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530B1 -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530B1
KR101689530B1 KR1020150089399A KR20150089399A KR101689530B1 KR 101689530 B1 KR101689530 B1 KR 101689530B1 KR 1020150089399 A KR1020150089399 A KR 1020150089399A KR 20150089399 A KR20150089399 A KR 20150089399A KR 101689530 B1 KR101689530 B1 KR 10168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antenna
probe
box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섭
임용훈
윤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5008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25Wireless interface with the DU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21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rooms and test sites therefor, e.g. anechoic chambers, open field sites or TEM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의 안테나와 비접촉식(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무리 없이 각종 테스트를 간편하면서도 높은 신뢰성을 갖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는 내부에 무선 단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 박스 및 상기 금속제 박스에 내장되고 상기 금속제 박스에 수납된 무선 단말의 안테나 부위의 직상방 또는 직하방에 위치하여 무선 단말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전달받는 프로브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금속제 박스 내부에는 전파 흡수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제 박스는 각각 금속제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갖는 박스 상부와 박스 하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서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배면에서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에는 무선 단말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파가 실드 박스 내부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전파 흡수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shield box for testing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단말의 안테나와 비접촉식(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각종 테스트를 간편하면서도 높은 신뢰성을 갖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한 요소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테스트할 때 직접 테스트 대상(DUT; Device Under Test)이 되거나 혹은 테스트 시스템의 한 요소를 담당하게 된다. 무선 단말이 테스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테스트 시스템과 무선 단말은 일반적으로 단말이 제공하는 유선 RF 포트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 1은 무선 단말의 대표적 기기인 스마트폰의 배면 덮개를 제거하고 본 개략 배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마트폰(10)의 배면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배면(12)에는 그 중앙 부위에 배터리(18)가 탈착식으로 배치되고, 배터리(18)의 상방 및 하방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안테나(14a),(14b), 예를 들어 MIMO(Multiple Input & Multiple Output) 안테나(LTE 단말의 경우) 및 각각의 안테나(14a),(14b)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용 RF 포트(16a),(16b)가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18)의 상방에는 또한 각종 카메라 모듈 등이 배치되는데, 여기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마트폰(10)에는 이외에도 WCDMA 안테나(미도시) 등이 그 유선 RF 포트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단말을 채택한 무선 단말 테스트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무선 단말 테스트 시스템은 크게 무선 단말(10)이 수납되는 실드 박스(20), 무선 단말(10)과 실드 박스(20)를 연결하는 내부 RF 케이블(30) 및 실드 박스(20)에 외부 RF 케이블(40)을 통해 연결된 테스트 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실드 박스(20)는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10)이 수납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사각의 금속 케이스(22)로 이루어지는바, 다양한 사이즈의 무선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을 모두 수납할 수 있도록 충분한 부피의 수납 공간(26)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10)을 실드 박스(20) 내부에 수납하는 경우 그 수납 위치에 따라 안테나(14a),(14b)에서 방사된 전자파가 반사되어 특성이 달라지거나 정재파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 케이스(22)의 내면에는 무선 단말(10)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흡수하는 전자파 흡수재(24)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28은 금속 케이스(22) 내외를 관통하여 설치된 박스부착 RF 커넥터를 나타낸다. 내부 RF 케이블(30) 및 외부 RF 케이블(40)은 각각 동축 케이블과 그 양단에 연결된 RF 커넥터로 이루어져 있는바, 내부 RF 케이블(30)의 RF 커넥터 중 하나는 무선 단말(20)의 RF 포트(16a),(16b)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박스부착 커넥터(28)의 내측 커넥터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선 단말 테스트 시스템은 무선 단말의 안테나와 테스트 장치가 유선 RF 포트를 경유하여 유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테스트의 정확성 및 일관성이 높은 반면 그 준비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선 연결을 위해 무선 단말 배면 덮개를 열어야 하고, 실드 박스 내부에서 무선 단말과 박스부착 커넥터를 RF 케이블을 통해 정확하게 연결해야 하는 등 번거롭고도 주의가 필요한 절차가 요구된다.
또한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 중에서는 유선 포트를 제공하지 않는 제품도 있는바, 이를 테스트하기 위해 종래에는 스마트폰 배면의 플라스틱 케이스에 수작업으로 구멍을 낸 후 납땜을 통해 RF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2개의 MIMO 안테나를 갖는 LTE 단말의 경우에는 두 안테나 사이의 절연을 위해 다중 경로 페이딩(multi path fading)이 존재하는 환경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실드 박스 내부는 온전히 직접 자유 공간 경로(line of sight) 환경이기 때문에 테스트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10-2012-0096927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들 사이에 높은 절연을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 선행기술 2: 10-1442557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전파환경의 재구성이 가능한 잔향챔버를 이용한 무선 스마트기기 감도 시험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단말의 안테나와 비접촉식(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무리 없이 각종 테스트를 간편하면서도 높은 신뢰성을 갖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는 내부에 무선 단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 박스 및 상기 금속제 박스에 내장되고 상기 금속제 박스에 수납된 무선 단말의 안테나 부위의 직상방 또는 직하방에 위치하여 무선 단말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전달받는 프로브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금속제 박스 내부에는 전파 흡수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제 박스는 각각 금속제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갖는 박스 상부와 박스 하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서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배면에서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에는 무선 단말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파가 실드 박스 내부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전파 흡수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단말을 배면이 위를 향하도록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폐쇄시 무선 단말 안테나 부위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프로브 안테나가 위치하되,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제2 전파 흡수재에 부착된 채로 무선 단말 안테나에 대향되되,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2개 이상인 경우에 모든 상기 프로브 안테나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제3 전파 흡수재를 더 구비하며, 이 경우에 상기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 사이의 전파 흡수 성능은 제3 전파 흡수재 ≥ 제1 전파 흡수재 ≥ 제2 전파 흡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 또는 배면에는 테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RF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RF 커넥터는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로브 안테나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무선 단말의 배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폐쇄시 무선 단말 안테나 부위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프로브 안테나가 위치하되,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제2 전파 흡수재에 부착된 채로 무선 단말 안테나에 대향되되,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2개 이상인 경우에 모든 상기 프로브 안테나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제3 전파 흡수재를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 사이의 전파 흡수 성능은 제3 전파 흡수재 ≥ 제1 전파 흡수재 ≥ 제2 전파 흡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 또는 배면에는 테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RF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RF 커넥터는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로브 안테나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에 따르면, 무선 단말과 실드 박스의 RF 커넥터 사이를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단말의 배면 덮개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등 테스트를 위한 준비 작업이 현저하게 간단해질 뿐 아니라 유선 RF 포트를 제공하지 않는 무선 단말에 대해서도 테스트가 가능하다.
나아가, 실드 박스 내에서 직접 자유 공간 경로 환경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2개 이상의 MIMO 안테나를 채택한 무선 단말을 테스트하는 경우에 테스트 결과의 신뢰성이 담보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단말의 대표적 기기인 스마트폰의 배면 덮개를 제거하고 본 개략 배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단말을 채택한 무선 단말 테스트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의 폐쇄 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의 개방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해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대해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의 폐쇄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의 개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100)는 크게 내부에 무선 단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 예를 들어 사각 박스 및 무선 단말(10')의 각 안테나 부위(14a),(14b)에 대응 설치, 예를 들어 그 직상방 또는 직하방에 위치하여 무선 단말 안테나(이하 '단말 안테나'라 한다)(14a),(14b)로부터의 신호를 비접촉식(무선)으로 전달받는 프로브 안테나(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프로브 안테나(115)는 마이크로 스트립 기판 위의 금속 패턴으로 이루어진 패치 안테나(일명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각 박스는 다시 상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서 개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박스 상부(110) 및 박스 하부(120)는 각각 외부로부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금속제의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21)로 이루어져서 그 배면에서 힌지(130)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21)의 내면에는 종래 실드 박스와 마찬가지로 단말 안테나(14a),(14b)에서 방사된 전파가 실드 박스 내부에서 반사되어 각종 특성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전파 흡수재(이하 이를 '제1 전파 흡수재'라 한다)(112),(1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하부 케이스(121)의 내부 공간 및 제1 전파 흡수재(123)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무선 단말(10')의 사이즈와 거의 동일, 예를 들어 그 전후좌우의 각 면이 무선 단말(10')의 각 면과 5㎜ 이내가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직접 자유 공간 경로(line of sight)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폐쇄시 단말 안테나(14a),(14b) 부위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부 케이스(111)에는 프로브 안테나(115)가 위치하는데, 단말 안테나(14a),(14b)가 프로브 안테나(115)에 자유 공간을 두고 대향할 때 프로브 안테나(115)에 의해 단말 안테나(14a),(14b)의 방사 특성이 변화, 예를 들어 단말 안테나(14a),(14b)에서 방사된 신호가 프로브 안테나(115)에 의해 반사되어 단말 안테나(14a),(14b)로 재입사됨으로써 특성이 변화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브 안테나(115)는 정합용 전파 흡수재(이하 이를 '제2 전파 흡수재'라 한다)(114)에 부착, 즉 제2 전파 흡수재(114)를 개재하여 단말 안테나(14a),(14b)와 마주하는바, 이로 인한 신호의 감쇄는 이후 증폭 등을 통해 충분히 보상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전파 흡수재(114)는 프로브 안테나(115)나 단말 안테나(14a),(14b)보다 약간 큰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무선 단말(10')에 2이상의 단말 안테나(14a),(14b), 예를 들어 2이상의 MIMO 안테나가 구비된 경우 2개의 제2 전파 흡수재(114) 사이에는 자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이 두 프로브 안테나(115)에 대한 직접 자유 공간 경로로 작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두 MIMO 안테나 사이의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2개의 프로브 안테나(115)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는 전파 흡수재(이하 이를 '제3 전파 흡수재'라 한다)(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1 내지 제 전파 흡수재(112),(114),(113) 모두를 동일 재질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전파 흡수성이 뛰어난 재질일수록 단가가 더 비싸기 때문에 비용 측면을 고려하여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112),(114),(113)를 모두를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다른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112),(114),(113)를 서로 다른 재질로 구현하는 경우에 전파 흡수 성능은 제3 전파 흡수재(113) ≥ 제1 전파 흡수재(112) ≥ 제2 전파 흡수재(1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17은 프로브 안테나(115)의 경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실드 박스의 상부 케이스(111)의 후면을 관통하여 노출 형성됨으로써 실드 박스(100)와 테스트 장치를 RF 케이블에 의해 연결하는 RF 커넥터를 나타내는바, 이러한 RF 커넥터(117)는 RF 케이블(116),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에 의해 프로브 안테나(115)와 연결되어 있다. RF 케이블(116)이 2개 이상인 경우, 즉 프로브 안테나(또는 RF 커넥터)(115)가 2개 이상인 경우 이를 통한 경로 손실이 동일하도록 동일 길이의 RF 케이블(11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118은 상부 케이스(111)에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111)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29는 실드 박스의 적소,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된 USB 단자를 나타내는바, 이러한 USB 단자(129)에는 케이블(127) 및 그 단부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10')의 USB 단자에 연결되는 USB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도 7은 도 5에 대해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대해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100')에 따르면, 무선 단말(10')의 배면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실드 박스(100') 내부에 수납되는데, 이에 따라 프로브 안테나(125'),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123'),(124'),(122')가 모두 하부 케이스(121')에 내장되고, 상부 케이스(111')에는 그 전체에 걸쳐서 제1 전파 흡수재(112')만이 내장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부 케이스(121')의 용적이 상부 케이스(111')의 용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RF 커넥터(127') 역시 당연히 하부 케이스(121')의 적소, 예를 들어 후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프로브 안테나(125') 및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123'),(124'),(122')의 배치 관계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수평선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 즉 제2 전파 흡수재(124')가 단말 안테나에 대향 접촉되어 있고, 그 하부에 프로브 안테나(125')가 배치되며, 제2 전파 흡수재(124')와 프로브 안테나(125') 전체를 커버하도록 제3 전파 흡수재(122')가 배치되며, 제3 전파 흡수재(122')를 에워싸는 형태로 제1 전파 흡수재(123')가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10')의 전면이 위를 향하기 때문에 실드 박스(100')의 상부 케이스(111')를 연 상태에서 무선 단말을 조작, 즉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 안테나가 2개인 것으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1개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단말 안테나의 갯수에 일대일 대응하여 프로브 안테나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10, 10': 무선 단말, 12: 배면,
14a, 14b: 단말 안테나, 16a, 16b: RF 포트,
18: 배터리, 20: 실드 박스,
22: 금속 케이스, 24: 전파 흡수재,
26: 수납 공간, 28: 박스부착 RF 커넥터,
30, 40: RF 케이블, 50: 테스트 장치,
100, 100': 실드 박스, 110, 110': 박스 상부,
111, 111': 상부 케이스, 112, 112': 제1 전파 흡수재,
113: 제3 전파 흡수재, 114: 제2 전파 흡수재,
115: 프로브 안테나, 116: RF 케이블,
117: RF 커넥터, 118: 손잡이,
120, 120': 박스 하부, 121, 121': 하부 케이스,
122': 제3 전파 흡수재, 123, 123': 제1 전파 흡수재,
124': 제2 전파 흡수재, 125': 프로브 안테나,
126': RF 케이블, 127: 케이블,
127': RF 커넥터, 129: USB 포트,
130: 힌지

Claims (14)

  1. 금속제 박스;
    상기 금속제 박스에 내장되고, 상기 금속제 박스에 수납된 무선 단말의 안테나 부위의 직상방 또는 직하방에 위치하여 무선 단말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전달받는 프로브 안테나;
    무선 단말과 동일 사이즈로 이루어진 단말 수납 공간을 제외한 상기 금속제 박스의 내면 전체에 부착되어 무선 단말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파가 상기 금속제 박스 내부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전파 흡수재 및
    상기 프로브 안테나와 무선 단말 안테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프로브 안테나에 부착된 제2 전파 흡수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박스는 각각 금속제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갖는 박스 상부와 박스 하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서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배면에서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무선 단말을 배면이 위를 향하도록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폐쇄시 무선 단말 안테나 부위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프로브 안테나가 위치하되,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상기 제2 전파 흡수재에 부착된 채로 무선 단말 안테나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2개 이상이고,
    모든 상기 프로브 안테나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제3 전파 흡수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 사이의 전파 흡수 성능은 제3 전파 흡수재 ≥ 제1 전파 흡수재 ≥ 제2 전파 흡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 또는 배면에는 테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RF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RF 커넥터는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로브 안테나와 유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11. 제 4 항에 있어서,
    무선 단말의 배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폐쇄시 무선 단말 안테나 부위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프로브 안테나가 위치하되,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상기 제2 전파 흡수재에 부착된 채로 무선 단말 안테나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안테나는 2개 이상이고,
    모든 상기 프로브 안테나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제3 전파 흡수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파 흡수재 사이의 전파 흡수 성능은 제3 전파 흡수재 ≥ 제1 전파 흡수재 ≥ 제2 전파 흡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14. 제 11 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 또는 배면에는 테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RF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RF 커넥터는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로브 안테나와 유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KR1020150089399A 2015-06-24 2015-06-24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KR10168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99A KR101689530B1 (ko) 2015-06-24 2015-06-24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99A KR101689530B1 (ko) 2015-06-24 2015-06-24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530B1 true KR101689530B1 (ko) 2016-12-26

Family

ID=5773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399A KR101689530B1 (ko) 2015-06-24 2015-06-24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5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53B1 (ko) 2017-10-17 2018-02-01 주식회사 지엠더블유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KR20200027263A (ko)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다중 안테나 무선 기기의 테스트를 위한 간섭 성분 상쇄 장치 및 방법
KR20200144010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다중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위한 무선 연결 장치
KR20210123933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무선 연결을 통한 기지국 빔신호 추출 장치
KR102315721B1 (ko) * 2021-03-19 2021-10-21 주식회사 이엠시스 전자파 차폐 및 흡수재료 측정치구
KR102523640B1 (ko) 2022-01-28 2023-04-1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단말 시험용 실드 박스
KR102523642B1 (ko) 2022-01-28 2023-04-1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단말 시험용 실드 박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724A (ja) * 1995-11-08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話接続試験用電磁遮蔽箱
JPH09264916A (ja) * 1996-03-28 1997-10-07 Ando Electric Co Ltd エアー測定・同軸ケーブル測定共用シールド・ボックス
JPH1019951A (ja) * 1996-07-02 1998-01-23 Ando Electric Co Ltd シールドボックス
JP2003167013A (ja) * 2001-12-03 2003-06-13 Yamaha Corp 不要輻射測定装置
KR20120096927A (ko) 2009-10-09 2012-08-31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들 사이에 높은 절연을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
KR101442557B1 (ko) 2013-05-30 2014-09-22 주식회사 한국차폐시스템 전파환경의 재구성이 가능한 잔향챔버를 이용한 무선 스마트기기 감도 시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724A (ja) * 1995-11-08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話接続試験用電磁遮蔽箱
JPH09264916A (ja) * 1996-03-28 1997-10-07 Ando Electric Co Ltd エアー測定・同軸ケーブル測定共用シールド・ボックス
JPH1019951A (ja) * 1996-07-02 1998-01-23 Ando Electric Co Ltd シールドボックス
JP2003167013A (ja) * 2001-12-03 2003-06-13 Yamaha Corp 不要輻射測定装置
KR20120096927A (ko) 2009-10-09 2012-08-31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들 사이에 높은 절연을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
KR101442557B1 (ko) 2013-05-30 2014-09-22 주식회사 한국차폐시스템 전파환경의 재구성이 가능한 잔향챔버를 이용한 무선 스마트기기 감도 시험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53B1 (ko) 2017-10-17 2018-02-01 주식회사 지엠더블유 스마트폰 테스트용 검사장치
KR20200027263A (ko)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다중 안테나 무선 기기의 테스트를 위한 간섭 성분 상쇄 장치 및 방법
KR102129268B1 (ko) 2018-09-04 2020-07-0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다중 안테나 무선 기기의 테스트를 위한 간섭 성분 상쇄 장치 및 방법
KR20200144010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다중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위한 무선 연결 장치
KR20210123933A (ko)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무선 연결을 통한 기지국 빔신호 추출 장치
KR102315721B1 (ko) * 2021-03-19 2021-10-21 주식회사 이엠시스 전자파 차폐 및 흡수재료 측정치구
KR102523640B1 (ko) 2022-01-28 2023-04-1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단말 시험용 실드 박스
KR102523642B1 (ko) 2022-01-28 2023-04-1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단말 시험용 실드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530B1 (ko) 무선 단말 테스트용 실드 박스
TWI491189B (zh) A millimeter wave test fixture for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657214B1 (en) Shielded enclosure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1832906B1 (ko) 안테나, 이동 전화, 및 다른 무선 단말기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
US7323884B2 (en) RF test chamber
JP2016517206A (ja) 無線検査信号を用いる無線周波数無線信号送受信機の検査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2669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radio frequency wireless signal transceivers using wireless test signals
US10686540B2 (en) Anechoic test chamber, test system and test method for testing the antennas of a device under test
US8513963B2 (en) Radio frequency testing apparatus
SE540655C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devices with wireless capability
TWI632782B (zh) 使用無線測試信號測試射頻無線信號收發器之系統及方法
US839555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antenna minimum measurement distance
CN104698011A (zh) 吸波材料高频吸波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US10062964B2 (en) Shield box for wireless terminal test
JP6389862B2 (ja) 無線端末テスト用シールドボックス
CN110514907B (zh) 无线通信装置空中传输量测系统
KR20200144010A (ko) 다중 안테나를 갖는 단말을 위한 무선 연결 장치
US10641808B2 (en) Test chamber and test system
US7440741B2 (en) Over-the-air testing of compact flash radio
KR101746814B1 (ko) 복사전력 측정 장치
JP2000009776A (ja) 無線通信特性試験装置
Szini et al. Design and verification of MIMO 2× 2 reference antennas
US107639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ver-the-air testing of unwanted emissions
US10897319B2 (en)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test environment
CN108226584A (zh) 无线终端测试用屏蔽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