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010A -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010A
KR20220136010A KR1020210068083A KR20210068083A KR20220136010A KR 20220136010 A KR20220136010 A KR 20220136010A KR 1020210068083 A KR1020210068083 A KR 1020210068083A KR 20210068083 A KR20210068083 A KR 20210068083A KR 20220136010 A KR20220136010 A KR 2022013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dliner
sunroof
controller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라지 에스 지 비그니쉬
라만 시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31Roof or head liners specially adapted for roofs wit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긴급 탈출 시스템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선루프;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선루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 장치;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는지를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그리고 플로트 센서로부터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를 받고, 압력 센서로부터 받은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구동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EMERGENCY ESCAPE SYSTEM AND EMERGENCY ESCAPE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물에 잠겼을 때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게 차량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승객들이 승차하거나 하차하기 위한 다수의 도어와, 운전자 또는 승객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다수의 창이 장착되며, 상기 다수의 도어와 다수의 창 중 일부는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된다.
그런데, 차량이 물에 잠기게 되면, 차량에 구비된 다수의 도어 또는 다수의 창을 통해 승객이 탈출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물에 잠기게 되면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수압에 의하여 승객이 도어를 열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창은 주행 중 차량에 부딪히는 이물질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수한 재질의 강화유리로 제작된다. 따라서, 승객은 특별한 도구 없이 창을 깰 수 없다. 더 나아가, 차량이 물에 잠기게 되면 다수의 도어 또는 다수의 창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와, 동력을 생산할 수 있는 엔진이 사용 불능이 되기 때문에, 다수의 도어 또는 다수의 창을 자동으로 열 수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물에 잠겼을 때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차량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이 물에 잠겼을 때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게 차량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은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선루프;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선루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 장치;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는지를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그리고 플로트 센서로부터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를 받고, 압력 센서로부터 받은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구동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은 구동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플로트 센서로부터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를 받고, 압력 센서로부터 받은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가 구동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센서는 차량의 트렁크 내 또는 트렁크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기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은 플로트 센서에 의하여,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압력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헤드라이너 또는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기에 의하여,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고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선루프를 작동하는 구동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루프를 작동하는 구동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에서, 제어기는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가 상기 구동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 제어기에 의하여,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차지 않았거나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 이하라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구동 장치로부터 보조 배터리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헤드라이너에 장착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장착되고, 플로트 센서는 트렁크 내 또는 트렁크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로트 센서를 통하여 차량이 물에 잠긴 것을 판단하고 압력 센서를 통하여 차량으로부터 탈출하려는 승객의 의지를 판단하여 선루프를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차량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이 물에 잠긴 것을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차량 외부의 사람도 선루프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사람들이 차량에 갇힌 승객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물에 잠겼을 때 선루프를 작동시키는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구비함으로써 차량이 완전히 물에 잠기기 전까지는 선루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황한 승객이라도 긴급 탈출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예에 따른 플로트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 중 하나 이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또한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차량" 또는 "차량의"와 같은 용어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는 철도 차량뿐만 아니라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ports utility vehicles; SUVs)를 포함하는 승용차들, 버스들, 트럭들, 다양한 상업용 차량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가적으로, 아래의 방법들 또는 이들의 양상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제어기"라는 용어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된다. 제어기는,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유닛들, 모듈들, 부품들, 장치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방법들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함께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개시의 제어기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들의 예들은 롬(ROM), 램(RAM), 컴팩트 디스크(CD) 롬, 자기 테이프들, 플로피 디스크들, 플래시 드라이브들, 스마트 카드들 및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프로그램 명령들이,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서버(telematics server) 또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와 같은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탈출 시스템은 선루프(10)를 구비한 차량(1)에 적용될 수 있다. 차량(1)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전측부에 엔진 룸이 구비되어 엔진과 배터리(2)가 엔진 룸 내에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2)는 차량(1)의 다양한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창문을 작동시키는 구동 장치, 시동 모터, 조명 기구 등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2)는 선루프(10)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차량(1)은 그 중간부에 객실이 제공되고, 그 후측부에 트렁크(17)가 제공된다. 객실은 차량(1)의 다수의 도어들에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트렁크(17)는 트렁크 도어(16)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트렁크(17) 내 또는 트렁크 도어(16)에는 플로트 센서(18)가 장착되어 있다. 플로트 센서(18)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차량(1)의 상면에는 헤드라이너(20)가 장착되고, 헤드라이너(20)에는 선루프(10)가 구비된다. 선루프(10)는 구동 장치(12)에 의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12)는 배터리(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헤드라이너(20)에는 보조 배터리(14)와 압력 센서(22)가 장착된다. 상기 보조 배터리(14)는 상기 구동 장치(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압력 센서(22)는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량(1)은 차량(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30)는, 예를 들어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배터리(2)와 보조 배터리(1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등 다양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제어기는 하나의 제어기(30)로 통합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차량(1)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긴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탈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기(30)는 헤드라이너(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기(30)의 장착 위치는 헤드라이너(20)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용 긴급 탈출 시스템은 플로트 센서(18), 압력 센서(22), 제어기(30), 보조 배터리(14), 그리고 구동 장치(12)를 포함한다.
플로트 센서(18)는 차량(1)의 트렁크(17) 내 또는 트렁크 도어(16)에 장착되어 있으며, 차량(1)이 물에 잠긴 것을 검출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30)에 전달한다. 하나의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센서(18)는 센서 본체(42), 플로트 부(44), 연결부(46), 그리고 스위치(48)를 포함한다. 센서 본체(42)는 제어기(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서 본체(42)에는 스위치(48)가 장착되어 있다. 플로트 부(44)는 연결부(46)를 통해 상기 센서 본체(42)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 부(44)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차량(1)이 물에 잠기지 않거나 차량(1) 내에 들어온 물의 수위가 플로트 부(44)의 위치보다 낮으면 플로트 부(44)는 중력에 의하여 연직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 플로트 부(44)는 상기 스위치(48)를 누르지 않는다. 만일 차량(1) 내로 들어온 물이 플로트 부(44)의 위치까지 차면(즉, 플로트 부(44)의 위치까지 차량(1)이 물에 잠기면), 플로트 부(44)는 부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회전하여 스위치(48)를 누르게 된다. 이 때, 센서 본체(42)는 제어기(30)에 스위치(48)가 눌러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플로트 센서(18)는 여기에서 예시한 유형의 플로트 센서(18)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1) 내로 들어온 물의 수위가 플로트 센서(18)가 장착된 위치임을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플로트 센서(18)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플로트 센서(18)를 트렁크(17) 내 또는 트렁크 도어(16)에 장착함으로써, 긴급 탈출 시스템의 빈번한 작동(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량(1)이 실제로 물에 잠겼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트 센서(18)는 트렁크(17) 내 또는 트렁크 도어(16)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로트 센서(18)의 장착 위치는 트렁크(17) 내 또는 트렁크 도어(16)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차량(1)이 실제로 물에 잠겼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플로트 센서(18)가 장착될 수 있다.
압력 센서(22)는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장착되어 있으며,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30)에 전달한다. 물에 잠긴 차량(1)에 갇힌 승객은 선루프(10)를 통하여 차량(1)에서 탈출하기 위해 선루프(10) 또는 헤드라이너(2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물에 잠긴 차량(1)에 갇힌 승객을 구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의 사람도 선루프(10) 또는 헤드라이너(2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압력 센서(22)는 승객 또는 차량(1) 외부의 사람이 선루프(10) 또는 헤드라이너(20)에 가하는 힘을 검출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30)에 전달한다. 그러나, 압력 센서(22)의 장착 위치는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압력 센서(22)는 승객이 탈출 의지 또는 차량(1)의 외부 사람의 구조 의지를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기(30)는 플로트 센서(18)와 압력 센서(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플로트 센서(18)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과 압력 센서(22)가 검출한 힘의 크기가 설정된 힘의 크기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보조 배터리(14)가 구동 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기(30)는 플로트 센서(18)로부터 신호를 받아 차량(1)이 실제로 물이 잠겼다고 판단하고, 압력 센서(22)가 검출한 힘의 크기에 대한 신호를 압력 센서(22)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힘의 크기가 설정된 힘의 크기와 비교한다. 차량(1)이 주행 중인 상황에서 압력 센서(22)에 다양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22)에서 검출된 힘의 크기를 설정된 힘의 크기와 비교함으로써, 탈출 의지 또는 구조 의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힘의 크기가 설정된 힘의 크기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제어기(30)는 승객이 탈출 의지를 갖거나 차량(1)의 외부 사람이 구조 의지를 갖는다고 판단하고 보조 배터리(14)와 구동 장치(12)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수립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이 물에 잠기지 않았으면, 구동 장치(12)는 배터리(2)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1)이 물에 잠겼으면, 엔진 룸 등에 장착된 배터리(2)는 작동 불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보조 배터리(14)는 헤드라이너(2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차량(1)이 물속에 완전히 잠기기 전까지는 보조 배터리(14)는 작동 가능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어기(30)는 헤드라이너(20)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14)를 구동 장치(12)에 연결하여 보조 배터리(14)가 구동 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선루프(10)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어기(30)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어기(30)는 보조 배터리(14)가 구동 장치(12)에 항시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제어기(30)는 보조 배터리(14)가 제어기(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구동 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보조 배터리(14)가 긴급 상황에서만 구동 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보조 배터리(14)의 용량을 줄이고 보조 배터리(14)의 잦은 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을 사용한다.
차량(1)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플로트 센서(18)는 차량(1)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겼는지를 판단한다(S11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에서 플로트 센서(18)가 장착된 위치가 물에 잠기면, 플로트 센서(18)는 차량(1)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겼음을 알려주는 신호를 제어기(30)에 전송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로트 센서(18)는 차량(1)의 설정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에서 플로트 센서(18)는 트렁크(17) 내 또는 트렁크 도어(16)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22)는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한다. 압력 센서(22)가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면, 상기 힘의 크기를 알려주는 신호를 제어기(30)에 전송한다.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가해지는 힘은 승객의 탈출 의지 또는 차량(1)의 외부 사람의 구조 의지를 알려줄 수 있다. 제어기(30)는 압력 센서(22)로부터 받은 신호를 기초로 헤드라이너(20) 또는 선루프(10)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30)는 승객이 탈출 의지가 있는지 또는 차량(1) 외부의 사람이 구조 의지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20). 제어기(30)는 압력 센서(22)가 검출한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면, 승객이 탈출 의지를 가지거나 차량(1)의 외부 사람이 구조 의지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차량(1)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겼고, 승객이 탈출 의지가 있거나 차량(1) 외부의 사람이 구조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기(30)는 구동 장치(12)에 전원을 인가하여 선루프(10)를 자동으로 개방한다(S13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기(30)는 차량(1)의 헤드라이너(20)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14)를 구동 장치(12)에 연결하여 보조 배터리(14)가 구동 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장치(12)는 선루프(10)를 개방하고, 차량(1)에 탑승한 승객은 개방된 선루프(10)를 통하여 차량(1)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 외부의 사람도 개방된 선루프(10)를 통하여 승객을 구출하거나 승객의 탈출을 도울 수 있다.
만일 차량(1)이 물에 잠기지 않았거나, 승객의 탈출 의지 또는 차량(1) 외부 사람의 구조 의지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기(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용 긴급 탈출 방법을 종료한다. 이 때, 제어기(30)는, 만일 구동 장치(12)에 보조 배터리(14)가 연결되었다면, 구동 장치(12)로부터 보조 배터리(14)를 연결 해제하고, 배터리(2)를 구동 장치(12)에 연결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차량 2: 배터리
10: 선루프 12: 구동 장치
14: 보조 배터리 16: 트렁크 도어
17: 트렁크 18: 플로트 센서
20: 헤드라이너 22: 압력 센서
30: 제어기 42: 센서 본체
44: 플로트 부 46: 연결부
48: 스위치

Claims (11)

  1.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선루프;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선루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동 장치;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는지를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그리고
    플로트 센서로부터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를 받고, 압력 센서로부터 받은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구동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플로트 센서로부터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를 받고, 압력 센서로부터 받은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가 구동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장착된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센서는 차량의 트렁크 내 또는 트렁크 도어에 장착된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차량의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7. 플로트 센서에 의하여,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압력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헤드라이너 또는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제어기에 의하여,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찼고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보다 크다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선루프를 작동하는 구동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선루프를 작동하는 구동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에서, 제어기는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가 상기 구동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어기에 의하여, 설정된 장착 위치까지 차량에 물이 차지 않았거나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힘 이하라고 판단하는 것에 반응하여, 구동 장치로부터 보조 배터리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헤드라이너에 장착된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헤드라이너 또는 선루프에 장착되고, 플로트 센서는 트렁크 내 또는 트렁크 도어에 장착된 차량용 긴급 탈출 방법.
KR1020210068083A 2021-03-30 2021-05-27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 KR20220136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111014426 2021-03-30
IN202111014426 2021-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10A true KR20220136010A (ko) 2022-10-07

Family

ID=8344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083A KR20220136010A (ko) 2021-03-30 2021-05-27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45391B2 (ko)
KR (1) KR20220136010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499A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수중추락시 선루프 자동 개도장치
JPH11286213A (ja) * 1998-04-02 1999-10-19 Akira Tatsumi 車両の安全制御方法および安全制御装置
TWI644816B (zh) * 2017-07-17 2018-12-21 謝志輝 汽車落水逃生系統及其超音波構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4915A1 (en) 2022-10-06
US11845391B2 (en)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8148B2 (en) Vehicle door assistance
CN109835195A (zh) 电动汽车上电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动汽车
CN109835194A (zh) 电动汽车下电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动汽车
US20210396064A1 (en)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motorized flap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CN110549974A (zh) 一种车联网驾驶安全系统
CN109910781A (zh) 用于监控车辆电力系统的系统和方法
CN110550046A (zh) 车辆的睡眠辅助控制方法及系统
CN114261355A (zh) 一种汽车中控安全控制系统
JPH11286213A (ja) 車両の安全制御方法および安全制御装置
CN107891755A (zh) 用于使高压总线放电的方法和装置
KR20220136010A (ko) 차량용 긴급 탈출 시스템 및 긴급 탈출 방법
CN112829711B (zh) 一种车门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1703408B (zh) 一种客车行车紧急停车控制系统及方法
CN113356719A (zh) 汽车逃生系统、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JP6689907B2 (ja) 車両用窓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用窓制御装置
CN115943239A (zh) 用于锁定和/或解锁可锁定物体中的可移动闭合机构特别是门、盖等的闭锁装置
CN115648940A (zh) 用于控制电动车辆的电气系统的方法和主控制单元
US20200139891A1 (en) Running board assembly and method permitting overcurrent
CN107346129B (zh) 一种车身控制器及其断电应急处理方法
CN115263119B (zh) 电动滑移门的控制方法、装置、车辆及可读存储介质
JP3558208B2 (ja) 車両の水没対策装置
CN109204292A (zh) 汽车甩尾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215922116U (zh) 一种客车及其电控设备的安装机构
JPH0225036B2 (ko)
CN109649424B (zh) 一种车辆客室照明控制方法、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