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626A -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626A
KR20220138626A KR1020210044518A KR20210044518A KR20220138626A KR 20220138626 A KR20220138626 A KR 20220138626A KR 1020210044518 A KR1020210044518 A KR 1020210044518A KR 20210044518 A KR20210044518 A KR 20210044518A KR 20220138626 A KR20220138626 A KR 2022013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ering
finishing
finishing material
weight
exterior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932B1 (ko
Inventor
윤영일
엄욱용
김유석
Original Assignee
테라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9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12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erforated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20/002Hollow or porous granu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는 미장과 마감이 일체로 시공되는 외단열 마감재에 있어서, 특수아크릴에멀젼 15 ~ 35 중량%와, 충진재 50 ~ 75 중량%와, 천연 단섬유 화이버 3 ~ 7중량%, 희석용매 5 ~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Integral Exterior Insulation Finishing Materia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단열 시스템 중 라미나 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기간 단축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단열 시스템은 크게 단열판재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한 후, 단열재를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면서 마감재를 도장할 수 있는 바탕면을 마련하기 위하여 외단열 전용 미장재를 2~3mm 두께로 미장하면서 외단열 전용 메쉬를 함침시키는 시공작업을 한다.
시공후 1일 양생하여 완전 건조 시킨 후 조색이 된 마감재를 2~3mm 두께로 도장한다. 이러한 과정 중, 메쉬미장 및 마감재를 시공하는 시스템을 라미나 시스템(lamina system) 이라고 한다.
이러한 시공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단열재와의 부착강도를 높여 외부충격에 대한 강도를 발현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 기존에는 외부충격에 대한 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외단열 전용 미장재가 필요하며, 외기와 직접 닿는 부분으로 내후성을 갖춰 미장재를 보호하면서 자체적인 내구성을 가져 조색이 가능함에 따라 외장재로서의 미적 표현도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마감재 제품이 필요하다. 그리고 알카리계인 시멘트를 주 원료로 만들어진 외단열 전용 미장재로 인하여 강도 발현은 물론 내알카리성능을 갖춘 외단열전용 유리섬유 메쉬가 필요하다. 또한, 저층부에는 외부충격보강을 강화하기 위하여 10J에도 내충격성을 갖추는 하부보강메쉬가 필요하다.
근래에 단열재의 준불연성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알루미늄(AL)을 단열재의 면재로 사용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 경우, 시멘트계인 미장재와 AL간의 화학적 반응으로 탈락, 기포 등이 생겨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특수 프라이머를 우선 시공하고 메쉬미장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공법들은 다양한 자재들이 시공 현장에 반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각의 자재들을 활용한 작업 공정이 늘어남에 따라 작업 효율 및 시공 시간이 늘어나고, 작업자가 분진 흡입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단열 시스템 중 단열재의 외측에 시공되는 미장재와 마감재를 일체화하여 미장과 마감의 공정을 줄일 수 있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말 제품이 아니므로 수분침투 및 혼합 비율 오차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는 미장과 마감이 일체로 시공되는 외단열 마감재에 있어서, 특수아크릴에멀젼 15 ~ 35 중량%와, 충진재 50 ~ 75 중량%와, 천연 단섬유 화이버 3 ~ 7중량%, 희석용매 5 ~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아크릴에멀젼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 아크릴산(acrylicacid, AA),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MA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중 선택된 하나의 단량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특수아크릴에멀젼은 내수성 증강을 위하여 유화제를 감소시켜 유화 중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단섬유 화이버는 상기 천연 단섬유 화이버의 중량에 대하여 90 ~ 95 중량% 의 천염 섬유가 함유되어 10J 이상의 내충격강도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0.5 ~ 1.5 mm 크기의 규사, 돌로마이트, 중공필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 방법은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단열재의 외측에 상기 마감재를 미장하는 미장단계; (b) 상기 미장단계 후, 상기 마감재의 외측에 메쉬를 설치하는 메쉬설치단계; (c) 상기 메쉬설치단계 후, 상기 메쉬가 함침되도록 상기 마감재를 미장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장단계 중, 상기 특수아크릴에멀젼은 총 중량에 대하여 15 ~ 35 중량%, 상기 충진재는 총 중량에 대하여 50 ~ 75 중량%, 상기 천연 단섬유 화이버는 총 중량에 대하여 3 ~ 7중량%, 상기 희석용매는 총 중량에 대하여 5 ~ 10중량%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미장단계 중, 상기 마감재는 상기 단열재의 외측에 3 ~ 4 mm 두께로 미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단열재의 외측에 일체형 마감재를 사용함에 따라 공정들을 단순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재료들의 혼합과정에서 물 가수 및 시멘트와의 믹싱 비율 오차문제가 없어 균일한 품질의 자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는 건물의 외단열 시스템에 활용되는 마감재(200)에 대한 것으로 미장과 마감의 시공 과정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외단열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단열재(100)를 설치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단열재(100)를 보호함과 동시에 마감재(200)를 도장할 수 있는 평평한 바탕면이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외단열 전용 미장재를 미장하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외단열 전용 미장재를 미장하기 위하여 프라이머, 외단열 전용 미장재, 포틀란드 시멘트, 내알칼리성 일반메쉬(300), 하부보강메쉬(300), 마감재(200) 등 다수의 재료가 필요하며, 각각의 재료들을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부착시켜야 한다.
이와 달리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는 외단열의 외측에 메쉬(300) 미장과 마감재(200)를 시공하는 기존의 라미나 시스템과 달리 미장과 마감재(200)를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 효율을 줄임과 동시에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에 혼합되는 원료들은 [표 1]과 같이 각각의 중량으로 함유되어 준불연 성능을 갖는 것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특수아크릴에멀젼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 아크릴산(acrylicacid, AA),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MA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등의 단량체(monomer, 單位體)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되어 7 ~ 9 의 산성도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특수아크릴에멀젼은 내수성 증강을 위하여 계면 활성제로 형성되는 유화제(emulsifier)를 감소시킨 상태로 유화 중합한다. 그리고 특수아크릴에멀젼은 특수아크릴에멀젼의 중량에 대하여 40 ~ 55 중량 %가 고형분으로 형성된다.
특수아크릴에멀젼과 함께 혼합되는 충진재는 0.5 ~ 1.5mm 크기로 형성되는 규사, 돌로마이트, 중공필러로 형성되는 것으로 규사, 돌로마이트, 중공필러는 2개 이상 복수로 선택되어 사용함에 따라 마감재(200)가 외단열에 부착된 후 표면 질감을 발현할 수 있다.
천연 단섬유 화이버는 마감재(200)의 내충격 강도를 향상시켜 단열재(10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미세크랙을 방지함에 따라 마감재(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천연 단섬유 화이버에는 천연 단섬유 화이버의 중량에 대하여 90 ~ 95 중량 % 이상의 천연 섬유가 함유되나 90 중량 %가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천연 섬유는 길이가 0.4 ~ 1.0 mm 로 형성되어 혼합시 엉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아크릴에멀젼, 충진재, 천연 단섬유 화이버와 함께 혼합되는 희석용매는 물로 형성되며, 물은 제품의 보존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무기물질이나 유기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순수한 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원료들은 혼합되어 시공 현장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복수의 원료들은 희석용매, 천연 단섬유 화이버, 특수아크릴에멀젼, 충진재의 순서로 투입하여 혼합된다. 그리고 혼합된 마감재(200)는 현장에서 단열재(100)의 외측에 미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원료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는 준불연 제품으로 형성되며, 조색이 되어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미장 및 마감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일체로 바탕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계 S1100과 같이 건물의 벽체 외부에 단열재(100)를 부착하는 부착단계(S1100)가 형성된다. 단열재(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발포폴리스티렌보드, 미네랄울보드, PF보드, 우레탄보드 등 다양한 종류로 형성된다.
단계 S1200은 희석용매, 천연 단섬유 화이버, 특수아크릴에멀젼, 충진재가 혼합된 것으로 미장과 마감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마감재(200)를 단열재(100)의 외측에 미장하는 미장단계(S1200)가 형성된다. 이때, 마감재(200)는 단열재(100)의 외측에 3 ~ 4 mm의 두께로 미장되며, 이는 단계 S1300의 메쉬설치단계(S1300)에서 메쉬(300)와 단열재(1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메쉬(300)는 10J이상의 충격강도를 위한 하부보강메쉬가 요구되지 않으며, 152 g/m²이하의 일반메쉬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메쉬(300)는 미장단계(S1200)에서 미장된 마감재(200)의 외측에 함침된다. 이때, 메쉬(300)는 마감재(200)가 마르지 않은 상태로 함침되어 위치를 원활히 확보하는 것이다.
단계 S1400은 단계 S1300에서 마감재(200)에 함침된 메쉬(300)를 완전 함침시키도록 메쉬(300)의 외측에 마감재(200)를 재미장하는 마감단계(S1400)가 형성된다. 이때, 마감재(200)는 2 ~ 3mm 로 균일하게 미장하는 것으로 건물의 외부 바탕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감재(200)가 미장된 후 1일이상 건조시켜 시공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외단열 마감재와 달리 시공단계가 단순화되어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단계들은 시계열적으로 진행되거나 동시에 진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단열재 200: 마감재
300: 메쉬
S1100: 부착단계 S1200: 미장단계
S1300: 메쉬설치단계 S1400: 마감단계

Claims (8)

  1. 미장과 마감이 일체로 시공되는 외단열 마감재에 있어서,
    특수아크릴에멀젼 15 ~ 35 중량%와,
    충진재 50 ~ 75 중량%와,
    천연 단섬유 화이버 3 ~ 7중량%,
    희석용매 5 ~ 10중량%를 포함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아크릴에멀젼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 아크릴산(acrylicacid, AA),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MA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중 선택된 하나의 단량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아크릴에멀젼은 내수성 증강을 위하여 유화제를 감소시켜 유화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단섬유 화이버는 상기 천연 단섬유 화이버의 중량에 대하여 90 ~ 95 중량% 의 천염 섬유가 함유되어 10J 이상의 내충격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0.5 ~ 1.5 mm 크기의 규사, 돌로마이트, 중공필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6.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단열재의 외측에 상기 마감재를 미장하는 미장단계;
    (b) 상기 미장단계 후, 상기 마감재의 외측에 메쉬를 설치하는 메쉬설치단계;
    (c) 상기 메쉬설치단계 후, 상기 메쉬가 함침되도록 상기 마감재를 미장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단계 중, 상기 특수아크릴에멀젼은 총 중량에 대하여 15 ~ 35 중량%, 상기 충진재는 총 중량에 대하여 50 ~ 75 중량%, 상기 천연 단섬유 화이버는 총 중량에 대하여 3 ~ 7중량%, 상기 희석용매는 총 중량에 대하여 5 ~ 10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단계 중, 상기 마감재는 상기 단열재의 외측에 3 ~ 4 mm 두께로 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20210044518A 2021-04-06 2021-04-06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53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18A KR102531932B1 (ko) 2021-04-06 2021-04-06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18A KR102531932B1 (ko) 2021-04-06 2021-04-06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26A true KR20220138626A (ko) 2022-10-13
KR102531932B1 KR102531932B1 (ko) 2023-05-12

Family

ID=8359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518A KR102531932B1 (ko) 2021-04-06 2021-04-06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63A (ko) * 2005-01-17 2005-02-04 김기태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KR101963828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복합 코팅막 콘크리트구조물 균열보수용 퍼티조성물
KR101989928B1 (ko) * 2018-11-07 2019-09-24 (주)유송엔지니어링 건축마감재용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마감재용 바름재
KR20200107504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에버월앤씨피에스 외벽단열용 접착 몰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63A (ko) * 2005-01-17 2005-02-04 김기태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KR101963828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복합 코팅막 콘크리트구조물 균열보수용 퍼티조성물
KR101989928B1 (ko) * 2018-11-07 2019-09-24 (주)유송엔지니어링 건축마감재용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마감재용 바름재
KR20200107504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에버월앤씨피에스 외벽단열용 접착 몰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932B1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 Silveira Paulo et al. Gypsum coatings in ancient buildings
US20100101169A1 (en) Siding system or roof shingle system comprising cementitious material,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38626A (ko) 미장 및 마감 일체형 외단열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EP1186577A2 (en) Flexible setting type joint compound
KR101564722B1 (ko) 외단열 방수 복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230689B1 (ko)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CN102383507A (zh) 轻钢龙骨石膏板玻化砖装饰墙体及其施工方法
US11905712B2 (en) Wallboards, wallboard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them
US6450735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ventilating underground workings
KR20040073420A (ko) 외단열식 건축물의 표면 외장재 시공방법
CN111549972A (zh) 一种alc墙板及其施工方法
US20220195724A1 (en) Structural fire- and water-resistant panel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CN109763601A (zh) 一种装配墙体及其制作方法
CN209585404U (zh) 石膏吊顶
KR20040087002A (ko) 건축물의 보수재 또는 마감재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조성물
KR102326619B1 (ko) 건축용 플렉시블 시멘트 시트
CN218622751U (zh) 一种清水混凝土墙结构
JP5230556B2 (ja) 換気化粧部材及び該換気化粧部材を用いた軒先構造
JPH0384086A (ja) 隙間仕上げ構造
CA1234297A (en) Suspended insulated building exterior cladding
US20240002618A1 (en) Starch as a Primer for Substrates
CA3198379A1 (en) Enhanced adhesive drywall finish and joint compound and method of use
JPH068553B2 (ja) 家屋における壁面の施工方法
JP2002068857A (ja) 調湿性建材
AU782459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eformed build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