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567A - 블록 화분 - Google Patents

블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567A
KR20220137567A KR1020220119567A KR20220119567A KR20220137567A KR 20220137567 A KR20220137567 A KR 20220137567A KR 1020220119567 A KR1020220119567 A KR 1020220119567A KR 20220119567 A KR20220119567 A KR 20220119567A KR 20220137567 A KR20220137567 A KR 2022013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oil
soil filling
water storage
filling spac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건영
박정래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어반엘아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반엘아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반엘아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7567A/ko
Publication of KR2022013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식생토가 채워지는 식생토채움공간과,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에 이어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류수저장공간을 포함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을 구획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들이 구비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관통구멍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관통구멍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저류수저장공간에 채워지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에 채워지는 식생토에 공급하는 다공성 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의 식생토에 물을 장시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화분의 식생토에 공급된 물이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식생토에 식재된 식물의 냉해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블록 화분{BLOCK TYPE PLANT POT}
본 발명은 블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리에는 화분들이 설치되어 거리 환경을 아름답고 활기가 넘치게 하고 있고, 거리에 설치된 화분들은 주로 대형으로 제작되어 거리 양측을 따라 배치된다. 화분은 상향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에 흙 등의 식생토를 담은 상태에서 화분의 식생토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814호(2012. 02. 29.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수목식재용 대형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화분은 화분 내부에 채워진 식생토가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식생토에 공급된 물이 증발하거나 식물이 흡수하게 되어 쉽게 물이 소진되므로 자주 물을 화분의 식생토에 뿌려 공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물을 화분의 식생토에 자주 공급하지 않을 경우 식물이 잘 성장하지 못하거나 말라 죽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의 식생토에 물을 장시간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분의 식생토에 공급된 물이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식생초에 식재된 식물의 냉해를 방지하는 화분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식생토가 채워지는 식생토채움공간과,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에 이어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류수저장공간을 포함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을 구획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들이 구비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관통구멍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관통구멍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저류수저장공간에 채워지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에 채워지는 식생토에 공급하는 다공성 심지를 포함하는 블록 화분이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저류수저장공간의 횡방향 단면 크기가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의 횡방향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저류수저장공간과 식생토채움공간의 경계 내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들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화분본체의 저류수저장공간의 아래 부분과 식생토채움공간의 아래 부분에 각각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에 각각 마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본체의 상단부에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을 복개하는 화분뚜껑이 구비되며, 상기 화분뚜껑은 가운데에 식물이 관통하도록 식물노출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화분뚜껑은 서로 대칭되게 두 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본체는 식생토채움공간과 외부를 단열시키는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식생토가 채워지는 복수 개의 식생토채움공간들과, 상기 식생토채움공간들에 각각 이어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류수저장공간들을 포함하는 멀티화분본체; 상기 멀티화분본체의 각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멀티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을 구획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들이 구비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관통구멍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관통구멍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저류수저장공간에 채워지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에 채워지는 식생토에 공급하는 다공성 심지를 포함하는 블록 화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화분본체에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이 구비되고 구획판에 다공성 심지가 구비되어 식생토채움공간에 채워진 식생토에 수분이 없어지게 되면 저류수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다공성 심지를 통해 흡수되어 식생토에 공급되므로 화분본체의 식생토에 장시간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식생토에 식재된 식물이 장시간 싱싱하게 생명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본체에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햇볕에 의해 화분본체가 가열될 때 화분본체의 열이 식생토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에 채워진 식생토에 잔류하는 물이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식생토에 식재된 식물에 장시간 물을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겨울철에는 화분본체를 통해 냉기가 식생토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이 냉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화분본체에 화분뚜껑이 구비되는 경우 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에 채워진 식생토의 물이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본체 및 멀티화분본체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블록화분들을 수평으로 배열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기가 쉽고 블록 화분들을 적층한 블록 화분 적층체들을 다양한 형태로 모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열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획판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화분뚜껑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에 식물을 심은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1 실시예는, 화분본체(10), 걸림부(20), 구획판(30), 다공성 심지(40)를 포함한다.
화분본체(10)는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식생토가 채워지는 식생토채움공간(S1)과, 상기 식생토채움공간(S1)에 이어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류수저장공간(S2)을 포함한다. 화분본체(10)는 고강도 콘크리트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본체(10)의 일예로, 화분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육면체 형상의 화분본체(10)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식생토채움공간(S1)과 저류수저장공간(S2)이 형성된다. 화분본체(10)의 다른 일예로, 화분본체(10)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그 횡단면 형상이 원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의 아래 부분과 저류수저장공간(S2)의 아래 부분에 각각 배수구(11)(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배수구들(11)(12)에 각각 마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배수구(11)와 저류수저장공간(S2)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배수구(12)는 같은 쪽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도 있다.
화분본체(10)는 식생토채움공간(S1)과 외부를 단열시키는 단열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단열부재(50)는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의 내벽에 부착된다. 화분본체(10)가 육면체로 형성되고 식생토채움공간(S1)이 서로 연결되는 네 개의 내측면들을 포함할 경우 단열부재(50)는 네 개의 단열판들로 구성되어 식생토채움공간(S1)의 네 개의 내측면들에 각각 부착된다.
걸림부(20)는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과 저류수저장공간(S2) 사이에 구비된다. 걸림부(20)의 제1 예로, 걸림부(20)는 저류수저장공간(S2)의 횡방향 단면 크기가 식생토채움공간(S1)의 횡방향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면이다. 즉, 식생토채움공간(S1)과 저류수저장공간(S2)의 중심선은 같되, 식생토채움공간(S1)의 횡단면 형상은 균일하고, 저류수저장공간(S2)의 횡단면 형상은 균일하되, 저류수저장공간(S2)의 횡단면 크기가 식생토채움공간(S1)의 횡단면 크기보다 작다. 한편, 저류수저장공간(S2)의 횡단면 크기가 아래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20)의 제2 예로, 걸림부(20)는 저류수저장공간(S2)과 식생토채움공간(S1)의 경계 내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들이 될 수 있으며, 그 걸림돌기들의 각 상면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구획판(30)은 걸림부(20)에 걸려 지지되어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과 저류수저장공간(S2)을 구획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31)들이 구비된다. 구획판(30)은 폴리에틸렌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판(30)의 제1 예로, 구획판(30)은 균일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부(32)와, 그 판부(32)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구멍(31)들을 포함한다. 판부(32)의 형상 및 크기는 식생토채움공간(S1)의 횡방향 단면 형상 및 크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식생토채움공간(S1)의 횡방향 형상이 사각형이면 판부의 형상이 사각형이 된다. 관통구멍(31)들의 일예로, 관통구멍(31)들은 두 개이며 그 두 개의 관통구멍(31)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관통구멍(31)은 직사각형이다. 관통구멍(31)들의 다른 일예로, 관통구멍(31)들은 판부(32)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그 관통구멍(31)은 직사각형이다. 구획판(30)의 제2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30)은 균일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부(33)와, 그 판부(33)의 한쪽면에 연장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34)들과, 그 돌기(34)들에 각각 관통 형성된 심지삽입형 관통구멍(35)과, 판부(33)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구멍(36)들을 포함한다. 돌기(34)의 일예로, 돌기(34)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기(34)는 사각봉 형상,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심지삽입형 관통구멍(35)은 돌기(34)의 길이 방향 중심을 관통하며, 이때 판부(33)도 관통한다. 돌기(34)들이 구비되는 경우 다공성 심지의 고정이 수월하고 다공성 심지(40)가 식생토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수월하게 된다.
다공성 심지(40)는 구획판(30)의 관통구멍(31)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관통구멍(31)에 관통 결합되어 저류수저장공간(S2)에 채워지는 물을 흡수하여 식생토채움공간(S1)에 채워지는 식생토에 공급한다. 다공성 심지(40)는 물을 흡수하는 다공질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심지(40)의 일예로, 다공성 심지(40)는 부직포 재질을 포함한다. 다공성 심지(40)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와이어나 바 형태로 형성된다. 구획판(30)의 제1 예의 경우 다공성 심지(40)는 관통구멍(31)에 관통 삽입되어 관통구멍(31)의 한쪽에 고정된다. 구획판(30)의 제2 예의 경우 다공성 심지(40)는 돌기(34)의 심지삽입형 관통구멍(35)에 관통 고정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본체(10)의 상단부에 식생토채움공간(S1)을 복개하는 화분뚜껑(60)이 구비될 수 있다. 화분뚜껑(60)은 가운데에 식물이 관통하도록 식물노출구멍(61)이 구비되며, 화분뚜껑(60)은 서로 대칭되게 두 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화분본체(10)가 육면체로 형성되고 식생토채움공간(S1)이 서로 연결되는 네 개의 내측면들을 포함할 경우 화분뚜껑(60)은 두 개의 반쪽사각판(62)들로 구성되며, 서로 접면되는 두 개의 반쪽사각판(62)의 중간 부분에 식물노출구멍(61)이 형성된다. 화분뚜껑(60)의 상면은 식물노출구멍(61)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화분본체(10)의 내면에 단열판(50)들이 구비되는 경우 화분뚜껑(60)의 테두리는 단열판(50)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제2 실시예는, 멀티화분본체(10'), 걸림부(20), 구획판(30), 다공성 심지(40)를 포함한다.
멀티화분본체(1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식생토가 채워지는 복수 개의 식생토채움공간(S1)들과, 그 식생토채움공간(S1)들에 각각 이어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류수저장공간(S2)들을 포함한다. 멀티화분본체(10')의 일예로, 멀티화분본체(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횡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식생토채움공간(S1)들은 멀티화분본체(10')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식생토채움공간(S1)들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토채움공간(S1)들이 두 개인 경우 이어 형성되는 저류수저장공간(S2)들도 두 개가 된다. 식생토채움공간(S1)들은 세 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식생토채움공간(S1)들이 두 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멀티화분본체(10')의 다른 일예로, 멀티화분본체(10')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그 횡단면 형상이 원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멀티화분본체(10')의 저류수저장공간(S2)의 아래 부분과 식생토채움공간(S1)의 아래 부분에 각각 배수구(11)(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배수구들(11)(12)에 각각 마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화분본체(10')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저류수저장공간(S2) 사이의 벽에 저류수가 서로 이동할 수 있는 연통구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0)는 멀티화분본체(10')의 각 식생토채움공간(S1)과 저류수저장공간(S2) 사이에 구비된다. 걸림부(20)는 블록화분의 제1 실시예의 걸림부(20)의 구성과 같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획판(30)은 걸림부(20)에 걸려 지지되어 멀티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과 저류수저장공간(S2)을 구획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31)들이 구비된다. 구획판(30)은 블록화분의 제1 실시예의 구획판(30)의 구성과 같다.
다공성 심지(40)는 구획판(30)의 관통구멍(31)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관통구멍(31)에 관통 결합되어 저류수저장공간(S2)에 채워지는 물을 흡수하여 식생토채움공간(S1)에 채워지는 식생토에 공급한다. 다공성 심지(40)는 블록화분의 제1 실시예의 다공성 심지(40)의 구성과 같다.
멀티화분본체(10')의 상단부에 식생토채움공간(S1)들을 각각 복개하는 화분뚜껑이 구비될 수 있다. 화분뚜껑(60)은 블록화분의 제1 실시예의 화분뚜껑(60)의 구성과 같다.
멀티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들 내벽에 두께가 균일한 단열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재(50)는 두 개의 식생토채움공간(S1)들 사이의 벽 양쪽면을 제외한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화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에 식생토를 채우되, 다공성 심지(4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채운 다음 식생토채움공간(S1)에 채워진 식생토에 식물을 식재한다. 그리고 식생토에 물을 뿌린다. 식생토에 뿌려진 물은 식생토에 머금음과 아울러 아래로 유동하여 구획판의 관통구멍들을 통해 저류수저장공간(S2)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하게 되면 식생토에 흡수된 물을 식물이 흡수함과 아울러 식생토에 흡수된 물이 증발하면서 식생토가 건조하게 되며, 식생토가 건조하게 되면 저류수저장공간(S2)에 저장된 물이 다공성 심지(40)로 흡수되면서 식생토에 공급된다. 그리고 비가 오거나 식생토에 물을 주게 되면 식생토에 물이 공급됨과 저류수저장공간(S2)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본체(10)에 식생토채움공간(S1)과 저류수저장공간(S2)이 구비되고 구획판(30)에 다공성 심지(40)가 구비되어 식생토채움공간(S1)에 채워진 식생토에 수분이 없어지게 되면 저류수저장공간(S2)에 저장된 물이 다공성 심지(40)를 통해 흡수되어 식생토에 공급되므로 화분본체(10)의 식생토에 장시간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식생토에 식재된 식물이 장시간 싱싱하게 생명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본체(10)에 단열부재(50)가 구비되는 경우 햇볕에 의해 화분본체(10)가 가열될 때 화분본체(10)의 열이 식생토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에 채워진 식생토에 잔류하는 물이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식생토에 식재된 식물에 장시간 물을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겨울철에는 화분본체(10)를 통해 냉기가 식생토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이 냉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화분본체(10)에 화분뚜껑(60)이 구비되는 경우 화분본체(10)의 식생토채움공간(S1)에 채워진 식생토의 물이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본체 및 멀티화분본체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블록화분들을 수평으로 배열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기가 쉽고 블록 화분들을 적층한 블록 화분 적층체들을 다양한 형태로 모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0; 화분본체 10'; 멀티화분본체
20; 걸림부 30; 구획판
40; 다공성 심지

Claims (1)

  1.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식생토가 채워지는 복수 개의 식생토채움공간들과, 상기 식생토채움공간들에 각각 이어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류수저장공간들을 포함하는 멀티화분본체;
    상기 멀티화분본체의 각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멀티화분본체의 식생토채움공간과 저류수저장공간을 구획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들이 구비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관통구멍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관통구멍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저류수저장공간에 채워지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토채움공간에 채워지는 식생토에 공급하는 다공성 심지를 포함하는 블록 화분.
KR1020220119567A 2020-04-01 2022-09-21 블록 화분 KR20220137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567A KR20220137567A (ko) 2020-04-01 2022-09-21 블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902A KR20210122578A (ko) 2020-04-01 2020-04-01 블록 화분
KR1020220119567A KR20220137567A (ko) 2020-04-01 2022-09-21 블록 화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02A Division KR20210122578A (ko) 2020-04-01 2020-04-01 블록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67A true KR20220137567A (ko) 2022-10-12

Family

ID=780788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02A KR20210122578A (ko) 2020-04-01 2020-04-01 블록 화분
KR1020220119567A KR20220137567A (ko) 2020-04-01 2022-09-21 블록 화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02A KR20210122578A (ko) 2020-04-01 2020-04-01 블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22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30B1 (ko) 2022-12-01 2023-05-09 김주훈 통풍과 물빠짐이 양호한 사각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30B1 (ko) 2022-12-01 2023-05-09 김주훈 통풍과 물빠짐이 양호한 사각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78A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6352A (en) Horticultural nonwoven substrate and side mat
JP3813934B2 (ja) 緑化体
KR20220137567A (ko) 블록 화분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KR101103585B1 (ko) 화분용 급수장치
JP4753074B2 (ja) 緑化システム
KR101229871B1 (ko)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US5172516A (en) Device for horticulture
KR101472023B1 (ko) 벽면녹화 시스템
JP4976510B2 (ja) 節水型の木製プランター
KR101304678B1 (ko)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JP3847723B2 (ja) 緑化設備
JP2005323589A (ja) 緑化設備
WO2014000062A1 (en) Flower box
JPH08120693A (ja) 擁 壁
KR20140113258A (ko) 도시녹화를 위한 건물의 실내외 녹화용 식생보드
JP2007189910A (ja) 緑化ユニット及び該緑化ユニットを備える緑化システム
KR200257598Y1 (ko)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JP2002051643A (ja) 植栽用ボックス
JPH10164989A (ja) プランターならびにプランターの接続構造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JP2012060905A (ja) 植栽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植栽ユニットシステム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JP3235463U (ja) 育苗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