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889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889A
KR20220136889A KR1020220013262A KR20220013262A KR20220136889A KR 20220136889 A KR20220136889 A KR 20220136889A KR 1020220013262 A KR1020220013262 A KR 1020220013262A KR 20220013262 A KR20220013262 A KR 20220013262A KR 20220136889 A KR20220136889 A KR 20220136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terference
base
frame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송시윤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20712433.X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8828022U/zh
Publication of KR2022013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 베이스와, 상기 제 1 커넥터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 커넥터 암을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 베이스를 마주하는 플레이트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암에 걸림 가능한 제 1 간섭 파트를 포함하는 무빙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제 2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커넥터 암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간섭 파트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 1 간섭 돌기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간섭 파트를 끌어 올리는 제 2 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전기적인 접속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커넥터는 자동차 또는 생활 가전 등 다양한 전자 기계 장치에 사용되어, 복수 개의 전자 부품 상호 간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정렬을 보조하여 접속 단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하는 기술들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 베이스와, 상기 제 1 커넥터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 커넥터 암을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 베이스를 마주하는 플레이트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암에 걸림 가능한 제 1 간섭 파트를 포함하는 무빙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제 2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커넥터 암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간섭 파트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 1 간섭 돌기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간섭 파트를 끌어 올리는 제 2 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는, 4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간섭 파트는, 상기 4개의 모서리부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부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의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간섭 파트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제 2 간섭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커넥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간섭 파트에 오버랩 되는 가이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간섭 파트 및 커넥터 가이드 각각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간섭 파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상기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 간섭 파트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간섭 파트는,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암에 걸림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헤드; 및 상기 연결 헤드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간섭 돌기에 걸림 가능한 상승 보조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 헤드 및 상승 보조 파트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프레임 베이스; 상기 프레임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와 교차하는 상태로 마련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암에 걸림 가능한 커넥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승 보조 파트는, 상기 연결 헤드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보조 로드; 및 상기 상승 보조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간섭 돌기에 걸림 가능한 상승 보조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무빙 플레이트의 승하강을 위한 구성들을 4개의 모서리부 중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부에 모두 마련하고, 나머지 2개의 모서리부는 비워 놓음으로써, 무빙 플레이트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를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커넥터 어셈블리의 크기 자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 리브를 통해 무빙 플레이트의 암 프레임을 지지함으로써, 무빙 플레이트의 의도하지 않은 뒤틀림(warpag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무빙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까워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암 바디를 통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를 생략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빙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 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커넥터를 생략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와, 접속 단자(미도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무빙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에는 복수 개의 접속 단자가 수용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접속 단자 중 제 1 커넥터(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위치하여, 접속 단자를 지지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접속 단자의 정렬을 보조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가 서로 결합되는 동안, 접속 단자의 정렬이 보다 잘 유지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접속 단자의 의도치 않은 파손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11)의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의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제 1 커넥터(11)의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이하 "분리 상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11)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 베이스(131) 및 제 1 커넥터 베이스(11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베이스(131) 및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하 "결합 상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에 간섭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분리 상태에서 제 1 커넥터(11)에 걸림 가능하고, 결합 상태에서 분리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제 2 커넥터(12)에 걸림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에 간섭하는 제 1 간섭 파트(132a) 및 제 2 간섭 파트(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11)는 무빙 플레이트(13)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수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의 수용 공간의 크기는 제 1 커넥터(11)의 전체적인 외관 크기를 결정하는 일 요소가 된다. 제 1 커넥터(11)를 작게 구성함으로써,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를 작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무빙 플레이트(13)의 크기를 작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 실시 예에서,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와 간섭하는 간섭 파트(132a, 132b)들을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한 쌍의 모서리부에 배치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무빙 플레이트(13)는 +x측 모서리부, +y측 모서리부, -x측 모서리부 및 -y측 모서리부를 갖고, 4개의 모서리부들 중 한 쌍의 모서리부, 예를 들어, +x측 모서리부 및 -x측 모서리부에만 간섭 파트(132a, 132b)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간섭 파트(132a)는 무빙 플레이트(13)의 -x측 모서리부에 마련되고, 제 2 간섭 파트(132b)는 무빙 플레이트(13)의 +x측 모서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빙 플레이트(13)는 4개의 모서리부 중 2개의 모서리부에만 간섭 파트(132a, 132b)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컴팩트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모서리부 모두에 간섭 파트가 마련된 것과 비교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x축 모서리부에만 간섭 파트가 마련될 경우, 무빙 플레이트(13)의 y측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하, 커넥터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11)는,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는, 제 1 커넥터 베이스(110), 제 1 커넥터 바디(111), 제 1 커넥터 암(112) 및 커넥터 가이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에 의해 둘러 싸인 위치에 마련되고, 제 2 커넥터(12)를 마주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는 복수 개의 접속 단자(미도시)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 바디(111)는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바디(111)는 내측에 수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바디(111)는 제 1 커넥터 베이스(110)에 수용된 복수 개의 접속 단자(미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 암(112)은 분리 상태에서 무빙 플레이트(13)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은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은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베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은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며, 분리 상태에서, 무빙 플레이트(13)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 1 커넥터 암(112)은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일 단부가 변형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이 변형될 경우, 제 1 커넥터 암(112)에 대한 무빙 플레이트(13)의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암(112)은 간섭 파트(132a, 132b)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간섭 파트(132a) 및 제 2 간섭 파트(132b)가 각각 2개씩 마련될 경우, 제 1 커넥터 암(112)은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 암(112)은, 제 1 커넥터 베이스(110)에 연결되는 암 바디(1121)와, 암 바디(1121)의 일측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암 돌기(1122)와, 암 바디(1121)의 일단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암 헤드(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 돌기(1122)는, 제 2 커넥터(12)의 삽입 방향(-z 방향)을 기준으로, 제 2 커넥터(12)에 오버랩될 수 있다. 암 돌기(1122)는 제 1 간섭 돌기(121)와 간섭할 수 있다. 암 돌기(1122)는 제 1 간섭 돌기(121)에 의해 바깥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암 돌기(1122)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 1 커넥터 암(112)은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 헤드(1123)는, 무빙 플레이트(13)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 헤드(1123)는 프레임 돌기(1321d)를 지지할 수 있다. 암 헤드(1123)는, 제 2 커넥터(12)가 제 1 커넥터(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프레임 돌기(1321d)를 지지함으로써, 플레이트 베이스(131)가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암 돌기(1122)가 제 2 커넥터(12)에 의해 가압되고, 제 1 커넥터 암(112)이 바깥쪽으로 변형될 경우, 프레임 돌기(1321d)에 대한 암 헤드(1123)의 지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 가이드(11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무빙 플레이트(1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가이드(113)는 제 1 간섭 파트(132a) 및/또는 제 2 간섭 파트(132b)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커넥터 가이드(11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113)는,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제 1 간섭 파트(13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표면은, 예를 들어, 그 법선 방향이 +x 방향을 향하는 표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가이드(11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의 표면 상에서, 한 쌍으로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표면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113)는,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제 2 간섭 파트(13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표면은, 예를 들어, 그 법선 방향이 -x 방향을 향하는 표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 가이드(11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으로부터 플레이트 베이스(13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바디(1131)와, 가이드 바디(1131)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헤드(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바디(1131)는 한 쌍의 제 1 간섭 파트(13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1131)의 돌출 방향은 예를 들어 x축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헤드(1132)는, 가이드 바디(1131)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간섭 파트(132a)에 오버랩될 수 있다. 가이드 헤드(1132)는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간섭 파트(132a)에 오버랩될 수 있다. 제 1 간섭 파트(132a)는, 가이드 헤드(1132) 및 가이드 바디(1131)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헤드(1132)는, 제 1 간섭 파트(132a)가 의도치 않게 x축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바디(1131) 및 가이드 헤드(1132)는 직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커넥터(12)는, 제 1 커넥터(1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 1 커넥터(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12)는, 제 2 커넥터 바디(120)와, 제 2 커넥터 바디(120)의 외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간섭 돌기(121) 및 제 2 간섭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커넥터 바디(120)는 적어도 일부가 제 1 커넥터(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 바디(120)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다. 제 2 커넥터 바디(120)는 복수 개의 접속 단자(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간섭 돌기(121)는, 제 2 커넥터 바디(12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간섭 돌기(121)는 제 2 커넥터 바디(120)가 제 1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 1 커넥터 암(112)을 변형시킴으로써, 제 1 간섭 파트(132a)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간섭 돌기(122)는, 제 2 커넥터 바디(12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간섭 돌기(122)는, 제 2 커넥터 바디(120)의 외표면을 따라 제 1 간섭 돌기(1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간섭 돌기(122)는 제 2 커넥터 바디(120)가 제 2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 1 간섭 파트(132a)를 끌어 올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빙 플레이트(13)는 복수 개의 접속 단자(미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를 마주하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와,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커넥터 암(112)에 걸림 가능한 간섭 파트(132a, 132b)와,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11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예를 들어,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형상은 다각형이면 충분하다. 이하, 플레이트 베이스(131)가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4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의 승하강을 위한 구성들, 예를 들어, 간섭 파트(132a, 132b)들은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4개의 모서리부 중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부에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나머지 2개의 모서리부는 다른 구성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2개의 축 중 하나의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컴팩트 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x측 모서리부, +y측 모서리부, -x측 모서리부 및 -y측 모서리부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4개의 모서리부들 중 한 쌍의 모서리부, 예를 들어, +x측 모서리부 및 -x측 모서리부에만 간섭 파트(132a, 132b)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간섭 파트(132a)는 무빙 플레이트(13)의 -x측 모서리부에 마련되고, 제 2 간섭 파트(132b)는 무빙 플레이트(13)의 +x측 모서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간섭 파트(132a, 132b)는 제 1 간섭 파트(132a) 및 제 2 간섭 파트(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간섭 파트(132a) 및 제 2 간섭 파트(132b)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 1 간섭 파트(132a)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4개의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부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간섭 파트(132a)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x측 모서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간섭 파트(132b)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4개의 모서리부 중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부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간섭 파트(132b)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x측 모서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간섭 파트(132a)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제 2 간섭 파트(132b)는 플레이트 베이스(132)의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 베이스(131)를 기준으로, 제 1 간섭 파트(132a) 및 제 2 간섭 파트(132b)는 서로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간섭 파트(132a) 및 제 2 간섭 파트(132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 1 간섭 파트(132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 2 간섭 파트(132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간섭 파트(132a)는, 프레임(1321), 연결 헤드(1322) 및 상승 보조 파트(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1321)은, 플레이트 베이스(131)에 연결되고 제 1 커넥터 암(112)에 걸림 가능하다. 프레임(1321)은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 상에는, 프레임(1321)이 3개의 서브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프레임(1321)은 그 길이 방향이 z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21)은, 프레임 베이스(1321a), 프레임 바디(1321b), 프레임 리브(1321c) 및 프레임 돌기(1321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베이스(1321a)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와 나란하게 플레이트 베이스(13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1321a)는 무빙 플레이트(13)의 x축 방향의 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1321a)는 무빙 플레이트(13)의 +x측 모서리부 및 -x측 모서리부에 마련되고, +y측 모서리부 및 -y측 모서리부에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바디(1321b)는 프레임 베이스(1321a)로부터 연장되고, 플레이트 베이스(131)와 교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321b) 및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대략 직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리브(1321c)는 프레임 바디(1321b)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 리브(1321c)는 커넥터 가이드(113)에 삽입되고, 커넥터 가이드(113)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프레임 리브(1321c) 및 커넥터 가이드(113)는 무빙 플레이트(13)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가이드(113) 및 프레임 리브(1321c)는, 프레임(1321)이 의도하지 않게 플레이트 베이스(131)를 향한 방향으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커넥터 가이드(113)는 무빙 플레이트(13)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도, 무빙 플레이트(13)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돌기(1321d)는 프레임 바디(1321b)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커넥터 암(112)에 걸림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헤드(1322)는 프레임(132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헤드(1322)는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 각각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헤드(1322)는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헤드(1322)는 프레임(132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연결 헤드(1322)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 2 간섭 돌기(122)에 걸림 가능하다. 제 2 커넥터(12)가 제 1 커넥터(11)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제 2 간섭 돌기(12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 2 커넥터(1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연결 헤드(1322)로부터 플레이트 베이스(131)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보조 로드(1323a)와, 상승 보조 로드(1323a)에 연결되고 제 2 간섭 돌기(122)에 걸림 가능한 상승 보조 헤드(1323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 보조 로드(1323a)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승 보조 헤드(1323b)는, 제 2 커넥터(12)가 제 1 커넥터(11)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제 2 간섭 돌기(122)에 걸림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승 보조 파트(1323)는 프레임(132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연결 헤드(1322)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프레임(1321)이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제 2 간섭 돌기(122)에 의해 가압되어,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면으로 향한 방향으로 후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커넥터(11) 및 제 2 커넥터(12)가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321), 연결 헤드(1322) 및 상승 보조 파트(1323)는, 제 2 커넥터(12)를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더(133)는 무빙 플레이트(13)가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더(133)는, 한 쌍의 제 1 간섭 파트(132a)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11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33)의 일측은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113)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가이드(113)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슬라이더(133)의 타측은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113) 중 다른 하나의 커넥터 가이드(113)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133)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모서리부터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33)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의 4개의 모서리부들 중 간섭 파트(132a, 132b)가 마련되어 있는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더(133)는 무빙 플레이트(13)의 폭의 크기를 연장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커넥터 어셈블리(100)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커넥터(12)가 제 1 커넥터(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무빙 플레이트(13)의 플레이트 베이스(131)는 제 1 커넥터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도 3 참조). 무빙 플레이트(13)의 간섭 파트(132)는, 제 1 커넥터 암(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돌기(1321d)는 암 헤드(11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커넥터(12)가 제 1 커넥터(11)로 삽입되는 동안, 제 1 간섭 돌기(121)는 제 1 커넥터 암(112)을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간섭 돌기(121)는 암 돌기(1122)에 간섭하여, 암 돌기(1122)를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암(112)이 변형될 경우, 암 헤드(1123)에 대한 프레임 돌기(1321d)의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제 2 커넥터(12)와 함께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커넥터 어셈블리(100)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커넥터(12)가 제 1 커넥터(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암 헤드(1123)는 프레임 돌기(1321d) 보다 +z 측에 위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제 2 간섭 돌기(122)는 상승 보조 파트(1323)를 끌어 올릴 수 있다. 제 2 간섭 돌기(122)는 상승 보조 헤드(1323b)에 걸린 상태로, 상승 보조 파트(1323)를 끌어 올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커넥터(12)가 일정 거리 분리된 상태에서, 간섭 파트(132a, 132b) 및/또는 슬라이더(133)는, 제 1 커넥터 바디(111)의 상단에 마련된 제 1 커넥터 커버(114)에 걸림 가능하다. 간섭 파트(132a, 132b) 및/또는 슬라이더(133)가 제 1 커넥터 커버(114)에 걸린 상태에서, 제 2 커넥터(12)가 계속해서 +z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 2 간섭 돌기(122)는 상승 보조 파트(1323)를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상승 보조 파트(1323)에 대한 제 2 간섭 돌기(122)의 지지 상태가 해제되고, 제 2 커넥터(12)는 무빙 플레이트(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빙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무빙 플레이트(13)는 4개의 모서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13)는, 플레이트 베이스(131), 제 1 간섭 파트(132a), 제 2 간섭 파트(132b) 및 슬라이더(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간섭 파트(132a)는 무빙 플레이트(13)의 모서리부들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마련되고, 제 2 간섭 파트(132b)는 제 1 간섭 파트(132a)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무빙 플레이트(13)는 y축 방향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빙 플레이트(13)의 +y측 모서리부 및 -y측 모서리부에 마련된 프레임 바디(1321b)는 플레이트 베이스(131)에 오버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간섭 파트(132a, 132b)는 무빙 플레이트(13)의 인접한 2개의 모서리부에 걸쳐서 마련되므로,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바디(1321b)는, 프레임 베이스(1321a)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바디(1321b)는, 프레임 베이스(1321a)에 가까워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프레임 바디(1321b)가 의도치 않은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이 감소하거나 방지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321b)는 그 자체의 형상으로 뒤틀림을 방지하면서도, 앞서 설명한 제 1 커넥터(11)에 마련된 커넥터 가이드(113)로 뒤틀림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무빙 플레이트는 그 형상이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의도치 않은 뒤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 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 1 커넥터 베이스와, 상기 제 1 커넥터 베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 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 1 커넥터 암을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 베이스를 마주하는 플레이트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암에 걸림 가능한 제 1 간섭 파트를 포함하는 무빙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제 2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커넥터 암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간섭 파트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 1 간섭 돌기와,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간섭 파트를 끌어 올리는 제 2 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는, 4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간섭 파트는, 상기 4개의 모서리부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의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간섭 파트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제 2 간섭 파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커넥터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간섭 파트에 오버랩 되는 가이드 헤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섭 파트 및 커넥터 가이드 각각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터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제 1 간섭 파트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상기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 간섭 파트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섭 파트는,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암에 걸림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헤드; 및
    상기 연결 헤드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간섭 돌기에 걸림 가능한 상승 보조 파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 헤드 및 상승 보조 파트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프레임 베이스;
    상기 프레임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와 교차하는 상태로 마련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 암에 걸림 가능한 커넥터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보조 파트는,
    상기 연결 헤드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보조 로드; 및
    상기 상승 보조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간섭 돌기에 걸림 가능한 상승 보조 헤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20013262A 2021-04-01 2022-01-28 커넥터 어셈블리 KR20220136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0712433.XU CN218828022U (zh) 2021-04-01 2022-03-30 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11 2021-04-01
KR20210042711 2021-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89A true KR20220136889A (ko) 2022-10-11

Family

ID=8359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262A KR20220136889A (ko) 2021-04-01 2022-01-28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36889A (ko)
CN (1) CN218828022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828022U (zh)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9689B (zh) 连接器组件
CN103765699A (zh) 插头件以及使用了该插头件的连接器
JP685707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6482963B2 (ja) 雄型コネクタ及び雌型コネクタ並びにこれらのコネクタからなる電気コネクタ
CN104836046A (zh) 连接器端子
JPS58111283A (ja) 電気コネクター
JP2012043697A (ja) コネクタ
JP2005158630A (ja) 電気コネクタ
JP6727074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00083212A (ko) 렌즈 구동용 모터
JP6795370B2 (ja) 可動コネクタ
US822642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joining board terminals
JP2017228442A (ja) コネクタ
JP3620833B2 (ja) モジュールコネクタ
CN110394759B (zh) 用于组装弹性胶圈的辅助治具及组装弹性胶圈的方法
KR100615894B1 (ko)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KR20220136889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1092317A (zh) 电路基板用连接器装置
JP565921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11824300B2 (en)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erminal protection features
US830334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upport for an optoelectronic module
WO2009137822A1 (en) Floating connector
JP2548566Y2 (ja) Zifコネクタ
JP4663567B2 (ja)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