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195B1 -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195B1
KR101938195B1 KR1020170146809A KR20170146809A KR101938195B1 KR 101938195 B1 KR101938195 B1 KR 101938195B1 KR 1020170146809 A KR1020170146809 A KR 1020170146809A KR 20170146809 A KR20170146809 A KR 20170146809A KR 101938195 B1 KR101938195 B1 KR 10193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accommodation space
fine dus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지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지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7014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는, 내부에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본체부와 덮개부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가 신축되어 덮개부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실린더유닛과, 덮개부에 연결되어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 안착된 전자기기와 중첩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며, 플레이트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과, 본체부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하는 분진주입부, 및 본체부 내부로 주입된 미세분진을 흡입하는 소기유닛을 포함하되,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통신모듈은 관통구를 통하여 전자기기에 노출되고, 소기유닛은 수용공간이 개방되면 미세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Shield Box}
본 발명은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환경 조건을 구현하여 전자기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제조 또는 수리 후 정상적으로 동작 및 기능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무선 전파에 의한 성능 시험을 거치게 된다. 이 때, 외부 전파의 간섭으로 인한 측정 오차를 줄이고 보다 신뢰성 높은 시험 결과 값을 얻기 위해, 외부 전파가 완전히 차단된 전파 무향실(전파 암실)이라 칭해지는 대형의 특수한 방이나 전파 차폐 상자(실드박스, shield box)라 칭해지는 상자의 내부에서 성능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파 무향실이나 전파 차폐 상자는 외부 전파를 차단하는 기능만 있을 뿐, 다양한 시험 조건, 예를 들어, 온도가 매우 높거나 낮은 상황, 습도가 매우 높거나 낮은 상황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전자기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최근 개발되는 전자기기들은 정밀도가 향상되면서 미세한 외부 환경 변화에도 성능에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다양한 환경 조건을 구현하여 전자기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전자기기 성능 시험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9530호 (2016. 12. 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환경 조건을 구현하여 전자기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는, 내부에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가 신축되어 상기 덮개부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덮개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전자기기와 중첩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과, 상기 본체부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하는 분진주입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로 주입된 상기 미세분진을 흡입하는 소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노출되고, 상기 소기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되면 상기 미세분진을 흡입한다.
상기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는, 상기 소기유닛과 상기 분진주입부를 연결하여, 상기 소기유닛 내부로 흡입된 상기 미세분진을 상기 분진주입부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와,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수분을 무화하여 분무하는 수분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진주입부는 상기 압력조절부가 상기 수용공간을 부압으로 유지한상태에서 상기 미세분진을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가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전자기기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하고 수용공간의 온도, 습도,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전자기기가 실제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전자기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이 높은 시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이 개방되면 소기유닛이 미세분진을 흡입하므로, 작업자가 미세분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는 전자기기의 제조 또는 수리 후 정상적으로 동작 및 기능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테스트를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전파가 완전히 차단되어 무선 전파에 의한 성능 시험이 구현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차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라 함은, 휴대 가능한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는, 덮개부가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전자기기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하고 수용공간의 온도, 습도,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전자기기가 실제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전자기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이 높은 시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이 개방되면 소기유닛이 미세분진을 흡입하므로, 작업자가 미세분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1)는 본체부(10)와, 덮개부(20)와, 실린더유닛(30)과, 플레이트(40)와, 통신모듈(50)과, 분진주입부(60), 및 소기유닛(70)을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일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전자기기(도 4의 A 참조)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a)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측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0a)은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본체부(10)가 장방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본체부(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는 정방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용공간(10a)은 덮개부(20)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부(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상의 부재로,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0)가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에 밀착되면, 수용공간(10a)이 밀폐되며, 반대로, 덮개부(20)가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이탈되면, 수용공간(10a)이 개방된다. 덮개부(20)가 본체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용공간(10a)에 수용된 전자기기(A)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부(20)는 실린더유닛(3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실린더유닛(30)은 일 측이 본체부(10)에 연결되고 타 측이 덮개부(20)에 연결되어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가 신축되어 덮개부(20)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유닛(30)의 길이가 연장될 경우, 덮개부(20)는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수용공간(10a)을 개방하며, 반대로, 실린더유닛(30)의 길이가 단축될 경우, 덮개부(20)는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에 밀착되어 수용공간(10a)을 밀폐할 수 있다. 실린더유닛(30)은 공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실린더(31)와 피스톤(32)을 포함한다.
실린더(31)는 일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의 부재로, 본체부(10)의 길이 방향(도 1의 y 방향 참조)을 따라 본체부(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31)는 개방된 일 측이 덮개부(2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쌍을 이루어 본체부(1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실린더(31)는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본체부(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실린더(31)는 내부에 피스톤(32)을 수용한다. 피스톤(32)은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일 측이 덮개부(20)에 결합되고 타 측이 실린더(31)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31) 내부로 공기와 같은 유체가 주입되면, 피스톤(32)이 이동하여 일부가 실린더(3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덮개부(20)도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공간(10a)을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실린더(31)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면, 피스톤(32)이 이동하여 일부가 실린더(31)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덮개부(20)도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공간(10a)을 밀폐할 수 있다.
덮개부(20)에는 플레이트(40)가 연결된다. 플레이트(40)는 전자기기(A)가 안착되는 판 상의 부재로, 본체부(10)와 접하는 덮개부(20)의 일 면에 연결되어 수용공간(10a)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즉, 덮개부(20)는 플레이트(4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수용공간(10a)을 개폐한다. 플레이트(40)는 전자기기(A)가 안착되는 상면의 일 측에 관통구(40a)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40a)는 플레이트(40)의 상면에 안착된 전자기기(A)와 중첩되며, 전자기기(A)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40)에 관통구(40a)가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통신모듈(50)과 전자기기(A) 사이에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어 전파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에는 밀폐부재(21)가 개재된다. 밀폐부재(21)는 수용공간(10a)을 밀폐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본체부(10)와 덮개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재(21)는 탄성이 있는 고무 판재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거나 본체부(10)와 접하는 덮개부(20)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재(21)가 수용공간(10a)을 밀폐함으로써,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 전파가 유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내부에 복수 개의 통신모듈(50)이 설치된다. 통신모듈(50)은 전자기기(A)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파를 방사시키고, 방사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나 출력을 제어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전파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모듈(50)은 종래의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모듈(50)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40)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되는 통신모듈(50)은 전술한 관통구(40a)를 통하여 전자기기(A)에 노출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40)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통신모듈(50)은 전자기기(A)를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신모듈(50)이 플레이트(40)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전자기기(A)와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 높은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체부(10)의 일 측에는 분진주입부(60)가 연결된다.
분진주입부(60)는 본체부(10) 내부, 즉, 수용공간(10a)에 미세분진을 주입하여 미세분진의 농도가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본체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진주입부(60)는 수용공간(10a) 내부로 다량의 미세분진을 주입하여 미세분진의 농도가 높은 환경 조건을 구현하거나, 수용공간(10a) 내부로 소량의 미세분진을 주입하여 미세분진의 농도가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분진주입부(60)가 본체부(10)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함으로써, 미세분진의 농도가 높거나 낮은 환경 조건에서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분진주입부(60)는 미세분진을 생성하는 장치이거나 다량의 미세분진이 저장된 탱크일 수 있으며,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된 분진농도측정센서(61)와 연동되어 수용공간(10a) 내부의 미세분진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주입부(60)가 본체부(10)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배관을 통해 수용공간(10a)과 연통되어 미세분진을 주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에는 밀폐부재(21)가 개재되므로, 수용공간(10a) 내부로 주입된 미세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일 측에는 소기유닛(70)이 연결된다.
소기유닛(70)은 본체부(10) 내부로 주입된 미세분진을 흡입하는 것으로, 본체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분진주입부(60)에서 생성되거나 분진주입부(60)에 저장된 미세분진은 금속성의 산란성 먼지 입자로, 통신모듈(50)에서 방사된 전파를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세분진이 작업자에게 노출될 경우, 각종 호흡기 질환, 피부 질환, 안구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소기유닛(70)은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이 끝난 후 미세분진을 흡입하여 이를 방지한다. 소기유닛(70)은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이 끝난 직후에 미세분진을 흡입하거나, 수용공간(10a)이 개방되면 미세분진은 흡입할 수 있다. 수용공간(10a)이 개방되면 소기유닛(70)이 미세분진을 흡입하는 경우, 수용공간(10a)의 개방과 소기유닛(70)의 미세분진 흡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소기유닛(70)은 적어도 하나의 흡입펌프(71)를 구비하여 미세분진을 흡입할 수 있으며, 순환관(80)을 통하여 분진주입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순환관(80)은 소기유닛(70)과 분진주입부(60)를 연결하여, 소기유닛(70) 내부로 흡입된 미세분진을 분진주입부(60)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관(80)은 소기유닛(70)에 마련된 흡입펌프(71)에 연결되어 미세분진을 분진주입부(60)로 강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관(80)이 소기유닛(70)과 분진주입부(60)를 연결하여 미세분진을 순환시킴으로써, 미세분진을 재활용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0a)은 압력조절부(90)에 의해 내부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90)는 수용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압력이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본체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조절부(90)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91)를 구비하며, 수용공간(10a) 내부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이 높은 환경 조건을 구현하거나, 수용공간(10a) 내부의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압력이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90)가 수용공간(10a)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거나 낮은 환경 조건에서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는 내부에 압력측정센서(9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압력조절부(90), 특히, 펌프(91)는 압력측정센서(92)와 연동되어 수용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부(90)가 본체부(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펌프(91)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수용공간(10a)과 연통되어 압축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에는 밀폐부재(21)가 개재되므로, 수용공간(10a)이 완전히 밀폐되어 압력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압력조절부(90)가 압축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여 수용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수용공간(10a)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분진주입부(60)는 압력조절부(90)가 수용공간(10a)을 부압(負壓)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미세분진을 주입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10a)은 펌프(91)에 의해 부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분진주입부(60)가 수용공간(10a)이 부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미세분진을 주입함으로써, 펌프와 같은 별도의 가압장치 없이도 미세분진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가압장치가 생략됨에 따라 장치 구성이 간단해지고 설치 및 유지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일 측에는 공기주입부(100)와 수분주입부(110)가 연결될 수 있다.
공기주입부(100)는 수용공간(10a)의 온도를 조절하여 온도가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수용공간(10a)으로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주입부(100)는 가열된 공기를 수용공간(10a)으로 주입하여 온도가 높은 환경 조건을 구현하거나, 냉각된 공기를 수용공간(10a)으로 주입하여 온도가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공기주입부(100)가 수용공간(10a)의 내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온도가 높거나 낮은 환경 조건에서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주입부(100)는 공기를 가열 및 냉각하는 장치이거나, 가열된 공기 및 냉각된 공기가 저장된 탱크일 수 있으며,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된 온도측정센서(101)와 연동되어 수용공간(10a)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부(100)각 본체부(10)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공기분사관(100a)을 통해 수용공간(10a)과 연통되어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공기분사관(100a)은 수용공간(10a)과 연통되는 단부에 분사노즐(100b)이 설치되며, 분사노즐(100b)을 통해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에는 밀폐부재(21)가 개재되므로, 수용공간(10a)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분진주입부(60)는 공기주입부(100)의 공기분사관(100a)과 연결되어, 분사노즐(100b)을 통하여 미세분진을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진주입부(60)에서 공급되는 미세분진은 공기분사관(100a)을 유동하는 공기에 혼합되어 분사노즐(100b)을 통해 공기와 함께 수용공간(10a)으로 분사될 수 있다. 미세분진이 공기에 혼합되어 수용공간(10a)에 분사됨으로써, 전자기기(A)가 실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수분주입부(110)는 수용공간(10a)의 습도를 조절하여 습도가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것으로, 수용공간(10a) 내부로 수분을 무화(霧化)하여 분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주입부(110)는 수용공간(10a) 내부로 다량의 수분을 분무하여 습도가 높은 환경 조건을 구현하거나, 수용공간(10a) 내부로 소량의 수분을 분무하여 습도가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수분주입부(110)가 수용공간(10a)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습도가 높거나 낮은 환경 조건에서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분주입부(110)는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된 습도측정센서(111)와 연동되어 수용공간(10a)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주입부(110)가 본체부(10)와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배관을 통해 수용공간(10a)와 연통되어 수분을 분무할 수 있다.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에는 밀폐부재(21)가 개재되므로, 수용공간(10a) 내부로 주입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압력조절부(90)는 수분주입부(110)가 수분을 분무한 후에 수용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낮춰 내부 온도를 이슬점 아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압력조절부(90)가 수분이 분무된 후 수용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낮춰 내부 온도를 이슬점 아래로 유지시킴으로써, 수용공간(10a) 내부에 수용된 공기 중의 수분이 서로 엉기며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안개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10a) 내부에 안개가 형성됨으로써, 전자기기(A)가 실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1)는 덮개부(20)가 본체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10a)에 수용된 전자기기(A)의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하고 수용공간(10a)의 온도, 습도,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전자기기(A)가 실제로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된 환경 조건에서 전자기기(A)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이 높은 시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0a)이 개방되면 소기유닛(70)이 미세분진을 흡입하므로, 작업자가 미세분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성능 시험 전 환경 조건을 구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성능 시험이 진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성능 시험이 완료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기기(A)의 성능 시험 전, 수용공간(10a) 내부의 조건이 대기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전자기기(A)는 플레이트(40)의 상면에 관통구(40a)와 중첩되게 안착되며, 플레이트(40)와 연결된 덮개부(20)는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에 밀착되어 수용공간(10a)을 밀폐한다. 이 때, 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에 개재된 밀폐부재(21)는 수용공간(10a)을 완전히 밀폐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분진의 농도와 온도를 조절하여 성능 시험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a)이 밀폐된 상태에서 분진주입부(60)와 공기주입부(100)를 동작한다. 분진주입부(60)는 압력조절부(90)에 의해 수용공간(10a)이 부압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본체부(10)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하며, 공기주입부(100)는 본체부(10) 내부로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를 주입한다. 분진주입부(60)는 공기분사관(100a)에 연결되므로, 미세분진은 공기에 혼합되어 분사노즐(100b)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다량의 미세분진과 함께 가열된 공기가 주입될 경우, 미세분진의 농도와 온도가 모두 높은 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량의 미세분진과 함께 냉각된 공기가 주입될 경우, 미세분진의 농도와 온도가 모두 낮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분진주입부(60)는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된 분진농도측정센서(61)와 연동하여 주입되는 미세분진의 양을 조절하며, 공기주입부(100)는 온도측정센서(101)와 연동하여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력과 습도를 조절하여 성능 시험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부(90)와 수분주입부(110)를 동작한다. 압력조절부(90)는 압축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여 수용공간(10a)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고, 수분주입부(110)는 수용공간(10a) 내부로 수분을 무화하여 분무한다. 이 때, 수분주입부(110)가 수분을 분무한 후에 압력조절부(90)가 수용공간(10a) 내부의 압력을 낮춰 내부 온도를 이슬점 아래로 유지시킬 경우, 안개가 낀 것과 같은 환경 조건을 구현할 수도 있다. 압력조절부(90)는 압력측정센서(92)와 연동하여 압축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량을 조절하며, 수분주입부(110)는 습도측정센서(111)와 연동하여 분무되는 수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기기(A)가 사용되는 대기 환경과 유사하게 환경 조건이 구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50)이 동작한다. 통신모듈(50)은 복수 개가 플레이트(40)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므로,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전자기기(A)와 전파를 송수신하며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A)는 플레이트(4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구(40a)와 중첩되게 안착되므로,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된 통신모듈(50)과도 전파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성능 시험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기유닛(70)이 수용공간(10a) 내부의 미세분진을 흡입하며, 흡입된 미세분진은 순환관(80)을 통하여 분진주입부(60)로 순환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유닛(30)이 연장되며 덮개부(20)와 플레이트(4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덮개부(20)와 플레이트(4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용공간(10a)이 개방되며, 전자기기(A)는 본체부(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수용공간(10a)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기유닛(70)이 수용공간(10a) 내부의 미세분진을 흡입한 상태이므로, 수용공간(10a)이 개방되더라도 작업자는 미세분진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10: 본체부 10a: 수용공간
20: 덮개부 21: 밀폐부재
30: 실린더유닛 31: 실린더
32: 피스톤 40: 플레이트
40a: 관통구 50: 통신모듈
60: 분진주입부 61: 분진농도측정센서
70: 소기유닛 71: 흡입펌프
80: 순환관 90: 압력조절부
91: 펌프 92: 압력측정센서
100: 공기주입부 100a: 공기분사관
100b: 분사노즐 101: 온도측정센서
110: 수분주입부 111: 습도측정센서
A: 전자기기

Claims (4)

  1. 내부에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가 신축되어 상기 덮개부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실린더유닛;
    상기 덮개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전자기기와 중첩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상부, 양 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
    상기 본체부 내부로 미세분진을 주입하는 분진주입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로 주입된 상기 미세분진을 흡입하는 소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노출되고,
    상기 소기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되면 상기 미세분진을 흡입하는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기유닛과 상기 분진주입부를 연결하여, 상기 소기유닛 내부로 흡입된 상기 미세분진을 상기 분진주입부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와,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주입하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수분을 무화하여 분무하는 수분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주입부는 상기 압력조절부가 상기 수용공간을 부압으로 유지한상태에서 상기 미세분진을 주입하는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KR1020170146809A 2017-11-06 2017-11-06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KR10193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09A KR101938195B1 (ko) 2017-11-06 2017-11-06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09A KR101938195B1 (ko) 2017-11-06 2017-11-06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195B1 true KR101938195B1 (ko) 2019-01-15

Family

ID=6503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09A KR101938195B1 (ko) 2017-11-06 2017-11-06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63B1 (ko) * 2020-07-10 2021-03-04 주식회사 한테크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 및 상기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에 적용되는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용 범용 패드
KR102433105B1 (ko) * 2021-03-26 2022-08-18 (주)지엠더블유 대류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KR20220134164A (ko) * 2021-03-26 2022-10-05 (주)지엠더블유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2832A (ja) 2013-05-14 2014-11-2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携帯端末試験装置
KR101824453B1 (ko) 2017-10-17 2018-02-01 주식회사 지엠더블유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2832A (ja) 2013-05-14 2014-11-2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携帯端末試験装置
KR101824453B1 (ko) 2017-10-17 2018-02-01 주식회사 지엠더블유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63B1 (ko) * 2020-07-10 2021-03-04 주식회사 한테크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 및 상기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에 적용되는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용 범용 패드
KR102433105B1 (ko) * 2021-03-26 2022-08-18 (주)지엠더블유 대류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KR20220134164A (ko) * 2021-03-26 2022-10-05 (주)지엠더블유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KR102626738B1 (ko) * 2021-03-26 2024-01-18 (주)지엠더블유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195B1 (ko)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KR101824453B1 (ko)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CN108023646B (zh) 用于智能仪表的天线性能检测系统
CN109489915A (zh) 一种气体密封性能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US7323884B2 (en) RF test chamber
Hoang et al. Breakthrough packaging level shielding techniques and EMI effectiveness modeling and characterization
CN108287275B (zh) 一种基于透波副舱和屏蔽暗室的电推力器电磁特性测试方法和系统
US9128118B2 (en) Testing systems with automated loading equipment and positioners
US11156648B2 (en) Radio signal absorption testing enclosure
KR101689530B1 (ko)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US20070069756A1 (en) Test fixture
JP2018072140A (ja) 環境試験装置
US20180054265A1 (en) Radio Frequency Shielded Robotic Telecommunication Device Testing Platform
CN105758270A (zh) 筒装导弹无线电引信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02105803A (zh) 用于自动化测试的屏蔽射频的封围物
US10094865B2 (en) Test chamber for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measurement and test chamber validation method
KR102085038B1 (ko) 전자파 차폐용 콘크리트 블록의 차폐성능 시험장치
CN205482635U (zh) 筒装导弹无线电引信测试系统
KR102433105B1 (ko) 대류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KR102383048B1 (ko) 무선통신기기의 다중테스트가 가능한 rf신호 측정용 전자차폐장치
KR102626738B1 (ko) 안전식 무선기기 검사장치
CA276132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emi susceptibility testing
CN108120880A (zh) 雷达发射天线传导发射及敏感度测试平台及其测试方法
KR101721694B1 (ko) 모바일 기기의 방수 및 노이즈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99263B1 (ko) 소형 발사체 음향 시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