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041A -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041A
KR20240062041A KR1020220144071A KR20220144071A KR20240062041A KR 20240062041 A KR20240062041 A KR 20240062041A KR 1020220144071 A KR1020220144071 A KR 1020220144071A KR 20220144071 A KR20220144071 A KR 20220144071A KR 20240062041 A KR20240062041 A KR 2024006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plate
box structu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환
박찬정
허준
강명훈
신경철
심상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041A/ko
Priority to US18/495,824 priority patent/US20240140822A1/en
Publication of KR2024006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Tray-like elements formed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1Modular elements with complementary shapes, interengageable par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제 1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원수를 공급받고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하여 상기 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에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은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필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부에 구비되는 입수 모듈; 및 상기 필터가 생성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 측부에 구비되는 출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유입된 물(원수)을 필터로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코크나 파우셋 등으로 구성되는 추출부를 포함한다.
필터부에 공급되는 물은 외부 입수관을 통하여 정수기 내부로 공급되고, 필터부 또는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한 물은 외부 배수관(드레인관)을 통하여 외부로 드레인된다.
COWAY Co., Ltd.의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316251호에는 종래의 정수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정수기 본체, 정수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브라켓, 필터 브라켓에 결합되는 복수의 필터, 필터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기는 많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구성 요소 간의 결합 관계 및 배치 관계가 복잡하므로, 조립 및 분해 과정이 난해하여, 제조 비용, 유지 관리 및 보수 비용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정수기는 결합 관계 및 배치 관계에 관한 지식이 없는 고객들이 직접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없으므로 당사의 직원이 방문하기 어려운 지역이나 상황에서는 정수기를 유지 및 보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2-0096521호에는 종래의 정수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하우징(메인 프레임) 내부에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거나 외부로 정수를 배출하는 유로 모듈,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 모듈,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모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기는 하우징 등 대부분의 구성이 재활용이 어렵고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제조 및 생산 과정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폐기 과정에 많은 양의 폐기물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2-0132321호에는 종래의 정수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하우징 내부에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부,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생성된 정수를 배출하는 출수부, 소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작동 요소 및 이러한 작동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전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기는 외부로부터 전원, 즉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하므로, 캠핑장 등 야외 공간, 개발 도상국과 같이 사회 인프라 시설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은 장소, 정전 등의 긴급 상황 등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나 상황에서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기본적인 기능조차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정수기는 하우징 등 대부분의 구성 요소들이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정수기의 무게가 무거우며, 전원 및 원수 배관 등에 연결되어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휴대성 및 설치 용이성이 부족하고, 장소를 이동하여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31625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2-009652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2-01323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구성요소가 특별한 지식이나 도구 없이도 쉽게 분해 및 재조립 될 수 있어, 휴대성 및 공간 제약에 따른 사용 가능성에 제한이 없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해된 후 단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 구조체로 재조립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보관 용이성 및 휴대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이나 에너지를 제공받을 필요가 없어, 캠핑장 등 야외 공간, 개발 도상국과 같이 사회 인프라 시설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은 장소, 정전 등의 긴급 상황 등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나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 및 보호하는 하우징이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조립 또는 사용 후 폐기되더라도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이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에 이용되는 포장용 부재들을 정수기의 일 구성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이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수를 제공받고, 생성된 정수를 출수하는 구성 요소인 입수 모듈 및 출수 모듈이 복수의 하위 부품들로 분해된 후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컴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어, 보관 용이성 및 휴대성이 개선된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부를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 또는 필터가 출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유지 보수 및 관리 용이성을 달성하면서도,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 요소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고 외부로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하여 상기 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에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은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필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부에 구비되는 입수 모듈; 및 상기 필터가 생성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 측부에 구비되는 출수 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일측부가 개구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부가 개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는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이 제 1 수용 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일 부분이 일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개구는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는 상기 필터가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타 부분이 상기 다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의 일 면에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는 상기 입수 모듈의 일 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입수모듈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입수모듈 관통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외부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는 일측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타측부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는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는 상기 수용부의 일 측면,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되 상기 수용부 개구의 상기 타 부분이 구비되는 다른 측면, 전면, 배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 측면과 상기 다른 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수용부 개구의 상기 일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면 덮개판; 및 상기 수용부 개구의 상기 타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 덮개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 덮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의 상기 일측부에는 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돌기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측부에 정수를 배출하는 출수구가 구비되는 출수부; 및 상기 출수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의 타측부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출수 모듈의 출수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출수구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출수홀 및 상기 조작부가 관통하는 조작부 관통홀이 구비되는 출수부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는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는 상기 수용부의 일 측면,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 상기 수용부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배면판; 상기 수용부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전면판; 상기 출수부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전면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출수홀이 구비되는 출수부 하면판; 상기 출수부의 전방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 하면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수부 전면판; 및 상기 출수부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 전면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조작부 관통홀이 구비되는 출수부 상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전면판은 상하 방향 길이가 상기 제 1 배면판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부 전면판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전면판과 상기 제 1 배면판의 상하 방향 길이 차이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이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면의 일 부분과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을 커버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보강부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되, 일 면이 상기 보강부의 외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의 일 면에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기 위한 상기 입수 모듈의 일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입수모듈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2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는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는 상기 보강부의 일 측면, 배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 및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는 제 2 하부 전면판 및 상기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 2 상부 전면판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개선부가 구비되는 제 2 전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하우징의 일 측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포장 상태에서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의 일 측부를 커버하여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에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의 일 측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포장용 완충 부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종이로 된 허니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컵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홀을 구비한 컵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부는 상기 고정홈의 일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컵 홀더는 상기 고정홈의 타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컵 홀더는 상기 포장 상태에서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 내에 수용되는 제 2 박스 구조체의 일 부분을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는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입수 유로 형성 부재; 상기 입수 유로 형성 부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 감압 부재;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출수 부재; 상기 출수 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 부재의 일 측부에 결합될 수 있는 조작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입수 유로 형성 부재 및 상기 출수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제 2 수용 공간은 상기 복수의 입수 유로 형성 부재, 상기 감압 부재, 상기 출수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 모듈로 공급되기 위한 원수가 수용될 수 있는 원수 탱크; 및 상기 원수 탱크로부터 상기 입수 모듈로 원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방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용 필터, 정수기용 베이스 프레임, 정수기용 입수 모듈 및 정수기용 출수 모듈이 내부에 포장된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로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장된 제 1 박스 구조체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에서 꺼내는 단계;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조립하여 정수기용 파우셋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배치하여 정수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장된 제 2 박스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재조립하여,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과 상기 하우징 내면의 일 부분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보강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이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상기 일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을 조립하여, 중간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중간 조립체를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장된 제 2 박스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재조립하여,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홀을 구비한 컵 홀더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컵 홀더를 상기 정수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의 상기 일 측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한 포장용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일 측부를 상기 고정홈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은 각 구성요소가 특별한 지식이나 도구 없이도 쉽게 분해 및 재조립 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공간 제약에 따른 사용 가능성에 제한이 없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은 박스 형상의 패키지로 재조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보관 용이성 및 휴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이나 에너지를 제공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캠핑장 등 야외 공간, 개발 도상국과 같이 사회 인프라 시설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은 장소, 정전 등의 긴급 상황 등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나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은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 및 보호하는 하우징이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 또는 사용 후 폐기되더라도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이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은 포장에 이용되는 포장용 부재들을 정수기의 일 구성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이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은 원수를 제공받고, 생성된 정수를 출수하는 구성 요소인 입수 모듈 및 출수 모듈이 복수의 하위 부품들로 분해된 후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컴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으므로, 보관 용이성 및 휴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부를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 또는 필터가 출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유지 보수 및 관리 용이성을 달성하면서도,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 요소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는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이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들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의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 필터, 제 1 박스 구조체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의 제 1 박스 구조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를 개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를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를 개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를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를 보강 프레임 및 컵 홀더로 재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의 수용 공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를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을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출수 모듈의 조작부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을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출수 모듈의 조작부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및 보강 프레임을 결합하여 중간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를 하우징으로 재조립하고, 재조립된 하우징 및 중간 조립체를 결합하여 정수기 본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본체, 지지 플레이트 및 컵 홀더를 결합하여 정수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는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이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들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의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 필터, 제 1 박스 구조체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우징이 친환경적이고 자연에서 분해되기 쉬운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및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에 의하여 포장된 구성들을 (재)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및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에 포장된 구성들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특별한 공구 없이도 내부에 포장된 구성들 및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를 (재)조립하여 정수기를 형성할 수 있는 박스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및 이에 의하여 포장된 구성들이 정수기로 조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포장 상태라 하고, 조립되어 정수기를 형성한 상태를 정수기 조립 상태라 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개시에서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및 이에 의하여 포장된 구성들은 보관, 휴대 또는 배송 등의 용이성을 위하여 단일한 박스 형상의 패키지로 포장되어 있는 포장 상태에 놓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개시에서,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후술하는 필터 및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포장하기 위한 복수의 박스 구조체 및 복수의 완충 부재들이 소정의 방식으로 조립 또는 결합된 구조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는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 제 1 박스 구조체(50) 및 제 2 박스 구조체(60)(도 3c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도 4b에 도시됨)는 제 1 박스 구조체(50) 및 제 2 박스 구조체(60)(도 3c에 도시됨)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또한, 필터(40)는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40)도 제 1 박스 구조체(50) 및 제 2 박스 구조체(60)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거나,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도 4b에 도시됨)의 일 구성이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 내부에 포장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으나, 제 1 박스 구조체(50) 내부에는 제 2 박스 구조체(60)(도 3c에 도시됨)가 수용될 수 있고, 제 2 박스 구조체(60)(도 3c에 도시됨) 내부에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도 4b에 도시됨)가 수용될 수 있다.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도 4b에 도시됨)는 정수기용 파우셋(72)(도 5b에 도시됨)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정수기용 파우셋(72)(도 5b에 도시됨)는 필터(40)와 함께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도 5a에 도시됨)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 및 이에 의하여 포장되는 다른 구성들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외부 오염, 물리적 또는 화학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나,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로서, 공지의 다양한 포장용, 운송용 또는 보관용 상자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는 필터(40) 및 제 1 박스 구조체(5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는 허니콤 보드(honeycomb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허니콤 보드는 종이나 알루미늄 따위로 만든 벌집 모양의 심재(心材) 양쪽에 합판, 석면 시멘트 판 따위를 붙인 것으로, 가볍고 단열성 및 강도가 뛰어난 특성을 가지므로,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허니콤 보드로 이루어지는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20,30)는 조립 또는 사용 후 폐기되어도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므로, 폐기물에 따른 환경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는 내부에 소정의 물체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부피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는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의 일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중앙부에는 하부 고정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고정홈(31)은 후술하는 제 1 박스 구조체(5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 박스 구조체(50)의 형상에 대응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박스 구조체(50)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채로 하부 고정홈(3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부 고정홈(31)에 삽입된 제 1 박스 구조체(50)의 일측부는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의 일면 상으로 다소 돌출될 수 있다.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의 일면에서 하부 고정홈(31)의 양 측부에는 필터 고정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고정홈(33)은 필터(40)가 삽입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필터(40)는 공지의 다양한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고정홈(33)의 개수는 후술하는 필터(4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40)는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필터(4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40)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 필터(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에 의하여 포장되지 않은 채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에는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는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의 일면에 삽입 고정된 제 1 박스 구조체(50) 및 필터(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와 마주보는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의 일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의 중앙부에는 상부 고정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고정홈(21)은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 일면상으로 다소 돌출된 제 1 박스 구조체(50)의 일측부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부 고정홈(21)도 제 1 박스 구조체(5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부 고정홈(21)은 정수기 본체 고정 부분(21a) 및 컵 홀더 고정 부분(2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는 정수기의 일 구성으로 이용되어, 후술하는 정수기 본체(52,62,72)(도 8a에 도시됨) 및 컵 홀더(64)(도 8a에 도시됨)와 함께 정수기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정수기 본체 고정 부분(21a)은 정수기 본체(52,62,72)(도 8a에 도시됨)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고, 컵 홀더 고정 부분(21b)은 컵 홀더(64)(도 8a에 도시됨)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8a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의 일면에서 상부 고정홈(21)의 측부에는 컵 받이 홈(2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받이 홈(23)은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 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컵 받이 홈(23)의 연장 방향 단부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컵 받이 홈(23)은 상부 고정홈(21)의 양 측부에 대칭 형성되나, 그 형상이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컵 받이 홈(23)은 후술하는 정수기 본체(52,62,72)(도 8a에 도시됨)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받기위한 컵이 놓여지기 위한 부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에 의하면, 정수기를 형성하기 위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단일한 박스 형상의 구조체로 포장될 수 있으므로, 보관, 휴대 및 배송에 적합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장소 및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정수기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의 제 1 박스 구조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를 개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를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50)는 포장 상태에서 제 2 박스 구조체(60)를 수용하여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제 1 박스 구조체(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으로 재조립되어 정수기의 일 구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박스 구조체(50)는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를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박스 구조체(5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의 각 부분을 후술하는 접이선부를 따라 절곡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접이선부는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의 일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소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의미한다. 접이선부에 의하여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의 일 부분은 다른 부분과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절개 및 접이선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판지를 펀칭하는 펀칭 공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박스 구조체(50)는 하드 보드지 또는 골판지 등을 펀칭 공정으로 절개 및 홈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박스 구조체(50)는 사용 후 폐기되어도 자연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어, 폐기물에 따른 환경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는 제 1 박스 구조체(50)의 측벽을 이루는 제 1-1 측면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측면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1 측면판(110)의 일 측부, 도 3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제 1 하면 덮개판(112)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1 측면판(110)과 제 1 하면 덮개판(112) 사이에는 제 1 하면 덮개 접이선부(F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하면 덮개판(112)은 제 1 박스 구조체(50)의 제 1 하면판(140)의 외측부를 커버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1 하면 덮개판(112)이 제 1 하면판(140)을 커버함으로써, 제 1 하면판(140)의 지지력 및 제 1 박스 구조체(50)(또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의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때, 제 1 하면 덮개판(112)의 일 측부, 도 3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노출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노출홈(113)은 후술하는 고정 돌기 삽입부(14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정 돌기(165)가 고정 돌기 삽입부(141)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1 측면판(110)의 다른 측부, 도 3a를 기준으로 좌측부에는 제 1 배면판(120)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1 측면판(110)과 제 1 배면판(120) 사이에는 제 1 배면 접이선부(F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배면판(120)은 제 1 박스 구조체(50)의 배면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일 방향으로 제 1-1 측면판(110)과 교차되게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배면판(120)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1 측면판(110)의 좌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배면판(120)에는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으나, 제 1 박스 구조체(50)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으로 재조립되어 내부에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를 수용한다.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은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가 외부로부터 원수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의 일 부분이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원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은 일 방향,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 방향은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가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에 수용되기 위해여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배면판(120)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측부에는 제 1-1 하부 날개판(122)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배면판(120)과 제 1-1 하부 날개판(122) 사이에는 제 1-1 하부 날개 접이선부(F1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1 하부 날개판(122)은 후술하는 제 1 하면판(140)과 중첩되어, 제 1 하면판(14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고, 제 1 박스 구조체(50)(또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배면판(120)의 또 다른 측부, 도 3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제 1-1 상면 덮개판(124)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1 상면 덮개판(124)과 제 1 배면판(120) 사이에 제 1-1 상면 덮개 접이선부(F1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1 상면 덮개판(124)은 상하로 이동하며, 후술하는 제 1 수용 공간(S1)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1 상면 덮개판(124)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 1 수용 공간(S1)의 상부를 통하여 제 2 박스 구조체(60)(또는,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가 출입할 수 있다.
제 1-1 상면 덮개판(124)이 제 1 수용 공간(S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 2 박스 구조체(60)(또는,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의 상측부가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제 1 배면판(120)의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좌측부에는 제 1-2 측면판(13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2 측면판(130)과 제 1 배면판(120) 사이에는 제 1-2 측면 접이선부(F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2 측면판(130)은 제 1 박스 구조체(50)의 측벽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 1-1 측면판(110)과 나란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 1-2 측면판(130)에는 필터 출입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출입부(131)는 소정의 물체가 제 1-2 측면판(130)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제 1-2 측면판(130)의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으나,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 필터(40)는 필터 출입부(131)를 통하여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 및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의 내부를 출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40)는 용이하게 교체되거나 유지 보수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2 측면판(130)에는 고정 돌기 삽입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돌기 삽입부(141)는 제 1-2 측면판(130)의 하부에 형성된다. 고정 돌기 삽입부(141)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2 측면판(130)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제 1 하면판(140)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2 측면판(130)과 제 1 하면판(140) 사이에는 제 1 하면 접이선부(F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하면판(140)은 제 1 박스 구조체(50)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 1-1 및 제 1-2 측면판(110,130)에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제 1 하면판(140)은 제 1 박스 구조체(50)(또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에 수용되는 구성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2 측면판(130)의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좌측부에는 제 1 전면판(150)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전면판(150)과 제 1-2 측면판(130) 사이에는 제 1 전면 접이선부(F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전면판(150)은 제 1 박스 구조체(50)의 전면을 이루는 구성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 1 박스 구조체(50) 내부에는 제 1-1 측면판(110), 제 1 배면판(120), 제 1-2 측면판(130), 제 1 하면판(140) 및 제 1 전면판(150)에 의하여 규정되는 제 1 수용 공간(S1)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수용 공간(S1)에는 포장 상태에서는 제 2 박스 구조체(60)가 수용 및 보호될 수 있고,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는 정수기용 파우셋(72)(도 7a에 도시됨))가 수용 및 보호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용 공간(S1)의 측부는 필터 출입부(131)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면판(150)은 앞서 설명한 제 1 배면판(120)보다 상하 방향 길이가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 후술하는 출수부(610)(도 7a에 도시됨)가 제 1 전면판(150)의 일측, 예를 들어 도 3c를 기준으로 상측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 1 전면판(150)의 일 측부 및 타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하측부 및 상측부에는 각각 제 1-2 하부 날개판(154) 및 제 1 측부 날개판(152)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전면판(150)과 제 1-2 하부 날개판(154) 사이에는 제 1-2 하부 날개 접이선부(F154)가 구비될 수 있고, 제 1 전면판(150)과 제 1 측부 날개판(152) 사이에는 제 1 측부 날개 접이선부(F15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측부 날개판(152)은 제 1-1 측면판(110)과 중첩되어 제 1-1 측면판(110)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제 1 박스 구조체(50)(또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2 하부 날개판(154)은 제 1 하면판(140)과 중첩되어 제 1 하면판(140)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제 1 박스 구조체(50)(또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제 1-1 측면판(110)의 또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제 1 수용 공간(S1)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160)는 제 1 수용 공간(S1)의 개방된 일측, 예를 들어 도 3c를 기준으로 상부측을 개폐하기 위한 제 1-2 상면 덮개판(162) 및 제 1-2 측면판(130)에 형성된 필터 출입부(131)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측면 덮개판(16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를 기준으로 제 1-1 측면판(110)의 상측부에 제 1-2 상면 덮개판(162)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2 상면 덮개판(162)의 상측부에 제 1 측면 덮개판(164)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1 측면판(110)과 제 1-2 상면 덮개판(162) 사이에는 제 1-2 상면 덮개 접이선부(F162)가 구비될 수 있고, 제 1-2 상면 덮개판(162)과 제 1 측면 덮개판(164) 사이에는 제 1 측면 덮개 접이선부(F16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 상면 덮개판(162)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1 수용 공간(S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 1 측면 덮개판(164)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출입부(131)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제 1 측면 덮개판(164)의 일측부, 도 3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고정 돌기(16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165)는 덮개부(160)가 제 1 수용 공간(S1)을 폐쇄한 상태에서 전술한 고정 돌기 삽입부(14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돌기(165)가 고정 돌기 삽입부(141)에 결합되면, 덮개부(160)는 위치 고정되어 제 1 수용 공간(S1)이 폐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정 돌기(165)를 이용하여 제 1 수용 공간(S1)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제 1 전면판(150)의 또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출수부 커버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출수부 커버부(170)는 출수부 하면판(171), 출수부 전면판(174), 출수부 상면판(175), 제 1 및 제 2 출수부 측면판(176,17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수부 커버부(170)는 포장 상태에서는 제 1 박스 구조체(50)의 일 부분을 구성하여, 제 2 박스 구조체(60)의 일 모서리부를 커버하고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출수부 커버부(170)는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의 일 부분을 구성하여, 후술하는 출수부(610)(도 7a에 도시됨)을 커버함으로써, 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면판(150)의 상측부에 출수부 하면판(171)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전면판(150)과 출수부 하면판(171) 사이에는 출수부 하면 접이선부(F1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출수부 하면판(171)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 1 배면판(120)과 제 1 전면판(150)의 상하 방향 길이 차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부 하면판(171)은 포장 상태에서 제 1 전면판(150)과 함께 제 2 박스 구조체(60)의 전방부를 커버하며 보호할 수 있다.
출수부 하면판(171)의 중앙 부분에는 출수홀(171a)이 형성될 수 있다. 출수홀(171a)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7a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출수부 하면판(171)의 일 측부 및 타 측부, 도 3a를 기준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 1 출수부 날개판(172) 및 제 2 출수부 날개판(173)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수부 하면판(171)과 제 1 출수부 날개판(172) 사이에는 제 1 출수부 날개 접이선부(F172)가 구비될 수 있고, 출수부 하면판(171)과 제 2 출수부 날개판(173) 사이에는 제 2 출수부 날개 접이선부(F173)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출수부 날개판(172,173)은 포장 상태에서는 제 1-1 및 제 1-2 측면판(110,130)과 각각 중첩되어, 제 1-1 및 제 1-2 측면판(110,130)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또한 제 1 박스 구조체(5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출수부 날개판(172,173)은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출수부 측면판(176,178)과 각각 중첩되어, 출수부 커버부(17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출수부 하면판(171)의 또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출수부 전면판(174)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수부 하면판(171)과 출수부 전면판(174) 사이에는 출수부 전면 접이선부(F174a,F174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출수부 전면 접이선부(F174a,F174b)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1 출수부 전면 접이선부(F174a) 및 제 2 출수부 전면 접이선부(F17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3a에서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출수부 전면판(174)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 1 배면판(120)의 상하 방향 길이와 제 1 전면판(150)의 상하 방향 길이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수부 전면판(174)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 1 배면판(120)의 상하 방향 길이와 제 1 전면판(150)의 상하 방향 길이의 차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박스 구조체(50)가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으로 재조립되었을 때, 출수부 커버부(170)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출수부 전면판(174)의 상측부 높이가 제 1 배면판(120)의 상측부 높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출수부 전면판(174)의 일 측부, 도 3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출수부 상면판(175)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수부 전면판(174)과 출수부 상면판(175) 사이에는 출수부 상면 접이선부(F175)가 구비될 수 있다. 출수부 상면판(175)에는 조작부 관통홀(175a)이 형성될 수 있다. 출수부 상면판(175)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7b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출수부 전면판(174) 및 출수부 상면판(175)은 제 1 상테에서는 제 1 수용 공간(S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1 수용 공간(S1)에 배치되는 제 2 박스 구조체(60)의 상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출수부 전면판(174) 및 출수부 상면판(175)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1 수용 공간(S1)의 상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제 1-1 및 제 1-2 상면 덮개판(124,162)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출수부 상면판(175)의 일 측부 및 타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출수부 측면판(176,178)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수부 상면판(175)과 제 1 출수부 측면판(176) 사이에는 제 1 출수부 측면 접이선부(F176)가 구비될 수 있고, 출수부 상면판(175)과 제 2 출수부 측면판(178) 사이에는 제 2 출수부 측면 접이선부(F178)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출수부 측면판(176)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제 3 출수부 날개판(177)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출수부 측면판(176)과 제 3 출수부 날개판(177) 사이에는 제 3 출수부 날개 접이선부(F17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출수부 측면판(178)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3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제 4 출수부 날개판(179)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출수부 측면판(178)과 제 4 출수부 날개판(179) 사이에는 제 4 출수부 날개 접이선부(F179)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출수부 측면판(176,178), 제 3 및 제 4 출수부 날개판(177,179)은 포장 상태에서 제 1-1 및 제 1-2 측면판(110,130)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중첩되어, 제 1-1 및 제 1-2 측면판(110,130)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제 1 박스 구조체(5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박스 구조체(50)는 제 2 박스 구조체(60) 및 그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구성들을 필요에 따라 외부로 꺼내거나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박스 구조체(50)(또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는 내수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방수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 1 박스 구조체(50)(또는, 하우징(52)(도 7a에 도시됨)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방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전술한 복수의 평판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a에는 제 1 전면판(150)이 제 1-2 측면판(130)의 좌측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나, 제 1 전면판(150)은 필요에 따라 제 1-1 측면판(110)의 우측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10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나, 필요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강성 및 방수성을 가지되 다소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출수부 커버부(170)는 출수 부재 커버부로 명명될 수 있고, 출수부 하면판(171)은 출수 부재 하면판으로 명명될 수 있고, 출수부 전면판(174)은 출수 부재 전면판으로 명명될 수 있고, 출수부 상면판(175)은 출수 부재 상면판으로 명명될 수 있고, 제 1 출수부 측면판(176) 및 제 2 출수부 측면판(178)은 각각 제 1 출수 부재 측면판 및 제 2 출수 부재 측면판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를 개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를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를 보강 프레임 및 컵 홀더로 재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 상태에서 본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60)는 제 2 박스 구조체(60)를 수용하여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제 1 박스 구조체(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는 보강 프레임(62) 및 컵 홀더(64)로 재조립되어 정수기의 일 구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박스 구조체(60)는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를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6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의 각 부분을 후술하는 접이선부를 따라 절곡하거나 후술하는 절개선부를 따라 절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접이선부에 의하여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의 일 부분은 다른 부분과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절개 및 접이선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소정의 판지를 펀칭하는 펀칭 공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평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는 하드 보드지 또는 골판지 등을 펀칭 공정으로 절개 및 홈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박스 구조체(60)는 사용 후 폐기되어도 자연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어, 폐기물에 따른 환경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평판 중 일부는 서로 절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는 제 2 박스 구조체(60)의 하면을 이루는 제 2-1 측면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1 측면판(2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1 측면판(210)은 제 2 박스 구조체(6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의 하부를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다.
제 2-1 측면판(210)의 일 모서리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우측 모서리부에는 제 2 하부 전면 고정돌기 홀(211) 및 제 2 상부 전면 고정 돌기 홀(213)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하부 전면 고정돌기 홀(211)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상부 전면 고정 돌기 홀(213)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1 측면판(210)의 타 모서리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좌측 모서리부에는 제 2 하부 배면 고정돌기 홀(215) 및 제 2 상부 배면 고정돌기 홀(217)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하부 배면 고정돌기 홀(215)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상부 배면 고정돌기 홀(217)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1 측면판(210)의 일 측부, 도 4a를 기준으로 우측부에는 제 2 전면판(220a,220b)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1 측면판(210)과 제 2 전면판(220a,220b) 사이에는 제 2 전면 접이선부(F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전면판(220a,220b)은 제 2 박스 구조체(60)의 전면을 구성함으로써, 제 2 박스 구조체(60)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의 전방부를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전면판(220a,220b)에는 제 2 전면판 절개선부(C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면판 절개선부(C220)는 제 2 하부 전면 고정돌기 홀(211) 및 제 2 상부 전면 고정 돌기 홀(213) 사이에서 일 방향,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제 2 전면판(220a,220b)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면판 절개선부(C220)에 의하여 제 2 전면판(220a,220b)은 제 2 하부 전면판(220a) 및 제 2 상부 전면판(220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전면판 절개선부(C220)는 사용자가 절개하기 용이하도록 전처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전면판(220a,220b)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우측부에는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전면판(220a,220b)과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 사이에는 제 2 전면 덮개 접이선부(F222a,F22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은 제 2 전면판(220a,220b)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중첩 배치되어 제 2 전면판(220a,220b)의 지지력을 보완하고 제 2 박스 구조체(6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전면 덮개 접이선부(F222a,F222b)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되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2-1 전면 덮개 접이선부(F222a) 및 제 2-2 전면 덮개 접이선부(F2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은 제 2-1 전면 덮개 접이선부(F222a)를 따라 절곡되어 제 2 전면판(220a,220b)과 교차되게 배치되고, 제 2-2 전면 덮개 접이선부(F222b)를 따라 절곡되어 제 2 전면판(220a,220b)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은 보다 용이하게 제 2 전면판(220a,220b)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중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에는 제 2 전면 덮개판 절개선부(C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면 덮개판 절개선부(C222)는 전술한 제 2 전면판 절개선부(C220)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일 방향,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면 덮개판 절개선부(C222)에 의하여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은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으로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면 덮개판 절개선부(C222)는 사용자가 절개하기 용이하도록 전처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우측부에는 전술한 제 2 하부 전면 고정돌기 홀(2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 2 하부 전면 고정돌기(224a)가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우측부에는 전술한 제 2 상부 전면 고정 돌기 홀(2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 2 상부 전면 고정돌기(22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하부 전면 고정돌기(224a) 및 제 2 상부 전면 고정돌기(224b)가 전술한 제 2 하부 전면 고정돌기 홀(211) 및 제 2 상부 전면 고정 돌기 홀(213)에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2-1 측면판(210)의 타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좌측부에는 제 2 배면판(23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1 측면판(210)과 제 2 배면판(230) 사이에는 제 2 배면 접이선부(F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배면판(230)은 제 2 박스 구조체(60)의 후면을 구성하여, 제 2 박스 구조체(6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의 후방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배면판(230)에는 제 2-1 입수모듈 관통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 2 배면판(230)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좌측부에는 제 2 배면 덮개판(232)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배면판(230)과 제 2 배면 덮개판(232) 사이에는 제 2 배면 ‰u개 접이선부(F232a,F23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배면 덮개판(232)은 제 2 배면판(23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중첩 배치되어 제 2 배면판(230)의 지지력을 보완하고 제 2 박스 구조체(6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배면 ‰u개 접이선부(F232a,F232b)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되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2-1 배면 덮개 접이선부(F232a) 및 제 2-2 배면 덮개 접이선부(F2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배면 덮개판(232)은 제 2-1 배면 덮개 접이선부(F232a)를 따라 절곡되어 제 2 배면판(230)과 교차되게 배치되고, 제 2-2 배면 덮개 접이선부(F232b)를 따라 절곡되어 제 2 배면판(23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배면 덮개판(232)은 보다 용이하게 제 2 배면판(23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배면 덮개판(232)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좌측부에는 전술한 제 2 하부 배면 고정돌기 홀(21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 2 하부 배면 고정돌기(234a) 및 제 2 상부 배면 고정돌기 홀(217)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 2 상부 배면 고정돌기(23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하부 배면 고정돌기(234a) 및 제 2 상부 배면 고정돌기(234b)가 전술한 제 2 하부 배면 고정돌기 홀(215) 및 제 2 상부 배면 고정돌기 홀(217)에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 2 배면 덮개판(232)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 배면 덮개판(232)에는 제 2-2 입수모듈 관통홀(2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2 입수모듈 관통홀(233)은 제 2 배면판(230)과 제 2 배면 덮개판(232)이 중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 동축 배열되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물체는 제 2 배면판(230)과 제 2 배면 덮개판(232)이 중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 2-1 및 제 2-2 입수모듈 관통홀(231,233)을 동시에 관통하며 지나갈 수 있다. 제 2-2 입수모듈 관통홀(233)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6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2-1 측면판(210)의 또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제 2 하면판(24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하면판(240)과 제 2-1 측면판(210) 사이에는 제 2 하면 접이선부(F2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하면판(240)은 제 2 박스 구조체(60)의 일 측벽을 구성함으로써, 제 2 박스 구조체(6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하면판(240)의 일 측부 및 타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각각 제 2-1 하면 날개판(244) 및 제 2-2 하면 날개판(246)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하면판(240)과 제 2-1 하면 날개판(244) 사이에는 제 2-1 하면 날개 접이선부(F244)가 구비될 수 있고, 제 2 하면판(240)과 제 2-2 하면 날개판(246) 사이에는 제 2-2 하면 날개 접이선부(F246)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1 및 제 2-2 하면 날개판(244,246)은 포장 상태에서 각각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전면판(220a,220b)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1 하면 날개판(244)은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배면 덮개판(2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2 하면 날개판(246)은 제 2 전면판(220a,220b) 및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1 및 제 2-2 하면 날개판(244,246)은 각각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전면판(220a,220b)의 지지력을 보완하고 제 2 박스 구조체(6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1 하면 날개판(244)에는 제 2-3 입수모듈 관통홀(2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3 입수모듈 관통홀(245)은 제 2-1 하면 날개판(244)이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배면 덮개판(232)과 중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 동축 배열되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물체는 제 2 배면판(230), 제 2 배면 덮개판(232) 및 제 2-1 하면 날개판(244)이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 2-1 내지 제 2-3 입수모듈 관통홀(231,233,245)을 동시에 관통하며 지나갈 수 있다. 제 2-3 입수모듈 관통홀(245)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6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 2 하면판(240)의 또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제 2-1 하면 덮개판(242)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하면판(240)과 제 2-1 하면 덮개판(242) 사이에는 제 2-1 하면 덮개 접이선부(F242a,F24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1 하면 덮개판(242)은 제 2 하면판(24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중첩 배치되어 제 2 하면판(240)의 지지력을 보완하고 제 2 박스 구조체(6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1 하면 덮개 접이선부(F242a,F242b)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되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2-1-1 하면 덮개 접이선부(F242a) 및 제 2-1-2 하면 덮개 접이선부(F24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1 하면 덮개판(242)은 제 2-1-1 하면 덮개 접이선부(F242a)를 따라 절곡되어 제 2 하면판(240)과 교차되게 배치되고, 제 2-1-2 하면 덮개 접이선부(F242b)를 따라 절곡되어 제 2 하면판(24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1 하면 덮개판(242)은 보다 용이하게 제 2 하면판(24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2-1 측면판(210)의 또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제 2 상면판(25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상면판(250)은 제 2 박스 구조체(60)의 타 측벽을 구성함으로써, 제 2 박스 구조체(6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의 타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약한 외력에 의해서는 제 2 상면판(250)이 제 2-1 측면판(210)에 의하여 절곡될 수 있으면서도,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에 의해서는 제 2 상면판(250)과 제 2-1 측면판(210)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제 2-1 측면판(210)과 제 2 상면판(250) 사이에는 제 2 상면 절개선부(C2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상면 절개선부(C250)는 사용자가 절개하기 용이하도록 전처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상면판(250)의 중앙 부분에는 홀더부 접이선부(F262)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되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2 상면 접이선부(F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상면 접이선부(F25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4c 및 도 4d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 2 상면판(250)의 일 측부 및 타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제 2-1 및 제 2-2 상면 날개판(252,254)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상면판(250)과 제 2-1 상면 날개판(252) 사이에는 제 2-1 상면 날개 접이선부(F252)가 구비될 수 있고, 제 2 상면판(250)과 제 2-2 상면 날개판(254) 사이에는 제 2-2 상면 날개 접이선부(F25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1 및 제 2-2 상면 날개판(252,254)은 포장 상태에서 각각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전면판(220a,220b)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1 상면 날개판(252)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제 2 배면판(230)과 제 2 배면 덮개판(232)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고, 제 2-2 상면 날개판(254)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제 2 전면판(220a,220b)과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1 및 제 2-2 상면 날개판(252,254)은 각각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전면판(220a,220b)의 지지력을 보완하고 제 2 박스 구조체(6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상면판(250)의 또 다른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상측부에는 제 2-2 측면판(26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2 측면판(260)은 포장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2 박스 구조체(6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도 4b를 기준으로 제 2-2 측면판(260)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 2 박스 구조체(60)의 상부를 통하여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가 출입할 수 있다.
한편, 제 2-2 측면판(260)은 홀더부(262) 및 접이부(2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부(262)는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 컵이 지지되는 부분으로, 전술한 제 2 상면판(25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부(262)와 제 2 상면판(250) 사이에는 홀더부 접이선부(F262)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부(262)에는 원형의 지지홀 절개선부(C26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홀 절개선부(C263)가 외력에 의하여 절개됨으로써, 홀더부(262)에는 후술하는 지지홀(26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홀 절개선부(C263)는 사용자가 절개하기 용이하도록 전처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홀 절개선부(C263)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특별이 한정되지 않으며, 0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홀 절개선부(C263)의 형상은 형성하려는 지지홀(263)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접이부(264)는 정수기 조립 상태에서 홀더부(26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으로, 홀더부(262)를 중심으로 제 2 상면판(250)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부(262)와 제 2 상면판(25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전술한 위치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부(262)와 접이부(264) 사이에는 홀더부 접이선부(F262)와 평행하는 접이부 접이선부(F264a,F264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이부 접이선부(F264a,F264b)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되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1 접이부 접이선부(F264a) 및 제 2 접이부 접이선부(F26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상면 접이선부(F250)와 홀더부 접이선부(F262) 사이의 이격 거리와 제 1 접이부 접이선부(F264a)와 제 2 접이부 접이선부(F264b) 사이의 이격 거리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접이부 접이선부(F264a,F264b)에 대해서는 도 4c 및 도 4d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제 2-2 측면판(260)의 일 측부, 예를 들어 도 4a의 상측부에는 제 2-2 하면 덮개판(27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2 하면 덮개판(270)은 사용자가 제 2-2 측면판(26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약한 외력에 의해서는 제 2-2 하면 덮개판(270)이 제 2-2 측면판(260)에 대하여 절곡될 수 있으면서도,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에 의해서는 제 2-2 측면판(260)과 제 2-2 하면 덮개판(270)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제 2-2 측면판(260)과 제 2-2 하면 덮개판(270) 사이에는 제 2-2 하면 덮개 절개선부(C27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2 하면 덮개 절개선부(C270)는 사용자가 절개하기 용이하도록 전처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2 하면 덮개판(270)의 일 측부 및 타 측부, 예를 들어 도 4a를 기준으로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제 1 및 제 2 결합돌기(272,27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포장 상태에서, 제 1 결합돌기(272)는 제 2 배면판(230)과 제 2 배면 덮개판(232)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제 2 결합돌기(274)는 제 2 전면판(220a,220b)과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결합돌기(272,274)를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제 2-2 하면 덮개판(270) 및 제 2-2 측면판(260)이 제 2 박스 구조체(6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박스 구조체(60)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를 필요에 따라 외부로 꺼내거나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장 상태의 제 2 박스 구조체(60)가 정수기 조립 상태의 보강 프레임(62) 및 컵 홀더(64)로 재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박스 구조체(60)는 일 부분이 소정의 방식으로 절개 및 절곡됨으로써, 보강 프레임(62) 및 컵 홀더(64)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62)은 후술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과 하우징 내면의 일 부분 사이에 개재되어, 정수기용 파우셋을 하우징 내부의 제 1 수용 공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 프레임(62)은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을 커버하는 보강부, 보강부의 일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및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되 일 면이 보강부의 외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 2 박스 구조체(60)는 제 2 상면 절개선부(C250)를 따라 절개됨으로써, 제 2-1 측면판(210), 제 2 전면판(220a,220b),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하면판(240)을 포함하는 보강 프레임 부분과 제 2 상면판(250), 제 2-2 측면판(260) 및 제 2-2 하면 덮개판(270)을 포함하는 컵 홀더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프레임 부분의 각 구성들은 포장 상태와 동일한 조립 관계를 이루되, 제 2 전면판(220a,220b) 및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이 재조립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는 제 2-1 측면판(210), 제 2 배면판(230), 제 2 배면 덮개판(232), 제 2 하면판(240), 제 2-1 하면 덮개판(242) 및 후술하는 제 2 하부 전면판(220a) 및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는 일 측면, 배면, 하면 및 전면으로 이루어지되, 일 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 및 상면이 개방된 구조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는 각각 후술하는 정수기용 파우셋의 일 측면, 배면, 하면 및 전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 2 전면판(220a,220b)은 제 2 전면 절개선부(C220)를 따라 절개되어, 제 2 하부 전면판(220a) 및 제 2 상부 전면판(220b)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면 덮개판(222a,222b)은 제 2 전면 덮개 절개선부(C222)를 따라 절개되어,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하부 전면판(220a)과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은 서로 연결되고, 제 2 상부 전면판(220b)과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은 서로 연결되지만, 제 2 하부 전면판(220a) 및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과 제 2 상부 전면판(220b)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은 제 2 하부 전면판(220a)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전술한 보강부의 전면을 이룰 수 있다.
제 2 상부 전면판(220a)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은 보강부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로부터 연장된 제 2 상부 전면판(220a)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을 연장부라 한다. 연장부와 보강부 사이에는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 즉 제 2 상부 전면판(220a)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의 일 면은 보강부의 제 2-1 측면판(210)의 외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곡되도록 변형된 절곡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연장부는 제 2-1 측면판(210)으로부터 멀어지려 하며 하우징의 내벽을 가압하고, 그 반력에 의하여 보강부는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 및 보강부 내에 배치된 정수기용 파우셋은 하우징 내면으로 밀착되어, 제 1 수용 공간 내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4c 및 도 4d를 다시 참조하면, 제 2 상부 전면판(220b)과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은 제 2-1 측면판(210)의 외면과 마주보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보강 프레임(6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컵 홀더 부분은 제 2-2 하면 덮개 절개선부(C270)를 따라 절개되어, 제 2-2 하면 덮개판(270)이 제 2-2 측면판(2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 2 상면판(250)은 홀더부 접이선부(F262)를 따라 절곡되어 홀더부(26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제 2 상면 접이선부(F262)를 따라 절곡되어 홀더부(26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이부(264)는 제 1 접이부 접이선부(F264a)를 따라 절곡되어 홀더부(26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제 2 접이부 접이선부(F264b)를 따라 절곡되어 홀더부(26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부(262)의 일부분이 지지홀 절개선부(C263)를 따라 절개 및 분리되어, 홀더부(262)에는 컵의 일 부분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지지홀(26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컵 홀더(6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홀(263)의 형상은 다각 형상을 가지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 2 박스 구조체(60)(또는, 보강 프레임(62)(도 4d에 도시됨)는 내수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방수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보강 프레임(62)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방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전술한 복수의 평판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a에는 제 2 하면판(240)이 제 2-1 측면판(210)의 하측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나, 제 2 하면판(240)은 필요에 따라 제 2 배면판(230)의 하측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20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나, 필요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강성 및 방수성을 가지되 다소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정수기용 파우셋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의 수용 공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를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을 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출수 모듈의 조작부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을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출수 모듈의 조작부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용 파우셋을 조립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으로서, 베이스 프레임(300), 필터 결합 모듈(400), 입수 모듈(500) 및 출수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300)은 필터 결합 모듈(400), 입수 모듈(500) 및 출수 모듈(600)이 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300)은 소정의 강성 및 내수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프레임(300)은 필터 결합 모듈(400) 및 출수 모듈(600)이 결합되는 프레임부(310) 및 입수 모듈(500)을 지지 및 커버하는 입수모듈 커버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310)는 일 측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부(310)는 바닥에 놓일 수 있는 하판(311), 하판(311)의 상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312), 하판(311) 및 상판(312)의 전방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판(313), 전판(313)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판(314) 및 하판(311) 내지 후판(314)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는 측판(3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310)의 내부에는 전술한 하판(311) 내지 측판(315)의 내면에 의하여 제 2 수용 공간(S2)이 규정될 수 있다. 제 2 수용 공간(S2)은 일측, 예를 들어 도 5a를 기준으로 좌측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310)의 제 2 수용 공간(S2)에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를 이루는 타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 구성들은 재조립될 수 있는 복수의 부품들로 분해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입수 모듈(500) 및 출수 모듈(600)은 각각 3개의 부품으로 분해되어 프레임부(310)의 제 2 수용 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결합 모듈(400), 입수 모듈(500) 및 출수 모듈(600)이 베이스 프레임(300) 내부에 콤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필터 결합 모듈(400)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해되어, 프레임부(310)의 제 2 수용 공간(S2)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300)의 외측부로 돌출되는 필터 결합 모듈(400)의 유입부(410) 및 유출부(440)도 필터 유로 형성부(420)로부터 분리되어, 프레임부(310)의 제 2 수용 공간(S2)에 함께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a를 다시 참조하면, 프레임부(310)의 전판(313)에는 후술하는 필터 결합 모듈(400)의 유출부(440)가 관통할 수 있는 유출부 관통홀(313a)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 관통홀(313a)은 베이스 프레임(300)의 상측부에 배치되는 필터 결합 모듈(400)에 대응하도록, 전판(313)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전판(313)에서 유출부 관통홀(313a)의 일측, 도 5a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제 1 및 제 2 걸림돌기 홀(313b,31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걸림돌기 홀(313b,313c)은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돌기 홀(313b,313c)의 일측, 도 5a를 기준으로 하측에는 끼움돌기 결합홀(313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돌기 결합홀(313d)은 전술한 걸림돌기 홀(313b,313c)보다 다소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후판(314)에는 필터 결합 모듈(400)의 유입부(410)가 관통할 수 있는 유입부 관통홀(314a)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부 관통홀과 마찬가지로 유입부 관통홀(311a)은 후판(314)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하면, 프레임부(310)의 일측부,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부(310)의 후방부에는 입수모듈 커버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입수모듈 커버부(320)는 측부 커버판(322), 하부 커버판(324) 및 후방 커버판(3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부 커버판(322)은 프레임부(310)의 후판(314) 모서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부 커버판(322)의 연장 방향 단부측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방 커버판(326)이 구비될 수 있다.
후방 커버판(326)에는 후술하는 입수 모듈(500)의 일 부분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입수모듈 고정홈(326a)이 형성될 수 있다. 입수모듈 고정홈(326a)은 입수 모듈(500)의 일 부분이 후방 커버판(326)을 관통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입수모듈 고정홈(326a)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되, 입구측 내벽은 곡면을 포함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입수 모듈(500)은 프레임부(310)의 후판(314)과 입수모듈 커버부(320)의 후방 커버판(32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수 모듈(500)에서 누수되는 물이 물에 취약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보강 프레임 또는 하우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310)의 하판(311) 모서리부에는 측부 커버판(322)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입수 모듈(500)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판(324)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커버판(324)은 입수 모듈(500)에서 흘러나온 물이 보강 프레임이나 하우징의 하부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5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판(314)과 후방 커버판(326) 사이에는 입수 모듈(500)이 구비될 수 있다. 입수 모듈(500)은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입수 모듈(500)은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 감압 부재(520), 연결 유로 형성 부재(530) 및 제 2 입수 유로 형성 부재(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는 전술한 후방 커버판(326)의 유입모듈 결합홈(326a)에 외주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의 일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된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의 단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판(314)을 향하는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의 타 단부에는 감압 부재(520)가 구비될 수 있다. 감압 부재(52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감압 부재(520)는 감압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압 부재(52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필터 결합 모듈(400)의 유입부(410)로 원수가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입수 유로 형성 부재(5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입수 유로 형성 부재(540)는 유입부(410)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입수 유로 형성 부재(540)와 감압 부재(520) 사이에는 관형의 연결 유로 형성 부재(53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유로 형성 부재(530)는 감압 부재(520)에서 토출되는 원수가 제 2 입수 유로 형성 부재(540)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 감압 부재(520), 연결 유로 형성 부재(530) 및 제 2 입수 유로 형성 부재(540)는 각각 입수 부재로 명명될 수 있다.
다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300)에는 필터 결합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필터 결합 모듈(400)은 입수 모듈(500)을 통하여 유입된 원수가 필터(40)에 의하여 여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유입부(410), 필터 유로 형성부(420), 필터 결합부(430) 및 유출부(4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 모듈(500)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유입부(410)는 프레임부(310) 후판(314)의 유입부 관통홀(311a)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유입부(410)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 유로 형성부(420)로 흐르게 된다. 필터 유로 형성부(420)는 원수가 필터(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부재로서, 프레임부(310)의 제 2 수용 공간(S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터 유로 형성부(420)는 프레임부(310)의 상판(312)에 결합되어, 제 2 수용 공간(S2)의 상부에 위치된다. 필터 유로 형성부(420)의 일측부, 도 5a를 기준으로 하측부에는 필터 결합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 결합부(430)는 필터 유로 형성부(420)의 내부 유로와 필터(4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필터(4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필터 결합부(430)는 사용되는 필터(4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결합부(430)는 제 2 수용 공간(S2)의 내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40)는 제 2 수용 공간(S2)의 개방된 측부를 통하여 제 2 수용 공간(S2) 내부에 배치된 후, 필터 결합부(430)에 결합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필터(40)에서 원수가 여과되어 생성된 정수는 필터 유로 형성부(420)를 통하여 유출부(440)로 흐르게 된다. 유출부(440)는 생성된 정수를 후술하는 출수 모듈(600)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레임부(310)의 전판(313)에 형성된 유출부 관통홀(313a)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부(440)의 일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300)의 외측부에는 출수 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다. 출수 모듈(600)은 생성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수 모듈(600)은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610), 출수부(6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20) 및 출수부(610)를 제어하고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출수부(610)는 출수부 몸체(612), 제 1 출수 유로 형성 부재(614) 및 제 2 출수 유로 형성 부재(6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출수 유로 형성 부재(614)는 필터 결합 모듈(400)의 유출부(440)에 결합되어, 유출부(440)에서 토출되는 정수를 출수부 몸체(612)로 공급할 수 있다.
출수부 몸체(612)는 내부에 외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거나 외부로 공급받은 정수를 출수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부재로서, 외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수부 몸체(612)의 측부에는 후술하는 지지부(6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대응 결합부재(618a,618b)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대응 결합부재(618a,618b)는 출수부 몸체(612)의 테두리 부에 대칭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출수부 몸체(612)에는 출수부 몸체(612)에서 배출되는 정수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출수 유로 형성 부재(616)가 결합될 수 있다.
출수부 몸체(612)에 외부 입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출수부 몸체(612)의 일측부에는 조작부(63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63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출수부 몸체(612)에 정수를 배출하라는 입력 또는 정수 배출을 중단하라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출수부(610)의 하측에는 지지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620)는 출수부 몸체(6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몸체(6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 몸체(621) 중앙 부분에는 출수부 삽입홀(621a)이 형성될 수 있다.
출수부 삽입홀(621a)에 출수부 몸체(612)의 일 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 몸체(621)에 출수부 몸체(612)가 걸리게 되어, 지지부(620)는 출수부(6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출수부 몸체(612)와 지지부 몸체(621) 사이의 결합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지부 몸체(621)에는 제 1 및 제 2 출수부 결합부재(622a,62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출수부 결합부재(622a,622b)는 전술한 출수부(610)의 제 1 및 제 2 대응 결합부재(618a,618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양 구성은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의 구조 등 다양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출수부 결합부재(622a,622b)는 출수부 삽입홀(621a)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 몸체(621)의 일측에는 베이스 프레임(300)으로부터 출수부(6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연장체(623,6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연장체(623)는 지지부 몸체(621)로부터 베이스 프레임(300) 측으로 연장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연장체(624)는 제 1 연장체(623)의 연장 방향 단부로부터 제 1 연장체(623)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연장체(62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연장체(624)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연장체(624)에는 베이스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걸림돌기(625a,625b) 및 끼움돌기(6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돌기(625a,625b)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걸림돌기(625a,625b)는 각각 전판(313)의 제 1 및 제 2 걸림돌기 홀(313b,313c)에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걸림돌기 홀(313b,313c)에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수부(610)의 무게에 의하여 지지부(620)가 하측으로 힘을 인가받으면, 제 1 및 제 2 걸림돌기(625a,625b)의 절곡된 단부가 전판(313)의 내벽에 걸림에 따라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끼움돌기(626)는 제 2 연장체(624)의 연장 방향 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끼움돌기(626)는 전판(313)의 끼움돌기 홀(313d)에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 홀(313d)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끼움돌기(626)는 전판(313)에 결합되어 출수부(6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보완하면서도, 지지부(620)가 균형을 이루며 위치고정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결합 관계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를 이용하여 정수기용 파우셋(72)을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는 특별한 지식이나 별도의 공구 없이도 쉽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할 수 있고, 휴대성 및 다양한 장소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72)은 외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기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캠핑장 등 야외 공간, 개발 도상국과 같이 사회 인프라 시설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은 장소, 정전 등의 긴급 상황 등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정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출수부(610), 지지부(620) 및 조작부(630)는 각각 출수 부재, 지지 부재 및 조작 부재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수기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 및 보강 프레임을 결합하여 중간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박스 구조체를 하우징으로 재조립하고, 재조립된 하우징 및 중간 조립체를 결합하여 정수기 본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본체, 지지 플레이트 및 컵 홀더를 결합하여 정수기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수기용 파우셋(72)을 보강 프레임(62)에 결합하여, 중간 조립체(62,7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300)의 하측부는 보강 프레임(62)의 제 2 하면판(2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정수기용 파우셋(72)의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의 단부는 제 2-1 내지 제 2-3 입수모듈 관통홀(231,233,245)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의 단부가 보강 프레임(6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정수기용 파우셋(72)이 보강 프레임(62) 내측에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3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출수 모듈(600)의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는 제 2 하부 전면판(220a) 및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의 상부를 통하여 보강 프레임(6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프레임(62)의 제 2 하부 전면판(220a) 및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은 본래 형상과 보다 가까운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서로 나란하게 중첩된 제 2 하부 전면판(220a) 및 제 2 하부 전면 덮개판(222a)은 절곡된 부분이 펴짐에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교차하는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이에 따라, 정수기용 파우셋(72)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마찬가지로, 보강 프레임(62)의 제 2 배면판(230) 및 제 2 배면 덮개판(232)도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는 바, 정수기용 파우셋(72)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용 파우셋(72)은 보강 프레임(62)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중간 조립체(62,72)가 하우징(52) 내부의 제 1 수용 공간(S1)에 수용됨에 따라, 정수기 본체(52,62,7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52)은 제 1 박스 구조체(50)(도 3c에 도시됨)가 재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52)은 중간 조립체(62,7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술한 제 1 수용 공간(S1)을 구비하되, 일측부가 개구된 수용부(110,120,130,140,150), 중간 조립체(62,7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를 커버하기 위한 출수부 커버부(170) 및 수용부(110,120,130,140,150)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110,120,130,140,150)는 제 1-1 측면판(110), 제 1 배면판(120), 제 1-2 측면판(130), 제 1 하면판(140) 및 제 1 전면판(1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1 측면판(110) 및 제 1-2 측면판(130)은 수용부(110,120,130,140,150)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을 형성하고, 제 1 배면판(120)은 수용부(110,120,130,140,150)의 배면을 형성하고, 제 1 전면판(150)은 수용부(110,120,130,140,150)의 전면을 형성하고, 제 1 하면판(140)은 수용부(110,120,130,140,15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의 개구를 통하여 중간 조립체(62,72)가 제 1 수용 공간(S1)을 출입하거나, 필터(40)(도 6에 도시됨)가 베이스 프레임(300)(도 6에 도시됨)의 제 2 수용 공간(S2)을 출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수용부(110,120,130,140,150)의 개구의 일 부분은 일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고, 타 부분은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필터 출입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필터 출입부(1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0)(도 6에 도시됨)의 제 2 수용 공간(S2)(도 6에 도시됨)이 개방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용부(110,120,130,140,150)의 개구의 일 부분은 개방된 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용부(110,120,130,140,150)의 개구의 타 부분은 제 1-2 측면판(130)에 구비되는 필터 출입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110,120,130,140,15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제 1-2 상면 덮개판(162) 및 수용부(110,120,130,140,150)의 필터 출입부(131)를 개폐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제 1 측면 덮개판(16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2 상면 덮개판(162)과 제 1 측면 덮개판(16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조립체(62,72)는 제 1-1 및 제 1-2 상면 덮개판(124,162)에 의하여 제 1 수용 공간(S1)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수용 공간(S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중간 조립체(62,72)가 제 1 수용 공간(S1)에 수용될 때, 정수기용 파우셋(72)의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도 5c에 도시됨)의 단부는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도 5c에 도시됨)의 단부가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은 중간 조립체(62,72)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도 5c에 도시됨)의 단부가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에 삽입될 수 있어, 사용자는 손쉽게 양 구성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a를 함께 참조하면, 제 2-1 측면판(210)의 외측으로 절곡된 제 2 상부 전면판(220b)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은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가지므로, 제 2 상부 전면판(220b) 및 제 2 상부 전면 덮개판(222b)은 하우징(52)의 제 1-1 측면판(110)을 밀어낼 수 있다.
그 반작용으로서, 중간 조립체(62,72)는 제 1-1 측면판(110)에서 제 1-2 측면판(130) 측으로 소정의 힘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중간 조립체(62,72)는 제 1 배면판(120) 및 제 1 전면판(150)으로부터 소정의 힘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조립체(62,72)는 하우징(52)의 제 1 수용 공간(S1) 내부에서 피팅감 있게 결합되어, 공차를 상쇄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중간 조립체(62,72)가 제 1 수용 공간(S1)에 배치되면, 베이스 프레임(300)의 개방된 측부는 필터 출입부(131)를 통하여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측면 덮개판(164)을 이동시켜 필터 출입부(131)를 통해 제 1 수용 공간(S1)의 측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정수기용 파우셋(72) 내부의 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1 및 제 1-2 상면 덮개판(124,162)을 이동시켜 제 1 수용 공간(S1)의 상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지식이나 공구 없이도 정수기용 파우셋(72) 및 보강 프레임(62)을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한편, 중간 조립체(62,72)가 제 1 수용 공간(S1)에 배치되면, 출수 모듈의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는 하우징(52)의 제 1 전면판(150) 상부를 통하여 제 1 수용 공간(S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용 공간(S1) 외측으로 돌출된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하우징(52)의 출수부 커버부(170)가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를 커버하는 형태로 재조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 및 도 7a를 함께 참조하면, 출수부(610)의 하측부는 출수부 하면판(171)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출수부(610)의 제 2 출수 유로 형성 부재(616)에서 배출되는 정수가 출수홀(171a)을 통하여 하우징(52) 외부로 나오도록, 출수부(610)와 출수부 하면판(171)의 상대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출수부 전면판(174)은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의 전방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출수부 하면판(171)에 수직하게 상측으로 절곡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출수부 전면 접이선부(F174a)(도 3a에 도시됨) 및 제 2 출수부 전면 접이선부(F174b)에 의하여, 출수부 하면판(171)과 출수부 전면판(174)이 자연스럽게 오프셋되며 절곡될 수 있다.
출수부 상면판(175)은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의 상측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출수부 전면판(174)에 수직하게 수평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출수부 몸체(612)의 상부가 조작부 관통홀(175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출수부(610)와 출수부 상면판(175) 사이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출수부 측면판(176,178)은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의 양 측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52)은 제 1 수용 공간(S1)의 외측으로 돌출된 출수부(610) 및 지지부(620)를 커버하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프레임(62) 및 하우징(52)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조립 또는 사용 후 폐기되어도 자연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어, 폐기물에 따른 환경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출수부 커버부(170)의 출수부 상면판(175)에 구비된 조작부 관통홀(175a)을 통하여, 출수 모듈(600)의 조작부(630)의 단부가 출수부(610)의 출수부 몸체(6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630)를 조작하여 출수부(610)에 정수를 배출하라는 입력 또는 정수 배출을 중단하라는 입력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는 정수기 본체(52,62,7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정수기 본체(52,62,72)의 하측부는 상부 고정홈(21)의 정수기 본체 고정 부분(21a)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위치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고정홈(21)의 컵 홀더 고정 부분(21b)에는 제 2 박스 구조체(60)(도 4b에 도시됨)의 일부를 재조립하여 형성한 컵 홀더(64)가 끼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컵을 고정할 수 있는 지지홀(263)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낭비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여, 폐기물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 및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는 사용자가 전문적인 지식이나 특별한 공구 없이도 손쉽게 정수기를 조립하여 사용한 후, 재분해하여 다시 박스 형상의 패키지(1) 형태로 환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정수기를 조립 및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박스 형상의 패키지(1) 형태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므로, 장소의 제한없이 정수기의 사용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정수기의 보관 용이성 및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는 이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 대부분이 정수기의 일 구성요소로서 재조립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는 대부분의 구성이 자연에서 분해되기 쉬운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 후 폐기되더라도 폐기물에 따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동일한 도면 부호가 지시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52,62,72),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 및 원수 공급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52,62,72) 및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동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원수 공급부(80)는 내부에 원수가 저장될 수 있는 원수 탱크(82) 및 정수기 본체(52,62,72)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수 탱크(82)의 일측에 구비되는 원수 공급관(8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 고정홈(21)의 컵 홀더 고정 부분(21b)에는 원수 탱크(82)의 하측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원수 탱크(82)는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의 외측에 별도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원수 공급관(84)의 단부는 정수기 본체(52,62,72)의 제 1 입수 유로 형성 부재(51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정수기 본체(52,62,72)의 제 1 배면판(120)에 형성된 제 1 입수모듈 관통홀(12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 탱크(82)에 저장된 원수는 소정의 압력으로 원수 공급관(84)을 통하여 정수기 본체(52,62,7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정수기 근처에 원수를 곧바로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원수 탱크(82)에 원수를 채운 후 정수기 본체(52,62,72)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정수기는 별도의 원수 공급부(80)를 포함하여,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가 마련되지 않은 장소나 수원지와 거리가 먼 장소 등 장소 및 상황과 무관하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도 1에 도시됨)은 필요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 및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은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가 포장된 다양한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도 1 내지 도 4b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서는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를 준비한다(S100).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를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 제 1 박스 구조체(50) 및 제 2 박스 구조체(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박스 구조체(60) 내부에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가 수용되어 포장될 수 있다. 제 1 박스 구조체(50) 내부에는 제 2 박스 구조체(60)가 수용되어 포장될 수 있다. 제 1 박스 구조체(50)는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에 의하여 커버되어 보호될 수 있다.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 및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30)의 외측부는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10)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도 4b 내지 도 5c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서는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를 준비하고(S100),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에서 내부에 포장된 구성 요소들을 꺼내고(S200), 정수기용 파우셋(72)을 형성한다(S300).
이때, 내부에 포장된 구성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일 수 있다.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는 서로 분리된 베이스 프레임(300), 필터 결합 모듈(400), 입수 모듈(500) 및 출수 모듈(6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을 조립하여 정수기용 파우셋(7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를 조립하여 정수기용 파우셋(72)을 형성하는 방법은 앞서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도 3a 내지 도 4d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서는 제 1 박스 구조체(50)를 재조립하여 하우징(52)을 형성하고(S400), 제 2 박스 구조체(60)를 재조립하여 보강 프레임(62) 및 컵 홀더(62)를 형성한다(S500). 이때, 제 1 박스 구조체(50)를 재조립하여 하우징(52)을 형성하는 방법 및 제 2 박스 구조체(60)를 재조립하여 보강 프레임(62) 및 컵 홀더(62)를 형성하는 방법은 앞서 도 3a 내지 도 4d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서는 정수기용 파우셋(72)과 보강 프레임(62)을 조립하여 중간 조립체(62,72)를 형성한다(S600). 이때, 중간 조립체(62,72)를 형성하는 방법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도 7a 및 도 7b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서는 중간 조립체(62,72)를 형성한 후(S600), 하우징(52)의 제 1 수용 공간(S1)에 중간 조립체(62,72)를 배치하여 정수기 본체(52,62,72)를 형성한다(S700). 이때, 정수기 본체(52,62,72)를 형성하는 방법은 앞서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도 8a 및 도 8b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서는 정수기 본체(52,62,72)를 형성한 후(S700), 정수기 본체(52,62,72)를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의 상부 고정홈(21)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S800). 이때, 정수기 본체(52,62,72)를 상부 고정홈(21)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앞서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조립된 정수기 본체(52,62,72) 및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20)는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수행됨으로써,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70)가 포장된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1)로 환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특별한 지식이나 도구 없이도 쉽게 조립 및 환원될 수 있어, 정수기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공간이나 상황에 따른 사용 가능성의 제한이 없으며,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이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2: 정수기
10: 외부 포장용 박스 구조체 20: 상부 포장용 완충 부재
30: 하부 포장용 완충 부재 40: 필터
50: 제 1 박스 구조체 52: 하우징
60: 제 2 박스 구조체 62: 보강 프레임
64: 컵 홀더 70: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
72: 정수기용 파우셋 80: 원수 공급부
100: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 200: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
300: 베이스 프레임 400: 필터 결합 모듈
500: 입수 모듈 600: 출수 모듈

Claims (34)

  1. 제 1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고 외부로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정수기용 파우셋; 및
    상기 원수를 여과하여 상기 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에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은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필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부에 구비되는 입수 모듈; 및
    상기 필터가 생성한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 측부에 구비되는 출수 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일측부가 개구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필터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부가 개구되는,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는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이 제 1 수용 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일 부분이 일 방향으로 개방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개구는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는 상기 필터가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출입할 수 있도록, 타 부분이 상기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는, 정수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일 면에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는 상기 입수 모듈의 일 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입수모듈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입수모듈 관통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정수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외부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일측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타측부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는,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는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는
    상기 수용부의 일 측면,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되 상기 수용부 개구의 상기 타 부분이 구비되는 다른 측면, 전면, 배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 측면과 상기 다른 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수용부 개구의 상기 일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면 덮개판; 및
    상기 수용부 개구의 상기 타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 덮개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 덮개판을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기 일측부에는 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돌기 삽입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측부에 정수를 배출하는 출수구가 구비되는 출수부; 및
    상기 출수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의 타측부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출수 모듈의 출수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출수구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출수홀 및 상기 조작부가 관통하는 조작부 관통홀이 구비되는 출수부 커버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는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는
    상기 수용부의 일 측면,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
    상기 수용부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배면판;
    상기 수용부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전면판;
    상기 출수부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전면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출수홀이 구비되는 출수부 하면판;
    상기 출수부의 전방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 하면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수부 전면판; 및
    상기 출수부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 전면판의 일 측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조작부 관통홀이 구비되는 출수부 상면판을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면판은 상하 방향 길이가 상기 제 1 배면판보다 짧은, 정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 전면판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전면판과 상기 제 1 배면판의 상하 방향 길이 차이에 대응되는, 정수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이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면의 일 부분과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정수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을 커버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보강부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되, 일 면이 상기 보강부의 외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일 면에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기 위한 상기 입수 모듈의 일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입수모듈 관통홀이 구비되는, 정수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2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정수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는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 조립용 판지는
    상기 보강부의 일 측면, 배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평판; 및
    상기 복수의 평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는 제 2 하부 전면판 및 상기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 2 상부 전면판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개선부가 구비되는 제 2 전면판을 포함하는, 정수기.
  21. 제 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하우징의 일 측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이 포장된 포장 상태에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포장 상태에서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의 일 측부를 커버하여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에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의 일 측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포장용 완충 부재인, 정수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종이로 된 허니콤 소재로 이루어지는, 정수기.
  24. 제 22항에 있어서,
    컵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홀을 구비한 컵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부는 상기 고정홈의 일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컵 홀더는 상기 고정홈의 타 부분에 삽입되는, 정수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포장 상태에서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 내에 수용되는 제 2 박스 구조체의 일 부분을 재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는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정수기.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입수 유로 형성 부재;
    상기 입수 유로 형성 부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 감압 부재;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출수 부재;
    상기 출수 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 부재의 일 측부에 결합될 수 있는 조작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입수 유로 형성 부재 및 상기 출수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조립 키트를 조립하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정수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제 2 수용 공간은 상기 복수의 입수 유로 형성 부재, 상기 감압 부재, 상기 출수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정수기.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모듈로 공급되기 위한 원수가 수용될 수 있는 원수 탱크; 및
    상기 원수 탱크로부터 상기 입수 모듈로 원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방수층이 구비되는, 정수기.
  30. 정수기용 필터, 정수기용 베이스 프레임, 정수기용 입수 모듈 및 정수기용 출수 모듈이 내부에 포장된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로서,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장된 제 1 박스 구조체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에서 꺼내는 단계;
    상기 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을 조립하여 정수기용 파우셋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를 재조립하여,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배치하여 정수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조립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장된 제 2 박스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재조립하여,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일 부분과 상기 하우징 내면의 일 부분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보강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이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 외면의 상기 일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정수기용 파우셋을 조립하여, 중간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중간 조립체를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배치하는, 정수기의 조립 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상기 입수 모듈 및 상기 출수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장된 제 2 박스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박스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재조립하여,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홀을 구비한 컵 홀더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컵 홀더를 상기 정수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조립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는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의 상기 일 측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한 포장용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일 측부를 상기 고정홈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조립 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스 구조체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의 조립 방법.
KR1020220144071A 2022-11-01 2022-11-01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240062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071A KR20240062041A (ko) 2022-11-01 2022-11-01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US18/495,824 US20240140822A1 (en) 2022-11-01 2023-10-27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071A KR20240062041A (ko) 2022-11-01 2022-11-01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041A true KR20240062041A (ko) 2024-05-08

Family

ID=9083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071A KR20240062041A (ko) 2022-11-01 2022-11-01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40822A1 (ko)
KR (1) KR202400620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521A (ko) 2020-12-31 2022-07-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32321A (ko) 2021-03-23 2022-09-3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521A (ko) 2020-12-31 2022-07-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32321A (ko) 2021-03-23 2022-09-3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40822A1 (en)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dley Uniform central limit theorems
KR20120029990A (ko) 건설 기계
KR20240062041A (ko) 정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240062043A (ko) 정수기용 하우징
KR20240062042A (ko) 정수기용 박스 패키지
JP3923198B2 (ja) 自動車用吸気消音ダクト
KR20240062044A (ko) 정수기용 파우셋
CN104347064A (zh) 混合声学阻挡器和吸收器
EP2514941B1 (de) Schalldämpfer
RU151957U1 (ru) Ловушка для углеводородов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490011A (en) Modular enclosure assembly
KR20210073440A (ko) 내진형 조립식 물탱크의 측벽코너 조립방법
CN108626033B (zh) 用于吸附碳氢化合物的组装型支撑体
JP3159304U (ja) 災害等の緊急時用飲料水の貯水及び給水槽
JP6937493B2 (ja) 折畳み式包装箱
JP2020199083A (ja) 段ボール製棺
JP2006292223A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07331486A (ja) 輸送用液体タンクのスロッシング制御装置
JP2020097443A (ja) 収容箱
JP6980056B2 (ja) 塗料回収容器および塗料案内部材
JPH08164991A (ja) 組立式液体用コンテナ
JP2020189679A (ja) 包装箱
KR102532744B1 (ko) 공기순환 및 흡음이 용이한 부스
TH33017B (th) ถังเชื้อเพลิง
JP2001235838A (ja) ロール感光材料用マガジ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