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519A -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519A
KR20140034519A KR1020120100946A KR20120100946A KR20140034519A KR 20140034519 A KR20140034519 A KR 20140034519A KR 1020120100946 A KR1020120100946 A KR 1020120100946A KR 20120100946 A KR20120100946 A KR 20120100946A KR 20140034519 A KR20140034519 A KR 2014003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water purifier
bar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758B1 (ko
Inventor
강송식
Original Assignee
(주)한우물
강송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우물, 강송식 filed Critical (주)한우물
Priority to KR102012010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7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를 만드는 정수기 본체에 축 결합에 의하여 회전 작동하는 토출수단을 형성하고, 그 토출수단은 정수기 본체에 축결합되는 토수바에 유로관을 내장하여 토수바의 타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토출수단이 토수바의 절첩에 의하여 토출구가 노출되거나 감춰지면서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을 받기 위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토출구의 위치 가변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물을 받는 용기의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물을 자유롭게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을 받기 위한 토출구가 토수바에 의하여 절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토수바를 펼쳐 물을 받거나, 토수바를 접어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정수기의 전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음용수를 뽑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토출구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음용수를 뽑아 먹을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이러한 레버는 토출구의 상단에 장착되어 레버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토출구의 후방에 장착되어 컵을 밀어서 젖혀지도록 되면서 작동하는 것이고, 레버가 탄성력에 의하여 닫힌 상태로 유지되다가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토출구가 열리면서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특히 이러한 토출구가 정수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토출구와 레버가 정수기의 전면 내측으로 매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높이는 보통 컵 등의 용기 높이를 고려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용량이 큰 용기에 음용수를 받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음용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물병이나 패트병, 또는 냄비나 볼(bowl)과 같은 주방용기에 음용수를 직접 받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렇게 매립되어진 형태의 구조에서는 음용수를 직접 받기가 매우 까다롭고,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레버의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음용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수기는 대부분 경우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두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 자체가 정수기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온수를 토출할 경우 어린이가 사용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수 측 레버에는 안전장치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 또한 외관을 더욱 해치게 됨은 물론, 온수 사용이 번거롭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을 받기 위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토출구의 위치 가변이 가능하여 물을 받는 용기의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물을 자유롭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토출구의 구조에 안전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필터로 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를 만드는 정수기 본체에 축 결합에 의하여 회전 작동하는 토출수단을 형성하고, 그 토출수단은 정수기 본체에 축결합되는 토수바에 유로관을 내장하여 토수바의 타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토출수단이 토수바의 절첩에 의하여 토출구가 노출되거나 감춰지면서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축결합구조가 토출수단에 유로관과 정수라인의 튜브를 연결하기 위하여 직각으로 삽입소켓부를 형성하고, 그 삽입소켓부가 정수기 본체에 형성되는 장착대에 끼워 조립되도록 하여 토수바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토수바에는 유로관에 살균수단을 내장함으로써 음용수가 배출되기 직전에 살균수단에 의한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용수를 토출할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토수바를 회동시켜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항상 토수바를 접어서 보관하므로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토수바가 접힌 상태에서는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토수바에 의하여 안전장치가 작동하므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음용수를 받기 위한 용기의 높이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물병이나 패트병, 또는 냄비나 볼(bowl)과 같은 주방용기로 음용수를 직접 받을 경우에도 간편하게 받을 수 있고, 토수바의 회동에 의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음용수를 받을 수 있으므로 정수기 본체의 설치 위치를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본체와 토출수단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수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토출수단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토수바에 살균수단이 형성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토수바에 살균수단이 형성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기 본체(10)에 필터가 내장되어 원수(原水)로 공급되어진 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로 만들어 토출수단(20)을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정수기로서, 이러한 토출수단(20)의 구조를 정수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축 회전하는 토수바(21)를 구비하고 그 토수바(21)의 말단부에는 유로와 연결되어지는 토출구(22)를 형성하여 토수바(21)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구(22)가 노출되거나 감춰지면서 토출구(22)를 통하여 음용수를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토수바(21)의 내부에는 토출구(22)를 통하여 물을 배출하기 위한 유로관(23)을 내장하고, 그 유로관(23)에는 정수라인 상에 장착되는 호스(30)와 연결하여 정수기 본체(10), 즉 필터에서 정수되어진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로관(23)은 정수기 본체(10)에 삽입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삽입소켓부(24)를 형성하여 삽입소켓부(24)의 하단을 정수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장착대(14)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토수관(21)이 정수기 본체(10)에 축 결합되어 토수바(21)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정수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내입턱(11)을 형성하면서 그 내입턱(11)에 개구홀(12)을 형성함으로써 삽입소켓부(24)가 개구홀(12)을 관통하여 장착대(14)에 조립되어지면서도 토수바(21)가 내입턱에 안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삽입소켓부(24)가 장착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토수관(21)을 측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배출구(22)가 노출되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배출구(22)를 내입턱(11)의 상단에 위치시켜 가릴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토수관(21)의 장착높이, 즉 내입턱(11)의 높이에 따라서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높이가 제한되는 것이고, 또한 토수관(21)의 길이에 따라서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직경이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정수기 본체(10)에서 토수관(21)이 높게 위치되도록 하면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높이제한을 덜 받게 되므로 더욱 여러 종류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토수관(21)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토수관의 회전축으로부터 토출구(22)가 멀리 위치하게 되므로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직경제한을 덜 받게 되므로 더욱 여러 종류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토수관(21)의 장착높이와 길이를 설계과정에서 설정함으로써 필요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정수기의 설치장소나 용도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정수기 사용이 간편해지게 되는 ㄱ것이다.
이때, 상기 토수관(21)의 반복적인 작동이나 토수관(21)이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을 받을 경우에 토수관(21)의 축 결합된 부분에 모든 하중이 집중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관(21)을 정수기 본체(10)에 장착하기 위한 삽입소켓부(24)의 형태를 유로관(23)과 호스(30) 연결을 위하여 직각으로 밴딩하여 형성하면서 그 밴딩되어진 부분에 보강수단(24a)을 덧댐으로써 삽입소켓부(24)의 내구성을 향상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삽입소켓부(24)의 외주면에 돌기살(24b)을 형성하고, 토수바(21)에는 이와 대응되게 끼움홈(21b)을 형성하면 돌기살(24b)이 끼움홈(21b)에 맞물리게 끼워져 토수바(21)의 절첩시 토수바(21)와 삽입소켓부(24)가 긴밀히 연동되면서 유동되지 않게 하여 장기간 반복 작동할 경우에도 토수바(21)에서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정수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장착대(14)에는 토수바(21)의 삽입소켓부(24)와 조립되어 토수바(21)의 회전에 의하여 연동되게 작동하는 작동체(15)를 형성하고, 그 작동체(15)의 회전 반경 상에 안전스위치(40)를 장착하면 토수바(21)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체(15)가 회전하면서 안전스위치(40)를 자동으로 온/오프 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바(21)를 펼쳐 토출구(22)를 개방하면 작동체(15)가 회전하면서 작동체(15)의 가압돌기(15a)가 안전스위치(40)의 접점부(40a)로부터 떨어져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준비되고, 반대로 토수바(21)를 접어 토출구(22)를 닫으면 작동체(15)가 회전하면서 작동체(15)의 가압돌기(15a)가 안전스위치(40)의 접점부(40a)를 가압하여 스위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물을 배출하는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토수바(21)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안전스위치(40)의 작동상태를 해제하여 물을 받을 수 있는 준비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안전스위치(40)가 작동되도록 하여 물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스위치(40)의 작동상태를 해제한 상태, 즉 도 5와 같이 토수바(21)을 전방으로 펼친 상태에서는 정수기 본체(10) 전면에 작동스위치(13)를 작동시켜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반대로 안전스위치(40)를 작동한 상태, 즉 토수바(21)가 접힌 상태에서는 정수기 본체(10) 전면에 작동스위치(13)를 작동시켜도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토수바(21)의 삽입소켓부(24)와 작동체(15)가 연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삽입소켓부(24)와 작동체(15)에 서로 대응되게 걸림수단(15c,24c)을 형성함으로써 토수바(21)의 절첩 작동에 의하여 작동체(15)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걸림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조립구조 이외에도 기어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수바(21)는 상부에 내입되는 형태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부(21a)를 형성하면 토수바(21)가 정수기 본체(10)에 밀착되게 접힌 상태에서도 손잡이부(21a)에 손가락을 걸어 간편하게 펼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손잡이부(21a)의 구조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부(21a)에 버튼식의 락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토수바(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관(23)에는 살균수단(25)을 내장하면 음용수가 배출되기 직전에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수단(2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관(23)에 복수의 살균볼(25a)을 내장하고 그 내장된 살균볼(25a)의 양단을 탄성수단(25b)에 의하여 탄성 고정되도록 하면 토출관(22)을 통하여 물을 배출할 경우에도 유로관(23)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살균볼(25a)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살균수단(25)의 단부, 즉 유로관(23)의 말단부에는 걸름막(25c)을 장착하면 정수기 본체(10)의 필터 또는 상기 살균볼과 같은 정수, 살균 수단을 경유하면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이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정수기 본체 11: 내입턱
12: 개구홀 13: 작동스위치
14: 장착대 15: 작동체
15c: 걸림수단
20: 토출수단 21: 토수바
21a: 손잡이부 21a: 끼움홈
22: 토출구 23: 유로관
24: 삽입소켓부 24a: 보강수단
24b: 돌기살 24c: 걸림수단
25: 살균수단 25a: 살균볼
25b: 탄성수단 25c: 걸름막
30: 호스
40: 안전스위치 40a: 접점부

Claims (8)

  1. 필터가 내장되어 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를 만드는 정수기 본체(10)에 토출수단(20)이 형성되어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토출수단(20)은 정수기 본체(10)에 토수바(21)가 축 결합되고, 토수바(21)가 축 결합되어진 부분의 타측 단부에는 토출구(22)가 형성되어 토수바(21)의 축 회전에 의하여 토출구(22)가 노출되거나 감춰지면서 토출구(22)를 통하여 음용수를 배출하도록 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20)은 토출구(22)를 통하여 물을 배출하기 위한 유로관(23)이 토수바(21)에 내장되면서 유로관(23)에는 튜브(30)가 연결되어 정수기 본체(10)에서 정수되어진 음용수를 배출하도록 되고, 상기 유로관(23)은 정수기 본체(10)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소켓부(24)가 형성되어 정수기 본체(10)의 장착대(14)에 끼워 조립하여 축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토수바(21)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도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본체(10)는 전면에 내입턱(11)이 형성되어 그 내입턱(11)에 토출수단(20)의 토수바(21)가 안착되고, 상기 내입턱(11)의 일단에는 개구홀(12)이 형성되어 토출수단(20)의 삽입소켓부(24)가 개구홀(12)을 관통하여 장착대(14)에 조립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장착대(14)는 삽입소켓부(24)와 맞물리게 끼워져 토수바(21)의 회전 작동과 연동되게 작동하는 작동체(15)가 장착되고, 그 작동체(15)은 회전 작동에 의하여 안전스위치(40)를 제어하여 토출수단(20)의 토수바(21)의 절첩 작동에 의하여 안전스위치(40)를 자동으로 온/오프 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소켓부(24)는 유로관(23)과 호스(30)의 연결을 위하여 직각으로 밴딩되어 이루어지고, 그 직각으로 밴딩되어진 내측으로 보강수단(24a)이 덧대여 축 결합부분의 내구성을 향상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소켓부(24)는 외주면에 돌기살(24b)이 형성되어 토수바(21)의 끼움홈(21b)에 돌기살(24b)이 맞물리게 끼워져 토수바(21)의 절첩시 토수바(21)와 삽입소켓부(24)가 긴밀히 연동되면서 유동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바(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관(23)은 살균수단(25)이 내장되어 음용수가 배출되기 직전에 살균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25)은 유로관(23)에 복수의 살균볼(25a)이 내장되고 그 살균볼(25a)은 탄성수단(25b)에 의하여 탄성 고정되어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고, 살균수단(25)의 단부에는 걸름막(25c)이 형성되어 유로관(23)을 통하여 이물질이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KR1020120100946A 2012-09-12 2012-09-12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KR10141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46A KR101413758B1 (ko) 2012-09-12 2012-09-12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46A KR101413758B1 (ko) 2012-09-12 2012-09-12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519A true KR20140034519A (ko) 2014-03-20
KR101413758B1 KR101413758B1 (ko) 2014-08-06

Family

ID=5064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946A KR101413758B1 (ko) 2012-09-12 2012-09-12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3349B2 (en) 2015-08-21 2018-08-21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er
KR20220105928A (ko) * 2021-01-21 2022-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32321A (ko) 2021-03-23 2022-09-3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136A (ja) * 1992-10-16 1994-05-10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
JP2006021186A (ja) * 2004-07-09 2006-01-26 Ttm:Kk 電動ポンプ式浄水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3349B2 (en) 2015-08-21 2018-08-21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er
EP3337587A4 (en) * 2015-08-21 2019-03-27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ER
EP3698862A1 (en) * 2015-08-21 2020-08-26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er
US11225405B2 (en) 2015-08-21 2022-01-1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KR20220105928A (ko) * 2021-01-21 2022-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1780724B2 (en) 2021-01-21 2023-10-1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KR20220132321A (ko) 2021-03-23 2022-09-3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758B1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44111U (zh) 抽拉式水龙头弯管与出水头磁吸隐藏式自动定位装置
USD531512S1 (en) Water bottle
CN102085500B (zh) 可调整的固定式花洒
USD573693S1 (en) Hot and cold water mixing faucet
KR20140034519A (ko)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USD540912S1 (en) Tub faucet
CN201469123U (zh) 上弯管切换淋浴器
CN201186248Y (zh) 亲子式花洒
CN2929370Y (zh) 防污手开关水龙头
ES2733198T3 (es) Grupo mezclador con ducha de mano desmontable
CN209818849U (zh) 一种用于水龙头的阀体机构
ES2358809T3 (es) Accesorio de entrada y rebosadero para bañeras.
USD567910S1 (en) Cold and hot water mixing shower faucet
KR200409995Y1 (ko)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
US20230121994A1 (en) Faucet with utensil flushing mechanism
JP2007297112A (ja) 栓部材、及び同栓部材を備えた液体収容容器
JP2007138574A (ja) 自動水栓
CN106439097B (zh) 一种双水路切换阀芯及使用其的水龙头
JP3708840B2 (ja) 浄水機能付きの水栓
USD527796S1 (en) Combined outlet arm and faucet
JP3947364B2 (ja) 切替機構付シャワヘッドを備えたスプレー混合栓
CN105909898B (zh) 一种自缩式自动伸缩水龙头
USD585967S1 (en) Faucet body
CN106510366A (zh) 一种旋转式安全容器盖
CN211534342U (zh) 内窥镜镜子清洗杯及其单向止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