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444B1 - 역삼투막 필터 유닛 - Google Patents

역삼투막 필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444B1
KR101284444B1 KR1020100136850A KR20100136850A KR101284444B1 KR 101284444 B1 KR101284444 B1 KR 101284444B1 KR 1020100136850 A KR1020100136850 A KR 1020100136850A KR 20100136850 A KR20100136850 A KR 20100136850A KR 101284444 B1 KR101284444 B1 KR 10128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membrane filter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876A (ko
Inventor
권진철
Original Assignee
권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진철 filed Critical 권진철
Priority to KR102010013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444B1/ko
Priority to PCT/KR2011/005529 priority patent/WO2012086892A1/ko
Publication of KR2012007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삼투막 필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유닛을 제공하고, 아울러 상기 유닛에 분말 또는 보존액이 섞여 있는 초기정수를 외부로 배수하여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능을 부여하여 역삼투막 필터를 유닛에 장착 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세척과 관련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역삼투막 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삼투막 필터 유닛{REVERSE OSMOTIC MEMBRANE FILTER UNIT}
본 발명은 역삼투막 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역삼투막(Reverse Osmotic Membrane: 이하 R/O Membrane) 필터는 기공의 크기가 0.001㎛∼0.0001㎛정도로 형성된 필터로써, 역삼투압 현상을 이용하여 여과과정을 경유하는 정수대상 원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세균, 유기물 등을 제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여 유통중인 필터의 대부분은 정수대상 원수를 투입한 후 여과과정을 거쳐 출수하는 정수장치에 통상 유닛(Unit)으로 지칭되는 매개물을 통해 회전체결방식으로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닛은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서 보듯이, 중공사막(U/F Membrane)이나 카본(Carbon)방식 필터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공사막이나 카본방식 필터와 달리 폐수를 지속적으로 배출해야 하는 역삼투막 필터에는 다소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종래의 역삼투막 필터 유닛의 경우 그 기능이 필터와 유닛을 상호 회전체결하는데 국한되어 있어 시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사항 중 하나인 세척기능은 전혀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역삼투막 필터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세척(Flushing)을 해야하는데, 이는 여과 막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역삼투압 현상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동시에 변질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분말(Powder) 또는 보존액의 존재 때문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역삼투막 필터는 제조방법에 따라 분말을 사용하는 건식과 보존액을 사용하는 습식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원수의 최초 여과시 상기 분말 또는 보존액이 초기정수에 섞여 나올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여과관련 신뢰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역삼투막 필터의 세척은 반드시 실시되어야 하는 필수조건이며, 이를 위해 역삼투막 필터를 유닛에 장착하기 전에 세척을 하거나, 장착 후 일정량의 정수를 받아 버린 후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즉 유통중인 역삼투막 필터 유닛의 구조상 불편함을 일부 감수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KR 10-2006-0029491 A KR 10-0566801 B1
본 발명은 역삼투막 필터에 최적화된 유닛이 부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상기 역삼투막 필터를 유닛에 장착하기 전에 세척을 하거나, 장착 후 일정량의 정수를 받아 버린 후 사용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역삼투막 필터를 정수장치에 용이 장착하게 하고, 아울러 장착 후 세척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 역삼투막 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수용 포트, 출수용 포트 및 폐수용 포트가 형성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역삼투막 필터가 회전 장착되고, 입수용 포트에 원수를 공급하는 제1입수 포트, 필터에서 여과되어 출수용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출수하는 제1출수 포트 및 폐수용 포트를 통해 폐수처리되는 폐수와 초기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1,2배수 포트가 형성된 몸통과;
상기 제1입수 포트 및 제1출수 포트와 각각 연통하는 제2입수 포트 및 제2출수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입수 포트의 원수입수가능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 포트가 형성되어 몸통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제1배수 포트 또는 제2배수 포트와 연통하는 세척 포트가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제2입수 포트와 입수용 포트, 제2출수 포트와 출수용 포트, 세척 포트와 폐수용 포트를 각각 개별 연결하기 위한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몸통과 회전체 사이에는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수용 포트, 출수용 포트 및 폐수용 포트에는 오링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몸통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을 정수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삼투막 필터에 형성된 포트와 연통하여 원수를 입수, 정수를 출수 및 폐수와 초기정수를 배수하는 몸통 및 회전체가 제공됨으로써, 역삼투막 필터를 정수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역삼투막 필터를 유닛에 장착한 후 세척이 가능하여 여과성능에 대한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인 여과성능의 유지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오-링이 제공되어 유닛 사이 및 유닛과 역삼투막 필터 사이를 기밀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여 여과관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오링캡의 추가 여부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기밀도 가능하다.
한편, 상부가 개방 형성된 몸통이 제공됨으로써, 내부부품을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며, 아울러 이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가 추가 제공됨에 따라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추가로 제공되는 브래킷을 통해 역삼투막 필터 유닛을 정수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 유닛의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실시 예를 평면에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실시 예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 유닛의 결합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 유닛의 작용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 유닛에 상부덮개 및 브래킷이 장착된 것을 실시 예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역삼투막(R/O Membrane) 필터(1)를 포함한다. 상기 역삼투막 필터(1)는 주지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현상을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화하게 되는데, 상기 역삼투막 필터(1)의 여과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생략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지되어 있는 역삼투막 필터(1)를 하기에서 설명하게 되는 유닛(2)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1)는 중요한 기술적 사항으로써, 유닛(2)에 회전체결방식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역삼투막 필터(1)와 유닛(2)에 각각 회전체결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그 실시 예로써 도 1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역삼투막 필터(1)의 둘레에 한 쌍의 체결용 돌기(10)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용 돌기(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유닛(2)의 안쪽에 고정용 돌기(22)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용 돌기(10)와 고정용 돌기(22)가 상호 교차 형성됨에 따라 역삼투막 필터(1)를 유닛(2)에 회전방식으로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역삼투막 필터(1)의 회전과정에서 원수의 입수, 출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체결방식과 함께 중요한 기술적 사항으로는 원수를 입수, 출수 및 폐수하기 위한 포트(Port)가 역삼투막 필터(1)에 분리 형성되어야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이를 위한 실시 예로써, 상기 역삼투막 필터(1)의 상부에 입수용 포트(11), 출수용 포트(12) 및 폐수용 포트(13)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으며, 상기 출수용 포트(12)를 중심으로 도면상 왼쪽에 입수용 포트(11)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교차방향인 뒤쪽에 폐수용 포트(13)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1)에는 유닛(2)에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부가요소로써, 입수용 포트(11)의 반대편에는 역삼투막 필터(1)를 유닛(2)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피팅(Fitting)용 기둥(14)이 형성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1)의 상면에는 유닛(2)과 결합을 통해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홈(15)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역삼투막 필터(1)와 함께 유닛(2)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2)은 도 1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역삼투막 필터(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통(20), 상기 역삼투막 필터(1)와 체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체(21) 및 상기 회전체(21)와 역삼투막 필터(1)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통(20)은 역삼투막 필터(1)의 회전장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23)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3)의 안쪽에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고정용 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22)를 통해 역삼투막 필터(1)를 회전장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몸통(20)에는 상기 수용공간(23)과 연통하게 형성되어 역삼투막 필터(1)에 원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역삼투막 필터(1)를 통해 여과된 정수를 출수 또는 배수할 수 있도록 총 4개의 포트가 형성되는데, 이를 기능상으로 분류하면, 원수를 입수하기 위한 입수 포트, 정수를 출수하기 위한 출수 포트 및 폐수와 초기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두 개의 배수 포트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입수 포트, 출수 포트 및 배수 포트는 하기의 회전체(21)에 동일 기능의 포트가 형성되고, 동일한 용어의 포트가 기재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혼동을 방지코자 제1입수 포트(20a), 제1출수 포트(20b), 제1배수 포트(20c) 및 제2배수 포트(20d)로 지칭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제1입수 포트(20a), 제1출수 포트(20b), 제1배수 포트(20c) 및 제2배수 포트(20d)는 실시 예로써, 몸통(20)의 좌측면에 제1입수 포트(20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입수 포트(20a)의 반대편, 우측면에 제1출수 포트(20b)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제1,2배수 포트(20c)(20d)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즉, 상기 제1입수 포트(20a)와 제1출수 포트(20b)는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직각방향(90°)으로 제2배수 포트(20d)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배수 포트(20d)의 오른쪽에 제1배수 포트(20c)가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입수 포트(20a)를 통해 입수한 원수는 입수용 포트(11)를 통해 역삼투막 필터(1)에 공급된 후 여과되어 정수화되며, 출수용 포트(12)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제1출수 포트(20b)가 정수장치로 출수하게 된다. 또한 폐수용 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는 제2배수 포트(20d)가 배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역삼투막 필터(1)를 통해 여과되어 정수화되는 정수 중 분말 또는 보존액이 일부 섞여 있는 초기정수는 폐수용 포트(13)를 거쳐 제1배수 포트(20c)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1)를 세척(Flushing)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1배수 포트(20c)를 통해서는 초기정수의 배수뿐 아니라 역삼투막 필터(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닛(2)에 포함되는 회전체(21)는 상기 몸통(20)에서 입수한 원수를 역삼투막 필터(1)에 공급하고, 상기 역삼투막 필터(1)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폐수용 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 초기정수를 제1배수 포트(20c)에 배수하고, 폐수를 제2배수 포트(20d)에 배수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회전체(21)를 통해서는 역삼투막 필터(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원수 입수를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입수 포트(20a), 제1출수 포트(20b) 및 제1,2배수 포트(20c)(20d)와 연통하는 포트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혼동을 방지코자 이를 각각 제2입수 포트(21a), 제2출수 포트(21b) 및 세척 포트(21c)로 지칭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2입수 포트(21a)는 도면상 회전체(21)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제1입수 포트(20a)와 연통하고, 반대편 우측면에 제2출수 포트(21b)가 형성되어 제1출수 포트(20b)와 연통하며, 그 사이에 세척 포트(21c)가 형성되어 제1,2배수 포트(20c)(20d)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23)과 연통하는 분배공간(24)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입수 포트(21a)에는 제1입수 포트(20a)를 통해 입수하게 되는 원수의 입수가능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 포트(21d)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확장 포트(21d)는 상기 제1입수 포트(20a)와 연통한 상태로 회전체(21)의 둘레를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제2입수 포트(21a)를 통해 입수할 수 있는 입수범위를 확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2입수 포트(20a)(21a)를 통한 원수의 입수는 유지하면서 출수용 포트(12)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회전체(21)의 회전에 따라 제1,2출수 포트(20b)(21b)를 통해 출수하거나 폐수용 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 초기정수를 제1배수 포트(20c)에, 폐수를 제2배수 포트(20d)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유닛(2) 간 또는 유닛(2)과 역삼투막 필터(1) 사이를 기밀할 수 있도록 오-링(O-Ring)이 제공되며, 그 실시 예로써 도 1 또는 2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상기 확장 포트(21d)를 포함하여 제2출수 포트(21b) 및 세척 포트(21c)에 오-링(25)이 구비되어 유닛(2) 사이를 기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오-링(25)은 회전체(21)의 둘레에 구비되어 역삼투막 필터(1) 장착 전 제1입수 포트(20a)와 회전체(21) 사이를 효과적으로 기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수를 입수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오링캡(26)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역삼투막 필터(1)와 유닛(2) 사이를 기밀하게 된다. 그 실시 예로써 도 1 또는 3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입수용 포트(11), 출수용 포트(12) 및 폐수용 포트(13)에 오링캡(26)이 구비되며, 이때의 오링캡(26)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닛(2)에 포함되는 연결파이프는 역삼투막 필터(1)와 회전체(21)를 연결토록 하게 된다. 상기 연결파이프를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입수파이프(27), 출수파이프(28) 및 세척파이프(29)로 구분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1)에 형성된 포트와 회전체(21)에 형성된 포트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입수파이프(27)는 일단이 제2입수 포트(21a)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입수용 포트(11)에 연결되어 제1,2입수 포트(20a)(21a)를 통해 입수한 원수를 입수용 포트(11)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출수파이프(28)는 일단이 제2출수 포트(21b)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출수용 포트(12)에 연결되어 상기 출수용 포트(12)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제1,2출수 포트(20b)(21b)에 출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파이프(29)는 일단이 세척 포트(21c)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폐수용 포트(13)에 연결되어 상기 폐수용 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상기 세척 포트(21c)에 배수토록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 유닛을 통한 원수의 입수, 출수 및 세척을 위한 배수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통(20)에 회전체(21)를 장착하되, 도 4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상기 몸통(20)에 원수를 입수하지 못하도록 제1입수 포트(20a)를 차단한 상태로 상기 회전체(21)를 장착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입수 포트(20a)와 제2입수 포트(21a)가 서로 연통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후 역삼투막 필터(1)를 상기 몸통(20)에 하부방향에서 장착하여 일 방향 회전(도면상 시계 반대방향)시키게 되면, 제1입수 포트(20a)가 확장 포트(21d)를 통해 제2입수 포트(21a)와 연통하게 되어 원수를 입수하게 되는데, 입수한 원수는 상기 제1,2입수 포트(20a)(21a), 입수파이프(27) 및 입수용 포트(11)를 거쳐 역삼투막 필터(1)에 공급된 후 여과되어 정수화된다.
이때, 상기 역삼투막 필터(1)에서 최초 여과되어 분말 또는 보존액이 일부 섞여 있는 초기정수가 폐수용 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데, 세척파이프(29)를 통해 상기 출수용 포트(13)와 연통하고 있는 세척 포트(21c)가 제1배수 포트(20c)가 연통하고 있으므로, 상기 세척 포트(21c) 및 제1배수 포트(20c)를 통해 초기정수가 외부로 배수된다.
이후 역삼투막 필터(1)를 일 방향으로 더 회전(도면상 시계 반대방향)시키게 되면, 도 6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제1입수 포트(20a)와 제2입수 포트(21a)는 연통한 상태로 제1출수 포트(20b)와 제2출수 포트(21b)가 연통하게 되어 여과된 정수를 출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세척파이프(29)를 통해 출수용 포트(13)와 연통하고 있는 세척 포트(21c)가 제2배수 포트(20d)가 연통하고 있으므로, 상기 세척 포트(21c) 및 제2배수 포트(20d)를 통해 폐수가 외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원수의 입수 및 출수를 위한 역삼투막 필터(1)의 장착과정에서 분말 또는 보존액이 섞여 있는 초기정수의 배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역삼투막 필터(1)의 세척과 관련한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역삼투막 필터(1)의 분리는 전술한 장착과정의 역순(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진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몸통(20)은 상부가 밀폐 형성되거나 개방 형성되어 제공되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상기 몸통(20)의 상부가 개방 형성될 경우에는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상부덮개(3)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덮개(3)는 도 7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개방되어 있는 몸통(20)의 상부를 개폐토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덮어 밀폐하고 있다가 유닛(2)의 점검 및 교체 등을 위한 관리시에는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래킷(4)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몸통(20)을 정수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하게 된다. 상기 브래킷(4)은 정수장치에 설치되는 고정부(40) 및 상기 고정부(40)에 몸통(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굴절 형성된 안내부(4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41)에는 몸통(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실시 예로써 상기 몸통(20)에 형성된 포트가 돌기형인 경우 안내부(41)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브래킷(4)을 통해 정수장치에 몸통(2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몸통(20)에 회전체(21) 및 역삼투막 필터(1)를 회전 장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역삼투막 필터 유닛을 정수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필터 2 - 유닛
3 - 상부덮개 4 - 브래킷
10 - 체결용 돌기 11 - 입수용 포트
12 - 출수용 포트 13 - 폐수용 포트
20 - 몸통 20a - 제1입수 포트
20b - 제1출수 포트 20c - 제1배수 포트
20d - 제2배수 포트 21 - 회전체
21a - 제2입수 포트 21b - 제2출수 포트
21c - 세척 포트 21d - 확장 포트
22 - 고정용 돌기 23 - 수용공간
24 - 분배공간 25 - 오-링
26 - 오링캡 27 - 입수파이프
28 - 출수파이프 29 - 세척파이프

Claims (5)

  1. 출수용 포트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용 포트를 중심으로 입수용 포트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교차방향으로 폐수용 포트가 형성된 역삼투막 필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가 하부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면에 입수용 포트에 원수를 공급하는 제1입수 포트, 역삼투막 필터에서 여과되어 출수용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출수하는 제1출수 포트 및 폐수용 포트를 통해 폐수처리되는 폐수와 초기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1,2배수 포트가 형성된 몸통;
    상기 제1입수 포트 및 제1출수 포트와 각각 연통하는 제2입수 포트 및 제2출수 포트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입수 포트의 원수입수가능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 포트가 측면에 형성되어 몸통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제1배수 포트 또는 제2배수 포트와 연통하는 세척 포트가 형성된 회전체; 및
    상기 제2입수 포트와 입수용 포트, 제2출수 포트와 출수용 포트, 세척 포트와 폐수용 포트를 각각 개별 연결하기 위한 연결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과 회전체 사이에는 오-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수용 포트, 출수용 포트 및 폐수용 포트에는 오링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통을 정수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 유닛.
KR1020100136850A 2010-12-21 2010-12-28 역삼투막 필터 유닛 KR10128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850A KR101284444B1 (ko) 2010-12-28 2010-12-28 역삼투막 필터 유닛
PCT/KR2011/005529 WO2012086892A1 (ko) 2010-12-21 2011-07-27 필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850A KR101284444B1 (ko) 2010-12-28 2010-12-28 역삼투막 필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876A KR20120074876A (ko) 2012-07-06
KR101284444B1 true KR101284444B1 (ko) 2013-07-09

Family

ID=4670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850A KR101284444B1 (ko) 2010-12-21 2010-12-28 역삼투막 필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65B1 (ko) * 2012-09-11 2013-12-04 정휘동 정수기의 유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439A (ja) * 1992-08-05 1994-03-01 Kubota Corp ゴミ除去機能を備えた切換弁
KR20050101263A (ko) * 2004-04-17 2005-10-21 지엔 주식회사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100804302B1 (ko) * 2006-12-20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KR20090117512A (ko) * 2008-05-09 2009-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439A (ja) * 1992-08-05 1994-03-01 Kubota Corp ゴミ除去機能を備えた切換弁
KR20050101263A (ko) * 2004-04-17 2005-10-21 지엔 주식회사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100804302B1 (ko) * 2006-12-20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KR20090117512A (ko) * 2008-05-09 2009-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복수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전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876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20B1 (ko) 복합 필터 소자, 정수기용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와 정수기
KR200432225Y1 (ko)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100874751B1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
WO2006059800A1 (ja) 五方弁
KR101284444B1 (ko) 역삼투막 필터 유닛
CN200990814Y (zh) 一种反冲洗供水设备
CN212119273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CN211226634U (zh) 多功能水处理机
KR101176315B1 (ko) 필터 유닛
JP4490624B2 (ja) エアー/水抜き付き浄水器
KR20090002858A (ko)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KR200467907Y1 (ko) 필터 유닛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KR20090013356A (ko) 정수기의 복합필터장치
CN106316003A (zh) 一种雨水利用前处理无人机
CN113350884B (zh) 二次精密过滤器
KR20180021542A (ko) 해수 담수화 시스템용 여과장치
CN209759167U (zh) 水处理机、用于水处理机的外壳和用于净化-软化水处理机的外壳
CN212102262U (zh) 过滤组件及水净化装置
KR200420335Y1 (ko) 정수기용 전처리 장치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CN218688161U (zh) 一种反渗透装置
CN209828416U (zh) 一种前置过滤器
CN214485871U (zh) 净水机、过滤机构及过滤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