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268A -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268A
KR20200094268A KR1020190011535A KR20190011535A KR20200094268A KR 20200094268 A KR20200094268 A KR 20200094268A KR 1020190011535 A KR1020190011535 A KR 1020190011535A KR 20190011535 A KR20190011535 A KR 20190011535A KR 20200094268 A KR20200094268 A KR 20200094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g nozzle
water
air fo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환
송영일
이형민
성기영
오화균
김진현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진현
성기영
오화균
송영일
이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진현, 성기영, 오화균, 송영일, 이형민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4268A/ko
Publication of KR2020009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포그 노즐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그와,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에어 및 물을 공급하여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에 형성되며 상기 검사부가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검사부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에어포그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Automatic inspection system for Air fog nozzle}
본 발명은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포그 노즐을 장착하면 자동으로 공기와 물을 공급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검사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 축사 등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단절된 폐쇄 공간이기 때문에 양육하는 식물이나 동물의 성장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실내 환경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
에어포그 노즐은 온실의 실내 습도 및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거나 온실 또는 축사를 약품 방제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에어포그 노즐을 이용한 방제는 인력을 사용할 때보다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약제로 인한 인명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232340호는 에어포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1)와 에어공급구(2)와 노즐구(3)가 각각 마련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어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하여 노즐구로 공급하기 위한 액압조정부(20)와, 하우징 내부로 공급되는 물과 에어를 혼합하여 노즐구(3)를 통해 미세 물방울을 분사하기 위한 기액혼합부(30)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액압조정부가 급수되는 액체의 압력에 관계없이 액체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노즐로 공급되어 잔수가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작업자가 노즐에 검사 장치를 수동으로 연결시킨 후 고압의 물과 에어를 공급하여 노즐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검사하게 되므로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의 실수로 물과 에어를 공급하는 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23234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포그 노즐을 자동으로 검사함으로써 검사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포그 노즐의 동작유무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치적으로 기록할 수 있어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는 에어포그 노즐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그와,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에어 및 물을 공급하여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에 형성되며 상기 검사부가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검사부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에어포그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상기 검사부는 상기 에어포그 노즐의 워터공급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물펌프를 통해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커넥터와, 상기 에어포그 노즐의 에어공급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에어콤프레셔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커넥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상기 검사부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검사부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워터커넥터를 상기 에어포그 노즐을 향해 이송시키는 워터실린더와, 상기 검사부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커넥터를 상기 에어포그 노즐을 향해 이송시키는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상기 검사부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상기 지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대를 통해 상부를 가압하는 고정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커넥터를 상기 에어포그 노즐 방면으로 이송시키는 고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상기 검사부는 상기 지그는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형성된 워터공급관 및 에어공급관이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부에서 공급되는 에어 및 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의하면, 에어포그 노즐을 자동으로 검사함으로써 검사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의하면, 에어포그 노즐의 동작유무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치적으로 기록할 수 있어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에어포그 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를 통해 에어포그 노즐을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내부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회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포그 노즐을 장착하면 자동으로 공기와 물을 공급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검사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를 통해 에어포그 노즐을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의 내부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는 에어포그 노즐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그(200)와, 에어포그 노즐에 에어 및 물을 공급하여 에어포그 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300)와, 검사부(300)에 형성되며 검사부(300)가 에어포그 노즐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구동부(400)와, 검사부(300) 및 구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에어포그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검사부(300)는 에어포그 노즐의 워터공급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물펌프를 통해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커넥터(310)와, 에어포그 노즐의 에어공급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에어콤프레셔(130)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커넥터(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400)는 검사부(300)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커넥터(310)와 연결되어 워터커넥터(310)를 에어포그 노즐을 향해 이송시키는 워터실린더(410)와, 검사부(300)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커넥터(320)와 연결되어 에어커넥터(320)를 에어포그 노즐을 향해 이송시키는 에어실린더(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그(200)는 에어포그 노즐에 형성된 워터공급관 및 에어공급관이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에어포그 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핀(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검사체(10)인 에어포그 노즐은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의 수평부분 일측에는 포그 형태로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워터공급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검사체(10)의 T자로 된 하단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이 형성되어 있어 고압의 에어와 물이 동시에 공급되면서 피검사체(10)의 상단 일측에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지그(200)는 이러한 피검사체(10)를 안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 방면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고정핀(210) 피검사체(1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210)을 통해 피검사체(10)는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되며 고정핀(2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검사체(10)에 형성된 에어공급관과 워터공급관에 검사부(300)가 밀착되면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검사부(300)는 피검사체(10)에 에어와 물을 공급함으로써 피검사체(10)에서 분사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400)에 의해 피검사체(10)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검사부(300)는 피검사체(10)의 워터공급관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물펌프를 통해 가압된 물을 워터공급관에 공급하는 워터커넥터(310)와, 피검사체(10)의 에어공급관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에어콤프레셔(130)를 통해 가압된 공기를 에어공급관에 공급하는 에어커넥터(320)로 이루어져 있다.
워터커넥터(310)와 에어커넥터(320)는 각각 물과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측면에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니플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워터공급관과 에어공급관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워터커넥터(310)와 에어커넥터(320)는 지그(200)에 안착된 피검사체(10)가 교체될 때마다 피검사체(10)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므로 구동부(400)에 의해 피검사체(10) 방면 또는 피검사체(10)의 반대 방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워터커넥터(310)와 에어커넥터(320)가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부(400)와 연동되어 구동부(400)에 의해 동작되게 되며, 구동부(400)에는 워터실린더(410)와 에어실린더(420)가 각각 워터커넥터(310)와 에어커넥터(320)의 후면에 위치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워터커넥터(310)와 에어커넥터(320)를 이송시키게 된다.
워터실린더(410)와 에어실린더(420)는 모두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동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압이 공급되는 포트에 따라 워터커넥터(310) 및 에어커넥터(320)가 피스톤에 의해 전진되면서 피검사체(1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부(400)는 에어포그 노즐이 지그(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대(432)를 통해 상부를 가압하는 고정커넥터(431)와, 고정커넥터(431)와 연결되어 고정커넥터(431)를 에어포그 노즐 방면으로 이송시키는 고정실린더(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커넥터(431)는 T자 형으로 형성된 피검사체(1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커넥터(320)의 전면에는 피검사체(10)가 상부 방향으로 들려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대(43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커넥터(431)의 후면에는 공압에 의해 동작되는 고정실린더(430)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커넥터(431)를 피검사체(10) 방면으로 전진시켜 지지대(432)가 피검사체(10)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피검사체(10)에 에어 및 물이 고압으로 공급되어 분사노즐에서 고압으로 분사될 때 발생하는 반작용에 의해 피검사체(10)가 지그(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00)는 검사부(300) 및 구동부(40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피검사체(10)를 검사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제어스위치(140)가 구비되고 제어스위치(140)의 동작 여부에 따라 검사부(300) 및 구동부(400)가 설정된 시퀀스대로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검사부(300)에서 공급되는 에어 및 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에어포그 노즐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압력센서(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센서(110)는 워터펌프(120) 및 에어콤프레셔(130)에서 공급되는 에어 및 물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제어부(100)는 압력센서(110)를 통해 피검사체(10)에 에어 및 물이 공급되었을 때 발생되는 압력이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00)는 정상적으로 분사되는 에어포그 노즐에 에어 및 물을 공급하였을 때 발생하는 압력을 사전에 미리 설정하고 피검사체(10)에서 발생되는 압력값을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함으로써 피검사체(10)의 이상 유무를 압력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정된 압력값을 기준으로 오차범위를 설정하여 피검사체(10)에서 발생하는 압력값이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양품으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에 의하면, 에어포그 노즐을 자동으로 검사함으로써 검사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에어포그 노즐의 동작유무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수치적으로 기록할 수 있어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피검사체
100 : 제어부
110 : 압력센서
120 : 워터펌프
130 : 에어콤프레셔
140 : 제어스위치
200 : 지그
210 : 고정핀
300 : 검사부
310 : 워터커넥터
320 : 에어커넥터
400 : 구동부
410 : 워터실린더
420 : 에어실린더
430 : 고정실린더
431 : 고정커넥터
432 : 지지대

Claims (6)

  1. 에어포그 노즐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그와;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에어 및 물을 공급하여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에 형성되며 상기 검사부가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검사부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에어포그 노즐의 동작 상태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에어포그 노즐의 워터공급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물펌프를 통해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커넥터와;
    상기 에어포그 노즐의 에어공급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에 형성된 에어콤프레셔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커넥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검사부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워터커넥터를 상기 에어포그 노즐을 향해 이송시키는 워터실린더와;
    상기 검사부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커넥터를 상기 에어포그 노즐을 향해 이송시키는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상기 지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대를 통해 상부를 가압하는 고정커넥터와;
    상기 고정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커넥터를 상기 에어포그 노즐 방면으로 이송시키는 고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에어포그 노즐에 형성된 워터공급관 및 에어공급관이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부에서 공급되는 에어 및 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에어포그 노즐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KR1020190011535A 2019-01-30 2019-01-30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KR20200094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35A KR20200094268A (ko) 2019-01-30 2019-01-30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35A KR20200094268A (ko) 2019-01-30 2019-01-30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268A true KR20200094268A (ko) 2020-08-07

Family

ID=7205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535A KR20200094268A (ko) 2019-01-30 2019-01-30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42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40B1 (ko) 2012-08-13 2013-02-13 이영오 에어포그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40B1 (ko) 2012-08-13 2013-02-13 이영오 에어포그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816B1 (ko) 불활성 기체 공급 설비 및 불활성 기체 공급 방법
CN107743572B (zh) 湿空气形成装置、包括其的检查装置及检查方法
CN108355921A (zh) 一种点胶检测一体机及其点胶检测方法
JP5902836B2 (ja) 搬送装置、部品実装装置および把持具
KR102186620B1 (ko) 로드 포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로딩 방법
KR20200094268A (ko) 에어포그 노즐 자동 검사 장치
KR20210017678A (ko) 살수용 드론 시스템
TW201917393A (zh) 具防結露單元之測試裝置及其應用之測試分類設備
KR101938195B1 (ko)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CN108414158B (zh) 一种用于油箱密封测试的自动保压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1824453B1 (ko)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CN110618127B (zh) 一种核酸探针检测农药自动变色的装置
KR101326171B1 (ko)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JPH11155389A (ja) 栽培ハウス用細霧冷房装置
CN113720762B (zh) 一种自动防水测试与风干的设备及测试方法
CN110082627A (zh) 一种用于对空调进行电性检测的工装
KR100436698B1 (ko) 소방차의 폼 방사장치
US11585720B2 (en) Device for inspecting waterproofness
KR101626475B1 (ko) 기판 검사 장치
JP6397393B2 (ja) 環境診断システム
KR102433105B1 (ko) 대류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CN208162092U (zh) 气体喷射机构以及分选装置
KR102626738B1 (ko)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US5233937A (en) Ballast tank internal gas controlling type tanker
TW202005903A (zh) 自動槽充對接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