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164A -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164A
KR20220134164A KR1020210039469A KR20210039469A KR20220134164A KR 20220134164 A KR20220134164 A KR 20220134164A KR 1020210039469 A KR1020210039469 A KR 1020210039469A KR 20210039469 A KR20210039469 A KR 20210039469A KR 20220134164 A KR20220134164 A KR 2022013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ireless device
air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738B1 (ko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지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지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21003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는 내부에 무선기기가 장착되는 챔버, 챔버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부, 챔버로부터 전면부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전면부에 연결되어 상면에 무선기기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챔버 내부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무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 챔버 내부로 미세분진을 공급하는 분진공급부, 및 챔버 내부에서 개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에어젯을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레이트는 챔버에 내장된 상태에서 에어분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이 관통 형성된다.

Description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Wireless device inspection device with safety function}
본 발명은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는, 통신 연결을 위하여 직렬 포트와 USB 포트 및 GPIB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가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와,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단말기 성능 검사장치의 기본 설정 상태를 읽어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설정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시험조건 설정수단과, 통신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와 연결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성능 측정 조건을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시험 진행 요청에 따라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시험을 진행하는 시험 개별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검사장치는 외부 전파를 차단하는 기능만 있을 뿐, 다양한 환경을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무선기기의 성능을 시험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최근 개발되는 무선기기들은 정밀도가 향상되면서 미세한 외부 환경 변화에도 성능에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구현된 환경조건에 의해 작업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2006-0133657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환경 조건을 구현하여 무선기기의 성능을 시험하면서도 작업자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에게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무선기기가 장착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부;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전면부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어 상면에 상기 무선기기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챔버 내부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 상기 챔버 내부로 미세분진을 공급하는 분진공급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서 개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에어젯을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챔버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분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챔버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에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젯을 상기 슬릿을 향하여 분사하는 제1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제1분사구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되 상기 챔버 내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젯을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제2분사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젯은 상기 미세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개방부에 대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는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는 무선기기가 수용되는 챔버 내에 미세분진, 온도 및 습도 등의 다양한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동시에 환경 조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성능 시험자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에서 다양한 환경 조건을 조절할 수 있어, 무선기기가 실제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무선기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이 높은 시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부가 챔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수용된 무선기기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성능 시험 전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통신 성능 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통신 성능 시험이 완료된 후 무선기기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는 무선기기의 제조 또는 수리 후 정상적으로 동작 및 기능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시험을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전파가 완전히 차단되어 무선 전파에 의한 성능 시험이 구현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차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기기라 함은, 휴대 가능한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는 전면부가 챔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수용된 무선기기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1)는 챔버(10), 전면부(20), 구동유닛(30), 플레이트(40), 실링부(50), 통신모듈(60), 에어분사부(70), 분진공급부(80), 및 온습도조절부(90)를 포함한다.
챔버(10)는 일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무선기기(도 3의 A 참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10a)이 형성될 수 있다. 챔버(10)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10a)은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챔버(10)가 장방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챔버(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0)는 정방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공간(10a)은 전면부(20)에 의해 개폐된다.
전면부(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상의 부재로,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부(20)가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에 밀착되면, 내부공간(10a)이 밀폐되며, 반대로, 전면부(20)가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으로부터 이탈되면, 내부공간(10a)이 개방된다. 전면부(20)가 챔버(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10a)에 수용된 무선기기(A)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20)는 구동유닛(3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구동유닛(30)은 일 측이 챔버(1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전면부(20)에 연결되어 챔버(10)와 전면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가 신축되어 전면부(20)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30)의 길이가 연장될 경우, 전면부(20)는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으로부터 이탈하여 내부공간(10a)을 개방하고, 구동유닛(30)의 길이가 단축될 경우, 전면부(20)는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에 밀착되어 내부공간(10a)을 밀폐할 수 있다. 구동유닛(30)은 공압 가이드 형태로 형성되며, 가이드(31)와 슬라이더(32)를 포함한다. 가이드(31)는 일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의 부재로, 챔버(10)의 길이 방향(도 1의 y 방향 참조)을 따라 챔버(1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31)는 개방된 일 측이 전면부(2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쌍을 이루어 챔버(1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31)는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챔버(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각각의 가이드(31)는 내부에 슬라이더(32)를 수용한다. 슬라이더(32)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일 측이 전면부(20)에 결합되고 타 측이 가이드(31)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31) 내부로 공기와 같은 유체가 공급되면, 슬라이더(32)가 이동하여 일부가 가이드(3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면부(20)도 슬라이딩 이동하여 내부공간(10a)을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31)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면, 슬라이더(32)가 이동하여 일부가 가이드(31)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면부(20)도 슬라이딩 이동하여 내부공간(10a)을 밀폐할 수 있다.
전면부(20)에는 플레이트(40)가 연결된다. 플레이트(40)는 무선기기(A)가 안착되는 판 상의 부재로, 챔버(10)와 접하는 전면부(20)의 일 면에 연결되어 내부공간(10a)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전면부(20)는 플레이트(4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내부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무선기기(A)가 안착되는 상면의 일 측에 관통구(4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구(40a)는 무선기기(A)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40)에 관통구(40a)가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통신모듈(60)과 무선기기(A) 사이에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어 전파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10)와 전면부(20) 사이에는 실링부(50)가 개재된다. 실링부(50)는 내부공간(10a)을 밀폐하여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챔버(10)와 전면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50)는 탄성이 있는 고무 판재로 형성되어, 챔버(10)의 개방된 전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거나 챔버(10)와 접하는 전면부(2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50)가 내부공간(10a)을 밀폐함으로써, 챔버(10)와 전면부(20)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 전파가 유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챔버(10)는 내부에 복수 개의 통신모듈(60)이 설치된다. 통신모듈(60)은 무선기기(A)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파를 방사시키고, 방사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나 출력 등을 제어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전파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모듈(60)은 종래의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모듈(60)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무선기기(A)가 안착되는 플레이트(40)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되는 통신모듈(60)은 전술한 관통구(40a)와 중첩 배치되어 관통구(40a)를 통해 무선기기(A)에 노출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40)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통신모듈(60)은 무선기기(A)를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신모듈(60)이 플레이트(40)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무선기기(A)와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 높은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에어분사부(70)는 챔버(10)의 내부에서 개방부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부는 전면부(20)가 챔버(10)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플레이트(40)가 슬라이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즉, 개방부는 챔버(10)의 측면 중에서 전면부(20)에 대응하는 측면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분사부(70)는 에어젯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에어분사부(70)에서 분사된 에어젯은 챔버(10) 내에 부유중인 미세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개방부에 대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분진공급부(80)에서 생성되거나 분진공급부(80)에 저장된 미세분진은 금속성의 산란성 먼지 입자로, 통신모듈(60)에서 방사된 전파를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세분진이 작업자에게 노출될 경우, 각종 호흡기 질환, 피부 질환, 안구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에어분사부(70)는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이 끝난 후 챔버(10) 외부로 배출시 미세분진을 차단하여 이를 방지한다.
이에 의해, 에어젯은 챔버(10)에 내장된 무선기기(A) 측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전면부(20)가 개방부를 개방하는 경우, 미세분진이 챔버(10)의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분진의 유출로 인한 성능 시험자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무선기기 검사장치(1)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분사부(70)는 제1분사구(70a) 및 제2분사구(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구(70a)는 전면부(20)가 챔버(10)의 개방부에 완전히 밀착되어 플레이트(40)가 챔버(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슬릿(71)에 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분사구(70a)는 에어젯을 슬릿(71)을 향하여 분사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40)는 에어분사부(70)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7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부(20)가 챔버(10)의 개방부에 완전히 밀착되면, 플레이트(40)는 챔버(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에어분사부(70)에 수직 하부 위치에 슬릿(7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릿(71)을 통하여 에어분사부(70)에서 분사된 에어젯(S1)은 플레이트(40)에 부딪혀 챔버(10)의 내측으로 반사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될 수 있다.
제2분사구(70b)는 제1분사구(70a)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분사구(70b)는 챔버(10) 내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분사구(70b)는 에어젯(S2)을 플레이트(40)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무선기기(A) 측을 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분사구(70b)에서 분사되는 에어젯(S2)은 제1분사구(70a)에서 분사되는 에어젯(S1)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분사구(70b)에서 분사되는 에어젯(S2)은 챔버(10)의 개방부에 대하여 사선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챔버(10) 내의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분사구(70b)에서 분사되는 에어젯(S2)은 플레이트(40)에 의해 반사되어 챔버(10)의 내측으로 향하여 챔버(10) 내의 미세분진이 챔버(10) 내에서 부유하게 한다. 따라서 제2분사구(70b)에서 분사되는 에어젯(S2)은 챔버(10) 내에서 미세분진이 일정한 농도로 부유하게 함으로써, 미세분진에 의한 무선기기(A)의 성능 측정의 신뢰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챔버(10)의 일 측에는 분진공급부(80)가 연결될 수 있다. 분진공급부(80)는 챔버(10) 내부, 즉, 내부공간(10a)에 미세분진을 공급하여 미세분진의 농도가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챔버(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진공급부(80)는 내부공간(10a) 내부로 다량의 미세분진을 공급하여 미세분진의 농도가 높은 환경 조건을 구현하거나, 내부공간(10a) 내부로 소량의 미세분진을 공급하여 미세분진의 농도가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분진공급부(80)가 내부공간(10a)에 미세분진을 공급함으로써, 미세분진의 농도가 높거나 낮은 환경 조건에서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분진공급부(80)는 미세분진을 생성하는 장치이거나 다량의 미세분진이 저장된 탱크일 수 있으며, 챔버(10) 내부에 설치된 분진농도측정센서(81)와 연동되어 내부공간(10a) 내부의 미세분진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공급부(80)가 챔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배관을 통해 내부공간(10a)과 연통되어 미세분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챔버(10)와 전면부(20) 사이에는 실링부(50)가 개재되므로, 내부공간(10a) 내부로 공급된 미세분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10)의 일 측에는 온습도조절부(90)가 연결될 수 있다. 온습도조절부(90)는 챔버(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온도와 습도가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챔버(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온습도조절부(90)는 공기공급부(91)와 수분공급부(92)를 포함한다.
공기공급부(91)는 내부공간(10a)의 온도를 조절하여 온도가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내부공간(10a)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공급부(91)는 가열된 공기를 내부공간(10a) 내부로 공급하여 온도가 높은 환경 조건을 구현하거나, 냉각된 공기를 내부공간(10a) 내부로 공급하여 온도가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91)가 내부공간(10a)의 내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온도라 높거나 낮은 환경 조건에서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공급부(91)는 공기를 가열 및 냉각하는 장치이거나, 가열된 공기 및 냉각된 공기가 저장된 탱크일 수 있으며, 챔버(10) 내부에 설치된 온도측정센서(91c)와 연동되어 내부공간(10a)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91)가 챔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공기분사관(91a)을 통해 내부공간(10a)과 연통되어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분사관(91a)은 내부공간(10a)과 연통되는 단부에 분사노즐(91b)이 설치되며, 분사노즐(91b)을 통해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챔버(10)와 전면부(20) 사이에는 실링부(50)가 개재되므로, 내부공간(10a)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분공급부(92)는 내부공간(10a)의 습도를 조절하여 습도가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내부공간(10a) 내부로 수분을 무화(霧化)하여 분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공급부(92)는 내부공간(10a) 내부로 다량의 수분을 분무하여 습도가 높은 환경을 구현하거나, 내부공간(10a) 내부로 소량의 수분을 분무하여 습도가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수분공급부(92)가 내부공간(10a)에 수분을 무화하여 분무함으로써, 습도가 높거나 낮은 환경 조건에서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분공급부(92)는 챔버(10) 내부에 설치된 습도측정센서(92a)와 연동되어 내부공간(10a)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공급부(92)가 챔버(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배관을 통해 내부공간(10a)과 연통되어 수분을 분무할 수 있다. 이 때, 챔버(10)와 전면부(20) 사이에는 실링부(50)가 개재되므로, 내부공간(10a) 내부로 공급된 수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분진공급부(80)는 공기공급부(91)의 공기분사관(91a)과 연결되어, 공기공급부(91)의 분사노즐(91b)을 통하여 미세분진을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진공급부(80)에서 공급되는 미세분진은 공기분사관(91a)을 유동하는 공기에 혼합되어 분사노즐(91b)을 통해 공기와 함께 내부공간(10a)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미세분진이 공기에 혼합되어 내부공간(10a)에 분사됨으로써, 무선기기(A)가 실제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분진공급부(80)는 내부공간(10a)이 부압(負壓)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미세분진을 공급할 수 있다. 분진공급부(80)가 내부공간(10a)이 부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미세분진을 공급함으로써, 펌프와 같은 별도의 가압장치 없이도 미세분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가압장치가 생략됨에 따라 장치 구성이 간단해지고 설치 및 유지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수분공급부(92)가 수분을 분무한 후 내부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낮춰 내부 온도를 이슬점 아래로 유지시키도록 압력조절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분이 분무된 후 내부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낮춰 내부 온도를 이슬점 아래로 유지시킴으로써, 내부공간(10a) 내부에 수용된 공기 중의 수분이 서로 엉기며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안개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공간(10a) 내부에 안개가 형성됨으로써, 무선기기(A)가 실제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어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1)는 무선기기(A)가 수용되는 내부공간(10a)의 미세분진,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무선기기(A)가 실제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무선기기(A)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이 높은 시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성능 시험 전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통신 성능 시험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의 통신 성능 시험이 완료된 후 무선기기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무선기기(A)의 성능 시험 전, 내부공간(10a)의 내부 조건이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무선기기(A)는 플레이트(40)의 상면에 관통구(40a)와 중첩되게 안착되며, 플레이트(40)와 연결된 전면부(20)는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에 밀착되어 내부공간(10a)을 밀폐한다. 이 때, 챔버(10)와 전면부(20)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50)는 내부공간(10a)을 완전히 밀폐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와 미세분진의 농도를 조절하여 성능 시험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10a)이 밀폐된 상태에서 분진공급부(80)와 공기공급부(91)가 동작할 수 있다. 분진공급부(80)는 내부공간(10a)이 부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챔버(10) 내부로 미세분진을 공급하며, 공기공급부(91)는 챔버(10) 내부로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분진공급부(80)는 공기분사관(91a)에 연결되므로, 미세분진과 공기는 분사노즐(91b)을 통하여 함께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미세분진과 함께 다량의 가열된 공기가 공급될 경우, 온도와 미세분진의 농도가 모두 높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미세분진과 함께 소량의 냉각된 공기가 공급될 경우, 온도와 미세분진의 농도가 모두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분진공급부(80)는 챔버(10) 내부에 설치된 분진농도측정센서(81)와 연동하여 공급되는 미세분진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기공급부(91)는 온도측정센서(91c)와 연동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에어분사부(70)는 에어젯(S1,S2)에 의해 챔버(10)의 개방부 부근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세분진은 챔버(10) 내에서 균일하게 부유하는 동시에 외부로의 방출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압력과 습도를 조절하여 성능 시험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부(미도시)와 수분공급부(92)가 동작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미도시)는 압축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여 내부공간(10a)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며, 수분공급부(92)는 내부공간(10a) 내부로 수분을 무화하여 분무할 수 있다. 이 때, 수분공급부(92)가 수분을 분무한 후에 압력조절부(미도시)가 내부공간(10a) 내부의 압력을 낮춰 내부 온도를 이슬점 아래로 유지시킬 경우, 안개가 낀 것과 같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도 있다. 압력조절부(미도시)는 압력측정센서(미도시)와 연동하여 압축 공기의 공급 또는 배출량을 조절하며, 수분공급부(92)는 습도측정센서(92a)와 연동하여 분무되는 수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무선기기(A)가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유사하게 환경 조건이 구현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60)이 동작할 수 있다. 통신모듈(60)은 복수 개가 플레이트(40)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므로,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무선기기(A)와 전파를 송수신하며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기기(A)는 플레이트(40)의 상면에 관통구(40a)와 중첩되게 안착되므로, 플레이트(40)의 하부에 위치한 통신모듈(60)과도 전파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성능 시험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30)이 연장되며 전면부(20)와 플레이트(4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면부(20)와 플레이트(4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공간(10a)이 개방되며, 무선기기(A)는 챔버(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내부공간(10a)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에어젯(S1, S2)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에 의해 챔버(10) 내의 미세먼지는 챔버(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에어젯(S1, S2)에 의해 챔버(10) 외부로 배출되는 무선기기(A)의 표면으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분사부(70)는 무선기기(A)를 챔버(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전면부(20)와 플레이트(40)의 수평 이동을 하기 직전에 에어젯(S1, S2)을 분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에어분사부(70)는 무선기기(A)가 통신 시험 중에도 챔버(10) 내에서 미세분진이 부유하도록 에어젯(S1, S2)을 분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분사부(70)는 무선기기(A)의 통신 시험 중에는 에어젯(S1, S2)만을 분사하고, 무선기기(A)를 챔버(10) 외부로 배출하기 직전에는 에어젯(S1, S2)을 모두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10: 챔버
10a: 내부공간 20: 전면부
30: 구동유닛 31: 가이드
32: 슬라이더 40: 플레이트
40a: 관통구 50: 실링부
60: 통신모듈 70 : 에어분사부
70a : 제1분사구 70b : 제2분사구
71 : 슬릿 80: 분진공급부
81: 분진농도측정센서 90: 온습도조절부
91: 공기공급부 91a: 공기분사관
91b: 분사노즐 91c: 온도측정센서
92: 수분공급부 92a: 습도측정센서
A: 무선기기

Claims (5)

  1. 내부에 무선기기가 장착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부;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전면부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어 상면에 상기 무선기기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챔버 내부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
    상기 챔버 내부로 미세분진을 공급하는 분진공급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서 개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에어젯을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챔버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분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챔버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에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젯을 상기 슬릿을 향하여 분사하는 제1분사구를 포함하는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제1분사구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되 상기 챔버 내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지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에어젯을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제2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젯은 상기 미세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개방부에 대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KR1020210039469A 2021-03-26 2021-03-26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KR10262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69A KR102626738B1 (ko) 2021-03-26 2021-03-26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69A KR102626738B1 (ko) 2021-03-26 2021-03-26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64A true KR20220134164A (ko) 2022-10-05
KR102626738B1 KR102626738B1 (ko) 2024-01-18

Family

ID=8359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469A KR102626738B1 (ko) 2021-03-26 2021-03-26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7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34A (ko) * 1998-06-23 2000-01-15 윤종용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반도체 제조용 확산설비 및 이를 제어하는방법
KR20060133657A (ko) 2005-06-21 2006-12-27 (주) 엠플로 이동통신단말기 성능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5140A (ko) * 2011-09-29 2013-04-08 (주)해피글로벌솔루션 케미컬 확산 방지 에어커튼 시스템
KR101938195B1 (ko) * 2017-11-06 2019-01-15 (주)지엠더블유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34A (ko) * 1998-06-23 2000-01-15 윤종용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반도체 제조용 확산설비 및 이를 제어하는방법
KR20060133657A (ko) 2005-06-21 2006-12-27 (주) 엠플로 이동통신단말기 성능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5140A (ko) * 2011-09-29 2013-04-08 (주)해피글로벌솔루션 케미컬 확산 방지 에어커튼 시스템
KR101938195B1 (ko) * 2017-11-06 2019-01-15 (주)지엠더블유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738B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195B1 (ko)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KR101824453B1 (ko)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KR101445589B1 (ko) 액재 도포 장치
KR101173240B1 (ko) 창호 성능 시험장치
KR20220134164A (ko)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JP2018072140A (ja) 環境試験装置
CN108747000A (zh) 一种多功能激光精密加工设备
JP5758546B2 (ja) マニホールドユニット及びそれを使った定流量型リークテスタ
JP2016050802A (ja) 打音検査用打撃装置
KR102433105B1 (ko) 대류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CN107490938B (zh) 光阻涂布设备及涂布方法
US9099210B2 (en) Radioactive sludge transfer apparatus
KR20160041871A (ko) 레이저를 이용한 소재의 건조 소결장치 및 방법
KR101220749B1 (ko) 공기 튜브 방식의 모래 또는 먼지 주입장치인 가스터빈엔진의 시험장치
CN112004641B (zh) 用于喷丸处理的介质计量器及其使用方法和制作方法
CN107941175B (zh) 一种内环槽棱边当量圆角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12110579U (zh) 航空发动机预膜雾化液膜测量装置及试验系统
KR20180049557A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CN112304559B (zh) 天然气流场测试系统
CN112304823A (zh) 一种基于通道内水雾粒径测试的位置控制和移动密封装置
JP2016050801A (ja) マーキング機能付き打音検査用打撃装置、打音検査システム及びマーキング方法
FI127652B (fi) Polttoaineinjektorin tai polttoaineenruiskutussuuttimen tarkastamiseen tarkoitettu laite
KR20200094268A (ko)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KR101976477B1 (ko) 마킹 수단을 가진 플로어 스캐너
KR200355827Y1 (ko) 비접촉 분사방식의 마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