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627A -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627A
KR20220133627A KR1020210038961A KR20210038961A KR20220133627A KR 20220133627 A KR20220133627 A KR 20220133627A KR 1020210038961 A KR1020210038961 A KR 1020210038961A KR 20210038961 A KR20210038961 A KR 20210038961A KR 20220133627 A KR20220133627 A KR 2022013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assembly
wall
type parking
struc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병우
윤성민
윤영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장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장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장흥
Priority to KR102021003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3627A/en
Publication of KR2022013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6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2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which can facilitate tasks of a forest fire monitoring worker or a distress rescuer, includes: structure assemblies (10) which are formed with a central wall (14) at the center, are formed with a left side wall (15) and a right side wall (16) on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are formed to allow the central wall (14), the left side wall (15), and the right side wall (16) to have an acute angle (a) for a front surface coming in contact with a road (50)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a corridor structure (20) which is provided in a c-shape, is disposed at a back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and is formed to allow a corridor to have a width (w) so that a person can pass from one structure assembly (10) to another neighboring structure assembly (10) when the structure assemblies (10) are disposed one after an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riving direction of the road (50).

Description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Culvert-type parking structure}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산기슭이나 비탈진 지형에 주차장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vert-type parking lot structure that enables the construction of a parking lot at the foot of a mountain or in a sloping terrain.

일반적으로 경사진 산기슭 등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나무를 베어내고, 지형을 평탄하게 고르며, 진입 도로 등을 건설공사를 함에서는 심각한 자연환경 훼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산기슭 등의 경사진 지형은 대부분 자연환경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 엄격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on a sloped mountainside, cutting down trees, leveling the terrain, and constructing an access road, serious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may occur. For this reason, most of the sloped terrain such as the foot of a mountain may be subject to strict standards when constructing buildings to prevent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그러나 숲이나 산에는 일반적으로 대피소, 휴게 시설 등의 시설이 필요하므로 자연 훼손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대피소 등의 필요시설물을 설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However, since forests and mountains generally require facilities such as shelters and rest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stall necessary facilities such as shelters while minimizing damage to nature.

또한, 산불 감시를 하거나 깊은 산속에서 조난 한 사람이 발생하였을 때 좀 더 빨리 접근하기 위하여 차량을 이용할 수 있고, 차량을 준비할 필요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공개된 장소에 차량을 주차하기는 쉽지 않고, 차량의 훼손이 우려되며, 차량을 긴급하게 정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case of forest fire monitoring or a person in distress in deep mountains, a vehicle can be used to approach more quickly,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vehicle, but in reality, it is not easy to park a vehicle in an open place, There is a concern about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cannot be repaired urgently.

또한, 산기슭에 도로의 폭을 넓게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긴급 차량을 주차하면 다른 차량이 통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secure a wide road at the foot of a mountai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other vehicles cannot pass when an emergency vehicle is parked.

KRUS 10-2017-011185810-2017-0111858 AA KRUS 10-2021-001972210-2021-0019722 AA KRUS 10-047889510-0478895 B1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기슭 등에 주차장 구조물을 시공할 때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설치하기 이전의 자연환경으로 복원될 수 있는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hen constructing a parking lot structure at the foot of a mountain, and restore it to the natural environment before installation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that can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 도로의 폭을 넓게 확보할 수 없는 환경이더라도 좀 더 쉽게 주차하거나 차가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암거 형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vert-type structure that allows for easier parking or exiting of the vehicle, and allowing other vehicles to pass,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width of the entrance road cannot be secured widely.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중앙에 중앙 벽체(14)가 형성되고 좌우 양쪽에 각각 좌측 벽체(15)와 우측 벽체(16)가 형성되며, 위에서 내려다볼 때 도로(50)와 접하는 전면에 대하여 상기 중앙 벽체(14)와 상기 좌우 벽체(15)와 상기 우측 벽체(16)가 예각 각도(a)를 갖도록 형성된 구조물 조립체(10); 및 디귿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구조물 조립체(10)의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 조립체(10)가 도로(50)의 주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될 때 어느 하나의 구조물 조립체(10)에서 이웃한 다른 구조물 조립체(10)로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복도가 폭(w)을 갖고 형성된 복도 구조물(20)을 포함한다.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entral wall 14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left wall 15 and a right wall 16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from above, a structure assembly 10 formed so that the central wall 14, the left and right walls 15 and the right wall 16 have an acute angle (a)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oad 50 when looking down; And it is provided in a digut shape and is disposed at the back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and when the structure assembly 10 is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ad 50, in any one structure assembly 10, the neighbor The corridor includes a corridor structure 20 formed with a width w to allow passage of persons to one other structure assembly 1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상기 구조물 조립체(10)의 지붕 난간 쪽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난간 구조물(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ing structure 30 installed on the roof railing side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to promote user safe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의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상기 중앙 벽체(14)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1 통풍구(18)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벽체(15)와 상기 우측 벽체(16)가 맞닿는 위치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각각 제2 통풍구(19a)와 제3 통풍구(19b)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assembly 10 of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ventilation hole 18 is formed to circulate air in the central wall 14, and the left wall 15 A second ventilation hole (19a) and a third ventilation hole (19b)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right wall 16 and the right wall 16 contact each other so that air circulat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의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3개 이상 객체로 분할되어 제공되고, 시공 현장에서 1개의 조립체로 묶이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assembly 10 of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being divided into three or more objects, and may be bundled into one assembly at the construction sit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산기슭 등에 주차장 구조물을 시공할 때 미리 준비한 구조물을 옮겨다 놓는 것으로 신속하게 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고, 주차장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주차장을 설치하기 이전의 자연환경으로 비슷한 환경을 복원할 수 있다.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quickly install the parking lot by moving the structure prepared in advance when constructing the parking lot structure at the foot of a mountain, etc., and after the parking lot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 similar environment can be restor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before the parking lot was installed in harmony with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출입 도로의 폭을 넓게 확보할 수 없는 환경이더라도 좀 더 쉽게 주차하거나 차가 나올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이 통행할 수 있으며,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함으로써 그 차량에 안전 상태 예를 들어,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거나 냉각수 상태, 엔진 오일 상태, 전조등 등 차량 경정비를 할 수 있어 산불 감시 업무자 또는 조난 구조자의 임무를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width of the entrance road cannot be secured widely, to park more easily or to allow the vehicle to come out, other vehicles can pass, and the vehicle to the parking lot By park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afety condi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ire pressure, or perform minor maintenance on the vehicle such as coolant condition, engine oil condition, headlight, etc. can contribute to

도 1부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에서 위에서 내려다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이 복층으로 시공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에서 옆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two layers.
8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in a state in which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mpon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but the size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so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에 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도 1부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에서 위에서 내려다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구조물 조립체(10)와 복도 구조물(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ructure assembly 10 and a corridor structure 20 .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중앙 벽체(14)가 형성되고 좌우 양쪽에 각각 좌측 벽체(15)와 우측 벽체(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공간이 터널 형상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1개의 구조물 조립체(10)에 차량 2대를 주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tructure assembly 10 has a central wall 14 formed in the center, and a left wall 15 and a right wall 16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at is, the structure assembly 10 may be formed in two spaces in a tunnel shape, whereby two vehicles can be parked in one structure assembly 10 .

한편으로, 구조물 조립체(10)는 상기 중앙 벽체(14)의 개수를 늘림에 따라 공간이 더 늘어날 수 있고, 이러하면 주차할 수 있는 차량 대수가 늘어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assembly 10 can be further increased as the number of the central wall 14 is increased, and in this case,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위에서 내려다볼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50)와 접하는 전면에 대하여 상기 중앙 벽체(14)와 상기 좌우 벽체(15)와 상기 우측 벽체(16)가 예각 각도(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을 주차하거나 차가 나올 때 도로(50)의 폭이 다소 좁더라도 좀 더 쉽게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structure assembly 10 is viewed from above, the central wall 14, the left and right walls 15, and the right wall 16 have acute angl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oad 50. It may be formed to have an angle (a). Accordingly, even if the width of the road 50 is somewhat narrow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the vehicle exits, the vehicle can be moved more easily.

상기 예각 각도(a)는 예를 들면, 30도, 45도, 60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예각 각도(a)가 작을수록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이 편리한 이점이 있고, 구조물 조립체(10)의 깊이 방향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시공할 때 시공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cute angle (a) may be made of, for example, 30 degrees, 45 degrees, 60 degrees, etc., and the smaller the acute angle (a)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entry or exit of the vehicle, the structure assembly (10) Since the length can be reduced in the depth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space can be minimized during construction.

상기 복도 구조물(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귿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조립체(10)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rridor structure 20, as shown in FIG. 4, may be provided in a digut shape, and may be disposed at the back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as shown in FIGS. 1, 2, 5 and 6 have.

상기 복도 구조물(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귿 형상을 이루기 위하여 바닥 부분(21), 천장 부분(22) 및 벽체 부분(23)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ridor structure 20 may include a floor portion 21 , a ceiling portion 22 , and a wall portion 23 to form a digut shape.

또한, 상기 복도 구조물(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부분(21) 및 천장 부분(22)은 벽체 부분(23)까지 폭(w)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in the corridor structure 20 , the floor portion 21 and the ceiling portion 22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w up to the wall portion 23 .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도 구조물(20)의 한쪽에 요철 요부(24)가 형성되고 반대쪽에 요철 철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도 구조물(20)을 연달아 배치하면 상기 요철 요부(24)와 다른 복도 구조물(20)의 요철 철부(25)가 결합하여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concave-convex portion 2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rridor structure 20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25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rridor structure 20 . That is, when the corridor structures 20 are sequentially arranged, the concave-convex portions 24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s 25 of the other corridor structure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closely assembled.

또한, 복도 구조물(20)을 연달아 배치할 때, 접촉 부분의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패킹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rranging the corridor structures 20 one after another, packing for airtight maintenance may be arrang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조립체(10)가 연달아 배치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조립체(10)가 도로(50)의 주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tructure assembly 10 can be arranged in succession, and as shown in Fig. 5, the structure assembly 10 can be arranged consecutive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oad 50 have.

상기 복도 구조물(2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 조립체(10)의 뒤쪽에 배치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구조물 조립체(10)에서 이웃한 다른 구조물 조립체(10)로 사람이 통행할 수 있다.The corridor structure 20 is disposed at the back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as shown in FIGS. 5 and 6 , so that a person can pass from one structure assembly 10 to another adjacent structure assembly 10 . .

상기 복도 구조물(20)의 폭(w)은 사람이 통행하기 위한 복도의 폭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width w of the corridor structure 20 may be understood as the width of the corridor for a person to pass through.

상기 복도는 기상 조건이 좋지 않을 때, 예를 들면 눈, 비바람을 피하여 사람이 통행할 수 있다.The corridor can pass through when weather conditions are bad, for example, avoiding snow and rain and wi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도 1,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 구조물(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ailing structure 30 as shown in FIGS. 1, 3 and 6 .

상기 난간 구조물(30)은 지주와 울타리로 구성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조립체(10)의 지붕 난간 쪽에 난간 조립구(17)를 형성하고, 난간 조립구(17)에 상기 난간 구조물(30)의 지주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난간 구조물(30)은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The handrail structure 30 may be composed of a post and a fence, and as shown in FIG. 3 , a handrail assembly hole 17 is formed on the roof handrail side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and the handrail assembly hole 17 is the A post of the handrail structure 30 may be installed. The handrail structure 30 can promote user safe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의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중앙 벽체(14)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1 통풍구(18)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좌측 벽체(15)와 상기 우측 벽체(16)가 맞닿는 위치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각각 제2 통풍구(19a)와 제3 통풍구(19b)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assembly 10 of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In more detail, a first ventilation hole 18 for allowing air to circulate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wall 14, and to circulate air at a position where the left wall 15 and the right wall 16 contact each other. A second vent 19a and a third vent 19b may be formed,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구조물 조립체(10)의 내부에 차량으로부터 생성되는 매연을 분산 및 희석시켜 사용자의 호흡기 질환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freeing the user from respiratory diseases by dispersing and diluting the soot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the structure assembly 10 .

한편으로, 상기 구조물 조립체(10)가 연달아 배치될 때,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구조물 조립체(10)의 좌측 벽체(15) 또는 우측 벽체(16)에는 상기 제2, 3 통풍구(19a, 19b)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ucture assembly 10 is arranged in succession, the second and third ventilation holes 19a and 19b are provided on the left wall 15 or the right wall 16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may not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 조립체(10)의 전방에 도로포장 층(51)을 형성할 수 있고, 도로포장 층(51)의 표면은 구조물 조립체(10)의 바닥 상면 높이와 같은 높이로 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road pavement layer 51 in front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as shown in FIG. 6 , and the surface of the road pavement layer 51 is It may be construc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

또한, 구조물 조립체(10)의 지붕에는 지붕 포장 층(52)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지붕 포장 층(52)은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조경할 수 있다.In addition, a roof pavement layer 52 may be formed on the roof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 and the roof pavement layer 52 may be landscaped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의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3개 이상 객체로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2, 3 구조물(11, 12, 13)이 조합되어 1개의 구조물 조립체(10)를 구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assembly 10 of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being divided into three or more objects.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 12 , and 13 are combined to form one structure assembly 10 .

상기 제1, 2, 3 구조물(11, 12, 13)은 제조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 후에, 시공 현장에서 1개의 조립체로 묶이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 12 , and 13 may be manufactured in a manufacturing plant and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site, and then bundled into one assembly at the construction site.

이로써 각 객체의 제1, 2, 3 구조물(11, 12, 13)의 부피가 작을 수 있고, 이로써 생산 및 운반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12, 13 of each object can be small, which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또한, 각 객체의 제1, 2, 3 구조물(11, 12, 13)을 1개의 조립체로 묶는 기술은 선행기술문헌에서 알 수 있듯이 강선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묶는 기술에 관하여 해당 업계 종사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of ty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ructures 11, 12, 13 of each object into one assembly can use a steel wire, etc. as can be seen in the prior art literature, and those in the industry are Since it is easy to underst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의 다른 시공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이 복층으로 시공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에서 옆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Hereinafter, another construction example of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two layers. 8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in a state in which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이 상으로 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차량을 좀 더 많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7 and 8, can be constructed on two floors, whereby more vehicles can be parked.

다른 한편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층의 지붕은 2층의 전방에 해당하는 것으로, 1층의 지붕 포장 층(52)은 2층의 도로포장 층(51)과 같은 구성요소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 the roof of the first floor corresponds to the front of the second floor, and the roof pavement layer 52 of the first floor may be the same component as the road pavement layer 51 of the second floor.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형식 주차장 구조물을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으로 구성하였을 때 2층에 진입하기 위한 도로는 산비탈의 측에서 진입 도로를 시공할 수 있다.When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wo floors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oad for entering the second floor can be constructed from the side of the mountain slope.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에도 난간 구조물(30)을 시공할 수 있고, 2층의 지붕에는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조경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railing structure 30 can be constructed on the second floor, and the roof of the second floor can be landscaped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산기슭 등에 주차장 구조물을 시공할 때 미리 준비한 구조물을 옮겨다 놓는 것으로 신속하게 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고, 주차장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주차장을 설치하기 이전의 자연환경으로 비슷한 환경을 복원할 수 있다.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quickly install the parking lot by moving the structure prepared in advance when constructing the parking lot structure at the foot of a mountain, etc., and after the parking lot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 similar environment can be restor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before the parking lot was installed in harmony with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출입 도로의 폭을 넓게 확보할 수 없는 환경이더라도 좀 더 쉽게 주차하거나 차가 나올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이 통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width of the entrance and exit road cannot be secured, more easily parked or a car can come out, and other vehicles can pass.

또한,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함으로써 그 차량에 안전 상태 예를 들어,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거나 냉각수 상태, 엔진 오일 상태, 전조등 등 차량 경정비를 할 수 있어 산불 감시 업무자 또는 조난 구조자의 임무를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arking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afety condi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ire air pressure, or perform light maintenance on the vehicle such as coolant condition, engine oil condition, headlight, etc. can contribute to making it possib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will be abl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ltered or modified for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은, 산비탈이나 산기슭 등의 주차장을 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The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nstruct a parking lot, such as a mountain slope or a mountain foot.

10: 구조물 조립체 11, 12, 13: 제1, 2, 3 구조물
14: 중앙 벽체 15: 좌측 벽체
16: 우측 벽체 17: 난간 조립구
18: 제1 통풍구 19a, 19b: 제2, 3 통풍구
20: 복도 구조물 21: 바닥 부분
22: 천장 부분 23: 벽체 부분
24: 요철 요부 25: 요철 철부
30: 난간 구조물
50: 도로
51: 도로포장 층 52: 지붕 포장 층
10: structure assembly 11, 12, 13: first, second, third structure
14: center wall 15: left wall
16: right wall 17: handrail assembly
18: first vents 19a, 19b: second and third vents
20: corridor structure 21: floor part
22: ceiling part 23: wall part
24: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5: concave and convex portions
30: handrail structure
50: road
51: road pavement layer 52: roof pavement layer

Claims (4)

중앙에 중앙 벽체(14)가 형성되고 좌우 양쪽에 각각 좌측 벽체(15)와 우측 벽체(16)가 형성되며, 위에서 내려다볼 때 도로(50)와 접하는 전면에 대하여 상기 중앙 벽체(14)와 상기 좌우 벽체(15)와 상기 우측 벽체(16)가 예각 각도(a)를 갖도록 형성된 구조물 조립체(10); 및
디귿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구조물 조립체(10)의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 조립체(10)가 도로(50)의 주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될 때 어느 하나의 구조물 조립체(10)에서 이웃한 다른 구조물 조립체(10)로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복도가 폭(w)을 갖고 형성된 복도 구조물(20);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
A central wall 14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left wall 15 and a right wall 16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oad 50 when viewed from above, the central wall 14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a structure assembly 10 formed so that the wall 15 and the right wall 16 have an acute angle (a); and
It is provided in a digut shape and is disposed at the back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and when the structure assembly 10 is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ad 50, any one structure assembly 10 adjacent a corridor structure 20 in which the corridor has a width w so that a person can pass through another structure assembly 10;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조립체(10)의 지붕 난간 쪽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난간 구조물(30);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a railing structure 30 installed on the roof railing side of the structure assembly 10 to promote user safety;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상기 중앙 벽체(14)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제1 통풍구(18)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벽체(15)와 상기 우측 벽체(16)가 맞닿는 위치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각각 제2 통풍구(19a)와 제3 통풍구(19b)가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ucture assembly 10,
A first ventilation hole (18) is formed in the central wall (14) to circulate air,
A second ventilation hole (19a) and a third ventilation hole (19b) ar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eft wall 15 and the right wall 16 contact each other so that air circulates.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조립체(10)는, 3개 이상 객체로 분할되어 제공되고, 시공 현장에서 1개의 조립체로 묶이는 것을 포함하는 암거 형식 주차장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ucture assembly 10 is provided by being divided into three or more objects, and a culvert type parking lot structure comprising being bundled into one assembly at the construction site.
KR1020210038961A 2021-03-25 2021-03-25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KR202201336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961A KR20220133627A (en) 2021-03-25 2021-03-25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961A KR20220133627A (en) 2021-03-25 2021-03-25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627A true KR20220133627A (en) 2022-10-05

Family

ID=8359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961A KR20220133627A (en) 2021-03-25 2021-03-25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627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95B1 (en) 2004-11-26 2005-03-28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Drainage construction structure of underground parking lot for appartment house
KR20170111858A (en) 2016-03-30 2017-10-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construction method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parking buildings with precast concrete wall panels
KR20210019722A (en) 2019-08-13 2021-02-23 주식회사 신장흥 Culvert type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95B1 (en) 2004-11-26 2005-03-28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Drainage construction structure of underground parking lot for appartment house
KR20170111858A (en) 2016-03-30 2017-10-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construction method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parking buildings with precast concrete wall panels
KR20210019722A (en) 2019-08-13 2021-02-23 주식회사 신장흥 Culvert typ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1455B (en) Road piping system and method
BR112015021797B1 (en) HELIPORT
EP2049734A1 (en) Traffic system
US20090093922A1 (en) Automated infrastructure delivery system
WO2007038935A1 (en) Lifting systems for high-rise structures
KR20220133627A (en) Culvert-type parking structure
CN114809083A (en) Underground one-storey semi-island type station structure
CN202730575U (en) Double-layer elevated road network special for small-size automotive vehicles
CN115262620A (en) Underground one-half two-channel underground station entering island type station structure
JP2018040215A (en) Self-traveling type multistory parking place
CN114197944A (en) Construction of high-rise access lane and use method thereof
JP2014047563A (en) Tsunami evacuation structure
JP3707028B2 (en) Parking building
JP2744931B2 (en) Handrail for drop prevention
KR20080006066U (en) The structure of a main track and platform in monorail
CN212333006U (en) Boarding hall
KR100281224B1 (en) Multilayer road system
Wilczarska et al. Risk analysis during exploitation of mobile scenes
KR910015755A (en) Multilayer road system
JPH06167130A (en) Parking area building
JPH0732634Y2 (en) Double tunnel segment
RU92893U1 (en) CONSTRUCTION OF A CLOSED DIFFERENT VEHICLE PARKING FOR PASSENGER VEHICLES OF CITIZENS WITH EXCLUSION OF PARKING PLACES FENCES FROM PRECIOUS REINFORCED CONCRETE PANELS AND SUMMON
LU92870B1 (en) Underwater premises
CN118110064A (en) Multilayer overpass
JP4510715B2 (en) Parking 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