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321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321A
KR20220132321A KR1020210037480A KR20210037480A KR20220132321A KR 20220132321 A KR20220132321 A KR 20220132321A KR 1020210037480 A KR1020210037480 A KR 1020210037480A KR 20210037480 A KR20210037480 A KR 20210037480A KR 20220132321 A KR20220132321 A KR 2022013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housing
water
unit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진성월
김근환
박만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321A/ko
Publication of KR2022013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0)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101); 상기 필터부(101)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출부(105); 상기 필터부(101)와 상기 추출부(105)가 설치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130); 및 상기 고정 지지부(130)에 수납되며 상기 필터부(101)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 공급원과 연결되는 입수부(151);를 포함하며, 상기 입수부(151)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입수 연결관(153)을 통해 상기 필터부(101)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입수부(151)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130)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고정 지지부(130)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설치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유입된 물(원수)을 필터로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코크나 파우셋 등으로 구성되는 추출부를 포함한다.
필터부에 공급되는 물은 외부 입수관을 통하여 정수기 내부로 공급되고, 필터부 또는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한 물은 외부 배수관(드레인관)을 통하여 외부로 드레인된다. 또한, 정수기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이 설치된다.
한편, 종래의 정수기는 실내 또는 실외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데, 일단 설치된 상태에서는 정수기를 통째로 움직여 설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정수기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외부 입수관이나 외부 배수관 등의 길이, 설치 방향, 위치 등으로 인하여 정수기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부 입수관이나 외부 배수관 등은 설치 시 미관을 위하여 정수기의 후면에 배치되는데, 사용자가 정수기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외부 입수관이나 외부 배수관이 위치 변경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무리하게 정수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외부 입수관이나 외부 배수관, 및/또는 이에 연결된 배관이 파손되어 누수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경우, 좁은 위치(예를 들어, 좁은 통로, 모퉁이, 싱크대 등)에 설치된 정수기에 대하여 설치방향의 변경이 필요하거나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정수기 하우징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또는 추출부가 다른 방향을 향하게 하기 위한 경우 등과 같이 정수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익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기의 추출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추출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하우징 자체를 회전시키는 구조가 아니므로 하우징의 설치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KR 10-1381803 B1 (2014.03.31. 공고) KR 10-2014-0034519 A (2014.03.20. 공개) KR 10-2017-0135806 A (2017.12.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정수기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하우징을 회전시켜 정수기의 설치 상태 및/또는 추출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출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추출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에 수납되며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 공급원과 연결되는 입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수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입수 연결관을 통해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입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상하방향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되는 회전 베이스와, 상기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는 하우징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상기 회전 베이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는 환형 튜브 형상의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가 삽입되는 환형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형 가이드는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환형 개구는 상기 회전 베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회전 베이스가 상기 고정 지지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와 연결되는 이탈 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이탈 방지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체결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부과 상기 회전 베이스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와 상기 회전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환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홈과 접촉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안내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회전 베이스가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베이스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고정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고정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의 상면으로 노출 가능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베이스는 하면에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는 안착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개구는 상기 회전 베이스에 소정 각도를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부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소정 압력으로 감압하는 감압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수 연결관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입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입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유연한 재질의 전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전원공급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전선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드레인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와 유연한 재질의 배수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는 배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배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배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출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추출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 공급원과 연결되는 입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입수부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유연한 재질의 입수 연결관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입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입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유연한 재질의 전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유연한 재질의 배수 연결관을 통해 드레인하는 배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배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전선과 상기 배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고정 지지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 입수관이 연결되는 입수부를 고정 지지부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입수관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하우징의 설치방향 및/또는 추출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의 설치방향 및/또는 추출부의 위치 변경 시 외부 배수관이나 전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의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이 회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을 큰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하우징 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를 상측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를 하측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체결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하면도.
도 7은 도 3의 I-I'선에 따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1에 정수기를 45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가 정면을 바라 본 상태에서 일 측으로 45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가 정면을 바라 본 상태에서 일 측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100)에서 하우징 몸체(111)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RS)를 각각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체결 플레이트(140)와 커버 플레이트(14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100)의 하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의 I-I'선에 따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10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1에 정수기(100)를 45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100)가 정면을 바라 본 상태에서 각각 일 측으로 45도 및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00)는 필터부(도 8의 101), 추출부(105), 하우징(110) 및 고정 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회전 안내부(RG), 이탈 방지부(160), 위치고정유닛(1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01)]
필터부(101)는 입수부(151)로부터 유입된 물(원수)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한다. 필터부(101)는 세디먼트 필터, 프리카본필터, 메인필터, 포스트카본필터, 각종 기능성 필터 중 적어도 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101)에 구비되는 필터의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2개 이상의 필터기능을 복합화한 복합필터가 필터부(10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필터는 필터부(101)에 구비되는 필터 중에서 가장 미세한 입자의 여과가 가능한 필터로서, 역삼투막 필터, 중공사막 필터, 나노필터, 나노트랩 등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필터부(101)에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는 정수기(100)에서 필요한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필터부(101)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출부(105)]
추출부(105)는 필터부(101)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코크나 파우셋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출부(105)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정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기계식 추출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호 입력에 따라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전자식 추출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추출부(10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1)에서 여과된 정수가 직접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터부(101)에서 여과된 정수를 탱크(정수탱크, 냉수탱크, 온수탱크 등)에 저장한 후 추출부(10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순간가열장치나 순간냉각장치 등을 거치면서 온도 변화된 정수가 추출부(10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
하우징(110)은 정수기(10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하우징(110)에는 필터부(101)와 추출부(105)가 설치된다. 필터부(10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추출부(105)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필터부(101)와 추출부(105)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은 후술하는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상하방향 회전축(Z)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지지부(130)에 설치되는 회전 베이스(120)와, 회전 베이스(120)에 장착되는 하우징 몸체(111)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베이스(120)와 고정 지지부(130)는 회전 구조체(RS)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회전 베이스(120)와 하우징 몸체(111)가 합형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는 필터부(101) 등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베이스(120)는 제조 편의를 위하여 제1 베이스(121)와 제2 베이스(125)로 구성되는 2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121)의 중앙부에는 중공부(HS)를 형성하는 제1 개구(122)가 형성되며, 제2 베이스(125)의 중앙부에는 중공부(HS)를 형성하는 제2 개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베이스(120)의 구조는 전술한 제1 베이스(121)와 제2 베이스(125)의 분할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베이스(12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 지지부(130)]
고정 지지부(130)는 하우징(11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즉, 하우징(110)은 고정 지지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 지지부(130)의 상부에서 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지지부(130)에는 필터부(101)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 공급원과 연결되는 입수부(151)가 설치될 수 있다. 입수부(151)는 외부의 물 공급원(예를 들어, 수도)과 외부 입수관(T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입수부(151)는 입수 연결관(153)을 통해 필터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부(101) 등 정수기(100) 내부의 유로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입수부(151)에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소정 압력으로 감압하는 감압밸브(15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입수관(T1)을 통해 유입된 물은 감압밸브(152)를 통해 감압된 후 입수 연결관(153)을 통해 필터부(101)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지지부(130)에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도록 배수부(155)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배수부(155)는 배수 연결관(157)을 통하여 필터부(101), 탱크 등 내부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부(155)는 필터부(101)에 구비되는 역삼투압 필터의 농축수 배출관과 연결될 수 있고, 순간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물이 배출되도록 순간가열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고, 탱크 청소를 위하여 탱크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는 내부 드레인 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배수 연결관(157)을 통해 배수되는 물은 외부 배수관(T2), 예를 들어 외부 드레인관에 연결되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배수부(155)는 배수 연결관(157)과 외부 배수관(T2)이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배수 연결관(157)과 외부 배수관(T2)이 연결되는 피팅부재(1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지지부(130)에는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8)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58)는 하우징(110) 내부의 전기부품에 전선(159)을 통해 연결되어 내부 부품을 동작시키게 된다.
고정 지지부(130)에는 감압밸브(152), 피팅부재(156)의 설치를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145)가 결합부(FP)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45)에는 감압밸브(152)와 피팅부재(156)가 지지되도록 지지부(도 5의 SP)가 형성될 수 있다. 감압밸브(152)는 고정 지지부(130)에 관통 형성된 설치홈(도 3 및 도 4의 OP1)을 통하여 외부 입수관(T1) 및 입수 연결관(15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팅부재(156)는 고정 지지부(130)에 관통 형성된 설치홈(도 3 및 도 4의 OP2)을 통하여 외부 배수관(T2) 및 배수 연결관(15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58)의 전선(159)은 고정 지지부(130)에 관통 형성된 설치홈(도 3 및 도 4의 OP3)을 관통하여 정수기(100)의 내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지지부(130)에 입수부(151), 배수부(155) 및/또는 전원공급부(158)가 설치되므로 하우징(110)이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입수부(151), 배수부(155) 및/또는 전원공급부(158)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10)과 고정 지지부(130)에는 입수부(151)와 필터부(101)를 연결하는 입수 연결관(153), 배수부(155)와 정수기(100)의 유로를 연결하는 배수 연결관(157), 그리고/또는 전원공급부(158)의 전선(159)이 통과하는 중공부(HS)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HS)를 통과하는 입수 연결관(153) 및/또는 배수 연결관(157)은 튜빙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이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회전할 때 유연한 재질의 입수 연결관(153)의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 그리고/또는 유연한 재질의 배수 연결관(157)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입수부(151) 및/또는 배수부(155) 중에서 고정 지지부(130)에 설치된 부분은 고정 지지부(130)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입수부(151) 및/또는 배수부(155)에 연결된 외부 입수관(T1) 및/또는 외부 배수관(T2)도 고정 지지부(130)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159)도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이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회전할 때 유연한 재질의 전선(159)의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전원공급부(158) 중에서 고정 지지부(130)에 설치된 부분은 고정 지지부(130)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지지부(130)의 외부로 노출된 전선(159)도 고정 지지부(130)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 안내부(RG)]
회전 안내부(RG)는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회전 베이스(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회전 안내부(RG)는 환형 튜브 형상의 회전 가이드(135)와, 회전 가이드(135)가 삽입되는 환형 개구(122, 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가이드(135)는 고정 지지부(130)에 구비될 수 있고, 환형 개구(122, 126)는 회전 베이스(1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가이드(135)는 고정 지지부(130)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환형 개구(122, 126)는 회전 베이스(120)의 제1 베이스(121)와 제2 베이스(125)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개구(122)와 제2 개구(126)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가이드(135)가 환형 개구(122, 126)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베이스 부재가 회전 가이드(135)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회전 가이드가 회전 베이스(120)에 구비되고 환형 개구가 회전 베이스(1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1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 지지부(130)과 회전 베이스(120)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지지부(130)과 회전 베이스(120)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정 지지부(130)와 회전 베이스(120) 중 어느 하나에는 환형의 가이드 홈(123)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 홈(123)과 접촉하는 가이드 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지지부(130)에는 가이드 돌기(133)가 형성되고, 회전 베이스(120)에는 환형의 가이드 홈(123)이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반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는 고정 지지부(130)의 가이드 돌기(133)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가이드 돌기(133)는 가이드 홈(123)에서 회전이 안내될 수 있으면 되므로 반구형 돌기나 원호 형상 돌기와 같이 복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회전이 용이하게 하면서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123)은 회전 안내부(RG)의 반경방향 외측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지지부(13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33)는 반경이 서로 다른 내측 돌기(133a)와 외측 돌기(133b)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 베이스(120)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23)은 내측 돌기(133a)와 외측 돌기(133b)에 대응하는 반경 상 위치에 각각 내측 홈(123a)과 외측 홈(12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가이드 홈(123)과 가이드 돌기(133)의 개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탈 방지부(160)]
이탈 방지부(160)는 회전 베이스(120)가 고정 지지부(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 지지부(13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 베이스(120)의 상측에서 고정 지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60)는 중앙부에 개구(162)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몸체(161)와, 고정 지지부(130)와 결합되는 결합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지지부(130)는 이탈 방지부(160)의 결합부(163)와의 체결을 위하여 체결부(141)를 갖는 체결 플레이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140)는 결합부(FP)를 통해 고정 지지부(130)의 몸체(13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141)는 체결 플레이트(14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고정 지지부(130)의 몸체(131)에 형성된 개구(132)를 통해 이탈 방지부(160)의 결합부(16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41)와 결합부는(163)는 고정 지지부(130)의 개구(132), 즉 회전 가이드(135)의 중공부(HS)}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입수 연결관(153), 배수 연결관(157), 전선(159)은 중공부(HS)를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위치고정유닛(170)]
위치고정유닛(170)은 회전 베이스(120)가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 베이스(1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즉, 위치고정유닛(170)은 하우징(110)이 고정 베이스 상에서 회전한 상태에서 쉽게 유동하지 않도록 하우징(110)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위치고정유닛(170)은 고정 지지부(130)에 형성된 관통홀(134)을 통하여 고정 지지부(130)의 상면으로 노출 가능한 스토퍼(173)와, 스토퍼(17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2)와, 탄성부재(172)와 스토퍼(173)를 수용하는 홀더(17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베이스(120)는 하면에 스토퍼(173)가 결합되는 안착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개구(124)는 회전 베이스(120)의 하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 및 회전 베이스(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 베이스(120)의 안착개구(124)가 스토퍼(173)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부재(172)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173)가 관통홀(134) 상부로 노출되면서 안착개구(1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하우징(1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173)가 안착개구(1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173)의 단부(174)는 중앙부보다 주변부의 높이가 낮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하우징(110)에 회전력을 가하면 스토퍼(173)가 안착개구(124)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안착개구(124)는 하우징(110)의 회전상태를 여러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를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개구(124)는 90도마다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안착개구(124)의 설치위치 및 전체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다. 예를 들어, 안착개구(124)는 30도 마다 또는 45도 마다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일정하지 않은 각도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고정유닛(170)도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개구(124)가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유닛(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 하우징(1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위치고정유닛(170)은 결합부(FP)에 의해 고정 지지부(13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05)가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도 회전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싱크대(S) 상에 설치된 정수기(100)가 정면을 바라 본 상태에서 일 측으로 45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싱크대(S) 상에 설치된 정수기(100)가 정면을 바라 본 상태에서 일 측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는 하우징(110)이 고정 지지부(130) 상에서 좌측으로 90도, 우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총 180도를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하우징의 회전각도는 이보다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유연한 재질의 입수 연결관(153), 배수 연결관(157), 전선(159)을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하우징(110)이 일측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는 경우 꼬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지지부(130) 및/또는 하우징(110)에는 하우징(110)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각도 제한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우징(110)이 일측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는 경우에도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회전 가능하도록 입수 연결관(153), 배수 연결관(157), 전선(159)에 회전 조인트(미도시)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수 연결관(153)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피팅부재(미도시)로 연결되어 피팅부재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수 연결관(157)의 경우에도 적어도 일부 영역이 피팅부재로 연결되어 피팅부재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159)도 회전 시 접속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선 연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10)의 회전에 의한 꼬임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는 전술한 회전 조인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경우에도 고정 지지부(13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정 지지부(130)를 통하여 설치된 외부 입수관(T1), 외부 배수관(T2), 전선(159)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회전이 있더라도 외부 입수관(T1), 외부 배수관(T2), 전선(159)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하우징(110)의 회전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정수기(100)가 싱크대(S)에 설치된 상태에서 큰 용기에 다량의 정수를 받을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용기에 수용되는 정수의 중량을 고려하여 용기를 싱크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정수를 추출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싱크대(S)의 전후방향 폭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정수기(100)의 전면에 설치된 추출부(105)로부터 싱크대(S) 단부 사이의 거리가 용기를 내려놓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정수기(10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을 45도 회전시키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정수기(100)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좁은 위치(예를 들어, 좁은 통로, 모퉁이 등)에 설치된 정수기(100)에 대하여 설치 방향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도 하우징(110)을 용이하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정수기 101... 필터부
105... 추출부 110... 하우징
111... 하우징 몸체 120... 회전 베이스
121... 제1 베이스 122... 제1 개구
123... 가이드 홈 123a... 내측 홈
123b... 외측 홈 124... 안착개구
125... 제2 베이스 126... 제2 개구
130... 고정 지지부 131... 몸체
132... 개구 133... 가이드 돌기
133a... 내측 돌기 133b... 외측 돌기
134... 관통홀 135... 회전 가이드
140... 체결 플레이트 141... 체결부
145... 커버 플레이트 151... 입수부
152... 감압밸브 153... 입수연결관
155... 배수부 156... 피팅부재
157... 배수 연결관 158... 전원공급부
159... 전선 160... 이탈 방지부
161... 이탈방지몸체 162... 개구
163... 결합부 170... 위치고정유닛
171... 홀더 172... 탄성부재
173... 스토퍼 174... 단부
FP... 결합부 HS... 중공부
OP1, OP2, OP3... 설치홈 RG... 회전 안내부
RS... 회전 구조체 SP... 지지부
T1... 외부 입수관 T2... 외부 배수관
Z... 회전축

Claims (19)

  1.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출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추출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에 수납되며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 공급원과 연결되는 입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입수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입수 연결관을 통해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입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상하방향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되는 회전 베이스와, 상기 회전 베이스에 장착되는 하우징 몸체를 구비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상기 회전 베이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안내부는 환형 튜브 형상의 회전 가이드와, 상기 회전 가이드가 삽입되는 환형 개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가이드는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환형 개구는 상기 회전 베이스에 형성되는 정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가 상기 고정 지지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와 연결되는 이탈 방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 고정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이탈 방지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체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정수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과 상기 회전 베이스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와 상기 회전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환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홈과 접촉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 안내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복수개 형성되는 정수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가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베이스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고정유닛;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고정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의 상면으로 노출 가능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베이스는 하면에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는 안착개구가 형성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개구는 상기 회전 베이스에 소정 각도를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정수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소정 압력으로 감압하는 감압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연결관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입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입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유연한 재질의 전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전원공급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전선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
  17.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드레인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와 유연한 재질의 배수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는 배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배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배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
  18.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출부;
    상기 필터부와 추출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 공급원과 연결되는 입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입수부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유연한 재질의 입수 연결관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입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입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 유연한 재질의 전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유연한 재질의 배수 연결관을 통해 드레인하는 배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 지지부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배수부 중에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설치된 부분은 상기 전선과 상기 배수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분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지지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정수기.
KR1020210037480A 2021-03-23 2021-03-23 정수기 KR20220132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80A KR20220132321A (ko) 2021-03-23 2021-03-2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80A KR20220132321A (ko) 2021-03-23 2021-03-23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21A true KR20220132321A (ko) 2022-09-30

Family

ID=8345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480A KR20220132321A (ko) 2021-03-23 2021-03-2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3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041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240062042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KR20240062043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하우징
KR20240062044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파우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19A (ko) 2012-09-12 2014-03-20 (주)한우물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KR101381803B1 (ko)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KR20170135806A (ko) 2017-11-29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19A (ko) 2012-09-12 2014-03-20 (주)한우물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KR101381803B1 (ko)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KR20170135806A (ko) 2017-11-29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041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240062042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KR20240062043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하우징
KR20240062044A (ko) 2022-11-01 2024-05-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파우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2321A (ko) 정수기
ES2449046T3 (es) Filtro de purificación de agua fácilmente reemplazable mediante el uso de un conector
CN104826379A (zh) 一种滤瓶组件
JP2017528242A (ja) 取水ろ過装置を設けた洗濯機
US20200155978A1 (en) Water purifying filter cartridge structure
CN204637752U (zh) 一种滤瓶组件
CN105836908B (zh) 纯水机
CN211215728U (zh) 净水机的底座组件和净水机
KR102211141B1 (ko) 정수기용 출수유닛
KR101176315B1 (ko) 필터 유닛
CN105800807B (zh) 纯水机
JP3702530B2 (ja) 浄水器
CN107019951B (zh) 设置水路切换器活接旋柄装置的净水器
CN216045602U (zh) 一种龙头净水器
KR100903437B1 (ko) 필터 조립체
CN214500137U (zh) 一种龙头净水机
KR0138263Y1 (ko) 수도미터의 스트레이너 장착 구조
CN112441630B (zh) 净水机的水路系统以及净水机
CN112441631B (zh) 净水机
CN211770617U (zh) 一种维修方便的立式净水器
KR100431475B1 (ko) 미네랄 이온정수기의 정수필터 소켓
CN112439250A (zh) 净水机的水路系统以及净水机
WO2009038447A2 (en) Water filter assembly
KR102205881B1 (ko)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KR101284444B1 (ko) 역삼투막 필터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