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083A -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083A
KR20220135083A KR1020210040657A KR20210040657A KR20220135083A KR 20220135083 A KR20220135083 A KR 20220135083A KR 1020210040657 A KR1020210040657 A KR 1020210040657A KR 20210040657 A KR20210040657 A KR 20210040657A KR 20220135083 A KR20220135083 A KR 20220135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ventory
management
materials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호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이치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이치팩 filed Critical (주)에스에이치팩
Priority to KR1020210040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083A/ko
Publication of KR2022013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재 관리를 위한 메뉴와 권한, 시스템 코드 및 시스템 사용 이력을 관리하고 안전재고를 설정하고, 파라미터 관리, 이벤트 로그 관리 및 시스템 운전 이력 관리를 수행하는 기준정보 관리부, 자재의 재고 현황, 반입 현황, 불출 현황, 반입 이력, 불출 이력, 안전재고 현황 및 위치별 재고를 관리하는 자재 관리부 및 자재 입고 정보와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입고 및 출고 정보, 작업자별 입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는 재고 및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다품종 자재를 크기에 따라 구분해서 보관하고, 보관된 자재의 보관 및 출고 정보를 이용해서 자재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품종 자재를 보관하고, 보관된 자재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중경량 상품이나 부품, 공구 등을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을 따라 지정한 위치에 이송해서 안전하게 보관, 검색 및 출고하는 스마트 공장과 자동 창고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자동 창고 시스템은 동작 중 제품의 흔들임이 없어야 하고, 앞, 뒤, 좌, 우의 중량물 균형을 유지하여 수납된 물품의 낙하 등으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자동 창고 시스템은 이동 방향과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 회전형, 수평 회전형, 수직 리프트형 및 대형 물류창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직 회전형 창고는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납된 물품을 이송하고, 수평 회전형 창고는 좌우 방향으로 따라 수평으로 회전하여 수납된 물품을 이송한다.
그리고 수직 리프트형 창고는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수납된 물품을 이송하고, 대형 물류창고는 무인 운반차를 이용해서 지정위치에 수납된 물품을 이송한다.
이에 따라, 수직 회전형, 수직 리프트형 및 대형 물류창고는 제조공장이나 유통, 물류센터와 같이 높이가 높은 공간에 적용되고, 수평 회전형 창고는 자동차나 전자 서비스센터, 은행, 공공기관과 같이 높이가 낮은 공간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는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자동 창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들을 소프트웨어적/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설비 메인 컨트롤러, 설비 메인 컨트롤러로 자동 창고 시스템에 대한 입고 및 출고 명령을 하달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설비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물품이 적재되며 이동 가능한 형태인 모듈형 적재 랙, 설비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물품의 표을 읽어들이는 바코드 스캔너, 설비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의 의해 물품을 운반하는 자동 입고 컨베이어, 자동 입고 컨베이어와 모듈형 적재 랙 사이를 오가며 물품을 운반하는 3축 직각 좌표 로봇 및 모듈형 적재 랙으로부터 3축 직각 좌표 로봇이 물품을 직접 꺼내어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직출고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모듈형 자동 창고 시스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전체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지상국 컴퓨터, 지상국컴퓨터와 무인크레인시스템 간에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데이타송수신장치, 데이타송수신장치를 통해서 지상국컴퓨터와 데이타를 송신하는 기상국 컴퓨터를 포함하는 무인크레인시스템, 지상국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창고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자동문제어PLC를 포함하는 출입문자동화시스템 및 지상국컴퓨터의 제어에 따라서 작업지시와 제품 및 차량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지상국컴퓨터로 송신하는 비젼컴퓨터를 포함한 제품위치인식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인자동화 창고 시스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동 창고 시스템은 다양한 크기 및 중량의 물품을 보관하고 필요한 물품을 검색해서 출고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수행되는 작업의 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70708호(2006년 6월 26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276276호(2001년 1월 15일 공고)
한편, 제조공장 등의 현장에서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공구를 이용해서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여 최종 제품을 제조한다.
그래서 스마트 공장의 자동 창고 시스템은 보관된 다양한 종류 및 수량의 자재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즉, 종래에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 예컨대 대물과 중물, 소물 자재가 혼재됨에 따라, 자재 입고시 전체 자재에 대한 검수가 불가능하고, 자재 식별이 어려워 자재 찾기, 이동 동선, 중량물 취급 등의 후속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자재 피킹시 선입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유사한 품목을 잘못 불출하는 휴먼 에러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종래에는 소물 자재 키트(kit)에서 다품종 소량 자재를 색출하는 과정에서 바코드를 이용함에 따라, 색출 시간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생산 품목이 증가하면서 다품종 소량품 자재가 증가함에 따라, 대물, 중물 자재의 납입 횟수가 증가하고, 자재 창고간 이동 물량 증로 인해 생산 공정 투입 지연 사례가 발생하거나, 피킹된 자재를 물류담당자가 키트 대차를 이용해서 수작업으로 운반함에 따라, 자재 공급량이 폭증하는 경우, 인력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재를 종류와 크기에 따라 분류해서 보관하고, 보관된 자재의 재고를 정확하게 파악해서 신속하게 공급하도록 관리할 수 있는 재고 관리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품종 자재를 구분해서 보관하고, 보관된 자재의 보관 및 출고 정보를 이용해서 자재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재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물류 이동 방식을 차별화하여 자재 보관 공간 및 자재 출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실행 시스템과 연동해서 재고 관리를 효율화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은 자재 관리를 위한 메뉴와 권한, 시스템 코드 및 시스템 사용 이력을 관리하고 안전재고를 설정하고, 파라미터 관리, 이벤트 로그 관리 및 시스템 운전 이력 관리를 수행하는 기준정보 관리부, 자재의 재고 현황, 반입 현황, 불출 현황, 반입 이력, 불출 이력, 안전재고 현황 및 위치별 재고를 관리하는 자재 관리부 및 자재 입고 정보와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입고 및 출고 정보, 작업자별 입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는 재고 및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 방법은 (a) 재고 관리 서버의 자재 관리부에서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해서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이용해서 입고할 자재를 검수해서 입고 처리하는 단계, (b) 재고 및 통계 분석에서 자재 입고 정보와 로트별 입고 정보, 작업자별 입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등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재고 관리 서버에서 자재 출고 시, 출고 예약 리스트를 스캔하고, 스캔된 리스트에 포함된 부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부품을 색출하는 단계, (d) 자재 관리부에서 출고된 자재를 출고 처리하고, 출고 정보를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며, 불출된 자재 중에 반입이 이루어지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반입 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재고 및 통계 분석부는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출고 정보, 작업자별 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자재의 입고, 출고, 반입 등의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다품종 자재를 크기에 따라 구분해서 보관하고, 보관된 자재의 보관 및 출고 정보를 이용해서 자재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자재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물류 이동 방식을 차별화하여 자재 보관 공간 및 자재 출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실행 시스템과 연동해서 자재의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출고하고자 하는 자재를 신속하게 색출해서 불출함으로써, 재고 관리를 효율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고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공장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재고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고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공장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고 관리 서버(11)를 포함하고, 재고 관리 서버(11)는 스마트 공장의 제조 실행 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이하 'MES'라 함)(70),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이하 'ERP'라 함)(71) 및 창고 관리 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s, 이하 'WMS'라 함)(72)과 연동해서 자재 관리를 수행한다.
재고 관리 서버(11)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를 통해 각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MES(60)는 제조업체의 생산 현장을 최적화하고, 생산 현장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의사결정이 빠른 공장, 전략적인 공장, 주변 환경에 대응이 빠른 공장, 운영 비용이 최소인 공장, 제어와 조작이 쉬운 공장, 시스템 구축이 용이한 공장을 구현하는 공장 관리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은 제조 실행 시스템(70)의 MES 서버(73)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70)의 ERP 서버(74) 및 WMS(7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재고 관리 서버(11)로 마련되고, 각 서버와 연동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재고 관리 서버(11)는 재고 관리 시스템(1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80) 및 현장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90)과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재고 관리 시스템(10)은 MES(70)과 연동해서 생산 계획에 따른 자재 출고 요청을 창고(12)에서 조회하고, 창고(12)에서 자재를 출고한 이력을 조회하며, MES(70)에서 운영 중인 안전 재고와 연동해서 관리하고, 자재 피킹 이력을 조회하며, 안전 재고를 관리하고, 자재 출고 이력을 조회하여 MES(70)와 연동함으로써, 창고(12) 내의 재고 정보를 MES(70)와 연동해서 조회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스마트 공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가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창고(12)와 각 자재를 이용해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공장(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체 창고(12)는 자동 창고로 마련되거나, 일부 창고만이 자동 창고로 마련될 수도 있다.
재고 관리 서버(11)는 전체 창고(12)에 보관되는 자재를 관리하고, MES(70)는 각 전체 공장을 관리할 수 있다.
창고(12)에는 자재가 보관되는 다수의 선반이 마련되고, 각 선반은 하단에서부터 상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을 포함할 수 수 있다.
각 자재는 입고시 크기에 따라 대물, 중물, 소물로 구분되고, 구분된 크기별로 지정된 선반 및 선반의 지정된 단에 보관될 수 있다.
그래서 대물 자재는 모듈라 리프트와 자동 안내 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s)과 같은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모듈라 리프트는 재고 관리 서버의 제어에 기초해서 MES에서 자재 불출 리스트가 수신되면 자재를 색출하고, 색출 품목을 자동으로 출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물 자재를 자동 이동 장치를 이용해서 이동시킴으로써, 1차 물류 이동량을 개선할 수 있다.
중물 자재는 이동시 이용되는 자재 용기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규격으로 표준화해서 적재량을 개선할 수 있다.
중물 자재와 소물 자재도 자동 이동 장치를 이용해서 운반되어 물류 개선 및 자재 창고의 공간을 개선할 수 있다.
각 선반은 창고의 구역별로 배치되며, 자재랙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재 입고시 자재의 크기에 따라 대물, 중물, 소물로 구분하고, 구분된 자재를 지정된 구역 및 선반에 보관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서버(11)는 창고(12)에 자재 입고시, 자재를 입고한 업체에 대해 거래명세표를 발행하고, 거래명세표에 기재된 자재를 입고 처리하며, 입고 내역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재고 관리 서버(11)는 거래명세서와 부품 식별표를 동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자재는 검수 작업시 바코드를 인식해서 검수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검수와 함께 실시간으로 입고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창고(12)에는 자재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캐너(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재 입고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실시간으로 재고를 확인할 수 있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고 관리 서버(11)는 자재 출고시 출고 예약 리스트를 스캔하고, 스캔된 리스트에 포함된 부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부품을 색출한다.
여기서, 재고 관리 서버(11)는 MES(70)의 작업 지시서와 연동해서 작업지지판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출고 예약 리스트를 표시하고, 출고 내역을 확인한 후, 출고 리스트를 발행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자동 이동 장치를 이용해서 발행된 출고 리스트에 따라 자재를 불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재의 출고 내역은 ERP 서버(74)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재 출고시 선입 선출 관리를 자동화하고, 자재의 자동 피킹시 오투입을 방지하여 오투입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자재 관리 서버(11)는 기본정보 관리부(20)와 자재 관리부(30) 그리고 재고 및 통계 관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재 관리 서버(11)는 MES 서버(73) 및 ERP 서버(7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부 인터페이스(51), 바코드 스캐너(14)와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52) 그리고 내부 및 외부 인터페이스(51,52)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관리부(23)는 자재의 품목 마스터와 불출 지시를 수신하고, 자재의 불출 정보와 반입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재고 관리 서버(11)는 관리자 단말(80) 및 작업자 단말(9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 관리 및 보안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및 보안 관리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정보 관리부(20)는 WMS(72)와 연동해서 자재 관리 작업을 위한 메뉴와 권한, 시스템 코드 및 시스템 사용 이력을 관리하고 안전재고를 설정하고, 파라미터 관리, 이벤트 로그 관리 및 시스템 운전 이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준정보 관리부(20)는 자동 창고에 보관될 자재에 대한 기준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 관리는 자재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권한을 설정하며, 창고 설비를 등록하고, 선반 위치 정보 및 배치 구획 정보를 등록하며, 안전 재고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준정보 관리부(20)는 ERP(71)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중에서 창고(12)에 보관될 자재를 필터링하여 연동하고, 창고(12)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며, 창고(12)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등록, 조회, 수정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정보 관리부(20)는 창고(12)에 대한 기준정보를 창고 설비로 입력해서 등록하고 관리하며, 창고(12)별로 보관되는 선반에 대한 개별 정보, 예컨대 선반에 부여된 번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개별 선반에 배치되는 구획 번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각 구획에 자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기준정보 관리부(20)는 창고(12)에 보관되는 자재에 대한 안전 재고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출고 실적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안전 재고 수준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자재 관리부(30)는 재고 현황, 반입 현황, 불출 현황, 반입 이력, 불출 이력, 안전재고 현황 및 위치별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재 관리부(30)는 자재 입고 대기, 자재 입고 등록, 입고 위치 등록, 불출 요청 조회, 자재 위치 확인, 자재 출고 등록 및 자재 반입 등록 기능을 포함하는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고, 자재 입고 현황, 자재 출고 현황, 자재 반입 현황, 자재 재고 현황, 자재 출고 이력, 선반별 재고 현황, 부족 자재 현황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재고 조회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재 관리부(30)는 ERP(71)에서 검사가 끝난 후 입고 대기 중인 자재 정보 중에서 창고(12)에 보관될 자재에 대한 정보를 로딩(loading)해서 조회하고, 자재 입고 시 바코드를 이용하여 입고 처리하며, 입고 처리된 정보를 ERP(71)와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자재 관리부(30)는 자재가 보관되는 선반의 각 위치별로 부여된 바코드를 인식해서 자재 입고 로트(Lot)에 대한 보관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MES(70)에서 생산 계획에 따라 필요한 자재에 대한 불출 요청 정보를 WMS(72)로 연동하여 조회할 수 있다.
또, 자재 관리부(30)는 불출 대상 자재가 보관된 위치 정보를 조회하고, 선입선출 방식에 의거하여 먼저 입고된 자재가 어떤 것인지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자재 관리부(30)는 자재 출고시 바코드를 이용하여 출고 처리를 하고, 출고 정보를 ERP(71)와 연동하여 처리하며, 불출된 자재 중에 반입이 이루어지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고 처리 단계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자재 관리부(30)는 어느 자재 몇 개가 언제, 어느 창고 및 위치로 누구에 의해 입고되었는지 자재의 입고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기간별 입고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도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자재 관리부(30)는 어느 자재 몇 개가 언제, 어느 창고 및 위치에서 누구에 의해 출고되었는지 자재의 출고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기간별 출고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자재 관리부(30)는 어느 자재 몇 개가 언제, 어느 창고 및 위치로 누가 반입했는지를 조회할 수 있고, 기간별 반입 정보에 대한 통계도 조회할 수 있다.
자재 관리부(30)는 현재 창고(12)에 보유중인 자재에 대한 현황을 조회할 수 있고, 자재에 대한 입고 이력 정보를 입고 로트별로 조회할 수 있으며, 입고 로트별 출고량에 대한 출고 이력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자재 관리부(30)는 현재 자동 창고에서 운영 중인 선반에 보관된 자재에 대한 현황을 선반별로 조회할 수 있고, 자재 불출 요청 정보와 현재 재고 현황을 비교해서 부족 자재에 대한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부족 자재 현황 정보를 ERP로 연동하여 공급망 관리(Supply Chanin Management, SCM)를 활용해서 발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재 관리부(30)는 재고 현황, 반입 현황, 불출 현황, 반입 이력, 불출 이력, 안전재고 현황 및 위치별 재고를 관리하고, 각 정보에 대해 조회해서 관리자 단말(80)이나 작업자 단말(90)에 조회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자재 입고 정보와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입고 및 출고 정보, 작업자별 입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서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자재 입고 통계, 자재 출고 통계, 로트별 입고 통계, 로트별 출고 통계 정보의 조회, 작업자 통계 정보, 재고 부족 통계, 반입 자재 통계, 설비 가동 분석 정보 및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 통계 분석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자재에 대한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기간별 입고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와 기간별 출고정보에 대한 통계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자재에 대한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기간별 자재 로트별 입고 정보와 출고 정보에 대한 통계를 조회할 수 있다.
또,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작업자별로 조회하여 입출고 처리이력을 기간별로 조회할 수 있고, 자재별로 부족 현황에 대한 이력을 조회할 수 있으며, 반입 자재에 대해 기간별로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창고(12)의 가동이 이루어진 이력 정보와 가동 분석 결과를 조회할 수 있고, 창고(12)에서 자재가 입출고된 건수 및 수량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재고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재고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3의 S10단계에서 바코드 스캐너(14)는 입고할 자재에 부여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자재 관리 서버(11)의 자재 관리부(30)는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이용해서 검수 작업을 수행한다.
검수 작업 과정에서 자재 관리부(30)는 각 자재를 크기에 따라 대물, 중물, 소물로 구분하고, 구분된 크기별로 지정된 선반 및 선반의 지정된 단에 보관하도록, 보관 위치를 선정한다(S12).
그래서 대물 자재는 모듈라 리프트와 자동 안내 차량과 같은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선정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중물 자재는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규격으로 표준화된 자재 용기에 적재된 상태에서 운반될 수 있다.
물론, 중물 자재와 소물 자재도 자동 이동 장치를 이용해서 운반되어 물류 개선 및 자재 창고의 공간을 개선할 수 있다.
자재는 선정된 보관 위치로 운반되어 보관되고, 자재 관리부(30)는 보관된 자재에 대해 입고 처리한다(S14).
그러면,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자재 입고 정보와 로트별 입고 정보, 작업자별 입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등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한다.
재고 관리 서버(11)는 입고 처리된 자재의 입고 정보와 통계 및 분석 결과를 MES(70) 및 WMS(71)에 제공해서 서로 정보를 연동한다.
그래서 관리자 단말(80) 또는 작업자 단말(90)은 재고 관리 서버(11)에 접속해서 자재의 재고 현황을 조회해서 관리하거나, 재고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재고 관리 서버(11)는 자재 출고 시, 출고 예약 리스트를 스캔하고(S16), 스캔된 리스트에 포함된 부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부품을 색출한다(S18).
여기서, 재고 관리 서버(11)는 MES(70)의 작업 지시서와 연동해서 작업지지판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출고 예약 리스트를 표시하고, 출고 내역을 확인한 후, 출고 리스트를 발행할 수 있다.
S20단계에서 작업자는 자동 이동 장치를 이용해서 발행된 출고 리스트에 따라 자재를 불출한다. 그러면, 자재 관리부(30)는 불출된 자재에 대해 출고 처리한다.
즉, 자재 관리부(30)는 출고된 자재를 출고 처리하고, 출고 정보를 ERP(71)와 연동하며, 불출된 자재 중에 반입이 이루어지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고 처리 단계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그러면, 재고 및 통계 분석부(40)는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출고 정보, 작업자별 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한다.
그래서 관리자 단말(80) 또는 작업자 단말(90)은 재고 관리 서버(11)에 접속해서 자재의 재고 현황을 조회해서 관리하거나, 재고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자재의 입고, 출고, 반입 등의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서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품종 자재를 크기에 따라 구분해서 보관하고, 보관된 자재의 보관 및 출고 정보를 이용해서 자재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재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물류 이동 방식을 차별화하여 자재 보관 공간 및 자재 출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실행 시스템과 연동해서 자재의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출고하고자 하는 자재를 신속하게 색출해서 불출함으로써, 재고 관리를 효율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품종 자재를 크기에 따라 구분해서 보관하고, 보관된 자재의 보관 및 출고 정보를 이용해서 자재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재고 관리 시스템
11: 재고 관리 서버 12: 창고
13: 공장 14: 바코드 스캐너
20: 기준정보 관리부
30: 자재 관리부
40: 재고 및 통계 관리부
50: 인터페이스 관리부
51: 내부 인터페이스 52: 외부 인터페이스
60: 사용자 및 보안 관리부
70: 제조 실행 시스템(MES)
71: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RP)
72: 창고 관리 시스템(WMS)
73: MES 서버 74: ERP 서버
80: 관리자 단말
90: 작업자 단말

Claims (10)

  1. 자재 관리를 위한 메뉴와 권한, 시스템 코드 및 시스템 사용 이력을 관리하고 안전재고를 설정하고, 파라미터 관리, 이벤트 로그 관리 및 시스템 운전 이력 관리를 수행하는 기준정보 관리부,
    자재의 재고 현황, 반입 현황, 불출 현황, 반입 이력, 불출 이력, 안전재고 현황 및 위치별 재고를 관리하는 자재 관리부 및
    자재 입고 정보와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입고 및 출고 정보, 작업자별 입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는 재고 및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자재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스마트 공장의 제조 실행 시스템과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및 창고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조 실행 시스템과 연동해서 생산 계획에 따른 자재 출고 요청을 창고에서 조회하고, 창고에서 자재를 출고한 이력을 조회하며, 상기 제조 실행 시스템에서 운영 중인 안전 재고와 연동해서 관리하고, 자재 피킹 이력을 조회하며, 안전 재고를 관리하고, 자재 출고 이력을 조회하여 상기 제조 실행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는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중에서 창고에 보관될 자재를 필터링하여 연동하고, 창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며, 창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등록, 조회, 수정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창고에 대한 정보를 창고 설비로 입력해서 등록하고 관리하며, 창고별로 보관되는 선반에 부여된 번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개별 선반에 배치되는 구획 번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각 구획에 자재를 배치하고,
    창고에 보관되는 자재에 대한 안전 재고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출고 실적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안전 재고 수준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부는 바코드 스캐너에서 입고할 자재에 부여된 바코드의 스캔된 정보를 이용해서 검수 작업을 수행하며,
    검수 작업 과정에서 각 자재를 크기에 따라 대물, 중물, 소물로 구분하고, 구분된 크기별로 지정된 선반 및 선반의 지정된 단에 보관하도록, 보관 위치를 선정하며,
    자재 출고시 스캔된 바코드에 기초해서 해당 자재를 출고 처리하고, 출고 정보를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리하며, 불출된 자재 중에 반입이 이루어지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반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부는
    자재 입고 대기, 자재 입고 등록, 입고 위치 등록, 불출 요청 조회, 자재 위치 확인, 자재 출고 등록 및 자재 반입 등록 기능을 포함하는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고, 자재 입고 현황, 자재 출고 현황, 자재 반입 현황, 자재 재고 현황, 자재 출고 이력, 선반별 재고 현황, 부족 자재 현황을 관리하고 조회하며,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 검사가 끝난 후 입고 대기 중인 자재 정보 중에서 창고에 보관될 자재에 대한 정보를 로딩해서 조회하고, 자재 입고 시 바코드를 이용하여 입고 처리하며, 입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고,
    자재가 보관되는 선반의 각 위치별로 부여된 바코드를 인식해서 자재 입고 로트에 대한 보관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조 실행 시스템에서 생산 계획에 따라 필요한 자재에 대한 불출 요청 정보를 상기 창고 관리 시스템으로 연동하여 조회하며,
    불출 대상 자재가 보관된 위치 정보를 조회하고, 선입선출 방식에 의거하여 먼저 입고된 자재 정보, 자재의 입고 정보와 기간별 입고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 자재의 출고 정보와 기간별 출고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 자재의 반입 정보와 기간별 반입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조회하며,
    현재 창고에 보유중인 자재에 대한 현황을 조회하고, 자재에 대한 입고 이력 정보를 입고 로트별로 조회하며, 입고 로트별 출고량에 대한 출고 이력 정보를 조회하고, 선반별 재고현황 정보를 조회하며, 자재 불출 요청 정보 현재 재고 현황을 비교해서 부족 자재에 대한 현황을 조회하고, 부족 자재 현황 정보를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연동하여 공급망 관리를 활용해서 발주로 연결하며,
    재고 현황, 반입 현황, 불출 현황, 반입 이력, 불출 이력, 안전재고 현황 및 위치별 재고를 관리하고, 각 정보에 대해 조회해서 관리자 단말이나 작업자 단말에 조회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및 통계 분석부는
    자재 입고 정보와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입고 및 출고 정보, 작업자별 입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고,
    자재 입고 통계, 자재 출고 통계, 로트별 입고 통계, 로트별 출고 통계 정보의 조회, 작업자 통계 정보, 재고 부족 통계, 반입 자재 통계, 설비 가동 분석 정보 및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 통계 분석 정보를 조회하며,
    자재에 대한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기간별 입고정보와 출고정보, 통계 정보, 기간별 자재 로트별 입고 정보와 출고 정보에 대한 통계를 조회하고,
    작업자별 입출고 처리이력 및 기간별 입출고 처리 이력과 자재별 부족 현황에 대한 이력 정보, 반입 자재에 대해 기간별로 정보를 조회하며,
    창고의 가동이 이루어진 이력 정보와 가동 분석 결과, 창고에서 자재가 입출고된 건수 및 수량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조 실행 시스템 및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부 인터페이스,
    바코드 스캐너와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
    상기 내부 및 외부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및
    관리자 단말 및 작업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 관리 및 보안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및 보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고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재고 관리 서버의 자재 관리부에서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해서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이용해서 입고할 자재를 검수해서 입고 처리하는 단계,
    (b) 재고 및 통계 분석에서 자재 입고 정보와 로트별 입고 정보, 작업자별 입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등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재고 관리 서버에서 자재 출고 시, 출고 예약 리스트를 스캔하고, 스캔된 리스트에 포함된 부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부품을 색출하는 단계,
    (d) 자재 관리부에서 출고된 자재를 출고 처리하고, 출고 정보를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며, 불출된 자재 중에 반입이 이루어지는 자재에 대한 정보를 반입 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재고 및 통계 분석부는 자재 출고 정보, 로트별 출고 정보, 작업자별 출고 이력 정보, 재고 부족 정보, 반입 자재 정보, 설비 가동 정보, 출고 건수와 출고 시간에 대해 통계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자재 관리부는 입고할 자재를 크기에 따라 대물, 중물, 소물로 구분하고, 구분된 크기별로 지정된 선반 및 선반의 지정된 단에 보관하도록, 보관 위치를 선정하며,
    대물 자재는 자동 이동 장치에 의해 선정된 위치로 이동되고,
    중물 자재는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규격으로 표준화된 자재 용기에 적재된 상태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f) 관리자 단말 또는 작업자 단말은 상기 재고 관리 서버에 접속해서 자재의 재고 현황을 조회해서 관리하거나, 재고 현황을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방법.
KR1020210040657A 2021-03-29 2021-03-29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5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57A KR20220135083A (ko) 2021-03-29 2021-03-29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57A KR20220135083A (ko) 2021-03-29 2021-03-29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83A true KR20220135083A (ko) 2022-10-06

Family

ID=8359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657A KR20220135083A (ko) 2021-03-29 2021-03-29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0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7697A (zh) * 2023-04-23 2023-05-26 长沙智医云科技有限公司 医用耗材的库存数据管理系统
KR102591580B1 (ko) * 2023-04-14 2023-10-19 진부현 공사 계획 정보 분석 기반 공사용 볼트의 수요 예측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43273B1 (ko) * 2023-08-16 2024-03-05 신동옥 스마트폰을 통한 라벨링 물류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276B1 (ko) 1995-12-26 2001-01-15 남정현 무인 자동화 창고 시스템
KR20060070708A (ko)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형 자동 창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276B1 (ko) 1995-12-26 2001-01-15 남정현 무인 자동화 창고 시스템
KR20060070708A (ko)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형 자동 창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80B1 (ko) * 2023-04-14 2023-10-19 진부현 공사 계획 정보 분석 기반 공사용 볼트의 수요 예측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167697A (zh) * 2023-04-23 2023-05-26 长沙智医云科技有限公司 医用耗材的库存数据管理系统
CN116167697B (zh) * 2023-04-23 2023-07-04 长沙智医云科技有限公司 医用耗材的库存数据管理系统
KR102643273B1 (ko) * 2023-08-16 2024-03-05 신동옥 스마트폰을 통한 라벨링 물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stodio et al. Flexible automated warehouse: a literature review and an innovative framework
KR20220135083A (ko)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669763B2 (en) Methods and system for managing stock
US9626714B2 (en) Laser mobile put wall
KR101869896B1 (ko) 물품 자동분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50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r Delivery of Retail Products
CN112488615A (zh) 仓库进出库及盘点管理方法
JP6996977B2 (ja) 入出庫管理システム、入出庫管理方法、入出庫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652547A (zh) 一种物流集运方法与系统
US1164858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order sortation systems
US11767169B2 (en) Warehousing systems and methods
US202101336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nline product orders
Dudziak et al. Flow of goods in the warehouse management systems-problem analysis
CN111683882B (zh) 拣选支援系统及支援方法
US11485578B2 (en) Utilization of multiple order sortation systems
Rimien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WAREHOUSE.
CN114565333A (zh) 一种仓库的物品管理方法和装置
KR20220074313A (ko) Ai 기반 지능형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Chayaphum et al. The Optimal Number of Reach Trucks and Order Picker Trucks in Warehouse Determining Using Simulation
US20210241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JPH06211321A (ja) 物流センターの保管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H06183526A (ja) 物流センターの棚卸システムとその方法
US20240043212A1 (en) Automated Robotic Replenishment System
CN117933639A (zh) 一种智能金库综合管理平台
Makhkamov et al. Designing an efficient automated material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