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664A -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664A
KR20220133664A KR1020210039053A KR20210039053A KR20220133664A KR 20220133664 A KR20220133664 A KR 20220133664A KR 1020210039053 A KR1020210039053 A KR 1020210039053A KR 20210039053 A KR20210039053 A KR 20210039053A KR 20220133664 A KR20220133664 A KR 2022013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neumatic tire
cuff
depth direction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0732B1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732B1/en
Publication of KR2022013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7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2Replaceable t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2011/1338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comprising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neumatic tire which comprises: one or more tread blocks having at least one kurf; a first support member extended from a first surface of the kurf to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pport member disposed to be spac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in a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kurf. Portion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그 목적으로 하는 승차감, 소음, 조종성, 배수성 등의 성능을 초기에 최대한 발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타이어에 있어서, 그 기본성능인 드라이 트랙션 성능, 웨트 트랙션 성능, 소음 성능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트레드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종그루브와,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횡그루브를 구비하며, 그루브들에 의해 다수의 트레드 블록이 형성된다.In general, a tire is configured so as to exhibit its intended performance, such as ride comfort, noise, controllability, and drainage, to the maximum in the initial stage. In such a tire, the tread ha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groov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maintain the basic performance of dry traction performance, wet traction performance, noise performance, etc., A plurality of tread blocks are formed by the grooves.

또한, 트레드 블록에는 커프들이 형성될 수 있다. 커프는 통상적으로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서 소정의 깊이 및 각도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커프의 형상 및 깊이를 조절하여 타이어의 웨트 그립(wet grip) 및 핸들링((handling)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커프에 의하여 타이어 트레드에 유연성이 부여되어 노면과의 접촉성이 확보되고, 승차감이 향상되는 한편, 커브 길이나 지그재그 노면을 주행할 때의 횡방향 슬립 억제 기능이 향상된다.In addition, cuffs may be formed on the tread block. The cuff is usu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ngle on the surface of the tread block, and the wet grip and handling performance of the tire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shape and depth of the cuff. The kerf provides flexibility to the tire tread, ensures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improves riding comfort, while improving the function of suppressing lateral slip when driving on a curve length or a zigzag road surface.

그러나, 종래의 타이어는 차량 주행 시 트레드 블록이 일정한 방향으로 쏠리는 것에 의해 커프가 닫히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커프로 인해 트레드 패턴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ire has a problem in that the cuff is closed due to the tread block being tilted in a certain direction during vehicle driving, or the stiffness of the tread pattern is reduced due to the cuff.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래드 블록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웨트 그립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제/구동시의 성능을 균일화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capable of uniform driving/driving performance while increasing the stiffness of a tread block and improving wet grip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커프(kurf)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트레드 블록, 상기 커프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트레드 블록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커프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tread blocks having at least one cuff formed therein, a first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a first surface of the cuff towar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a second support member disposed apart from a first support member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cuff toward the first surface; and the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have the same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중심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프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제2 면 또는 상기 제1 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ff extends from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or the first surface, and extends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the depth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ort memb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second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may have the same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3 지지부재의 중심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third support member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깊이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are sequenti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at the same interv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깊이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이격되는 간격이 상기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are sequenti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the spaced apart distance may increase in the depth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깊이 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the depth direction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커프 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트래드 블록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웨트 그립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제/구동시의 성능을 균일화할 수 있다.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cuff, thereby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tread block and improving the wet grip performance, while making/driving The performance of the city can be equ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s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without limiting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unit,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other units, regions, components, etc. are interposed therebetween. cases are includ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erms such as connect or couple do not necessarily mean direct and/or fixed connection or coupling of two member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another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wo members. It's not about exclusion.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t means that a feature or elem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사이드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pneumatic tire 1 may include a tread part 110 and sidewall parts 120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tread part 110 .

트레드부(110)는 공기입 타이어(1)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부(110)의 표면에는 조종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114)들과 트레드 패턴(114)들에 의해 구획된 트레드 블록(116)들이 위치할 수 있다. The tread 110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neumatic tire 1 and is made of a thick rubber laye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Tread patterns 114 for steering stability, traction, and braking properties and tread blocks 116 partitioned by the tread patterns 114 may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tread unit 110 .

트레드 패턴(114)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그루브와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일치하는 원주 방향 그루브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블록(116)은 트레드부(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The tread patterns 114 may include grooves for drainage when driving on a wet road surface and sipes for improving traction and braking power. The grooves may include transverse grooves between circumferential grooves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he tread block 116 is an area occupying most of the tread unit 110 ,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월부(120)는 공기입 타이어(1)의 옆부분으로, 카카스층을 보호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20)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부(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sidewall part 120 is dispos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end of the tread part 110 . The sidewall part 120 is a side part of the pneumatic tire 1, protects the carcass layer, provides lateral st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 and improves riding comfort by performing a flexing and extending motion. In addition, the sidewall part 120 serves to transmit the torque of the engine received through the drive shaft to the tread part 110 .

한편, 트레드 블록(116)에는 커프(20)가 형성될 수 있다. 커프(20)는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커프(20)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의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Meanwhile, a cuff 20 may be formed on the tread block 116 . The cuff 20 may be a groov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groove. The cuff 20 absorbs moisture while driving on a wet road surface to break the water film, thereby increasing the braking force of the pneumatic tire 1 .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트레드 블록의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A of FIG. 1 ,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 4 is a plan view of the part A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of the tread block.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커프(20) 내에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210)과 제2 지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 the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20 provided in the cuff 20 . have.

제1 지지부재(210)는 커프(20)의 제1 면(20A)으로부터 제1 면(20A)에 대향되는 제2 면(20B)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10)의 길이는 커프(20)의 너비(W1)보다 짧되, 커프(20)의 너비(W1)의 1/2보다는 길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20A of the cuff 20 toward the second surface 20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20A.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may be shorter than the width W1 of the cuff 20 , but may be longer than 1/2 of the width W1 of the cuff 20 .

제2 지지부재(220)는 제1 지지부재(210)로부터 트레그 블록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커프(20)의 제2 면(20B)으로부터 제1 면(20A)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둘레 방향으로의 제2 지지부재(220)의 길이는 제1 지지부재(210)와 동일하므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는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eg block, and is disposed from the second surface 20B of the cuff 20 to the first surface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toward 20A).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s shown in the drawings. Since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drawi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may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는 커프(20) 내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10)의 중심(O1)과 제2 지지부재(220)의 중심(O2)은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동일선(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일정 부분 중첩되는 것에 의해, 커프(20) 내의 강성을 증대시키면서 제동/구동 성능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within the cuff 20 . 4, the center O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center O2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L1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ca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are symmetrically disposed and partially overlapped,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in the cuff 20 and improving the braking/driving performance. The uniformity can be improved.

이때,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가 중첩되는 비율은 커프(20)의 너비(W1)의 20% 내지 50%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의 중첩 비율이 20% 미만인 경우, 중첩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하나의 지지부재로 커프(20)를 지지하는 것보다 강성을 증대시키기 어렵다. 또한,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의 중첩 비율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커프(20)의 웨트 그립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의 중첩되는 비율은 커프(20)의 너비(w1)의 30% 내지 40%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verlapping ratio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may have a value in the range of 20% to 50% of the width W1 of the cuff 20 . If the overlap ratio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is less than 20%,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rigidity compared to supporting the cuff 20 with one support member because the overlapping area is small. . In addition, when the overlap ratio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exceeds 50%, the wet grip performance of the cuff 20 may be deteriorated. Preferably, the overlapping ratio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may have a value in the range of 30% to 40% of the width w1 of the cuff 20 .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5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의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는 트레드 블록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210)의 두께(d1)는 제2 지지부재(220)의 두께(d2)보다 얇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of the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Specifically,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제1 지지부재(210)는 커프(20) 내에서 제2 지지부재(220)보다 외측에 배치되는데, 제1 지지부재(210)의 두께(d1)를 제2 지지부재(220)의 두께(d2)보다 얇게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의 트레드에 유연성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2 지지부재(220)를 커프(20)의 깊이 방향 쪽에 배치시킴으로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in the cuff 20 , and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is equal to the thickness (d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By making it thinner than d2), flexibility can be imparted to the tread of the pneumatic tire 1 . In addition, by dispos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toward the depth direction of the cuff 20, rigidity may be increased.

다만, 이 경우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의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의 평면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However, in this case,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may be the same.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커프(20)의 제1 면(20A) 또는 제2 면(20B)으로부터 대향되는 제2 면(20B) 또는 제1 면(20A)을 향해 연장되며, 제2 지지부재(220)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 first surface 20A or a second surface 20B or a first surface opposite from the second surface 20B of the cuff 20 .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ort member 230 extending toward the 20A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by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제1 지지부재(210)의 중심과 제2 지지부재(220)의 중심과 제3 지지부재(230)의 중심은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and the center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제3 지지부재(23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제3 지지부재(230)는 제1 지지부재(210)와 마찬가지로 제1 면(20A)으로부터 제2 면(20B)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의 공기입 타이어(1)는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및 제3 지지부재(230)가 커프(20) 내 깊이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of FIG. 6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20A toward the second surface 20B, similarly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In other words, in the pneumatic tire 1 of FIG. 6 ,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are disposed in a zigzag form in the depth direction within the cuff 20 . can

만약,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기입 타이어(1)가 제1 지지부재(210) 내지 제3 지지부재(230) 외의 추가적인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지지부재들은 커프(20)의 깊이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pneumatic tire 1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support member other than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to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re dispos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uff 20 . may be arranged in a zigzag form.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및 제3 지지부재(230)는 트레드 블록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의 제1 간격(S1)은 제2 지지부재(220)와 제3 지지부재(230) 사이의 제2 간격(S2)과 동일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but may be disposed at the same interval. That is, the first gap S1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is the second gap S2 betwee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and can be the same.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2 지지부재(220)의 두께는 제1 지지부재(210)의 두께와 제3 지지부재(23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하되,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및 제3 지지부재(230) 사이의 간격이 다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third support member 230 similarly to the embodiment of FIG. 6 , but a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a second support member A distance between 220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be different.

제1 지지부재(210)의 중심과 제2 지지부재(220)의 중심과 제3 지지부재(230)의 중심은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and the center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제3 지지부재(23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제3 지지부재(230)는 제1 지지부재(210)와 마찬가지로 제1 면(20A)으로부터 제2 면(20B)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7의 공기입 타이어(1)는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및 제3 지지부재(230)가 커프(20) 내 깊이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of FIG. 7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20A toward the second surface 20B, similarly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In other words, in the pneumatic tire 1 of FIG. 7 ,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are disposed in a zigzag form in the depth direction within the cuff 20 . can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및 제3 지지부재(230)는 트레드 블록의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트레드 블록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될수록 지지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작고, 트레드 블록의 외측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커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be disposed to have an increasing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s may be smaller as they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tread block,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s may become larger as they are further away from the outside of the tread block.

도 7의 실시예는 커프(20) 내부로 갈수록 지지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멀어지는 것에 의해,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웨트 그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7 ,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increases toward the inside of the cuff 20, an internal space can be secured, thereby improving wet grip performance.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제1 지지부재 내지 제3 지지부재(210, 220, 230) 외 추가적으로 제4 지지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upport member 240 in addition to the first to third support members 210 , 220 and 230 . .

제4 지지부재(240)는 제1 지지부재 내지 제3 지지부재(210, 220, 23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 내지 제4 지지부재(210, 220, 230, 240)는 트레드 블록의 깊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The fourth support member 24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o third support members 210 , 220 , and 230 .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mbers 210 , 220 , 230 , and 240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and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제1 지지부재 내지 제4 지지부재(210, 220, 230, 240)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 블록의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지지부재들의 간격이 커질 수 있다. 도 7과 마찬가지로, 트레드 블록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될수록 지지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작고, 트레드 블록의 외측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기입 타이어(1)는 커프(20) 내부로 갈수록 지지부재들의 사이 간격이 멀어지는 것에 의해,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웨트 그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support members 210 , 220 , 230 , and 24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interval, but as illustrated,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may increas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As in FIG. 7 ,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s may be smaller as they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tread block,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s may become larger as they are further away from the outside of the tread block. Due to this structure, in the pneumatic tire 1 ,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members increases as the inside of the cuff 20 increases, thereby securing an internal space and improving wet grip performance.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8의 공기입 타이어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1 지지부재(210), 제2 지지부재(220), 제3 지지부재(230) 및 제4 지지부재(240)는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과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제1 지지부재(210)와 제4 지지부재(240)가 커프(20)의 제1 면(20A)에서 제2 면(20B)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지지부재(220)와 제3 지지부재(230)가 커프(20)의 제2 면(20B)에서 제1 면(20A)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neumatic tire of FIG. 8 ,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10 ,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20 , the third supporting member 230 and the fourth supporting member 240 are symmetrically can be placed. In other words, although they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fourth support member 240 move from the first surface 20A of the cuff 20 to the second surface 20B. It may be formed in an extended shape,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20B of the cuff 20 to the first surface 20A.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커프 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트래드 블록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웨트 그립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제/구동시의 성능을 균일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tread block and improves wet grip performance by hav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cuff. while making it possible to equalize the performance at the time of making/driv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타이어
116 : 트레드블록
20 : 커프
210 : 제1 지지부재
220 : 제2 지지부재
1: tire
116: tread block
20: cuff
210: first support member
220: second support member

Claims (9)

적어도 하나의 커프(kurf)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트레드 블록;
상기 커프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트레드 블록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커프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공기입 타이어.
one or more tread blocks having at least one kerf formed thereon;
a first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cuff towar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second support memb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by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ead block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cuff toward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a pneumatic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made of the same shape, a pneumatic tir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중심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공기입 타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a pneumatic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제2 면 또는 상기 제1 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surface of the cuff extending toward the second surface or the first surface opposite from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the second surfac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by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3 The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ing a, pneumatic tir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are made of the same shape, a pneumatic tir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중심과 상기 제3 지지부재의 중심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공기입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center of the third support member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tread block.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깊이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are sequenti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the pneumatic tire being disposed at equal interval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3 지지부재는 상기 깊이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이격되는 간격이 상기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는, 공기입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are sequenti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the spaced apart distance increases in the depth direction, the pneumatic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the depth direction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 pneumatic tire.





KR1020210039053A 2021-03-25 2021-03-25 Pneumatic tire KR1024707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53A KR102470732B1 (en) 2021-03-25 2021-03-25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53A KR102470732B1 (en) 2021-03-25 2021-03-25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64A true KR20220133664A (en) 2022-10-05
KR102470732B1 KR102470732B1 (en) 2022-11-28

Family

ID=8359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53A KR102470732B1 (en) 2021-03-25 2021-03-25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73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511U (en) * 2011-08-26 2013-03-06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주식회사 Pneumatic tire for wear check
JP2013147115A (en) * 2012-01-18 2013-08-01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KR102082951B1 (en) * 2018-09-13 2020-02-2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511U (en) * 2011-08-26 2013-03-06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주식회사 Pneumatic tire for wear check
JP2013147115A (en) * 2012-01-18 2013-08-01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KR102082951B1 (en) * 2018-09-13 2020-02-2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732B1 (en)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8959B1 (en) Pneumatic tire
RU2520265C1 (en) Pneumatic tire
EP2070730B1 (en) Pneumatic tire
ATE546304T1 (en) TIRE
US11897291B2 (en) Pneumatic tire
JP2016043924A (en) Snow tire tread culf
RU2333842C1 (en) Pneumatic tire
US20100096054A1 (en) Pneumatic tire
KR100869025B1 (en) Pneumatic tire with variable type sipe
KR20180111543A (en) Tire
KR20220133664A (en) Pneumatic tire
KR102236274B1 (en) Tire
KR101933099B1 (en) Studed Tire
JPH10278511A (en) High performance pneumatic radial tire for passenger car
KR102217975B1 (en) Tire
KR101782619B1 (en) Tire
KR101853845B1 (en) Pneumatic tire
WO2007088738A1 (en) Pneumatic tire
KR101782621B1 (en) Tire
KR102217974B1 (en) Tire
KR101775106B1 (en) pneumatic tire
KR102001984B1 (en) Tire
KR102314845B1 (en) Tire
KR102370655B1 (en) Method of designing tire and tir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2170728B1 (en)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