 오답'과 관련된 설명 구간들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설명 구간 단위로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유형' 학습 콘텐츠가 특정 유형의 한국사 문제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한국사 문제의 '정답'과 관련된 제6 설명 구간(644_1) 및 '빈출 오답'과 관련된 제7 설명 구간(644_2) 각각의 인접한 위치에 제6 태그(642_1) 및 제7 태그(642_2)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6 태그(642_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한국사 문제의 정답을 나타내는 제6 설명 구간(644_1), 예를 들어, '정답'을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학습'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에 표시된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51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로 구성된 복습 콘텐츠의 '자동 학습' 방식을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제1 동작 단계(71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712) 상에서 '자동 학습'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712)에서 '자동 학습'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설명구간들(722, 724, 732 내지 736 및 742)을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72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인물' 학습 콘텐츠가 '자동 학습' 방식으로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물'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인물'과 관련된 설명 구간들(722, 724)을 사전 결정된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도의 순서에 따라, 제1 설명 구간(722), 예를 들어, '고국천왕'을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모두 출력한 후, 제2 설명 구간(724), 예를 들어, '광개토대왕'을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동작 단계(710)의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712) 상에서 횟수는 '2회', 배속은 'x2', 재생은 '누적'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동작 단계(720)에서 1회차에 제1 설명 구간(722)을 출력하고, 2회차에 제1 설명 구간(722) 및 제2 설명 구간(724)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설명 구간들(722, 724)가 출력되는 속도는 기존 속도의 2배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동작 단계(710)의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712)에서 기능이 '해설'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동작 단계(720)에서 제1 설명 구간(722)과 함께 제1 설명 구간(722)을 부연하는 해설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712)에서 '도형'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동작 단계(720)에서 제1 설명 구간(722)과 함께 제1 설명 구간(722)을 부연하는 도형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출력 방식은 제3 동작 단계(730) 및 제4 동작 단계(74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73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사건' 학습 콘텐츠가 '자동 학습' 방식으로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건'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 '사건'과 관련된 설명 구간들(732 내지 736)을 사전 결정된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도의 순서에 따라, 제3 설명 구간(734), 예를 들어, '조선 건국'을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모두 출력한 후, 제4 설명 구간(734)을 설명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 객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4 동작 단계(74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문제 유형' 학습 콘텐츠가 '자동 학습' 방식으로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제 유형'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문제(742)를 출력한 후, 문제(742)의 정답(744)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제(742)와 연관된 빈출 오답, 해설 등을 또한 '자동 학습'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반복 학습'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5에 표시된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51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로 구성된 복습 콘텐츠의 '이미지 반복 학습' 방식을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제1 동작 단계(810)에서, 복습 콘텐츠에 '이미지'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도 4의 420_1 또는 도 5의 520_1)가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812)에 대하여 '이미지 반복 학습'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812)에서 '이미지 반복 학습'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이미지'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강의 및 오디오 강의 내용을 연상시키는 복수의 이미지를 사전 결정된 순서대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82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제1 이미지(822)(예를 들어, 지도 이미지) 및 제1 이미지(822)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는 제1 오디오 강의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제1 오디오 강의 및 제1 오디오 강의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또는 연상시키기 위한) 제1 이미지(822)를 연동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이미지(822) 및 제1 오디오 강의를 동일한 시점 또는 시간적 구간 동안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830)는 '이미지'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자막을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동작 단계(820)에서 자막 버튼(824)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3 동작 단계(830)에서 '이미지'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자막(834)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막(834)은 제1 이미지(832)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는 제1 오디오 강의의 자막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막(834)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미 출력된 자막(834)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막 버튼(824)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제4 동작 단계(840)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제2 이미지(842) 내지 제5 이미지(848), 및 제2 이미지(842) 내지 제5 이미지(848) 각각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는 제2 오디오 강의를 출력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제2 오디오 및 제2 오디오 강의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또는 연상시키기 위한) 제2 이미지(842) 내지 제5 이미지(848)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이미지(842) 내지 제5 이미지(848)는 소위 말하는 플립-어-클립(Flip a Clip)기능이 적용되어 애니메이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 암기' 방식에 따른 복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5에 표시된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51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로 구성된 복습 콘텐츠의 '반복 암기' 방식을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다.
제1 동작 단계(910)는, 복습 콘텐츠에 '사건'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도 4의 422_4 또는 도 5의 522_4), '기출'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도 4의 420_4 또는 도 5의 520_4), '키워드' 학습 콘텐츠(예를 들어, 도 4의 420_3 또는 도 5의 520_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612)에 대하여 '반복 암기'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912)에서 '반복 암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생성된 서술형 문제(92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920)는, 서술형 문제가 '반복 암기' 방식으로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술형 문제 및 해당 서술형 문제에 대응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건'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동학 농민 운동'과 연관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생성된 서술형 문제(922)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술형 문제(922)의 정답 입력 인터페이스(924)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답 입력 인터페이스(92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서술형 문제(922)의 풀이 결과(예를 들어, '안핵사, 이용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풀이 결과를 사전에 저장된 서술형 문제(922)의 정답(예를 들어, '안핵사, 이용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풀이 결과와 사전에 저장된 정답의 일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풀이 결과와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술형 문제(922)의 정답 여부(926)(예를 들어, 'O' 또는 'X')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풀이 결과와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정답(예를 들어, '안핵사, 이용태')이 포함된 서술형 문제(922)(예를 들어, '고부민란을 조사하러 온 안핵사, 이용태가…')에 TTS(Text to Speech)기능을 적용하여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학습한 한국사 복습 콘텐츠의 암기 여부를 확인하고, 암기한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해당 문장을 다시 오디오를 이용하여 반복 암기함으로써, 해당 내용에 대한 암기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1000)의 예시를 나타낸다. 방법(1000)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0)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하위 카테고리의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S1010)로 개시될 수 있다.
또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S1020). 일 실시예에서,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아이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복수의 체크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030). 또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수의 강의 콘텐츠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1040).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이와 같이 생성된 복습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1050). 일 실시예에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설명 구간 및 각 설명 구간에 대응되는 태그(tag)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태그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복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 및 재생 횟수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시작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복습 콘텐츠를 입력된 재생 속도로 입력된 재생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습 콘텐츠가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1회차에 제1 콘텐츠를 출력하고, 2회차에 제1 콘텐츠를 출력한 후, 제2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습 콘텐츠가 오디오 강의 및 오디오 강의의 내용을 연상시키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오디오 강의가 재생되는 동안, 복수의 이미지 각각을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생성된 서술형 문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서술형 문제의 풀이 결과를 수신하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풀이 결과와 사전에 저장된 서술형 문제의 정답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결정하고, 풀이 결과와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술형 문제의 정답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풀이 결과와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정답이 포함된 서술형 문제에 TTS(Text To Speech)기능을 적용하여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한국사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 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 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110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한국사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와 연관된 하위 카테고리의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체크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의 중요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설명 구간 및 상기 설명 구간에 대응되는 태그(tag)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 및 재생 횟수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시작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3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습 콘텐츠를 상기 재생 속도로 상기 재생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습 콘텐츠는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1회차에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2회차에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한 후,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습 콘텐츠는 오디오 강의 및 상기 오디오 강의의 내용을 연상시키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강의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을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습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생성된 서술형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술형 문제의 풀이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풀이 결과와 사전에 저장된 상기 서술형 문제의 정답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풀이 결과와 상기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술형 문제의 정답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풀이 결과와 상기 정답이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정답이 포함된 상기 서술형 문제에 TTS(Text To Speech)기능을 적용하여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위 카테고리의 한국사 주제로 분류된 하위 카테고리의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크 박스를 포함하는 계층 트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체크 박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강의 콘텐츠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복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0210045393A 2021-04-07 2021-04-07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39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93A KR20220139136A (ko) 2021-04-07 2021-04-07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93A KR20220139136A (ko) 2021-04-07 2021-04-07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36A true KR20220139136A (ko) 2022-10-14

Family

ID=8359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93A KR20220139136A (ko) 2021-04-07 2021-04-07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91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0319B2 (en) Interactive multimedia story creation application
US9042808B2 (en) Didactic appliance
KR20180094637A (ko) 필기노트 및 음성노트 기능을 통한 복습 시스템 및 방법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McAliste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hatGPT: Exploring Current and potential future roles in marketing education
US20230282130A1 (en) Reading level determination and feedback
KR102645880B1 (ko) 자기주도 영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39136A (ko) 자기주도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62356A (ko) 행정법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101341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oice-animated multimedia content
KR102320579B1 (ko) 반복 학습을 통한 수학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102566A (ko) 교육 콘텐츠의 반복 사용 횟수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 방법 및 장치
WO2006051775A1 (ja) 携帯型語学学習装置及び携帯型語学学習システム
KR20220114953A (ko)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27647A (ko) 학습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4890A (ko)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102656262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중국어 연상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18311B1 (ko) 영어 회화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97754B1 (ko) 반복 학습을 통한 한국사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raújo et al. Pedagogic software evaluation protocol: analyzing a digital educational game for portuguese language teaching
KR20220145213A (ko) 공인 중개사 자격 시험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34248A (ko) 자기주도 국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68871A (ko) 영어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66696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667466B1 (ko) 이미지 연상 기법을 이용한 영어 독해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