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118A -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118A
KR20220134118A KR1020210039356A KR20210039356A KR20220134118A KR 20220134118 A KR20220134118 A KR 20220134118A KR 1020210039356 A KR1020210039356 A KR 1020210039356A KR 20210039356 A KR20210039356 A KR 20210039356A KR 20220134118 A KR20220134118 A KR 2022013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alleviating atopic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원
Original Assignee
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원 filed Critical 한지원
Priority to KR102021003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118A/ko
Publication of KR2022013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둥글레, 맥문동, 삼백초, 레몬밤, 세이지, 달맞이 꽃, 라벤더, 로즈마리 및 캐모마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에 따른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피부의 항균성, 보습성 및 면역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에,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topic skin using herbal extracts}
본 발명은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세계 인구의 05%-1%, 어린이의 경우 5-10%)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고생하는데,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란 아토피성 체질인 사람에게 일어나는 가려움이 매우 심한 습진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은 이를 유발하는 원인을 아직까지 확실하게 규명하지 못한 유전적 질환이며 그 발증과 악화는 환경인자가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 건조 및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몇 가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조성물 모두는 의약 조성물이며 그 대부분은 스테로이드 제제나 항생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으므로 장기간 피부에 적용시 모세 혈관 확장증 및 각질층의 두께 증가 내지 확장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는 보통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는 화학 약품을 연고 베이스에 첨가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천연성분을 사용하지 않아 약품에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는 피부에는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기존의 아토피 치료제를 사용하여 아토피 질환이 치료되었다 하더라도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완치의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및 그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안전한 천연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둥글레, 맥문동, 삼백초, 레몬밤, 세이지, 달맞이 꽃, 라벤더, 로즈마리 및 캐모마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둥글레(1~3): 맥문동(1~3): 삼백초(1~3): 레몬밤(1~3): 세이지(1~3): 달맞이 꽃 (1~3): 라벤더(1~3): 로즈마리(1~3): 캐모마일(1~3배(중량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식물의 건조 중량에 대해 3 배~10 배 분량의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2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초산에틸 또는 부틸렌글라이콜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품이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젼,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헤어토 및 전신세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억제, 항균성 및 면역 조절효과가 우수하여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화학 약품으로 이루어진 아토피 치료제에 비해 인체에 안전하고 비자극적하며, 피부 침투력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 피부명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 그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여 아포피 피부염의 재발율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및 보습력과 면역력이 우수하여 아토피 질환 및 염증질환에 의한 증상을 감소시키고, 상기 피부 질환의 재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 천연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은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추출물 또는 정유이고, 아토피 피부염 억제, 항균, 면역조절 효과가 우수하면서 인체, 특히, 피부 및 눈, 눈의 점막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다.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은 한방재 추출물 또는 허브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방재 추출물
상기 한방 추출물은 둥글레, 맥문동 또는 삼백초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둥글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로 이른 봄 어린잎과 뿌리줄기는 식용으로 이용하고, 가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위수 또는 위유하고 하는데 한방에서는 자양, 강장, 해열 등에 이용하고 있다.
상기 맥문동(Ophiophogon japonicus)은 백합과(Liliaceae)의 맥문동아제비족(Ophiopogoneae)에 속하며, 괴근에는 당(sucrose, fructose), ρ-sitosterol-steroidal 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어 폐기능을 돕고 사지통, 신경통, 류머티즘 완화 및 기침을 가라앉히고 가래를 식히며 열을 내리는데도 뛰어난 약효가 있다.
상기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쿠에르치트린, 이소쿠에르치트린,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항염, 항암작용이 매우 뛰어나고, 강력한 살균 작용 및 해독 작용으로 인해 상처치유에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허브 추출물
상기 허브 추출물은 레몬밤, 세이지, 달맞이 꽃, 라벤더, 로즈마리 또는 캐모마일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몬밤(Melissa officinalis)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해독 작용과 바이러스 예방, 피부 진정효과가 뛰어나고 예민한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피부 피지 생성 조절 및 피부 트러블을 감소시켜 향균, 살균, 수렴작용에 효능이 있다.
상기 세이지(Salvia officinalis)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수분공급, 방부, 향균, 항염 등 살균 소독작용이 있어 각종 염증의 소염제로 뛰어나고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를 촉촉이 유지시킨다.
상기 달맞이 꽃(Oenothera odorata)은 바늘꽃과에 속하는 2년생초로 혈행을 개선하고 체내 염증 반응과 염증 유발 물질을 저해하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기타 다른 피부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라벤더(Lavandula officinalis)는 꿀풀과의 상록 다년생초로 피부 진정 및 치료 작용, 세포재생 작용과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있어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각종 피부염에 효과가 있다.
상기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는 피부를 진정시키고 수렴해주는 효과가 탁월하며, 살균, 항균효과가 있으며, 피부 노화 예방 효과로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캐모마일(Anthemis nobilis)은 독성이 매우 적어 민감한 피부, 건조하고 손상된 피부에 적합하고 대부분의 피부 질환에 효과적이며, 피부연화, 보습 및 피부 진정 기능이 있다. 또한, 항염, 항균 작용과 피부회복 효과가 있어, 모세혈관이 파괴된 피부와 건조하고 가려움이 있는 피부의 정상화에 효능이 있다.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은 둥글레, 맥문동, 삼백초, 레몬밤, 세이지, 달맞이 꽃, 라벤더, 로즈마리 및 캐모마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방재 추출물에서 1종 이상 및 허브 추출물에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둥글레, 맥문동, 삼백초, 레몬밤, 세이지, 달맞이 꽃, 라벤더, 로즈마리 및 캐모마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의 각성분의 배합비는 1~3 중량비(w/w)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둥글레(1~3): 맥문동(1~3): 삼백초(1~3): 레몬밤(1~3): 세이지(1~3): 달맞이 꽃(1~3): 라벤더(1~3): 로즈마리(1~3): 캐모마일(1~3중량비(w/w))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은 액상 추출물의 농축액이거나 또는 이들의 건조 분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의 정유일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 및 허브를 각각 세척 및 건조한 후의 중량의 약 1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3 배~10 배 분량의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2의 저급 알코올와 같은 극성 용매, 프로필렌글라이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라이콜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50 중량%에서 99 중량%로 포함되는 정제수와 에탄올 혼합물, 또는 프로필렌글라이콜이 30 중량%에서 99 중량%로 포함되는 정제수 및 프로필렌글라이콜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용매 또는 단독 용매를 이용하여 1 시간~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0 시간~20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여 감압 여과 및 농축하여 상기 액상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정유는 상기 허브를 각각 세척 및 건조한 후, 이의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30 배, 바람직하게는 5 배~15배 분량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약 1 시간 ~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0 시간 ~ 20 시간 동안 증류하는 증류법에 의해 방향 증류수를 얻고, 이로부터 정유 성분을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액상 추출물은 원하는 한약재/허브들을 단독으로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상기 언급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거나 또는 원하는 한약재/허브들을 상기 언급한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정유도 상기 액상 추출물과 혼합방식이 유사하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의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서의 효능을 제공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아토피 피부염의 억제 및 완화효과가 포화되어 더 이상의 효과 증진을 얻을 수 없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천연 식물성 추출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적인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등에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향료, 색소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 치료제에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아토피 피부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는 세라마이드(Ceramides), 등 보습제 또는 지질(Lipids) 성분이나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등의 스테로이드(Steroids), 레티닐 팔미테이트(Retunyl palmitate) 등의 비타민 A 유도체 또는 토코페롤(Tocopherol), 기타 식물 추출물 등을 공지의 레시틴(Lecithin)을 이용하여 리포좀(Liposome) 형태로 만들거나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에 포접시켜 병용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젼,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헤어토닉, 전신세정제, 오일젤 등과 같은 피부염 완화용 화장품 및 피부염 완화용 피부 외용제 등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 내지 12: 천연 식물성 추출물 제조
둥글레, 맥문동, 삼백초, 레몬밤, 세이지, 달맞이 꽃, 라벤더 각각 600g을 50메쉬 정도의 입자로 잘게 분쇄한 후, 각각의 중량의 5 배량의 70 % 에탄올 수용액에서 10 시간 동안 환류 냉각한 후, 여과지(10㎛ filter)로 여과하여 추출한 액을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의 식물들은 50% 프로필렌글라이콜 수용액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로즈마리, 캐모마일은 각각 1Kg을 각각 세척 및 건조한 후 중량의 15배 분량의 정제수로 15시간 동안 증류법에 의해 방향 증류수를 얻고, 냉각 후 상층의 정유 성분을 분리하여 얻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실험예: 인체실험을 통한 피부 보습력 측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보습력을 비교하였다. 피부 보습능력은 정상 성인 20-30대 1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 부위를 시험부위로 하여 도포 시작전 항온 항습 조건(24 ℃, 습도 40%)에서 코네오미터(Corneometer;CM 820 Courage+Khazaka, Cologne,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삼고, 9개의 부위를 임의로 선정하여 미도포 부위, 실시예 1의 1-12를 도포한 후 2, 4, 8 시간 경과 후 피부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의 피부보습 효과를 평가하고, 초기값 대비 변화한 수분량을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수분 증가율M(Moisturization)= ((Mt=i-Mt=0/Mt=0) x 100
Mt=i : t=i 시간에서 측정한 수분량
Mt=0 : 물질 미도포 부위(t=0)에서 시험 시작 전 측정한 수분량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추출물의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실시예 1-12의 피부 수분 증가율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대식 세포를 이용한 항염효과
실시예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대해 iNOS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항염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를 8x105세포/ml 농도로 24 웰 배양접시에 분주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 %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sigma, USA)을 사용하였다. 분주 24시간 후 새로운 DMEM 배지로 교체하고, LPS(Lipopolysaccharide, sigma, USA), 1ug/ml과 시험시료를 농도별로 10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 100㎕와 Griess' reagent for nitrite (Fluka, USA) 100㎕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ELISA(Enzyme Linked Immuno System Assay, TECAN, Austria)를 사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률을 확인하기 위해 배양된 세포의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5% PBS(Phosphate buffer saline)200㎕을 가하여 세척한 후 025mg/ml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USA)용액을 1ml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Dimethylsufoxide)를 웰당 1ml씩 가하여 용해시킨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iNOS 활성률(%yield)과 세포생존률(%)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 또는 그 혼합물에 대한 항염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제시한 모든 천연 식물성 추출물 성분의 혼합물인 실시예 1-12는 iNOS 활성 억제 효과가 626 %을 보여주고 있기에, 항염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가려움증과 홍반 등을 수반하는 아토피 환자에 있어서의 본 조성물의 화장료로서의 효과
상기 실험예 1, 2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가 좋은 실시예 1-12를 가려움, 홍반, 염증 등을 수반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30명에게 4주간 처리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정도에 따라 3단계로 분류하고 증상 정도에 따른 효과 정도를 관찰 비교하였다. 평가 방법은 피실험자들이 5점 만족 척도로 평가하고 가려움 등의 증상 완화에 대한 문진 평가와 육안적으로 확인 가능한 홍반, 발진 등을 처리전과 비교하였으며, 5점 만족 척도에 대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pat00004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문진 결과 피실험자들 대부분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각 증상들에 대해서 본 조성물의 효과에 만족스러운 응답을 보였으며, 특히 가려움증 개선으로 인한 긁는 횟수의 감소와 염증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으로 확인한 홍반, 발진 등에 있어서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한 제제의 제조
실시예 2: 화장료 유화액
하기 표 5에 나타낸 통상적인 화장료 유화액 조성물에,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50 중량%로 준비한다. 표 5에 나타낸 B상을 80 ℃까지 가온 용해하고, A상도 정제수와 함께 80 ℃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완전히 용해된 후, 상기한 B상에 상기한 A상을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잘 교반하면서 유화 후, C상을 상기한 B상에 투입하여 중화시켰다. 상기한 B상을 45℃까지 냉각한 후, 상기한 B상에 D상을 투입, 교반하여 화장료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pat00005
실시예 3: 화장수 제조
실시예 1-12 추출물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1,3-부틸렌글라이콜 50 중량%, 히아루론산 02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5 중량%, 에탄올 50 중량%, 방부제 01중량%, 적정량의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에센스 제조
실시예 1-12 추출물 5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중량%,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5중량%, 디메치콘 30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중량%, 스테아린산 10중량%, 미네랄 오일 50중량%, 호호바오일 20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7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1,3-부틸렌글라이콜 30중량%, 카보머 01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중량%, 적정량의 방부제, 향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로션 제조
실시예 1-12 추출물 5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중량%,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5중량%, 디메치콘 30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중량%, 스테아린산 10중량%, 미네랄 오일 50중량%, 호호바오일 20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7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1,3-부틸렌글라이콜 50중량%, 카보머 0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중량%, 적정량의 방부제, 향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크림 제조
실시예 1-12 추출물 7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40중량%,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30중량%, 디메치콘 50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20중량%, 스테아린산 30중량%, 미네랄 오일 50중량%, 호호바오일 40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70중량%, 글리세린 50중량%, 1,3-부틸렌글라이콜 50중량%, 카보머 03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4중량%, 적정량의 방부제, 향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유지력, 항염 효과 및 아토피 피부염의 가려움 완화 정도가 우수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기에 아토피 피부염 예방, 개선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둥글레, 레몬밤 및 달맞이 꽃; 및
    맥문동, 삼백초, 세이지, 라벤더, 로즈마리 및 캐모마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둥글레(1~3): 맥문동(1~3): 삼백초(1~3): 레몬밤(1~3): 세이지(1~3): 달맞이 꽃 (1~3): 라벤더(1~3비): 로즈마리(1~3): 캐모마일(1~3배 중량비)배합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상기 식물의 건조 중량에 대해 3 배~10 배 분량의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2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초산에틸 또는 부틸렌글라이콜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피부 외용제.
  7. 제1항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이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젼,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헤어토닉 및 전신세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품.
KR1020210039356A 2021-03-26 2021-03-26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KR20220134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56A KR20220134118A (ko) 2021-03-26 2021-03-26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356A KR20220134118A (ko) 2021-03-26 2021-03-26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118A true KR20220134118A (ko) 2022-10-05

Family

ID=8359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356A KR20220134118A (ko) 2021-03-26 2021-03-26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1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9337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00330366A1 (en) Cosmetic use of a protein extract of moringa oleifera seeds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5386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CN111083923A (zh) 舒缓霜以及其制造方法
KR101944025B1 (ko) 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050073918A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5B1 (ko)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01670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220134118A (ko)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1382137B1 (ko) 히어리 및 얼레지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5325727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KR20090042073A (ko) 자극완화 효능을 가진 특정의 식물추출 혼합물과 이를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1251B1 (ko) 비파엽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피부 보습용, 피부 여드름 개선용 또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