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226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226A
KR20220138226A KR1020210044104A KR20210044104A KR20220138226A KR 20220138226 A KR20220138226 A KR 20220138226A KR 1020210044104 A KR1020210044104 A KR 1020210044104A KR 20210044104 A KR20210044104 A KR 20210044104A KR 20220138226 A KR20220138226 A KR 2022013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rod
clip
interior material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582B1 (ko
Inventor
안장훈
송일규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04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5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2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heet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차량용 내장재를 차체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클립으로서, 차체(또는 내장재)에서 용이하게 탈거 가능한 구조를 갖는 클립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상면 중앙에 봉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제1 보드; 상기 제1 보드의 일단에서 상기 봉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보드; 상기 제1 보드의 타단에서 상기 봉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3 보드; 상기 제2 보드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보드; 상기 제3 보드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보드; 상기 제4 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5 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i) 상기 봉, 상기 제4 보드 및 제5 보드는 나란하고, (ii)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 사이에 상기 봉이 삽입되면,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 사이의 공간이 상기 봉에 의하여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차량용 내장재(예 : 인슐레이션 패드 등)를 차체(예 : 엔진 후드 등)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클립과 관련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2114호를 통하여, 차량용 내장재(예 : 인슐레이션 패드 등)를 차체(예 : 엔진 후드 등)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클립의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공보에 게재된 클립은 후드 인너패널과 인슐레이션 패드의 체결홀에 끼워지도록 그 상측에는 화살촉 형상을 갖는 탄성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양측 하부 끝단에는 상기 후드 인너패널의 체결홀에 록킹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중심 하부 끝단에는 걸림턱의 록킹을 유지하도록 탄성의 지지편이 연장 형성된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직하방에는 상기 걸림턱의 록킹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록킹 해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 10-0402114 B1 (2003.10.17. 공개)
차량용 내장재를 차체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클립으로서, 차체(또는 내장재)에서 용이하게 탈거 가능한 구조를 갖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상면 중앙에 봉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제1 보드; 상기 제1 보드의 일단에서 상기 봉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보드; 상기 제1 보드의 타단에서 상기 봉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3 보드; 상기 제2 보드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보드; 상기 제3 보드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보드; 상기 제4 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5 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i) 상기 봉, 상기 제4 보드 및 제5 보드는 나란하고, (ii)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 사이에 상기 봉이 삽입되면,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 사이의 공간이 상기 봉에 의하여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은 원기둥 형태의 목부와, 상기 목부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구체 형태의 머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제2 보드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제3 보드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 제1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제1 걸림홀; 및 제1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제2 걸림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그 구조상 차체 및 내장재에서 탈거하기 쉽고, 차체 및 내장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더라도 내장재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차체 및 내장재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차체 및 내장재에서 탈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차체 및 내장재에 고정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클립(100)[이하 '클립(100)'이라 한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클립(100)이 차체(B) 및 내장재(A)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0)은 차량용 내장재(예 : 인슐레이션 패드 등)를 차체(예 : 엔진 후드 등)에 고정할 때 사용되며, 제1 보드(110), 제2 보드(120), 제3 보드(130), 제4 보드(140), 제5 보드(160), 제1 날개(160) 및 제2 날개(170)를 포함한다.
제1 보드(110)는 소정 폭과 소정 길이를 갖는다. 제1 보드(110)는 완전히 평평한 형태일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도 있다.
제1 보드(110)의 상면[이하 '상' 및 '하'로 설명되는 용어는 '도 1'을 기준으로 함] 중앙에는 봉(111)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1 보드(110)와 봉(111)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봉(111)은 원기둥 형태의 목부(111a)와, 목부(111a)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목부(111a)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구체 형태의 머리부(11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보드(120)는 제1 보드(110)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봉(111)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3 보드(130)는 제1 보드(110)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봉(111)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보드(120)와 제3 보드(130)는 그 길이가 동일하고, 제2 보드(120)와 제3 보드(130)는 봉(111)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그에 따라, 제1 보드(110), 제2 보드(120), 제3 보드(13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삼각 형태를 띈다.
제4 보드(140)는 제2 보드(120)의 단부에서 제1 보드(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5 보드(150)는 제3 보드(120)의 단부에서 제1 보드(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봉(111), 제4 보드(140), 제5 보드(150)는 평행을 이룬다.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는 그 길이가 동일하고, 봉(111)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 사이의 간격은 봉(111)의 머리(111b) 지름보다 작게 구성된다.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 사이에 봉(111)이 삽입되면,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 사이의 공간은 봉(111)에 의해서 확장된다.
제1 날개(160)는 제4 보드(14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제1 날개(160)는 제4 보드(140)의 단부에서 제2 보드(120)의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4 보드(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부(161)와, 곡면부(161)의 단부에서 제1 보드(110)에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곡면부(161)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장부(1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곡면부(161)와 연장부(16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차체(B)와 맞물리는 단턱이 형성된다.
제2 날개(170)는 제5 보드(15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제2 날개(170)는 제5 보드(150)의 단부에서 제3 보드(130)의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5 보드(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부(171)와, 곡면부(171)의 단부에서 제1 보드(110)에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곡면부(171)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장부(17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곡면부(171)와 연장부(17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차체(B)와 맞물리는 단턱이 형성된다.
제1 날개(160) 및 제2 날개(170)는 제4 보드(140)[또는 제5 보드(150)]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된다.
제1 보드(110), 제2 보드(120), 제3 보드(130), 제4 보드(140), 제5 보드(160), 제1 날개(160) 및 제2 날개(170)은 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 사출성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립(100)은 차체(B)에 내장재(A)가 포개진 상태에서, 차체(B)와 내장재(A)를 관통하는 홀에 삽입된다.
클립(100)이 전술한 홀에 삽입될 때에는, 홀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제1 날개(160)와 제2 날개(170)가 가압되어,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가 밀착된다.
제1 날개(160)와 제2 날개(170)가 전술한 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제1 보드(110)가 전술한 홀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 사이에 봉(111)이 삽입되면, 제4 보드(140)와 제5 보드(150) 사이의 공간이 확정되고 제1 날개(160)에 구비된 단턱과 제2 날개(170)에 구비된 단턱이 전술한 홀의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2 보드(120) 상면과 제3 보드(130)의 상면은 내장재(A)에 자연스럽게 밀착된다.
이와 반대로, 도 3을 참조하면, 클립(100)을 차체(B) 및 내장재(A)을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보드(110)를 전술한 홀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긴 후, 제2 보드(120) 또는 제3 보드(130)를 사선 방향으로 잡아 당겨 2개 날개(160, 170)를 순차적으로 전술한 홀에서 빼내면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립(110)은 그 구조상 차체(B) 및 내장재(A)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더라도 내장재(A)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도 5는 클립(100)의 변형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클립(100')은 제1 걸림돌기(121), 제2 걸림돌기(131), 제1 걸림홀(112) 및 제2 걸림홀(113)을 더 포함한다.
제1 걸림돌기(121)는 제2 보드(120)의 하면['도 1' 기준]에 돌출 형성된다.
제2 걸림돌기(132)는 제3 보드(13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다.
제1 걸림홀(112)은 제1 보드(110)에 형성되어, 제1 걸림돌기(121)와 체결된다.
제2 걸림홀(113)은 제1 보드(110)에 형성되어, 제2 걸림돌기(131)와 체결된다.
제1 걸림돌기(121)가 제1 걸림홀(112)에 체결되고, 제2 걸림돌기(131)가 제2 걸림홀(113)에 체결되면, 제2 보드(120)와 제3 보드(130)가 제1 보드(110)에 근접한 상태에서 잠금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클립(100, 100')은 그 구조상 차체(B) 및 내장재(A)에서 탈거하기 쉽고, 차체(B) 및 내장재(A)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더라도 내장재(A)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설명할 때 사용된 각종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은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을 독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적 목적으로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바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와 본질적 기술사상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차이가 있는 변형 실시예들을 무수히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일부 표현들에 의해 제한되어선 안 되고,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에 의거하여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클립
110... 제1 보드
120... 제2 보드
130... 제3 보드
140... 제4 보드
150... 제5 보드
160... 제1 날개
170... 제2 날개
--
A... 내장재 / B... 차체

Claims (3)

  1. 상면 중앙에 봉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제1 보드;
    상기 제1 보드의 일단에서 상기 봉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보드;
    상기 제1 보드의 타단에서 상기 봉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3 보드;
    상기 제2 보드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보드;
    상기 제3 보드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보드;
    상기 제4 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5 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i) 상기 봉, 상기 제4 보드 및 제5 보드는 나란하고, (ii)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 사이에 상기 봉이 삽입되면,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 사이의 공간이 상기 봉에 의하여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은 원기둥 형태의 목부와, 상기 목부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구체 형태의 머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제2 보드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제3 보드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
    제1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제1 걸림홀; 및
    제1 보드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제2 걸림홀;을 더 포함하는, 클립.
KR1020210044104A 2021-04-05 2021-04-05 클립 KR10245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04A KR102459582B1 (ko) 2021-04-05 2021-04-05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04A KR102459582B1 (ko) 2021-04-05 2021-04-05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226A true KR20220138226A (ko) 2022-10-12
KR102459582B1 KR102459582B1 (ko) 2022-10-28

Family

ID=8359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104A KR102459582B1 (ko) 2021-04-05 2021-04-05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5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JP2009273209A (ja) * 2008-05-02 2009-11-19 Zen Kenchiku Sekkei Jim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ファスナー
KR20100017061A (ko) * 2008-08-05 2010-02-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클립
KR101806438B1 (ko) * 2016-10-11 2017-1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내장재용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JP2009273209A (ja) * 2008-05-02 2009-11-19 Zen Kenchiku Sekkei Jim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ファスナー
KR20100017061A (ko) * 2008-08-05 2010-02-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클립
KR101806438B1 (ko) * 2016-10-11 2017-1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내장재용 고정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582B1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058B2 (en) Clip
KR101265430B1 (ko) 클립
US8528295B2 (en) Serviceable trim panel with integral fastener
US7219400B2 (en) Clip and airbag body installation structure
US6511273B2 (en) Clip for holding two or more sheet-like materials together
JP2002519591A (ja) 留めクリップ
KR20160122690A (ko) 발포체 쿠션으로의 시트 트림 커버 고정
KR101447634B1 (ko)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JP4435649B2 (ja) バンパー取付用クリップ
KR102459582B1 (ko) 클립
JP4642566B2 (ja) クリップ
JP2012193830A (ja) クリップとサイレンサとの取付け構造、及びクリップ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0133591Y1 (ko) 자동차용 클립
JPH0522812U (ja) ハーネス等のクリツプ
JP4027475B2 (ja) クリップ
JP2010052731A (ja) 特に、エアバッグ装置のアレスタストラップを固定するためのファスナ
JPH1030902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
JP5397708B2 (ja) 部品の取付構造
CN208439082U (zh) 仪表饰板装置及汽车
JPH10311313A (ja) 合成樹脂製品の取付構造
KR20090004247U (ko) 커넥터클립
JP6778531B2 (ja) クリップ及び自動車車両
KR0157809B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고정구
JP2006280036A (ja) バンド取付型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