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652A - 아졸 유도체,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 Google Patents

아졸 유도체,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652A
KR20220129652A KR1020227030308A KR20227030308A KR20220129652A KR 20220129652 A KR20220129652 A KR 20220129652A KR 1020227030308 A KR1020227030308 A KR 1020227030308A KR 20227030308 A KR20227030308 A KR 20227030308A KR 20220129652 A KR20220129652 A KR 2022012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azole derivative
methyl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895B1 (ko
Inventor
타이가 마사노
츠토무 무카데
토모유키 코우게
타이지 미야케
준야 히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22012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no bond to a nitrogen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 취급 안전성이 우수하며, 또한 광범위한 식물 병해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과 및 식물 병균에 대한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식물 병해 방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N-옥사이드 또는 농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Description

아졸 유도체,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본 발명은 신규한 아졸 유도체 및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당해 아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 취급 안전성이 우수하며, 또한 광범위한 식물 병해에 대해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농원예용 약제가 요구되고 있다.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농원예용 약제로서 아졸계 살균제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WO2013/007767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WO2019/093522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 취급 안전성이 우수하며, 또한 광범위한 식물 병해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과 및 식물 병균에 대한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식물 병해 방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목적은 상기 요망에 부합하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아졸 유도체가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N-옥사이드 또는 농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화 1]
Figure pct00001
[식 (I) 중,
A는 N 또는 CH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기, C3-C8-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3-C8-사이클로알킬-C1-C4-알킬기이고;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Z는 페닐기, 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2, 3 또는 4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이고;
R3은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콕시기이고;
R3은 Z의 임의의 치환 위치에 n개 결합되어 있으며;
n은 0, 1, 2, 3, 4 또는 5이고;
m은 1 또는 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는 식물에 병해를 야기하는 많은 균에 대해 우수한 살균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약제는 광범위한 식물 병해에 대해 높은 방제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적합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좁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1. 아졸 유도체]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아졸 유도체(이하, 아졸 유도체 (I)으로 칭한다)이다.
[화 2]
Figure pct00002
일반식 (I) 중, A는 N 또는 CH이며, 바람직하게는 N이다.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기, C3-C8-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3-C8-사이클로알킬-C1-C4-알킬기이다.
C1-C6-알킬기는 탄소 원자수가 1~6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이며,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1-메틸에틸기, 1,1-디메틸에틸기, 프로필기, 1-메틸프로필기, 2-메틸프로필기, 1,1-디메틸프로필기, 2,2-디메틸프로필기, 1-에틸프로필기, 부틸기, 1-메틸부틸기, 2-메틸부틸기, 3-메틸부틸기, 3,3-디메틸부틸기, 2,2-디메틸부틸기, 1,1-디메틸부틸기, 1-에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펜틸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및 4-메틸펜틸기를 들 수 있다.
C3-C8-사이클로알킬기는 탄소 원자수 3~8개의 환상의 알킬이며,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및 사이클로옥틸기를 들 수 있다.
C3-C8-사이클로알킬-C1-C4-알킬기는 탄소 원자수 3~8개의 환상 사이클로알킬기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1~4개의 알킬기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메틸기, 사이클로부틸메틸기, 사이클로펜틸메틸기, 사이클로헥실메틸기, 2-사이클로프로필에틸기, 1-사이클로프로필에틸기, 2-사이클로헥실에틸기, 3-사이클로프로필프로필기, 2-사이클로프로필프로필기 및 4-사이클로프로필부틸기를 들 수 있다.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R1 및 R2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다.
Z는 페닐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1, 2, 3 또는 4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이다. 여기서 헤테로 원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원자이다. 방향족 복소환이 복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헤테로 원자는 서로 동일한 원자일 수도 있고, 상이한 원자일 수도 있다. Z는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또는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3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페닐기이다.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예를 들어 푸릴기, 피라졸릴기, 티에닐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피라지닐기,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옥사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및 트리아지닐기를 들 수 있다.
Z에는 임의의 위치에서 R3이 n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n은 0, 1, 2, 3, 4 또는 5이다. R3은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콕시기이다.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R3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C1-C4-알킬기는 탄소 원자수가 1~4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이며, 상술한 C1-C6-알킬기에서의 탄소수가 4 이하인 기를 들 수 있다.
C1-C4-할로알킬기는 상술한 C1-C4-알킬기의 치환할 수 있는 위치에 1 또는 2 이상의 할로겐 원자가 치환되어 있는 기이다. 치환되는 할로겐기가 2 이상인 경우에는, 할로겐기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할로겐기로서는 염소기, 브롬기, 요오드기 또는 불소기를 들 수 있다. C1-C4-할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클로로메틸기, 2-클로로에틸기, 2,3-디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메틸기, 클로로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및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C1-C4-알콕시기는 탄소 원자수 1~4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콕시기이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ec-부톡시기 및 tert-부톡시기를 들 수 있다.
C1-C4-할로알콕시기는 상술한 C1-C4-알콕시기의 치환할 수 있는 위치에 1 또는 2 이상의 할로겐기가 치환되어 있는 기이다. 치환되는 할로겐기가 2 이상인 경우에는, 할로겐기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R3의 결합 위치에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I)의 에테르 결합에 대해 2 위치, 3 위치 또는 4 위치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 위치이다.
m은 1 또는 2이다. 즉, m=1인 경우, 아졸 유도체 (I)은 인단 골격을 가지고, m=2인 경우, 테트랄린 골격을 가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m=1이다.
아졸 유도체 (I)의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는,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기, C3-C8-사이클로알킬기, C3-C8-사이클로알킬-C1-C4-알킬기이거나, 또는 R1과 R2가 결합하여 사이클로알킬기로 되어 있는 아졸 유도체 (I)을 들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의 더욱더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는, 추가로 m이 1인 아졸 유도체 (I)을 들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의 더욱더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는, 추가로 Z가 페닐기인 아졸 유도체 (I)을 들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의 더욱더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는,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기이거나, 또는 R1과 R2가 결합하여 사이클로알킬기로 되어 있는 아졸 유도체 (I)을 들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의 더욱더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는,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기이거나, 또는 R1과 R2가 결합하여 사이클로알킬기로 되어 있고, m이 1인 아졸 유도체 (I)을 들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의 더욱더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는,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기이거나, 또는 R1과 R2가 결합하여 사이클로알킬기로 되어 있고, m이 1이고, R3이 할로겐, C1-C4-할로알킬기 또는 C1-C4-할로알콕시기인 아졸 유도체 (I)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아졸 유도체 (I)의 예로서 들 수 있는 아졸 유도체를 하기 표 1-1 및 표 1-2에 열거하였다. 하기 표 1-1 및 표 1-2의 A, R1, R2 및 m은 각각 상기 식 (I)의 A, R1, R2 및 m에 대응하며, 표 1-1 및 표 1-2의 Z-(R3)n은 상기 식 (I)의 Z와 (R3)n으로 표시되는 구조 부분에 대응한다.
[표1-1]
(표 1-1)
Figure pct00003
[표1-2]
(표 1-2)
Figure pct00004
또한, 번호 I-17에 나타내는 화합물에서는, R1, R2 및 R1과 R2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를 가지고 사이클로프로판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아졸 유도체 (I)의 농약학적 또는 공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특히 그의 양이온 및 음이온이 아졸 유도체 (I)의 작용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들 양이온의 염 또는 이들 산의 산부가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양이온은 특히 알칼리 금속(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및 칼륨), 알칼리 토류 금속(바람직하게는 칼슘, 마그네슘 및 바륨), 전이 금속(바람직하게는 망간, 구리, 아연 및 철)의 이온이며, 또한 원하는 경우에는 1~4개의 C1-C4-알킬 치환기 및/또는 1개의 페닐 치환기 또는 벤질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암모늄 이온(바람직하게는 디이소프로필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부틸암모늄, 트리메틸벤질암모늄), 추가로 포스포늄 이온, 설포늄 이온(바람직하게는 트리(C1-C4-알킬)설포늄) 및 설폭소늄 이온(바람직하게는 트리(C1-C4-알킬)설폭소늄)일 수도 있다.
유용한 산부가염의 음이온은 주로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불화물 이온, 황산수소 이온, 황산 이온, 인산이수소 이온, 인산수소 이온, 인산 이온, 질산 이온, 중탄산 이온, 탄산 이온, 설폰산염, 방향족 설폰산염, 헥사플루오로규산 이온, 헥사플루오로인산 이온, 안식향산 이온 및 C1-C4-알칸산의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프로피온산 이온 및 낙산 이온이다. 이들은 아졸 유도체 (I)을 대응하는 음이온의 산(바람직하게는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또는 p-톨루엔 설폰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의 농약학적 또는 공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몇몇 예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하기 표 2의 A, R1, R2 및 m은 각각 상기 식 (I)의 A, R1, R2 및 m에 대응하며, 표 2의 Z-(R3)n은 상기 식 (I)의 Z와 (R3)n으로 표시되는 구조 부분에 대응한다.
[표 2]
(표 2)
Figure pct00005
[2.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아졸 유도체 (I)은 이하에 나타내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아졸 유도체의 각 제조 방법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일반식 (I)의 A가 N인 경우의 양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A가 CH인 양태에 대해서도 이하의 제조 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된다.
하기 스킴 중의 R1, R2, R3, Z, m 및 n은 각각 상기 일반식 (I)의 R1, R2, R3, Z, m 및 n에 대응한다. 또한, 식 (x)(x는 숫자)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순히 화합물 (x)로 기재한다. 또한, 공지의 반응 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스텝의 반응에서, 반응에 제공되는 시약, 염기 및 용매 등 및 온도 등의 각종 조건은 기술 상식을 기초로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범위의 것이다.
(1)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1
R1 및 R2가 수소 이외의 동일한 기인 경우, 하기 합성 스킴 1에 따라, 공지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로부터 아졸 유도체 (I)을 제조할 수 있다.
[화 3]
(합성 스킴 1)
Figure pct00006
(step 1) 화합물 (1)의 케톤 α위치를 알킬화함으로써, 화합물 (2)를 얻는다. 알킬화는 요오드화 알킬 등의 알킬화 시약을 사용한 반응에 의해 수행하면 된다. 일 예로서는, 알킬화 시약으로서 요오드화 알킬, 염기로서 수소화 나트륨,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2) 화합물 (2)의 할로겐 X를, 1 이상의 R3으로 치환되어 있는 또는 비치환된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복소환과 치환함으로써, 화합물 (3)을 얻는다.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복소환과의 치환은 X의 종류에 따라 반응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가 F 또는 Cl인 경우에는, SNAr 반응으로의 치환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는, X를 F로 하고, 염기로서 탄산칼륨,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12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X가 Cl, Br 또는 I인 경우에는, 구리 촉매를 사용한 Ullmann 축합 반응으로의 치환이 가능하다. 또한, Ullmann 축합 반응은 고온(예를 들어 195℃)에서의 반응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배위자를 사용하여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135℃)의 가열 조건으로 반응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서는, X를 Br로 하고, 구리 촉매로서 요오드화 구리(I), 염기로서 탄산세슘, 용매로서 N-메틸피롤리돈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반응 장치에 의해 195℃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서는, 구리 촉매로서 요오드화 구리(I), 배위자로서 트리스(2, 4-펜탄디오나토)철(III)를 가하고, 염기로서 탄산칼륨,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오일 배스에 의해 135℃ 가열 조건으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step 3) 화합물 (3)을 Corey-Chaykovsky 반응에 의해 옥시란화하고, 이어서아졸화함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얻는다. 옥시란화와 아졸화는 별개 반응으로서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 포트에서 수행하고 있다. 옥시란화 및 아졸화의 반응을 원 포트에서 수행함으로써,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원 포트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용매 중, 화합물 (3)을 1,2,4-트리아졸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 및 황 일리드의 공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목적한 아졸 유도체 (I)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3)과 1,2,4-트리아졸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용매 중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일리드 시약 및 염기를 간헐적으로 첨가함으로써, 반응계 중에서 발생한 중간체 옥시란을 순차 아졸화하여, 목적한 아졸 유도체 (I)을 얻을 수 있다.
용매로서는,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 결합을 갖는 극성 용매, 당해 극성 용매와 알코올의 혼합 용매,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들 수 있다. 또한, 혼합 용매에서의 알코올로서는 tert-부탄올을 들 수 있다.
황 일리드로서는, 디메틸설포늄 메틸리드 등의 설포늄 메틸리드류 및 디메틸설폭소늄 메틸리드 등의 설폭소늄 메틸리드류를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설포늄 메틸리드류 또는 설폭소늄 메틸리드류는 용매 중, 설포늄염(예를 들어, 트리메틸설포늄 요오다이드 및 트리메틸설포늄 브로마이드 등) 또는 설폭소늄염(예를 들어 트리메틸설폭소늄 요오다이드 및 트리메틸설폭소늄 브로마이드(TMSOB) 등) 등의 일리드 시약과 염기를 반응시킴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다.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화 나트륨 등의 금속 수소 화합물, 또는 나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에톡사이드,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 및 칼륨 tert-부톡사이드 등의 알칼리 금속의 알콕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2,4-트리아졸의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옥시란화 및 아졸화의 반응을 원 포트에서 수행하는 반응의 일 예로서는, 화합물 (3) 및 1,2,4-트리아졸 나트륨염을 N-메틸피롤리돈 중, 80℃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일리드 시약으로서 TMSOB, 염기로서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를 각각 분할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옥시란화와 아졸화를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반응 방법의 일 예로서는, 옥시란화에 있어서는, 일리드 시약으로서 트리메틸설포늄 요오다이드(TMSI), 염기로 수소화 나트륨, 용매로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후의 아졸화에 있어서는, 1,2,4-트리아졸, 염기로서 디아자비사이클로운데센(DBU) 및 용매로서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사용하여 8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1')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1'
X가 Cl, I 또는 Br인 경우, step 2 및 3 대신, 하기 합성 스킴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합물 (2)에 대해 아졸을 도입하여 화합물 (4)를 얻고, 아졸 도입 후에 Ullmann 축합 반응에 의해 에테르 골격을 합성함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얻을 수 있다.
[화 4]
(합성 스킴 1')
Figure pct00007
(step 2') 화합물 (2)에 아졸을 도입함으로써, 화합물 (4)를 얻는다. 화합물 (2)의 아졸화는 상술한 step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 된다. 일 예로서는, 상술한 step 3에 기재된 원 포트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step 3') 1 이상의 R3으로 치환되어 있는, 또는 비치환의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복소환을 사용하여, 화합물 (4)로부터 Ullmann 축합 반응으로 에테르 골격을 합성함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얻는다. 여기서의 Ullmann 축합 반응에서도, 고온(예를 들어 195℃)에서의 반응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배위자를 사용하여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135℃)의 가열 조건으로 반응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서는, 구리 촉매로서 요오드화 구리(I), 배위자로서 트리스(2,4-펜탄디오나토)철(III)를 가하고, 염기로서 탄산칼륨,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오일 배스에 의해 135℃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2
R1 또는 R2 중 어느 하나가 H인 경우, 하기 합성 스킴 2에 따라, 공지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로부터 아졸 유도체 (I)을 제조할 수 있다. 하기 합성 스킴 2 및 2'에서는 R1=H로서 예시한다. 또한, R1과 R2가 서로 알킬기이고, 서로 상이한 경우, 하기 합성 스킴 2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 (8)로부터 아졸 유도체 (I)을 제조할 수 있다.
[화 5]
(합성 스킴 2)
Figure pct00008
(step 1) Ullmann 반응 또는 SNAr 반응에 의해, 화합물 (1)의 할로겐 X를,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복소환과 치환함으로써, 화합물 (1)로부터 화합물 (5)를 얻는다. 또한, 화합물 (1)과 같이 케톤 α위치에 수소가 존재하는 경우, 염기성 고온 조건하에서는 케톤 α위치를 기점으로 한 부반응이 우선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비교적 온화한 조건인 SNAr 반응이 적합하다. 일 예로서는, X를 F로 하고, 염기로서 탄산칼륨,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이용하여, 12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2) 화합물 (5)를 β케토 에스테르의 형태로 증탄(增炭)함으로써, 화합물 (6)을 얻는다. 이로써 치환 위치의 하나를 보호하고, 또한 메틸렌이 친핵 치환 반응에 대해 활성화된다. 증탄의 방법은, 예를 들어 반응 시약겸 용매로서 ROCOOR로 표시되는 탄산 디알킬(R은 알킬기이며, 2개 있는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을 가열 환류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 (5)를 직접 알킬화하면 이치환체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치환체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일 예로서는, 반응 시약겸 용매로서 탄산 디메틸, 염기로서 수소화 나트륨을 사용하고, 소량의 메탄올을 가하고 가열 환류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3) 화합물 (6)의 활성 메틴을 알킬화함으로써, 화합물 (7)을 얻는다. 알킬화는 요오드화 알킬 등의 알킬화 시약을 이용한 반응에 의해 수행하면 된다. 일 예로서, 알킬화 시약으로서 요오드화 이소프로필, 염기로서 수소화 나트륨,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8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4) 화합물 (7)의 에스테르를 가수 분해 탈탄산함으로써, 화합물 (8)을 얻는다. 일 예로서, 염기로서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여, 가열 환류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5) Wittig 반응에 의해, 케톤인 화합물 (8)로부터 올레핀인 화합물 (9)를 얻는다. 또한, R1 및 R2 모두 H인 경우에는, step 2, 3 및 4를 생략하고, 화합물 (5)를 직접 올레핀화하면 된다. 인 일리드가 되는 일리드 시약으로서는,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일리드 시약으로서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염기로서 칼륨 tert-부톡사이드,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6) 촉매량의 사산화 오스뮴과 재산화제의 공존하에서 화합물 (9)를 산화함으로써, vic-디올인 화합물 (10)을 합성한다. 일 예로서, 촉매량의 사산화 오스뮴을 사용하고, 재산화제로서 N-메틸모르폴린 옥사이드, 용매로서 물과 아세톤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합물 (9)를 옥시란화함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얻을 수도 있다.
(step 7) 화합물 (10)의 1급 하이드록시기에 이탈기로서 설포닐기를 도입함으로써, 화합물 (11)을 얻는다. 이탈기의 도입에는 R4SO2Cl로 표시되는 치환 설포닐 클로라이드가 사용된다. 여기서, R4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있다. R4는 바람직하게는 4-메틸페닐기이다. 일 예에서는, 이탈기 도입 시약으로서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염기로서 피리딘, 용매로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8) 1,2,4-트리아졸의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하여 화합물 (11)을 아졸화함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얻는다. 일 예로서, 아졸화 시약으로서 1,2,4-트리아졸 나트륨염, 용매로서 N-메틸피롤리돈을 사용하여, 12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1과 R2가 서로 알킬기이고, 서로 상이한 경우, 화합물 (8)의 케톤 α위치를 알킬화하고, R2와 상이한 R1을 도입하면 된다. 알킬화는 요오드화 알킬 등의 알킬화 시약을 사용한 반응에 의해 수행하면 된다. 일 예로서는, 알킬화 시약으로서 요오드화 알킬, 염기로서 수소화 나트륨,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화 후에 step 5부터 step 8을 수행함으로써, R1과 R2가 서로 알킬기이고, 서로 상이한 아졸 유도체 (I)을 얻을 수 있다.
(2')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2'
X가 Cl, I 또는 Br인 경우, step 1 대신, 하기 합성 스킴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지막에 Ullmann 축합 반응에 의해 화합물 (24)의 할로겐 X를,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복소환과 치환함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얻을 수 있다.(합성 스킴 2')
[화 6]
(합성 스킴 2')
Figure pct00009
(3)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3
R1과 R2가 결합하여, R1 및 R2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프로판환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하기 합성 스킴 3에 따라, 공지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로부터 아졸 유도체 (I)을 제조할 수 있다.
[화 7]
(합성 스킴 3)
Figure pct00010
(step 1) 화합물 (1)의 케톤 α위치에 메틸렌을 도입함으로써, 화합물 (12)를 얻는다. 메틸렌의 도입 방법은,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Org. Syn. Coll., vol. 7 (1990) p332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는, 파라포름알데히드와 N-메틸아닐리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가열 환류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2) 화합물 (12)의 케톤 α위치의 엑소메틸렌에 Corey-Chaycovsky 반응으로 황 일리드를 작용시킴으로써, 사이클로프로판환을 도입하여 화합물 (13)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설폭소늄 일리드를 작용시키면 Michael 부가가 일어나지만, 설포늄 일리드를 사용하면 옥시란화가 일어난다고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리드 시약은 설폭소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는, 일리드 시약으로서 트리메틸설폭소늄 요오다이드를 사용하고, 염기로서 수소화 나트륨, 용매로서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3) 화합물 (13)의 할로겐 X를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복소환과 치환함으로써, 화합물 (14)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합성 스킴 1에서의 step 2에서의 화합물 (3)의 합성 수법과 동일하다.
(step 4) 화합물 (14)를 Corey-Chaykovsky 반응에 의해 옥시란화하고, 이어서 아졸화함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합성 스킴 1에서의 step 3에서의 아졸 유도체 (I)의 합성 수법과 동일하다.
(4)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4
Z가 방향족 복소환인 경우, 하기 합성 스킴 4에 따라, 공지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로부터 아졸 유도체 (I)을 제조할 수 있다.
[화 8]
(합성 스킴 4)
Figure pct00011
(step 1) 화합물 (1)의 케톤 α위치를 알킬화함으로써, 화합물 (2)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합성 스킴 1에서의 step 1에서의 화합물 (2)의 합성 수법과 동일하다.
(step 2) 화합물 (2)와 치환기 R을 갖는 벤질 알코올의 SNAr 반응에 의해, 화합물 (15)를 합성한다. 이 경우, X로서는 반응성이 높은 F가 적합하다. 일 예로서는, X를 F로 하고, 염기로서 칼륨 tert-부톡사이드,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R은 수소, 할로겐 및 메톡시기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3) 화합물 (15)를 Corey-Chaykovsky 반응에 의해 옥시란화하고, 이어서 아졸화함으로써, 화합물 (16)을 합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합성 스킴 1에서의 step 3에서의 아졸 유도체 (I)의 합성 수법과 동일하다.
(step 4) 팔라듐계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 분위기하에서 화합물 (16)을 접촉 환원함으로써, 화합물 (17)을 합성한다. 일 예로서는, 수소 분위기하에 촉매로서 팔라듐 탄소, 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ep 5) 화합물 (17)을 친핵제로 하여 할로겐을 갖는 복소환과 반응시킴으로써, 아졸 유도체 (I)을 합성한다. 적합하게는 SNAr 반응이 이용된다. SNAr 반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소환이 갖는 할로겐으로서는 F 또는 Cl이 바람직하며, F가 보다 적합하다. 일 예로서는, 할로겐을 갖는 복소환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치환된 피리딘, 염기로서 탄산세슘,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60℃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아졸 유도체의 N-옥사이드체의 제조 방법]
N-옥사이드체는 아졸 유도체 (I)으로부터 종래의 산화 방법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졸 유도체 (I)을 메타클로로과안식향산 등의 유기 과산에 의해(참조: WO 03/64572 또는 J. Med. Chem. 38(11), 1892~903, 1995) 처리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는, 아졸 유도체 (I)을, 무기 산화제인 과산화수소(참조: J. Heterocyc. Chem. 18(7), 1305~8, 1981) 또는 옥손(참조: J. Am. Chem. Soc. 123(25), 5962~5973, 2001)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 산화는 순수한 모노 N-옥사이드 또는 상이한 N-옥사이드의 혼합물을 초래할 수 있다. N-옥사이드의 혼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종래의 방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4. 농원예용 약제]
아졸 유도체 (I)은 이미다졸릴기 또는 1,2,4-트리아졸릴기를 가지므로, 무기산 및 유기산의 산부가염, 또는 금속 착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산부가염 및 금속 착체의 일부로서, 농원예용 약제 등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의 농원예용 약제는 광범위한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적용 병해의 예로서 이하를 들 수 있다. 또한, 각 병해 뒤의 괄호 내에는, 당해 병해를 야기하는 주된 병원균을 나타내고 있다. 대두 녹병(Phakopsora pachyrhizi, Phakopsora meibomiae), 대두 갈색무늬병(Septoria glycines), 대두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대두 갈색점무늬병(Alternaria sp.), 대두 탄저병(Colletotrichum truncatum), 대두의 Frogeye leaf spot(Cercospora sojina), 대두의 리족토니아 뿌리썩음병(Rhizoctonia solani), 대두 잎썩음병(Rhizoctonia solani), 대두 흑점병(Diaporthe phaseolorum), 대두 줄기 역병(Phytophthora sojae), 강낭콩 탄저병(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유채의 Phoma stem canker(Plenodomus lingam), 유채의 stem canker(Plenodomus biglobosus), 유채의 Light leaf spot(Pyrenopeziza brassicae), 유채 뿌리혹병 Clubroot(Plasmodiophora brassicae), 유채의 Verticillium wilt(Verticillium longisporum), 유채의 Blackspot(Alternaria spp.), 벼 도열병(Pyricularia oryzae), 벼 깨씨무늬병(Cochliobolus miyabeanus), 벼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 벼 껍질마름병(Rhizoctonia solani), 벼 좀검은균핵병(Helminthosporium sigmoideum), 벼 키다리병(Gibberella fujikuroi), 벼 모입고병(苗立枯病)(Pythium aphanidermatum), 벼 입고병(立枯病)(Gaeumannomyces graminis), 보리 흰가루병(Brumeria graminis f. sp. hordei), 보리 검은 녹병(Puccinia graminis), 보리 줄 녹병(Puccinia striiformis), 보리 반엽병(斑葉病)(Pyrenophora graminea), 보리 구름무늬병(Rhynchosporium secalis), 보리 겉깜부기병(Ustilago nuda), 보리 그물무늬병(Pyrenophora teres), 보리 붉은 곰팡이병(Fusarium graminearum, Microdochium nivale), 밀 흰가루병(Erysiphe graminis f. sp. tritici), 밀 붉은 녹병(Puccinia recondita), 밀 줄 녹병(Puccinia striiformis), 밀 눈무늬병(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밀 붉은 곰팡이병(Fusarium graminearum, Microdochium nivale), 밀 껍질마름병(Phaeosphaeria nodorum), 밀 잎마름병(Zymoseptoria tritici), 밀 홍색 설부병(雪腐病)(Microdochium nivale), 밀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밀 흑점병(Epicoccum spp), 밀 황반병(黃斑病)(Pyrenophora tritici-repentis), 밀 소립 균핵병(Typhula incarnata, Typhula ishikariensis), 잔디 동전마름병(Sclerotinia homoeocarpa), 잔디 라지패치병(Rhizoctonia solani), 브라운패치병(Rhizoctonia solani), 잔디 탄저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잔디의 Gray leaf Spot(Pyricularia grisea), 잔디의 네크로틱 링 스폿병(Ophiosphaerella korrae), 잔디의 Red thread(Laetisaria fuciformis), 잔디 녹병(Puccinia zoysiae), 잔디의 썸머 패치병(Magnaporthe poae), 잔디의 Root decline of warm-season grasses(Gaeumannomyces graminis), 잔디의 브라운 링 패치(Waitea circinata), 잔디 페어리 링(fairy ring)병(Agaricus spp., Calvatia cyathiformis, Chlorophyllum molybdite, Clitocybe spp., Lepiota app., Lepista subnuda, Lycoperdon spp., Marasmius oreades, Scleroderma spp., Tricholoma spp. 등), 잔디 홍색 설부병(Microdochium nivale), 잔디 설부 소립 균핵병(Typhula incarnate, Typhula ishikariensis), 잔디 커르불라리아 잎마름병(Curvularia sp.), 잔디 유사 잎썩음병(Ceratobasidium sp.), 잔디 입고병(Gaeumannomyces sp., Phialophora sp.), 옥수수 깜부기병(Ustilago maydis), 옥수수 탄저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옥수수 갈색무늬병(Kabatiella zeae), 옥수수 회색 반점병(Cercospora zeae-maydis), 옥수수 매문병(煤紋病)(Setosphaeria turcica), 옥수수 북방 반점병(Cochliobolus carbonum), 옥수수 반점병(Physoderma maydis), 옥수수 녹병(Puccinia spp.), 옥수수 깨씨무늬병(Bipolaris maydis), 옥수수 황색 깨씨무늬병(Phyllosticta maydis), 옥수수 붉은 곰팡이병(Gibberella zeae), 사탕수수 녹병(Puccinia spp.), 박과류 흰가루병(Sphaerotheca fuliginea), 박과류 탄달병(炭疸病)(Colletotrichum lagenarium, Glomerella cingulata), 오이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오이 회색 역병(Phytophthora capsici), 오이 덩굴쪼김병(Fusarium oxysporum f.sp.cucumerinum), 수박 덩굴쪼김병(Fusarium oxysporum f.sp.niveum), 사과 흰가루병(Podosphaera leucotricha), 사과 검은 별무늬병(Venturia inaequalis), 사과 모닐리아병(Monilinia mali), 사과 반점 낙엽병(Alternaria alternata), 사과 부란병(腐欄病)(Valsa ceratosperma), 배 흑반병(Alternaria kikuchiana), 배 흰가루병(Phyllactinia pyri), 배 붉은 별무늬병(Gymnosporangium asiaticum), 배 검은 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 딸기 흰가루병(Podosphaera aphanis), 핵과류 과수의 잿빛무늬병(Monilinia fructicola), 감귤 푸른 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포도 흰가루병(Uncinula necator), 포도 노균병(Plasmopara viticola), 포도 만부병(晩腐病)(Glomerella cingulata), 포도의 녹병(Phakopsora euvitis), 바나나 옐로우 시가토카병(Mycosphaerella musicoka), 바나나 블랙 시가토카병(Mycosphaerella fijiensis), 토마토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 토마토 윤문병(輪紋病)(Alternaria solani), 가지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 감자의 겹둥근무늬병(Alternaria solani), 감자 탄저병(Colletotrichum coccodes), 감자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 Leveillula taurica), 감자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담배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 담배 붉은 별무늬병(Alternaria longipes), 사탕무 갈색무늬병(Cercospora beticola), 사탕무 흰가루병(Erysiphe betae), 사탕무 잎썩음병(Thanatephorus cucumeris), 사탕무 뿌리썩음병(Thanatephorus cucumeris), 사탕무 검은뿌리썩음병(Aphanomyces cochlioides), 무우 위황병(萎黃病)(Fusarium oxysporum f.sp.raphani), 차 탄저병(Discula theae-sinensis), 차 떡병(Exobasidium vexans), 차 갈색원성병(圓星病)(Pseudocercospora ocellata, Cercospora chaae), 차 윤문병(Pestalotiopsis longiseta, Pestalotiopsis theae), 차 망병병(網餠病)(Exobasidium reticulatum), 목화 흑반병 Alternaria leaf spot(Alternaria spp.), 목화 탄저병(Glomerella spp.), 목화 윤문병(Ascochyta gossypii), 목화 녹병(Puccinia spp., Phykopsora gossypii), 목화의 Cercospora blight and leaf spot(Cercospora spp.), 목화의 Diplopia boll rot(Diplopia spp.), 목화의 Hard lock(Fusarium spp.), 목화의 Phoma blight(Phoma spp.), 목화의 Stemphyllium leaf spot(Stemphylium spp.), 땅콩 흑삽병(黑澁病)(Cercosporidium personatum), 땅콩 갈색무늬병(Cercospora arachidicola), 땅콩 백견병(白絹病)(Sclerotium rolfsii), 땅콩 녹병(Puccinia arachidis), 다양한 작물을 침범하는 회색 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피시움속 균의 병해(Pythium spp.) 및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등. 또한, Aspergillus속, Cochliobolus속, Corticium속, Diplodia속, Penicillium속, Fusarium속, Gibberella속, Mucor속, Phoma속, Phomopsis속, Pyrenophora속, Pythium속, Rhizoctonia속, Rhizopus속, Thielaviopsis속, Tilletia속, Trichoderma속 및 Ustilago속 등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식물의 종자 전염성 병해 또는 생육 초기의 병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원예용 약제는 살균제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원예용 약제는 상술한 병해 중에서도, 밀 잎마름병, 밀 붉은 녹병 및 밀 흰가루병의 병해에 대해 특히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농원예용 약제는 맥(麥)류 방제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농원예용 약제는 모든 식물에 이용할 수 있으나, 적용 식물의 예로서 이하를 들 수 있다; 벼, 밀, 보리,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옥수수, 수수(sorghum), 사탕수수, 잔디, 벤트 그라스, 버뮤다 그라스, 페스큐 및 라이그라스 등의 벼과류, 대두, 땅콩, 강낭콩, 완두, 팥 및 알팔파 등의 콩과류, 고구마 등의 메꽃과류, 고추, 피망, 토마토, 가지, 감자 및 담배 등의 가지과류, 메밀 등의 여뀌과류, 해바라기 등의 국화과류, 인삼 등의 드룹나무과류, 유채, 배추, 순무, 양배추 및 무우 등의 유채과류, 사탕무 등의 명아주과류, 목화 등의 아욱과류, 커피나무 등의 꼭두서니과류, 카카오 등의 벽오동과류, 차 등의 동백나무과류, 수박, 멜론, 오이 및 호박 등의 박과류, 양파, 파 및 마늘 등의 백합과류, 딸기, 사과, 아몬드, 살구, 매실, 앵두, 자두, 복숭아 및 배 등의 장미과류, 당근 등의 미나리과류, 토란 등의 토란과류, 망고 등의 옻나무과류, 파인애플 등의 파인애플과류, 파파야 등의 파파야과류, 감 등의 감나무과류, 블루베리 등의 진달래과류, 피칸 등의 호두과류, 바나나 등의 파초과류, 올리브 등의 물푸레나무과류, 코코야자 및 대추야자 등의 야자과류, 귤, 오렌지, 그레이프푸르트 및 레몬 등의 귤과류, 포도 등의 포도과류, 초화(草花)(Flowers and ornamental plants), 과수 이외의 나무 및 그 외 감상용 식물. 또한, 야생 식물, 식물 재배 품종, 이종 교배 또는 원형질 융합 등의 종래의 생물 육종에 의해 얻어지는 식물 및 식물 재배 품종, 및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유전자 재조합 식물 및 식물 재배 품종을 들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식물 및 식물 재배 품종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초제 내성 작물, 살충성 단백 산생(産生) 유전자를 편입한 해충 내성 작물, 병해에 대한 저항성 유도 물질 산생 유전자를 편입한 병해 내성 작물, 식미(食味) 향상 작물, 수량 향상 작물, 보존성 향상 작물 및 수량 향상 작물 등을 들 수 있다. 각국에서 인가를 받은 유전자 재조합 식물 재배 품종으로서는, 국제 농업 바이오(agri-bio) 사업단(ISAAA)의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oundup Ready, Liberty Link, IMI, SCS, Clearfield, Enlist, B.t., BXN, Poast Compatible, AgriSure, Genuity, Optimum, Powercore, DroughtGard, YieldGard, Herculex, WideStrike, Twinlink, VipCot, GlyTol, Newleaf, KnockOut, BiteGard, BtXtra, StarLink, Nucotn, NatureGard, Protecta, SmartStax, Power Core, InVigor 및 Bollgard 등의 등록 상표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2) 제제
농원예용 약제는 유효 성분인 아졸 유도체 (I)을 고체 담체 또는 액체 담체(희석제), 계면활성제 및 그 외 제제 보조제 등과 혼합하여 분제, 수화제, 입제 및 유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제하여 사용한다. 이들 제제에는 유효 성분으로서 아졸 유도체 (I)을 0.1~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중량% 포함되도록 제제한다.
제제 보조제로서 사용하는 고체 담체, 액체 담체 및 계면활성제를 예시하면, 우선 고체 담체로서는, 분말 담체 및 입상 담체 등으로서 사용되며, 클레이, 탈크, 규조토,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산성 백토, 활성 백토, 아타풀자이트, 방해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경석, 규사 등의 광물; 요소 등의 합성 유기물;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소석회, 중조 등의 염류; 화이트 카본 등의 비정질 실리카나 이산화티탄 등의 합성 무기물; 목질 분말, 옥수수 줄기(옥수수대), 호두 껍데기(견과 외피), 과실핵, 겨, 톱밥, 기울, 대두 분말, 분말 셀룰로오스, 전분, 덱스트린, 당류 등의 식물성 담체; 가교 리그닌, 양이온 겔, 가열 또는 다가 금속염으로 겔화하는 젤라틴, 한천 등의 수용성 고분자 겔,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요소-알데히드 수지 등의 다양한 고분자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로서는, 지방족 용제(파라핀류), 방향족 용제(크실렌,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솔벤트 나프타 등), 혼합 용제(등유), 머신유(정제 고비점 지방족 탄화수소),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사이클로헥산올 등), 다가 알코올류(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 다가 알코올 유도체류(프로필렌계 글리콜 에테르 등), 케톤류(아세톤, 아세토페논, 사이클로헥사논, 메틸사이클로헥사논, γ-부티로락톤 등), 에스테르류(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야자유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젖산 에틸헥실, 탄산 프로필렌, 이염기산 메틸 에스테르(석신산 디메틸 에스테르, 글루탐산 디메틸 에스테르, 아디프산 디메틸 에스테르)), 함질소 담체류(N-알킬피롤리돈류), 유지류(야자유, 대두유, 채종유 등), 아미드계 용제(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옥탄아미드, N,N-디메틸데칸아미드, 5-(디메틸아미노)-2-메틸-5-옥소-길초산 메틸 에스테르, N-아실모르폴린계 용제(CAS No. 887947-29-7 등)), 디메틸 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물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디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알킬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비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벤질 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및 에스테르형 실리콘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 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벤질(또는 스티릴) 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설페이트 등의 설페이트류의 염, 파라핀(알칸) 설포네이트, α-올레핀 설포네이트, 디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모노 또는 디알킬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리그닌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포석신산 하프 에스테르 등의 설포네이트류의 염, 지방산, N-메틸-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수지산 등의 지방산류의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 또는 디알킬 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벤질(또는 스티릴)화 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이민(레시틴), 알킬 포스페이트 등 포스페이트류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 N-메틸피리듐 브로마이드, 모노 또는 디알킬메틸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 펜타메틸 프로필렌디아민 디클로라이드 등의 암모늄염류 및 알킬 디메틸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옥틸페녹시 에톡시 에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벤잘코늄염류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바이오 계면활성제(biosurfactant)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람노리피드, 서팩틴, 셀로비오스 리피드, 소포로리피드, 만노실 알디톨 리피드, 트레할로스 리피드, 글루코스 리피드, 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세라웨틴, 라이켄신, 아스로팍틴(arthrofactin), 스피쿨리스포르산(spiculisporic acid), 코리노미콜산(corynomycolic acid), 아가리틴산(agaritinic acid) 및 에멀전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제제용 보조제로서는, pH 조절제로서의 나트륨 및 칼륨 등의 무기염류, 불소계, 실리콘계의 소포제, 식염 등의 수용성 염류, 증점제로서 이용되는 잔탄검, 구아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비닐 알코올, 전분 유도체, 다당류 등의 수용성 고분자, 알긴산 및 그의 염, 붕괴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스테아르산 금속염, 트리폴리인산 소다, 헥사메타인산 소다, 그 외, 방부제, 착색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약해 경감제 등을 들 수 있다.
제제에는 그대로 사용하는 것과 물 등의 희석제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희석하여 사용할 때의 아졸 유도체 (I)의 농도는 0.001~1.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졸 유도체 (I)의 사용량은 밭, 논, 과수원 및 온실 등의 농원예지 1 ha당 20~50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50~2000 g이다. 이들 사용 농도 및 사용량은 제형, 사용 시기, 사용 방법, 사용 장소 및 대상 작물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구애되지 않고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다른 유효 성분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농원예용 약제는 이미 알려진 다른 유효 성분과 조합하여 농원예용 약제로서의 성능을 높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미 알려진 다른 유효 성분으로서는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및 식물 생장 조절제에 포함되는 이미 알려진 유효 성분을 들 수 있다.
(3-1) 살균제 용도의 유효 성분
살균제 용도에 적합한 유효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롤 생합성 저해 화합물,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 석신산 탈수소 효소 저해 화합물(SDHI계 화합물),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페닐아미드계 화합물, 디카복시이미드계 화합물,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다작용점 화합물, 항생 물질,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퀴놀린계 화합물, 유기 인계 화합물 및 카복시아미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 화합물로서는,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디페노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니코나졸, 펜뷰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메트코나졸, 이프코나졸, 마이클로뷰타닐,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프로클로라즈,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에폭시코나졸,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플루미졸, 트리티코나졸, 플루실라졸, 옥스포코나졸, 메펜트리플루코나졸, 이프펜트리플루코나졸,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벤질)-2-(클로로메틸)-2-메틸사이클로펜탄-1-올, 메틸 2-((1H-1,2,4-트리아졸-1-일)메틸)-3-(4-클로로벤질)-2-하이드록시-1-메틸사이클로펜탄-1-카복실레이트, 펜프로피모르프, 펜프로피딘, 스피록사민, 트리데모르프, 페나리몰, 피리페녹스, 피리속사졸, 뉴아리몰, 에타코나졸, 피페랄린, 나프티핀, 펜피라자민, 펜헥사미드, 테르비나핀, 알디모르프, 도데모르프, 피리부티카브 및 트리포린 등을 들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로서는, 카벤다짐, 베노밀, 티아벤다졸 및 푸베리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석신산 탈수소 효소 저해 화합물(SDHI계 화합물)로서는, 빅사펜, 벤조빈디플루피르, 보스칼리드, 플루오피람, 펜푸람,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메트피르, 아이소페타미드, 아이소피라잠, 메프로닐,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티플루자마이드, 플루인다피르, 피라지플루미드, 피디플루메토펜, 베노다닐, 카복신, 피라프로포인, 인피르플룩삼, 이소플루시프람, 인피르플룩삼 및 옥시카복신을 들 수 있다.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로서는, 아족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빈, 페나미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스트로빈, 만데스트로빈, 피리벤카브,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플루페녹시스트로빈, 에녹사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트리클로피리카브, 페나민스트로빈 및 메틸테트라프롤 등을 들 수 있다.
페닐아미드계 화합물로서는, 베나락실, 베나락실 M 또는 키랄락실, 메탈락실, 메탈락실 M 또는 메페녹삼, 푸랄락실 및 옥사딕실 등을 들 수 있다.
디카복시이미드계 화합물로서는, 프로사이미돈, 이프로디온 및 빈클로졸린 등을 들 수 있다.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로서는, 사이프로디닐, 메파니피림 및 피리메타닐 등을 들 수 있다.
다작용점 화합물로서는, 만제브, 만네브, 메티람, 프로피네브, 티람(티우람), 지네브, 지람, 아모밤, 아닐라진, 디티아논, 플루아지남, 디클로플루아니드, 톨릴플루아니드, 도딘, 구아자틴, 이미녹타딘(이미녹타딘 아세트산염, 이미녹타딘 알베실산염), 구리, 구리 화합물(예를 들어 염기성 염화구리, 수산화 제이구리, 염기성 황산구리, 황산구리, 유기 구리(옥신 구리), 노닐페놀 설폰산 구리, DBEDC 등), 탄산수소염(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금속 은, 펜틴, 황, 광물유, 중조, 탄산칼륨, 퍼밤, 캡탄, 캡타폴, 플루오로이미드, 키노메티오네이트, 메타설포카브, 디피메티트론, 클로로탈로닐(TPN) 및 폴펫 등을 들 수 있다.
항생 물질로서는, 가스가마이신, 폴리옥신, 스트렙토마이신, 발리다마이신 및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등을 들 수 있다.
카바메이트계 화합물로서는, 벤티아발리카브(벤티아발리카브 이소프로필), 디에토펜카브, 이프로발리카브, 프로파모카브, 아이오도카브, 프로티오카브 및 톨프로카브 등을 들 수 있다.
퀴놀린계 화합물로서는, 옥솔린산, 피로퀼론, 퀴녹시펜 및 테부플로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인계 화합물로서는, 디노캅, 에디펜포스(EDDP), 포세틸(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륨, 포세틸나트륨), 이프로벤포스(IBP), 피라조포스, 멥틸디노캅 및 톨클로포스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카복시아미드계 화합물로서는, 카프로파마이드, 에타복삼, 페녹사닐, 실티오팜, 티아디닐 및 아이소티아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살균제 용도의 화합물로서, 티오파네이트, 티오파네이트 메틸, 펜사이큐론,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사이아조파미드, 사이플루페나미드, 사이목사닐, 디클로사이메트, 디클로메진,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니트로판, 플루디옥소닐, 플루오피콜라이드, 플루설파마이드, 플루티아닐, 하핀, 아이소프로티올레인, 만디프로파미드, 페나마크릴, 메트라페논, 옥사티아피프롤린, 프탈라이드, 프로퀴나지드, 발리페날레이트, 족사마이드, 디클로벤티아족스, 펜피콕사미드, 피카뷰트라족스, 퀴노프멜린,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피리모르프, 페림존, 아시벤졸라(아시벤졸라-S-메틸), 에트리디아졸, 하이멕사졸, 프로베나졸, 트리사이클라졸, 테클로프탈람, 하이드록시아이소옥사졸, 피리오페논, 디플루메토림, 톨펜피라드, 페나자퀸, 아미노피리펜, 클로로인코나지드, 피리다클로메틸, 이프플루페노퀸, 플루오피모미드, 플로릴피콕사미드, 플루옥사피프롤린, 비나파크릴, 아세트산 트리페닐 주석, 염화트리페닐 주석, 수산화트리페닐 주석, 오퓨레이스, 부피리메이트,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옥틸리논, 클로졸리네이트, 디메타클론, 펜피클로닐, 블라스티시딘, 트리아족시드, 도딘, 퀴노프롤, 비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퀸토젠(PCNB), 테크나젠(TCNB), 나타마이신(피마리신), 라미나린, 플루베네테람, 인산, 인산염,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멜라루카 알터니폴리아(티트리)의 추출물, 식물유(유제놀, 게라니올, 티몰), 왕호장근 추출액,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LAS117주의 세포벽 및 생물 농약(아그로박테리움·라디오박터, 슈도모나스·플루오레센스, 슈도모나스·로데시아, 슈도모나스·클로로라피스 AFS009주, 바실러스·서브틸리스, 바실러스·심플렉스, 바실러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 바실러스·마이코이데스, 비병원성 어위니아·카로토보라, 락토바실러스·플란타럼, 바리오보락스·파라독스, 스윙레아·글루티노사(swinglea glutinosa) 추출물, 트리코델마·아트로비리데 I1237주, 트리코델마·아트로비리데 LU132주, 트리코델마·아트로비리데 SC1주, 트리코델마 아스퍼렐룸 T34주, 글리오클라디움·카테눌라툼 또는 크로노스타치스·로세아, 스트렙토마이세스·그리세오비리디스 K61주, 스트렙토마이세스·리디커스 WYEC108 등) 등을 들 수 있다.
(3-2) 살충제 용도의 유효 성분
살충제 용도에 적합한 유효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인계 화합물,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 네레이스톡신 화합물, 네오니코티노이드 화합물, 벤조일요소 화합물, 그 외 곤충 성장 제어 화합물, 유기 염소 화합물 및 천연물 유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인계 화합물로서는,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메틸, 아진포스-에틸, 카두사포스,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다이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EPN, 팜퍼,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MEP), 펜티온(MPP),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설포텝, 퀴날포스, 테부피림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바미도티온 및 트리클로르폰(DEP) 등을 들 수 있다.
카바메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벤디오카브, 벤퓨라카브, 브토카르복심, 부톡시카르복심, 카바릴(NAC), 카보퓨란, 카보설판, 포메타네이트, 아이소프로카브(MIPC), 메티오카브, 메토밀,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서,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아자메이트, 트리메타카브, XMC, 에티오펜카브, 페노브카브(BPMC), 페노티오카브, 퓨라티오카브, 메톨카브 및 크실릴카브 등을 들 수 있다.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로서는,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사이퍼메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사이클로펜틸 이성질체, 바이오레스메트린, 사이클로프로트린, 사이플루트린,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디메플루트린, 에스펜발러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러레이트, 플루브로시트리네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사이할로트린, 메토플루트린, 몸플루오로트린, 퍼메트린, 프랄레트린, 피레트린스(pyrethrins) 또는 피레트럼(pyrethrum), 레스메트린, 프로플루트린,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트랄로메트린, 트란스플루트린, 이미프로트린, 카데트린, 클로로프랄레트린, 엡실론 메토플루트린, 엡실론 몸플루오로트린 및 사이페노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네레이스톡신 화합물로서는, 카탑, 벤설탑, 티오사이클람, 티오설탑-나트륨염(비설탑) 및 모노설탑 등을 들 수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화합물로서는,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퓨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나이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및 니코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일요소 화합물로서는, 비스트리풀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사이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뮤론, 루페뉴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뮤론, 테플루벤주론 및 트리플루뮤론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곤충 성장 제어 화합물로서는, 뷰프로페진, 크로마페노자이드, 사이로마진, 할로페노자이드, 메톡시페노자이드, 페녹시카브, 테부페노자이드 및 피리프록시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염소 화합물로서는, 클로르단, 알드린, 디엘드린, 엔도설판, 메톡시클로르, 린단 및 DDT 등을 들 수 있다.
천연물 유래 화합물로서는, 아바멕틴, 바실러스·튜린지엔시스균 유래의 생(生) 아포 및 산생 결정 독소 및 이들의 혼합물, 바실러스·스파에리쿠스, 에마멕틴 안식향산염, 레피멕틴, 밀베멕틴,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머신유, 전분, 환원 전분 당화물, 유채유, 올레산 나트륨, 글리세린 또는 프로판디올을 가진 지방산 모노 에스테르 및 인산제이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살충제 용도의 화합물로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테트라클로란트라닐리프롤, 클로르페나피르, 사이안트라닐리프롤, 디아펜티우론, 에티프롤, 피프로닐, 플로니카미드, 플루벤디아마이드, 플루엔설폰, 플루피라디퓨론,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메타알데하이드, 피메트로진,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실라플루오펜, 스피로테트라맷, 설폭사플로르, 톨펜피라드, 아피도피로펜, 브로플라닐라이드, 사이클라닐리프롤, 디클로로메조티아즈, 플로메토퀸, 플루아자인돌리진, 플루헥사폰, 플룩사메타마이드, 피리프롤, 테트라닐리프롤, 트리플루메조피림,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티클로피라조플로르(tyclopyrazoflor), 플루피리민, 스피로피디온, 벤즈피리목산, 사이할로디아미드, 아이소사이클로세람, DNOC, 설플루라미드, 로테논, 니코플루프롤, 딤프로피리다즈, 브롬화 메틸, 클로로피크린, 크리올라이트, 불화 설퍼릴, 붕사, 붕산, 팔붕산 나트륨, 메타붕산 나트륨, 토주석, 다조멧, 메탐, 인화 알루미늄, 인화 칼슘, 포스핀, 인화 아연, 시안화 칼슘, 시안화 칼륨, 시안화 나트륨, 사이프로플라닐리드, Codling Moth(Cydia pomonella) 과립병 바이러스, False Codling Moth(Thaumatotibia leucotreta) 과립병 바이러스, 벨벳빈 카터필러(Anticarsia gemmatalis)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GS-오메가/카파 HXTX-Hv1a 펩타이드, 아자디라크틴, 디코폴, 석회 황 합제, 만제브, 버크홀데리아속균, 월바키아·피피엔티스(Zap), 형개 추출물, 님 오일(neem oil), 보베리아 바시아나, 메타리지움 아니소필리에, 패실로마이세스 푸모소로세우스, 규조토 등을 들 수 있다.
(3-3) 살진드기제 용도의 유효 성분
살진드기제 용도에 적합한 유효 성분(살진드기 활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퀴노실, 하이드라메틸논, 아미도플루메트, 아미트라즈, 아조사이클로틴, 비페나제이트, 브로모프로필레이트(페니소브로모레이트), 클로르펜손, 키노메티오네이트, 벤족시메이트, 클로펜테진, 사이에노피라펜, 사이플루메토펜, 사이헥사틴, 디플로비다진, 디에노클로르, 에톡사졸, 페나자퀸, 산화펜부타주석, 펜피록시메이트, 플루아크리피림, 헥시티아족스, 프로파자이트(BPPS), 피플루뷰마이드, 피리다벤, 피리미디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테부펜피라드, 테트라디폰, 아사이노나피르, 시에트피라펜, 플루펜티오페녹스 및 조합유(調合油) 등을 들 수 있다.
(3-4) 살선충제 용도의 유효 성분
살선충제 용도에 최적인 유효 성분(살선충 활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D-D(1, 3-디클로로프로펜), DCIP(디클로로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카밤나트륨염, 카두사포스, 포스티아제이트, 이미시아포스, 주석산 모란텔, 염산 레바미졸, 네마덱틴, 사이클로부트리플루람 및 티옥사자펜 등을 들 수 있다.
(3-5) 식물 생장 조절제 용도의 유효 성분
식물 생장 조정제 용도에 최적인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에톡시비닐글리신, 클로르메?R, 클로르프로팜, 사이클라닐리드, 디케굴락, 다미노지드, 에테폰, 플루르프리미돌, 플루메트랄린, 포클로르페뉴론, 지베렐린, 말레산 히드라지드염, 메피?R 클로라이드, 메틸사이클로프로펜, 벤질아미노푸린, 파클로부트라졸, 프로헥사디온, 티디아주론, 트리부틸 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 트리넥사팍 에틸 및 유니코나졸 등을 들 수 있다.
(4)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본 실시형태에서의 농원예용 약제는, 예를 들어 밭, 수전(水田), 잔디밭 및 과수원 등의 농경지 또는 비농경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농원예용 약제는 경엽 산포와 같은 경엽 처리에 더하여, 구근 및 괴경 등에의 처리도 포함하는 종자 처리, 관주(灌注) 처리 및 수면(水面) 처리 등의 비경엽 처리에 의해서도 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은 상술한 농원예용 약제를 사용하여 경엽 처리 또는 비경엽 처리를 수행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또한, 비경엽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경엽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노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종자 처리에 의한 시용에서는, 수화제 및 분제 등을 종자와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또는 희석한 수화제 등에 종자를 침지함으로써 약제를 종자에 부착시킨다. 또한, 종자 코팅 처리도 포함된다. 종자 처리인 경우의 유효 성분의 사용량은 종자 100 kg에 대해 예를 들어 0.01~10000 g이며, 바람직하게는 0.1~1000 g이다. 농원예용 약제로 처리한 종자에 대해서는, 통상의 종자와 동일하게 이용하면 무방하다.
관주 처리에 의한 시용은 모종의 이식 시 등에 식혈(植穴) 또는 그 주변에 입제 등을 처리하거나, 종자 또는 식물체의 주위 토양에 입제 및 수화제 등을 처리함으로써 수행한다. 관주 처리인 경우의 유효 성분의 사용량은 농원예지 1 m2당 예를 들어 0.01~10000 g이며, 바람직하게는 0.1~1000 g이다.
수면 처리에 의한 시용은 수전의 논바닥 물에 입제 등을 처리함으로써 수행한다. 수면 처리인 경우의 유효 성분의 사용량은 수전 10 a당 예를 들어 0.1~10000 g이며, 바람직하게는 1~1000 g이다.
경엽 산포에 이용하는 경우의 유효 성분의 사용량은 밭, 논, 과수원 및 온실 등의 농원예지 1 ha당 예를 들어 20~5000 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2000 g이다.
또한, 사용 농도 및 사용량은 제형, 사용 시기, 사용 방법, 사용 장소 및 대상 작물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구애되지 않고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5. 공업 재료 보호제]
(1) 공업 재료 보호 효과
아졸 유도체 (I)은 공업 재료를 침범하는 광범위한 유해 미생물로부터 재료를 보호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공업 재료 보호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의 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미생물을 들 수 있다.
종이·펄프 열화 미생물(슬라임 형성균을 포함한다)인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sp.),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sp.), 페니실리움(Penicillium sp.), 게오트리큠(Geotrichum sp.), 카에토미움(Chaetomium sp.), 카도포라(Cadophora sp.), 세라토스토멜라(Ceratostomella sp.), 클라도스포륨(Cladosporium sp.), 코티슘(Corticium sp.), 렌티누스(Lentinus sp.), 렌지테스(Lenzites sp.), 포마(Phoma sp.), 폴리스티쿠스(Polysticus sp.), 풀루라리아(Pullularia sp.), 스테레움(Stereum sp.), 트리코스포륨(Trichosporium sp.), 에어로박터(Aerobacter sp.), 바실러스(Bacillus sp.), 디설포비브리오(Desulfovibrio sp.),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플라보박테리움(Flavobacterium sp.), 마이크로코쿠스(Micrococcus sp.) 등, 섬유 열화 미생물인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sp.), 페니실리움(Penicillium sp.), 카에토미움(Chaetomium sp.), 미로테슘(Myrothecium sp.), 커르불라리아(Curvularia sp.), 글리오마스틱스(Gliomastix sp.), 멤노니엘라(Memnoniella sp.), 사르코포디움(Sarcopodium sp.), 스타키보트리스(Stschybotrys sp.), 스템피리움(Stemphylium sp.), 지고린쿠스(Zygorhynchus sp.), 바실러스(bacillus sp.),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sp.) 등, 목재 변질균인 개떡 버섯(Tyromyces palustris), 운지 버섯(Coriolus versicolor),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sp.), 페니실리움(Penicillium sp.), 리조푸스(Rhizopus sp.), 아우레오바시디움(Aureobasidium sp.), 글리오클라디움(Gliocladum sp.), 클라도스포륨(Cladosporium sp.), 카에토미움(Chaetomium sp.),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sp.) 등, 피혁 열화 미생물인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sp.), 페니실리움(Penicillium sp.), 카에토미움(Chaetomium sp.), 클라도스포륨(Cladosporium sp.), 무코르(Mucor sp.), 패실로마이세스(Paecilomyces sp.), 필로부스(Pilobus sp.), 풀루라리아(Pullularia sp.), 트리코스포론(Trichosporon sp.), 트리코테슘(Tricothecium sp.) 등, 고무·플라스틱 열화 미생물인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sp.), 페니실리움(Penicillium sp.), 리조푸스(Rhizopus sp.),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sp.), 카에토미움(Chaetomium sp.), 미로테슘(Myrothecium sp.),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sp.),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바실러스(Bacillus sp.), 마이크로코쿠스(Micrococcus sp.), 세라티아(Serratia sp.), 마르가리노마이세스(Margarinomyces sp.), 모나스쿠(Monascus sp.) 등, 도료 열화 미생물인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sp.), 페니실리움(Penicillium sp.), 클라도스포륨(Cladosporium sp.), 아우레오바시디움(Aureobasidium sp.), 글리오클라디움(Gliocladium sp.), 보트리오디플로디아(Botryodiplodia sp.), 마크로스포륨(Macrosporium sp.), 모닐리아(Monilia sp.), 포마(Phoma sp.), 풀루라리아((Pullularia sp.), 스포로트리쿰(Sporotrichum sp.),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 sp.), 바실러스((bacillus sp.), 프로테우스(Proteus sp.),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세라티아(Serratia sp.).
(2) 제제
아졸 유도체 (I)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업용 재료 보호제는 아졸 유도체 (I) 이외에도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아졸 유도체 (I)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업용 재료 보호제는 적당한 액체 담체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거나, 또는 고체 담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업용 재료 보호제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유화제, 분산제, 전착제, 침투제, 습윤제 또는 안정제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아졸 유도체 (I)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업용 재료 보호제의 제형으로서는 수화제, 분제, 입제, 정제, 페이스트제, 현탁제 및 분무재 등을 들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공업용 재료 보호제는 다른 살균제, 살충제 또는 열화 방지제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액체 담체로서는 유효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어 물, 알코올류(예를 들어,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셀로솔브 등), 케톤류(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에테르류(예를 들어,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나프탈렌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예를 들어, 가솔린, 케로신, 등유, 기계유, 연료유 등), 산아미드류(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 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지방산의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 니트릴류(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등) 및 디메틸 설폭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체 담체로서는, 카올린 클레이, 벤토나이트, 산성 백토, 파이로필라이트, 탈크, 규조토, 방해석, 요소 및 황산암모늄 등의 미분말 또는 입상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 분산제로서는, 비누류, 알킬 설폰산, 알킬 아릴 설폰산, 디알킬 설포석신산, 제4급 암모늄염, 옥시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계 및 안하이드로 소르비톨계 등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졸 유도체 (I)을 유효 성분으로서 제제 중에 함유시키는 경우, 그의 함유 비율은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제제의 전체 양에 대해 0.1~99.9% 중량%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사용 시에 있어서는, 그의 처리 농도는 통상 0.005~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 중량%가 되도록 적절히 용제, 희석제 및 증량제 등을 가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아졸 유도체 (I)은 식물 병해를 야기하는 많은 균에 대해 우수한 살균 작용을 나타낸다. 즉, 아졸 유도체 (I)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농원예용 병해 방제제는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 취급 안전성이 우수하며, 또한 광범위한 식물 병해에 대해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는 상술한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N-옥사이드 또는 허용가능한 염이다.
[식 (I) 중,
A는 N 또는 CH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기, C3-C8-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3-C8-사이클로알킬-C1-C4-알킬기이고;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Z는 페닐기, 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2, 3 또는 4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이고;
R3은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콕시기이고;
R3은 Z의 임의의 치환 위치에 n개 결합되어 있으며;
n은 0, 1, 2, 3, 4 또는 5이고;
m은 1 또는 2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아졸 유도체에서는, 상기 일반식 (I)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기, C3-C8-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3-C8-사이클로알킬-C1-C4-알킬기이며,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에서는 상기 일반식 (I)에 있어서, m이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에서는, 상기 일반식 (I)에 있어서, Z가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2,4-트리아졸 또는 이미다졸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과 황 일리드의 공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다.
[화 9]
Figure pct00012
[식 (II) 중, R1, R2, R3, Z, m 및 n은 각각 식 (I)에서의 R1, R2, R3, Z, m 및 n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약제 또는 공업용 재료 보호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부에 대해서는 다양한 태양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문헌 모두가 참고로서 원용된다.
실시예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 1-((1 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7)의 합성(합성 스킴 1)>
5-플루오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55% 수소화 나트륨 9.61 g을 재어 취하고, 노말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0 mL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얼음물 배스에서 냉각하였다. 여기에 5-플루오로 인다논 15.02 g을 분할 첨가하였다. 이어서, 요오드메탄 31.27 g을 천천히 적하하였다. 적하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을 얼음물에 따르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粗體)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14.21 g 얻었다. 수율 80.0%.
1H NMR (400MHz, CDCl3) δ:7.76 (dd, J = 8.1, 5.2Hz, 1H), 7.10-7.06 (m, 2H), 2.99 (s, 2H), 1.24 (s, 6H)..
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1
전항에서 합성한 5-플루오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 8.91 g을 재어 취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 90 mL, 4-클로로페놀 12.86 g 및 탄산칼륨 13.82 g을 가하고, 120℃에서 6시간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방랭하고, 얼음물에 따랐다.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황색 액체로서 13.82 g 얻었다. 수율 92.8%.
1H NMR (400MHz, CDCl3) δ:7.73 (d, J = 8.4Hz, 1H), 7.37 (d, J = 8.9Hz, 2H), 7.03 (d, J = 8.8Hz, 2H), 6.97 (dd, J = 8.4, 2.2Hz, 1H), 6.88 (s, 1H), 2.92 (s, 2H), 1.23 (s, 6H)..
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2
5-브로모-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 239.4 mg, p-클로로페놀 194.0 mg,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탄산칼륨 277.8 mg, 요오드화 구리 38.3 mg 및 트리스(2,4-펜탄디오나토)철(III) 139.8 mg을 재어 취하고, 135℃에서 9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가해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조체를 178.9 mg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104.8 mg 얻었다. 수율 36.5%.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7)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 104.8 mg을 재어 취하고, N-메틸피롤리돈 1 ml 및 트리아졸 나트륨염 66.8 mg을 가하고, 8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트리메틸설폭소늄 브로마이드 76.1 mg과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 42.6 mg을 각각 4분할하여 30분 간격으로 가하였다. 최초 시약 첨가로부터 70분 후에 오일 배스 온도를 90℃, 130분 후에 100℃로 올렸다. 최초 시약 첨가로부터 3시간 후에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가해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61.1 mg 얻었다. 수율 45.3%.
1H NMR (400MHz, CDCl3) δ:7.97 (s, 1H), 7.92 (s, 1H), 7.28 (dd, J = 9.0, 2.2Hz, 2H), 6.90 (d, J = 9.0Hz, 2H), 6.80 (s, 1H), 6.64 (d, J = 8.2Hz, 1H), 6.33 (d, J = 8.2Hz, 1H), 4.44 (d, J = 13.8Hz, 1H), 4.25 (d, J = 13.8Hz, 1H), 3.79 (s, 1H), 2.74 (s, 2H), 1.26 (s, 3H), 1.01 (s, 3H)..
<합성예 2.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7)의 합성 2(합성 스킴 1')>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브로모-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의 합성
5-브로모-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 654.7 mg을 재어 취하고, N-메틸피롤리돈 8.3 mL 및 트리아졸 나트륨염 500.8 mg을 가하고, 8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트리메틸설폭소늄 브로마이드 142.8 mg과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 82.5 mg을 각각 4분할하여 30분 간격으로 가하였다. 최초 시약 첨가로부터 70분 후에 오일 배스 온도를 90℃, 130분 후에 100℃로 올렸다. 최초 시약 첨가로부터 3시간 후에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가해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갈색 액체로서 462.2 mg 얻었다. 수율 53%.
1H NMR(400MHz, CDCl3) δ:7.98 (s, 1H), 7.87 (s, 1H), 7.34 (s, 1H), 7.14 (d, J = 8.0 Hz, 1H), 6.21 (d, J = 8.0 Hz, 1H), 4.42 (d, J = 14.0 Hz, 1H), 4.19 (d, J = 14.0 Hz, 1H), 3.94 (s, 1H), 2.80 (d, J = 16.0 Hz, 1H), 2.74 (d, J = 16.0 Hz, 1H), 1.27 (s, 3H), 0.99 (s, 3H)..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7)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브로모-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 365.2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5.7 mL에 용해하고, 탄산칼륨 365.1 mg, 4-클로로페놀 218.9 mg, 요오드화 구리 43.4 mg 및 트리스(2, 4-펜탄디오나토)철(III) 161.0 mg을 가한 후, 135℃에서 9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물을 가해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51.7 mg 얻었다. 수율 12.3%.
1H NMR (400MHz, CDCl3) 7.97 (s, 1H), 7.92 (s, 1H), 7.28 (dd, J = 9.0, 2.2Hz, 2H), 6.90 (d, J = 9.0Hz, 2H), 6.80 (s, 1H), 6.64 (d, J = 8.2Hz, 1H), 6.33 (d, J = 8.2Hz, 1H), 4.44 (d, J = 13.8Hz, 1H), 4.25 (d, J = 13.8Hz, 1H), 3.79 (s, 1H), 2.74 (s, 2H), 1.26 (s, 3H), 1.01 (s, 3H)..
<합성예 3.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27)의 합성(합성 스킴 2)>
5-(4-클로로페녹시)-2,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5-플루오로 인다논 301 mg, 4-클로로페놀 515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3.6 mL에 용해하고, 탄산칼륨 553 mg을 가하였다. 120℃에서 4시간 가열 교반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가하였다.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갈색 유상(油狀)물로서 314 mg 얻었다. 수율 60.5%.
1H NMR (400MHz, CDCl3) δ:7.73 (d, J = 8.4Hz, 1H), 7.37 (d, J = 9.0Hz, 2H), 7.03 (d, J = 9.0Hz, 2H), 6.97 (dd, J = 8.4, 2.2Hz, 1H), 6.93 (s, 1H), 3.09-3.06 (m, 2H), 2.71-2.68 (m, 2H)..
5-(4-클로로페녹시)-1-메틸렌-2, 3-디하이드로-1H-인덴의 합성
5-(4-클로로페녹시)-2, 3-디하이드로-1H-인덴-1-온 1.294 g,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3.572 g 및 탈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를 재어 취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칼륨 tert-부톡사이드 1.122 g과 탈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의 혼합액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후, 1시간 교반하고, 반응액을 3분의 1 정도까지 농축하였다. 여기에 헥산을 가하면 석출이 발생했기 때문에 셀라이트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1.025 g을 무색 투명 유상물로서 얻었다. 수율 79.9%.
1H NMR (400MHz, CDCl3) δ:7.45 (dd, J = 7.0, 2.2Hz, 1H), 7.30-7.24 (m, 2H), 6.99-6.90 (m, 2H), 6.86-6.83 (m, 2H), 5.36 (t, J = 2.4Hz, 1H), 5.99 (t, J = 2.1Hz, 1H), 2.96-2.90 (m, 2H), 2.86-2.80 (m, 2H)..
5-(4-클로로페녹시)-1-(하이드록시메틸)-2, 3-디하이드로-1H-인덴-1-올의 합성
50%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 수용액 1.133 g을 재어 취하고, 물 1.0 mL를 가하였다. 사산화 오스뮴을 소량 가하고, 전항에서 합성한 5-(4-클로로페녹시)-1-메틸렌-2,3-디하이드로-1H-인덴 1.025 g 및 아세톤 0.8 mL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9시간 세차게 교반하고, 반응액에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였다. 아세트산 에틸을 가하고, 불용물을 셀라이트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0.850 g을 회색 고체로서 얻었다. 수율 73.2%.
1H NMR (400MHz, DMSO-d6) δ:7.42 (d, J = 9.0Hz, 2H), 7.31-7.29 (m, 1H), 6.99 (d, J = 9.0Hz, 2H), 6.87-6.84 (m, 2H), 4.99 (s, 1H), 4.68 (t, J = 5.8Hz, 1H), 3.45 (d, J = 5.8Hz, 2H), 2.89-2.81 (m, 1H), 2.75-2.67 (m, 1H), 2.35-2.28 (m, 1H), 1. 93-1.83 (m, 1H)..
4-메틸벤젠설폰산(5-(4-클로로페녹시)-1-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H-인덴-1-일)메틸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4-클로로페녹시)-1-(하이드록시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 0.850 g 및 클로로포름 2.9 mL를 재어 취하고, 얼음물 냉각하, 피리딘 0.447 g 및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0.838 g을 가하고, 얼음물 배스하,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0.686 g을 무색 투명 유상물로서 얻었다. 수율 52.7%.
1H NMR (400MHz, DMSO-d6) δ:7.74 (d, J = 8.3Hz, 2H), 7.46-7.42 (m, 4H), 7.20 (d, J = 8.0Hz, 1H), 7.02-6.99 (m, 2H), 6.84-6.81 (m, 2H), 5.56 (br, 1H), 4.06-3.97 (m, 2H), 2.87-2.80 (m, 1H), 2.69-2.61 (m, 1H), 2.42 (s, 3H), 2.18-2.12 (m, 1H), 1.98-1.90 (m, 1H)..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27)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4-메틸벤젠설폰산(5-(4-클로로페녹시)-1-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H-인덴-1-일)메틸 0.686 g, N-메틸피롤리돈 1.5 mL 및 트리아졸 나트륨염 0.280 g을 가하고, 6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0.081 mg을 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수율 15.4%.
1H NMR (400MHz, DMSO-d6) δ:8.04 (s, 1H), 8.01 (s, 1H), 7.29 (dd, J = 6.8, 2.2Hz, 2H), 6.92 (dd, J = 6.7, 2.2Hz, 2H), 6.98-6.80 (m, 3H), 4.38-4.35 (m, 2H), 3.72 (s, 1H), 3.01-2.96 (m, 1H), 2.85-2.77 (m, 1H), 2.38-2.32 (m, 1H), 2.17-2.09 (m, 1H). .
<합성예 4. 5-(4-클로로페녹시)-2-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합성 스킴 2)>
5-(4-클로로페녹시)-1-옥소-2, 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의 합성
55% 수소화 나트륨 134 mg을 재어 취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여기에 탄산 디메틸 1.0 ml, 탈수 메탄올 10 μL를 가하고, 80℃로 가열하였다. 가열 후, 전항에서 합성한 5-(4-클로로페녹시)-2,3-디하이드로-1H-인덴-1-온 313.7 mg과 탄산 디메틸 3.0 mL의 혼합액을 가하였다. 그 후 100℃에서 1.5시간 가열 환류하고, 방랭 후, 반응액을 얼음물에 따랐다.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갈색 유상물로서 228 mg 얻었다. 수율 59.4%.
1H NMR (400MHz, CDCl3) δ:7.74 (d, J = 8.5Hz, 1H), 7.40-7.37 (m, 2H), 7.05-7.03 (m, 2H), 7.01-6.98 (m, 1H), 6.93 (s, 1H), 3.80 (s, 3H), 3.74 (dd, J = 8.3, 4.0Hz, 1H), 3.49 (dd, J = 17.4, 3.8Hz, 1H), 3.28 (dd, J = 17.4, 8.2Hz, 1H)..
5-(4-클로로페녹시)-2-이소프로필-1-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의 합성
55% 수소화 나트륨 35.6 mg을 재어 취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여기에 N, 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를 가하여 얼음물 배스에서 냉각하고, 전항에서 합성한 5-(4-클로로페녹시)-1-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 228.3 mg과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 mL의 혼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요오드화 이소프로필 134.8 mg을 가하고, 80℃에서 1.5시간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였다.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황색 유상물로서 93.7 mg 얻었다. 수율 36.2%.
1H NMR (400MHz, CDCl3) δ:7.70 (d, J = 8.4Hz, 1H), 7.39 (d, J = 8.9Hz, 2H), 7.05 (d, J = 8.9Hz, 2H), 6.97-6.93 (m, 2H), 3.72 (s, 3H), 3.64 (d, J = 17.7Hz, 1H), 2.99 (d, J = 17.7Hz, 1H), 2.92-2.85 (m, 1H), 0.96 (d, J = 6.8Hz, 3H), 0.74 (d, J = 6.8Hz, 3H)..
5-(4-클로로페녹시)-2-이소프로필-2, 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4-클로로페녹시)-2-이소프로필-1-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 90.1 mg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1 mL, 3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1 mL를 가하고, 4.5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액을 방랭 후, 희염산으로 중화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50.0 mg 얻었다. 수율 66.2%.
1H NMR (400MHz, CDCl3) δ:7.70 (d, J = 8.4Hz, 1H), 7.37 (d, J = 8.9Hz, 2H), 7.03 (d, J = 9.0Hz, 2H), 6.96-6.92 (m, 2H), 3.06 (dd, J = 17.6, 8.1Hz, 1H), 2.85 (dd, J = 17.6, 4.0Hz, 1H), 2.69-2.65 (m, 1H), 2.44~2.36 (m, 1H), 1.04 (d, J = 6.9Hz, 3H), 0.79 (d, J = 6.8Hz, 3H)..
<합성예 5.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32, I-33)의 합성(합성 스킴 2')>
5-브로모-1-옥소-2, 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의 합성
55% 수소화 나트륨 4.813 g, 탄산 디메틸 250 mL, 탈수 메탄올 1 mL를 재어 취하고, 50℃로 가온하면서 5-브로모-1-인다논 21.11 g과 탄산 디메틸 150 mL의 혼합 용액을 적하하였다. 적하 후 30분 교반하고, 반응액을 얼음물에 따랐다.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0 mL를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19.17 g 얻었다. 수율 71.2%.
1H NMR (400MHz, CDCl3) δ:7.70 (d, J = 0.9Hz, 1H), 7.64 (d, J = 8.1Hz, 1H), 7.56-7.53 (m, 1H), 3.80 (s, 3H), 3.74 (dd, J = 8.3, 4.0Hz, 1H), 3.56 (dd, J = 17.4, 4.0Hz, 1H), 3.36 (dd, J = 17.4, 8.3Hz, 1H)..
5-브로모-2-메틸-1-옥소-2, 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브로모-1-옥소-2, 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 18.90 g, 탄산칼륨 19.44 g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70 mL를 재어 취하고, 실온에서 교반하고, 요오드화 메틸 19.94 g을 적하하였다. 적하 후 1시간 교반하고, 물을 가해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18.96 g 얻었다. 수율 95.4%.
1H NMR (400MHz, CDCl3) δ:7.66-7.64 (m, 2H), 7.56 (d, J = 8.2Hz, 1H), 3.70 (d, J = 17.3Hz, 1H), 3.69 (s, 3H), 2.98 (d, J = 17.4Hz, 1H), 1.52 (s, 3H). .
5-브로모-2-메틸-2, 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브로모-2-메틸-1-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카복실산메틸 18.41 g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60 mL를 재어 취하고, 3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60 g을 가하고, 강교반하면서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후, 희염산으로 중화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4.810 g 얻었다. 수율 32.9%.
1H NMR (400MHz, CDCl3) δ:7.63 (s, 1H), 7.61 (d, J = 8.2Hz, 1H), 7.51 (d, J = 8.1Hz, 1H), 3.42-3.35 (m, 1H), 2.74-2.70 (m, 2H), 1.31 (d, J = 7.3Hz, 3H). .
5-브로모-2-메틸-1-메틸렌-2,3-디하이드로-1H-인덴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브로모-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 4.810 g,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15.27 g 및 탈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5 mL를 재어 취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칼륨 tert-부톡사이드 4.783 g과 탈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3 mL의 혼합액을 0.5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후 1시간 교반하고, 반응액을 4분의 1 정도까지 농축하였다. 여기에 헥산을 가하면 석출이 발생했기 때문에 셀라이트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4.528 g을 무색 투명 유상물로서 얻었다. 수율 94.9%
1H NMR (400MHz, CDCl3) δ:7.37 (s, 1H), 7.34-7.31 (m, 2H), 5.45 (d, J = 2.6Hz, 1H), 5.00 (d, J = 2.2Hz, 1H), 3.16 (dd, J = 16.2, 8.5Hz, 1H), 3.05-3.02 (m, 1H), 2.55 (dd, J = 16.2, 5.1Hz, 1H), 1.24 (d, J = 7.0Hz, 3H). .
5-브로모-1-(하이드록시메틸)-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의 합성
50%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 수용액 5.715 g을 재어 취하고, 물 5.2 mL를 가하였다. 사산화 오스뮴을 20.2 mg 가하고, 전항에서 합성한 5-브로모-2-메틸-1-메틸렌-2,3-디하이드로-1H-인덴 4.528 g 및 아세톤 4.1 mL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6시간 세차게 교반하고, 반응액에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였다. 아세트산 에틸을 가하고, 불용물을 셀라이트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4.768 g을 등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수율 91.4%.
디아스테레오머 1
1H NMR (400MHz, DMSO-d6) δ:7.37-7.22 (m, 3H), 5.02 (s, 1H), 4.39 (t, J = 5.3Hz, 1H), 3.46-3.41 (m, 2H), 2.94-2.85 (m, 1H), 2.56-2.46 (m, 1H), 2.32-2.29 (m, 1H), 1.12 (d, J = 7.0Hz, 3H).
디아스테레오머 2
1H NMR (400MHz, DMSO-d6) δ:7.37-7.22 (m, 3H), 4.68-4.65 (m, 2H), 3.57 (dd, J = 11.0, 5.7Hz, 1H), 3.46-3.41 (m, 1H), 2.94-2.85 (m, 1H), 2.56-2.46 (m, 1H), 2.44-2.38 (m, 1H), 0.96 (d, J = 6.9Hz, 3H). .
4-메틸벤젠설폰산(5-브로모-1-하이드록시-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메틸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브로모-1-(하이드록시메틸)-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 4.768 g 및 클로로포름 19 mL를 재어 취하고, 얼음물 냉각하, 피리딘 2.937 g 및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5.300 g을 가하고, 얼음물 배스하, 5.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에 물을 가하여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7.549 g을 녹색 투명 유상물로서 얻었다. 수율 99.0%.
디아스테레오머 1
1H NMR (400MHz, CDCl3) δ:7.61 (d, J = 8.3Hz, 2H), 7.35-7.25 (m, 4H), 7.08 (d, J = 8.1Hz, 1H), 4.14 (d, J = 10.0Hz, 1H), 4.05 (d, J = 10.0Hz, 1H), 3.05-2.93 (m, 1H), 2.50-2.41 (m, 5H), 1.15 (d, J = 6.7Hz, 3H).
디아스테레오머 2
1H NMR (400MHz, CDCl3) δ:7.76 (d, J = 8.3Hz, 2H), 7.35-7.25 (m, 4H), 7.12 (d, J = 8.1Hz, 1H), 4.15-4.10 (m, 2H), 3.05-2.93 (m, 1H), 2.61 (dd, J = 16.2, 6.1Hz, 1H), 2.50-2.41 (m, 4H), 1.06 (d, J = 7.0Hz, 3H). .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브로모-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4-메틸벤젠설폰산(5-브로모-1-하이드록시-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메틸 7.549 g, N-메틸피롤리돈 18 mL 및 트리아졸 나트륨염 3.346 g을 가하고, 60℃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3.539 m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수율 62.6%.
디아스테레오머 1
1H NMR (400MHz, CDCl3) δ:8.01 (s, 1H), 7.81 (s, 1H), 7.38-7.35 (m, 1H), 7.13 (d, J = 6.8Hz, 1H), 6.14 (d, J = 8.0Hz, 1H), 4.40 (d, J = 13.6Hz, 1H), 4.27 (s, 1H), 4.08 (d, J = 13.8Hz, 1H), 3.10-3.03 (m, 1H), 2.64-2.51 (m, 2H), 1.29 (d, J = 6.9Hz, 3H).
디아스테레오머 2
1H NMR (400MHz, CDCl3) δ:8.06 (s, 1H), 7.98 (s, 1H), 7.38-7.35 (m, 1H), 7.32 (d, J = 8.0Hz, 1H), 6.81 (d, J = 8.1Hz, 1H), 4.40 (d, J = 13.6Hz, 1H), 4.34 (d, J = 14.0Hz, 1H), 3.49 (s, 1H), 3.10-3.03 (m, 1H), 2.64-2.51 (m, 1H), 2.47-2.44 (m, 1H), 0.91 (d, J = 7.0Hz, 3H). .
1-((1H-1, 2, 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32, I-33)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브로모-2-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 306.2 mg을 N, 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에 용해하고, 탄산세슘 653.0 mg, 4-클로로페놀 372 mg 및 요오드화 구리 20 mg을 재어 취하고, 마이크로웨이브 합성 장치를 이용하여 195℃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121.4 mg 얻었다. 수율 34.9%. 계속해서, 분취 컬럼으로 디아스테레오머를 분취했다.
디아스테레오머 1: (화합물 번호 I-32)
1H NMR (600MHz, CDCl3) δ:8.01 (s, 1H), 7.85 (s, 1H), 7.27 (dd, J = 6.5, 2.4 Hz, 2H), 6.89 (dd, J = 6.9, 2.1 Hz, 2H), 6.80 (d, J = 2.1 Hz, 1H), 6.64 (dd, J = 8.3, 2.8 Hz, 1H), 6.25 (d, J = 8.3 Hz, 1H), 4.42 (d, J = 13.8 Hz, 1H), 4.13-4.11 (m, 2H), 3.08-3.04 (m, 1H), 2.64-2.61 (m, 1H), 2.51 (dd, J = 15.8, 10.3 Hz, 1H), 1.29 (d, J = 6.9 Hz, 3H).
디아스테레오머 2: (화합물 번호 I-33)
1H NMR (600MHz, CDCl3) δ:8.10 (s, 1H), 7.99 (s, 1H), 7.29 (dd, J = 6.2, 2.1 Hz, 2H), 6.95-6.92 (m, 3H), 6.83-6.82 (m, 2H), 4.47 (d, J = 14.5 Hz, 1H), 4.37 (d, J = 13.8 Hz, 1H), 3.29 (s, 1H), 3.03-2.99 (m, 1H), 2.61-2.58 (m, 1H), 2.47-2.44 (m, 1H), 0.90 (d, J = 6.9 Hz, 3H). .
<합성예 6.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1',3'-디하이드로 스피로[사이클로프로판-1,2'-인덴]-1'-올(화합물 번호 I-17)의 합성(합성 스킴 3)>
5-플루오로-2-메틸렌-2,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파라포름알데히드 1.350 g, N-메틸아닐리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3.317 g을 재어 취하고, 5-플루오로 인다논 1.503 g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의 혼합액을 가하였다. 3시간 가열 환류를 수행하고, 실온까지 냉각 후, 디에틸 에테르 20 ml를 가해 교반하고 디캔테이션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의 2배 희석액으로 세정하고, 추가로 물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30℃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표기 화합물을 짙은 녹색 고체로서 1.313 g 얻었다. 수율 80.9%.
1H NMR (400MHz, CDCl3) δ:7.89 (dd, J = 8.4, 5.4Hz, 1H), 7.18-7.10 (m, 2H), 6.37-6.36 (m, 1H), 5.66-5.65 (m, 1H), 3.76 (s, 2H). .
5'-플루오로 스피로[사이클로프로판-1,2'-인덴]-1'(3'H)-온의 합성
55% 수소화 나트륨 0.364 g을 재어 취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디메틸 설폭사이드 10 mL를 가하고, 트리메틸설폭소늄 요오다이드 1.839 g을 2분할하여 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 교반하고, 전항에서 합성한 5-플루오로-2-메틸렌-2, 3-디하이드로-1H-인덴-1-온 1.232 g과 디메틸 설폭사이드 10 ml의 혼합 용액을 가하고, 디메틸 설폭사이드 2.8 ml로 세정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반응액을 얼음물에 따라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였다.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백색 결정으로서 0.523 g 얻었다. 수율 39.0%.
1H NMR (400MHz, CDCl3) δ:7.78 (dd, J = 8.5, 5.4Hz, 1H), 7.16 (d, J = 8.6Hz, 1H), 7.10 (td, J = 8.9, 2.3Hz, 1H), 3.22 (s, 2H), 1.47-1.44 (m, 2H), 1.17-1.15 (m, 2H)..
5'-(4-클로로페녹시) 스피로[사이클로프로판-1, 2'-인덴]-1'(3'H)-온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플루오로 스피로[사이클로프로판-1, 2'-인덴]-1'(3'H)-온 353 mg, N,N-디메틸포름아미드 3.6 mL, 4-클로로페놀 514 mg 및 탄산칼륨 554 mg을 재어 취하고, 120℃에서 6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가하였다.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M NaOH 수용액 및 물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무색 투명 유상물로서 499 mg 얻었다. 수율 87.4%.
1H NMR (400MHz, CDCl3) δ:7.75 (d, J = 8.4Hz, 1H), 7.39-7.35 (m, 2H), 7.05-6.99 (m, 3H), 6.97 (s, 1H), 3.15 (s, 2H), 1.45-1.42 (m, 2H), 1.14-1.11 (m, 2H)..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1',3'-디하이드로 스피로[사이클로프로판-1,2'-인덴]-1'-올(화합물 번호 I-17)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5'-(4-클로로페녹시) 스피로[사이클로프로판-1, 2'-인덴]-1'(3'H)-온 497 mg을 N-메틸피롤리돈 5.2 mL에 용해하고, 트리아졸 나트륨염 319 mg을 가하고 8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트리메틸설폭소늄 브로마이드 363 mg과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 202 mg을 각각 4분할하여 30분 간격으로 가하였다. 최초 시약 첨가로부터 70분 후에 오일 배스 온도를 90℃, 130분 후에 100℃로 올렸다. 최초 시약 첨가로부터 3시간 후에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가해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59.1 mg 얻었다. 수율 9.2%.
1H NMR (400MHz, CDCl3) 7.95 (s, 1H), 7.91 (s, 1H), 7.29 (d, J = 8.7Hz, 2H), 6.92 (d, J = 8.8Hz, 2H), 6.79 (s, 1H), 6.73 (d, J = 8.3Hz, 1H), 6.50 (d, J = 8.3Hz, 1H), 4.32 (d, J = 14.0Hz, 1H), 4.28 (d, J = 14.2Hz, 1H), 3.39 (s, 1H), 3.12 (d, J = 16.3Hz, 1H), 2.55 (d, J = 16.4Hz, 1H), 1.11-1.06 (m, 1H), 0.82-0.77 (m, 1H), 0.73-0.67 (m, 1H), 0.43-0.38 (m, 1H)..
<합성예 7. 1-((1H-1, 2, 4-트리아졸-1-일)메틸)-2, 2-디메틸-5-((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2, 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18)의 합성(합성 스킴 4)>
5-(벤질옥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의 합성
5-플루오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온 1.782 g, 벤질 알코올 1.191 g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를 재어 취하고, 얼음욕 냉각하, 칼륨 tert-부톡사이드 1.235 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물을 가하였다.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1회씩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을 2.450 g을 얻었다. 수율 92.0%.
1H NMR (400MHz, CDCl3) δ:7.70 (d, J = 8.5Hz, 1H), 7.45-7.36 (m, 5H), 6.99 (dd,
J = 8.5, 2.3Hz, 1H), 6.94 (s, 1H), 5.14 (s, 2H), 2.94 (s, 2H), 1.22 (s, 6H)..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벤질옥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의 합성
55% 수소화 나트륨 0.483 g을 재어 취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탈수 디메틸 설폭사이드 14.4 mL 및 트리메틸설포늄 요오다이드 2.441 g을 가하고, 25℃에서 30분 교반하였다. 전항에서 합성한 5-(벤질옥시)-2, 2-디메틸-2, 3-디하이드로-1H-인덴-1-온 2.450 g과 탈수 디메틸 설폭사이드 2.0 mL의 혼합액을 가하고, 탈수 디메틸 설폭사이드 2.0 mL로 세정하였다. 25℃에서 4시간 교반하고, 계속해서 1,2,4-트리아졸 1.278 g, 디아자비사이클로운데센 2.809 g을 가하고 8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빙랭하,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였다.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0.746 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수율 23.2%.
1H NMR (400MHz, CDCl3) δ:8.00 (s, 1H), 7.54 (s, 1H), 7.46-7.35 (m, 5H), 7.23 (d, J = 8.3Hz, 1H), 6.94-6.90 (m, 2H), 5.09 (s, 2H), 4.37 (dd, J = 12.2, 9.0Hz, 1H), 4.29 (dd, J = 12.2, 5.1Hz, 1H), 3.67-3.64 (m, 1H), 2.83 (d, J = 16.1Hz, 1H), 2.71 (d, J = 16.1Hz, 1H), 1.29 (s, 3H), 0.75 (s, 3H)..
1-((1H-1,2,4-트리아졸-1-일)메틸)-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5-디올
전항에서 합성한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벤질옥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 488.8 mg을 에탄올 2.8 mL에 현탁하고, 10% 팔라듐 탄소(약 55% 물 습윤품) 129.8 mg을 가하고, 풍선으로 수소를 도입했다. 실온에서 8시간 교반하고, 불용물을 셀라이트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331.9 m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수율 91.5%.
1H NMR (400MHz, DMSO-d6) δ:9.43 (s, 1H), 8.31 (s, 1H), 7.99 (s, 1H), 7.17 (d, J = 8.1Hz, 1H), 6.64 (m, 2H), 4.87 (t, J = 5.0Hz, 1H), 4.30 (dd, J = 11.0, 4.8Hz, 1H), 3.81 (dd, J = 11.0, 5.2Hz, 1H), 2.75 (d, J = 15.6Hz, 1H), 2.69 (d, J = 15.6Hz, 1H), 1.19 (s, 3H), 0.38 (s, 3H)..
1-((1H-1,2,4-트리아졸-1-일)메틸)-2,2-디메틸-5-((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2,3-디하이드로-1H-인덴-1-올(화합물 번호 I-18)의 합성
전항에서 합성한 1-((1H-1,2,4-트리아졸-1-일)메틸)-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5-디올 130.1 mg, 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 피리딘 124.2 mg, 탄산세슘 249.9 mg 및 탈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를 재어 취하고, 60℃에서 4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가해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규조토 컬럼에 통과시켰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조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 124.1 mg을 무색 투명 유상물로서 얻었다. 수율 61.1%.
1H NMR (400MHz, CDCl3) δ:8.47 (s, 1H), 8.04 (s, 1H), 7.95 (d, J = 8.6Hz, 1H), 7.66 (s, 1H), 7.40 (d, J = 8.3Hz, 1H), 7.14-7.07 (m, 3H), 4.47 (m, 1H), 4.28 (d, J = 12.1Hz, 1H), 3.48 (s, 1H), 2.89 (d, J = 16.2Hz, 1H), 2.80 (d, J = 16.2Hz, 1H), 1.33 (s, 3H), 0.75 (s, 3H)..
<합성예 8. 그 외 화합물의 합성>
상술한 합성예 1~7에서의 사용 화합물 및 조건 등을 적절히 변경하여, 화합물 번호 I-1~I-6, I-8~I~16 및 I-19~I-3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염의 합성]
<합성예 9.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 3-디하이드로-1H-인덴-1-올 염산염(화합물 번호 I-S1)의 합성>
1-((1H-1,2,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페녹시)-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올 150 mg을 디옥산 2 mL 및 클로로포름 3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고, 4M 염화수소 디옥산 용액 0.2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여 취하고, 디옥산으로 세정하여, 표기 화합물 93 mg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수율 56%.
1H NMR (400MHz, DMSO-d6) δ:8.39 (s, 1H), 7.94 (s, 1H), 7.42 (d, J = 8.8 Hz, 2H), 6.97 (d, J = 8.8 Hz, 2H), 6.84 (s, 1H), 6.67-6.66 (m, 1H), 6.52-6.50 (m, 1H), 4.44-4.35 (m, 2H), 2.70-2.68 (m, 2H), 1.18 (s, 3H), 0.82 (s, 3H)..
<합성예 10. 그 외 화합물의 합성>
상술한 합성예 9에서의 사용 화합물, 용매 및 조건 등을 적절히 변경하여, 화합물 번호 I-S2~S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
(시료의 조제 방법)
상기에서 조제한 고체 시료 10.02 mg을 시험관에 칭량하고, 아세토니트릴 1 mL을 가해 초음파로 20분간 추출하고, 이것을 10 mL에 정용(定容)했다. 0.45 μm의 멤브레인 필터를 1 mL의 시료 용액으로 씻고, 그 후 여과한 시료액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TOSOH IC2010)로 측정하였다.
(음이온 함유량의 산출)
시료액 중의 각 음이온 농도로부터, 고체 시료 중의 각 음이온 함유량(질량%)을 각각 산출하였다. 예를 들어, 화합물 I-S1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시료액 중의 Cl 이온 농도는 94.00 μg/mL였기 때문에, 고체 시료 중의 Cl 이온량은 9.40질량%로 산출되었다.
음이온 함유량의 이론값과 각 음이온 함유량의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아졸 유도체와 각 음이온의 몰비를 추정하였다. 또한, 음이온 함유량의 이론값은 아졸 유도체와 각 음이온의 추정되는 몰비로부터 산출된다. 화합물 I-S1의 아졸 유도체와 염소 이온의 몰비가 1:1인 경우, 화합물 번호 I-S1의 염소 이온 함유량의 이론값은 8.7질량%가 된다. 화합물 I-S1의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는 9.40 질량%이며, 화합물 I-S1의 아졸 유도체와 염소 이온의 몰비는 대략 1:1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합물 번호 I-S2(황산염)와 화합물 번호 I-S3(질산염)이 각 음이온을 몰비 1:1로 포함하는 경우의 음이온 함유량의 이론값은 각각 20.8질량%, 14.4질량%가 되며, 각각의 음이온의 측정값과 대략 일치한다.
각 합성 화합물의 NMR 측정 데이터를 표 3-1~표 3-4 및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번호 I-S1~I-S3으로 표시되는 염에 대해서는, NMR 측정 데이터에 더하여, 당해 염에서의 음이온 함유량(질량%)에 대해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3-1]
(표 3-1)
Figure pct00013
[표 3-2]
(표 3-2)
Figure pct00014
[표 3-3]
(표 3-3)
Figure pct00015
[표 3-4]
(표 3-4)
Figure pct00016
(표 3-4의 계속)
Figure pct00017
※ I-34만 CDCl3 대신 DMSO-d6을 사용.
[표 4]
(표 4)
Figure pct00018
<제제예>
합성한 본 특허 기재의 임의의 아졸 유도체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수화물 및 유제를 제제했다.
제제예 1(수화제)
아졸 유도체 20.0부
라우릴 황산나트륨 2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의 나트륨염 5부
스테아르산아연 0.2부
화이트 카본 3부
클레이 69.8부
를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로 하였다.
제제예 2(유제)
아졸 유도체 2.0부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알킬벤젠 설폰산 금속염·알킬벤젠 혼합물 15.0부
5-(디메틸아미노)-2-메틸-5-옥소펜탄산메틸 12.5부
N, N-디메틸옥탄 아미드·N, N-디메틸데칸 아미드 혼합물 37.3부
솔벤트 나프타 33.2부
를 균일하게 혼합 용해하여 유제로 하였다.
<시험예 1: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샬레 시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각종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 대한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멸균 후, 60℃ 전후까지 냉각한 PDA 배지(포테이토-덱스트로스-아가(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 소정의 약제 농도가 되도록 본 발명 화합물을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용해하고, PDA 배지에 1%(V/V) 첨가하였다. PDA 배지 중의 약제 농도가 균일해지도록 잘 혼합하고, 샬레에 배지를 흘려 넣어, 본 발명 화합물을 포함하는 평판 배지를 제작하였다.
한편, 미리 PDA 배지 상에서 배양한 각종 식물 병원균의 균총을, 직경 4 mm의 코르크 보러로 펀칭하여 상기 약제 함유 평판 배지에 식균(植菌)하였다. 표 5에 따라 소정 기간, 온도로 배양 후, 약제 처리 평판 위의 균총 직경을 측정하였다. 약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처리 평판 위의 균총 직경과 비교하고, 하기 식에 의해 균사 신장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R=100(dc-dt)/dc
(식 중, R=균사 신장 억제율(%), dc=무처리 평판 위의 균총 직경, dt=약제 처리 평판 위의 균총 직경을 각각 나타낸다.)
얻어진 결과를 표 6에 나타내는 기준에 따라 5단계 평가하였다. 항균 활성 지수가 클수록,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표 5]
(표 5)
Figure pct00019
[표 6]
(표 6)
Figure pct00020
시험예 A: Zymoseptoria tritici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Zymoseptoria tritici를 이용하여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시험 물질 100 mg/L에서 화합물 I-1, I-3~I-13, I-15~I-29, I-31~I-35, I-37 및 I-38은 모두 항균 지수 5를 나타냈다.
시험예 B: Fusarium graminearum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Fusarium graminearum을 이용해 항균 시험을 수행했다. 피시험 물질 100 mg/L에서 화합물 I-1, I-3~I-13, I-15~I-17, I-24~I-28, I-31~I-35, I-37 및 I-38은 모두 항균 지수 5를 나타냈다.
시험예 C: Rhynchosporium secalis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Rhynchosporium secalis를 이용해 항균 시험을 수행했다. 피시험 물질 100 mg/L에서 화합물 I-1, I-3~I-13, I-15~I-17, I-24~I-29, I-31~I-35, I-37 및 I-38은 모두 항균 지수 5를 나타냈다.
<시험예 2: 오이 회색 곰팡이병 방제 효과 시험>
본 발명 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하고, 100 g/ha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0.5%(V/V) 첨가하고, 각형 플라스틱 포트(6.5 cm×6.5 cm)를 이용하여 재배한 자엽기의 오이(품종: 한지로 후시나리(Hanjiro Hushinari))에 1,000 L/ha의 비율로 산포했다. 산포 잎을 풍건한 후, 회색 곰팡이병균의 포자액을 배어들게 한 페이퍼 디스크(직경 8 mm)를 싣고, 20℃ 고습도 조건하로 유지하였다. 접종 후, 4일째에 오이 회색 곰팡이병의 병반 면적비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방제가(%)=(1-산포구의 평균 이병도/무산포구의 평균 이병도)×100
또한 이병도는 하기 표 7을 기초로 판단하였다.
[표 7]
(표 7)
Figure pct00021
상기 시험에서, 화합물 I-4, I-6~I-8, I-10~I-12, I-27, I-28, I-32, I-33, I-35, I-37 및 I-S1~I-S4는 모두 방제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3: 오이 노균병 방제 효과 시험>
본 발명 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하고, 100 g/ha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0.5%(V/V) 첨가하고, 각형 플라스틱 포트(6.5 cm×6.5 cm)를 이용하여 재배한 자엽기의 오이(품종: 한지로 후시나리)에 1,000 L/ha의 비율로 산포하였다. 잎부를 풍건한 후, 오이 노균병균의 포자 현탁액(1×105개/ml로 조정)을 분무 접종하고, 20℃, 고습도 조건하로 유지하였다. 균 접종 후, 7일째에 오이 노균병의 병반 면적비를 조사하고, 시험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화합물 I-17 및 I-30은 방제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4: 밀 흰가루병 방제 효과 시험>
각형 플라스틱 포트(6.5 cm×6.5 cm)를 이용하여 밀(품종: 농림 61호)을 1~2엽기(葉期)까지 재배했다. 아세톤에 용해하고, 100 g/ha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0.5%(V/V) 첨가하여, 1,000 L/ha의 비율로 밀에 산포하였다. 식물체 위의 산포액을 풍건시킨 후, 밀 흰가루병 이병 모종으로부터 밀 흰가루병균의 포자를 뿌려 접종하였다. 그 후에는 온실 내에서 관리하였다. 접종 후 7~14일째에 밀 흰가루병의 병반 면적비를 조사하고, 시험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화합물 I-4, I-7, I-10, I-15, I-17, I-24, I-27~I-29, I-32, I-33 및 I-35~I-37은 모두 방제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5: 밀 붉은 녹병의 방제 효과 시험>
각형 플라스틱 포트(6.5 cm×6.5 cm)를 이용하여 밀(품종: 농림 61호)을 1~2엽기까지 재배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하고, 100 g/ha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0.5%(V/V) 첨가하여, 1,000 L/ha의 비율로 밀에 산포하였다. 식물체 위의 산포액을 풍건시킨 후, 밀 붉은 녹병균의 포자(200개/시야로 조정, 60 ppm이 되도록 그라민 S를 첨가)를 분무 접종하고, 20℃ 고습도 조건하에 24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에는 온실 내에서 관리하였다. 접종 후 10~14일째에 밀 붉은 녹병의 병반 면적비를 조사하고, 시험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화합물 I-7, I-10, I-12, I-15~I-17, I-24, I-27, I-32, I-33, I-35~I-38 및 I-S1~I-S4는 모두 방제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6: 밀 잎마름병 방제 효과 시험>
각형 플라스틱 포트(6.5 cm×6.5 cm)를 이용하여 밀(품종: 농림 61호)을 1~2엽기까지 재배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하고, 100 g/ha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0.5%(V/V) 첨가하여, 1,000 L/ha의 비율로 밀에 산포하였다. 식물체 위의 산포액을 풍건시킨 후, 밀 잎마름병균의 포자(1×107개/mL로 조정, 60 ppm이 되도록 그라민 S를 첨가)를 분무 접종하고, 20℃ 고습도 조건하에 72시간 유지했다. 그 후에는 인공 기상실 내에서 관리하였다. 접종 후 27~33일째에 밀 잎마름병의 병반 면적비를 조사하고, 시험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화합물 I-1, I-5, I-7, I-10~I-12, I-15~I-17, I-24, I-25, I-27~I-29, I-31~I-33, I-35, I-36 및 I-S1~I-S4는 모두 방제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7: 대두 녹병 방제 효과 시험>
각형 플라스틱 포트(6.5 cm×6.5 cm)를 이용하여 대두(품종: 엔레이(Enrei))를 제1, 제2 복엽 전개기까지 재배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하고, 100 g/ha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0.5%(V/V) 첨가하여, 1,000 L/ha의 비율로 대두에 산포하였다. 식물체 위의 산포액을 풍건시킨 후, 대두 녹병균의 포자(1×106개/mL로 조정하고, 60 ppm이 되도록 그라민 S를 첨가)를 분무 접종하고, 25℃ 고습도 조건하에 24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에는 온실 내에서 관리했다. 접종 후 15~20일째에 대두 녹병의 병반 면적비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방제가(%)=(1-산포구의 평균 이병도/무산포구의 평균 이병도)×100
또한 이병도는 하기 표 8을 기초로 판단했다.
[표 8]
(표 8)
Figure pct00022
상기 시험에서, 화합물 I-4~I-7, I-9~I-13, I-15~I-17, I-24, I-25, I-28, I-31~I-33, I-35~I-38 및 I-S1~I-S4는 모두 방제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졸 유도체는 농원예용 살균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일반식 (I)으로 표시되는 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N-옥사이드 또는 허용가능한 염.
    [화 1]
    Figure pct00023

    [식 (I) 중,
    A는 N 또는 CH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기, C3-C8-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3-C8-사이클로알킬-C1-C4-알킬기이고;
    R1과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Z는 페닐기, 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2, 3 또는 4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이고;
    R3은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펜타플루오로설파닐기, C1-C4-알킬기, C1-C4-할로알킬기, C1-C4-알콕시기 또는 C1-C4-할로알콕시기이고;
    R3은 Z의 임의의 치환 위치에 n개 결합되어 있으며;
    n은 0, 1, 2, 3, 4 또는 5이고;
    m은 1 또는 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에서 m이 1인, 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N-옥사이드 또는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에서 Z가 페닐기인, 아졸 유도체, 또는 그 N-옥사이드 또는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기재한 상기 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2,4-트리아졸 또는 이미다졸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과 황 일리드의 공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 2]
    Figure pct00024

    [식 (II) 중, R1, R2, R3, Z, m 및 n은 각각 식 (I)에서의 R1, R2, R3, Z, m 및 n과 동일하다.]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아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약제 또는 공업용 재료 보호제.
KR1020227030308A 2020-03-06 2021-03-05 아졸 유도체,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KR102497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9353 2020-03-06
JP2020039353 2020-03-06
PCT/JP2021/008690 WO2021177442A1 (ja) 2020-03-06 2021-03-05 アゾール誘導体、ア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農園芸用薬剤および工業用材料保護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652A true KR20220129652A (ko) 2022-09-23
KR102497895B1 KR102497895B1 (ko) 2023-02-08

Family

ID=7761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308A KR102497895B1 (ko) 2020-03-06 2021-03-05 아졸 유도체,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230192630A1 (ko)
EP (1) EP4116292A1 (ko)
JP (1) JP7150213B2 (ko)
KR (1) KR102497895B1 (ko)
CN (1) CN115052863B (ko)
AR (1) AR121486A1 (ko)
AU (1) AU2021230953B2 (ko)
BR (1) BR112022017644B1 (ko)
CA (1) CA3170548A1 (ko)
CL (1) CL2022002418A1 (ko)
CO (1) CO2022013071A2 (ko)
CR (1) CR20220440A (ko)
EC (1) ECSP22077395A (ko)
IL (1) IL295773B2 (ko)
MX (1) MX2022010857A (ko)
NZ (1) NZ792521A (ko)
UA (1) UA127256C2 (ko)
WO (1) WO2021177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26989A1 (es) * 2021-09-06 2023-12-06 Kureha Corp Enantiómero r de derivado de azol, químico agrícola u hortícola, y protector de material industrial
CN114262250A (zh) * 2021-12-24 2022-04-01 乐威医药(江苏)股份有限公司 芳香环苄基邻位双烷基的合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0771A (ja) * 1986-03-12 1987-10-09 ヘキス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アリ−ル−アゾリルメチル−ベンゾシクロアルケン−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用途
US4910212A (en) * 1987-03-05 1990-03-2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Heterocyclic compounds
WO2013007767A1 (en) 2011-07-13 2013-01-17 Basf Se Fungicidal substituted 2-[2-halogenalkyl-4-(phenoxy)-phenyl]-1-[1,2,4]triazol-1-yl-ethanol compounds
WO2019093522A1 (ja) 2017-11-13 2019-05-16 株式会社クレハ アゾール誘導体、中間体化合物、及びア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農園芸用薬剤及び工業用材料保護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003A (en) * 1977-07-29 1983-11-01 Rohm And Haas Company β-Hydroxyarylethylimidazoles
JP4161331B2 (ja) * 1997-09-02 2008-10-08 株式会社クレハ アゾリルメチルビシクロヘキサノール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農薬並びに、医薬としての利用
US20030166476A1 (en) 2002-01-31 2003-09-04 Winemiller Mark 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with improved friction properties
KR20110036766A (ko) * 2008-08-26 2011-04-08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5-벤질-4-아졸릴메틸-4-스피로[2.4]헵탄올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UA108867C2 (uk) * 2009-12-08 2015-06-25 Похідні азолу, спосіб їх одержання (варіанти), проміжні продукти, засіб для сільського господарства і садівництва
BR112012013198A2 (pt) * 2009-12-08 2015-09-15 Kureha Corp derivado de azol, composto intermediário, métodos para produzir derivado de azol e um composto intermediário, e, agente de agro-horticultura ou um agente protetor de material industrial.
BR112013031356A8 (pt) * 2011-06-07 2018-05-02 Kureha Corp derivado de azol, método para produzir o derivado de azol, composto intermediário para a produção do derivado de azol, agente de agricultura ou horticultura ou um agente protetor de material industrial, e, semen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0771A (ja) * 1986-03-12 1987-10-09 ヘキス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アリ−ル−アゾリルメチル−ベンゾシクロアルケン−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用途
US4910212A (en) * 1987-03-05 1990-03-2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Heterocyclic compounds
WO2013007767A1 (en) 2011-07-13 2013-01-17 Basf Se Fungicidal substituted 2-[2-halogenalkyl-4-(phenoxy)-phenyl]-1-[1,2,4]triazol-1-yl-ethanol compounds
WO2019093522A1 (ja) 2017-11-13 2019-05-16 株式会社クレハ アゾール誘導体、中間体化合物、及びア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農園芸用薬剤及び工業用材料保護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22013071A2 (es) 2022-09-20
NZ792521A (en) 2023-01-27
MX2022010857A (es) 2023-03-14
CR20220440A (es) 2022-12-06
BR112022017644B1 (pt) 2023-05-02
AR121486A1 (es) 2022-06-08
AU2021230953B2 (en) 2022-10-06
CN115052863A (zh) 2022-09-13
WO2021177442A1 (ja) 2021-09-10
BR112022017644A2 (pt) 2022-10-18
KR102497895B1 (ko) 2023-02-08
CA3170548A1 (en) 2021-09-10
AU2021230953A1 (en) 2022-09-22
ECSP22077395A (es) 2022-11-30
IL295773B (en) 2022-12-01
IL295773B2 (en) 2023-04-01
EP4116292A1 (en) 2023-01-11
JPWO2021177442A1 (ko) 2021-09-10
US20230192630A1 (en) 2023-06-22
UA127256C2 (uk) 2023-06-21
JP7150213B2 (ja) 2022-10-07
CL2022002418A1 (es) 2023-04-14
CN115052863B (zh) 2023-04-28
IL295773A (en) 202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124B1 (ko) 아졸 유도체, 중간체 화합물 및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JP6942284B2 (ja) 農園芸用殺菌剤、植物病害防除方法及び植物病害防除用製品
RU2652138C2 (ru) Твердые формы фунгицидных пиразолов
UA127855C2 (uk) Заміщені тіофенкарбоксаміди та аналоги як антибактеріальні агенти
KR102497895B1 (ko) 아졸 유도체, 아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농원예용 약제 및 공업용 재료 보호제
JP2022531703A (ja) 高拡展性及び高取り込み性ulv製剤
WO2021230382A1 (ja) トリアゾール誘導体の(-)-エナンチオマー、農園芸用薬剤および工業用材料保護剤
WO2010074021A1 (ja) 置換1-(1-クロロシクロプロピル)-2-(1h-1,2,4-トリアゾール-1-イル)-2-プロペン-1-オール誘導体、その製造方法、これを含有する農園芸用薬剤及び工業用材料保護剤
JP2021080280A (ja) 農園芸用病害防除剤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2019031463A (ja) アゾ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農園芸用薬剤としての利用
WO2023033180A1 (ja) アゾール誘導体のr-エナンチオマー、農園芸用薬剤および工業用材料保護剤
JP2021014437A (ja) アゾール誘導体、ならびに農園芸用薬剤および工業用材料保護剤
JP2020180055A (ja) アゾール誘導体、ならびに農園芸用薬剤および工業用材料保護剤
JP2023138105A (ja) 農園芸用殺菌剤、植物病害防除方法及び植物病害防除用製品
NZ762344B2 (en) Azole derivative, intermediate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azole derivative,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chemical agent, and protective agent for industrial material
JP2019151601A (ja) 農園芸用薬剤、植物病害防除方法、および植物病害防除用製品
EA041705B1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или садоводческий фунгицид,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и продукт для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JP2016033127A (ja) 農園芸用薬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